동쪽의 바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쪽의 바다는 달의 뒷면 가장자리에 위치한 거대한 충돌구로,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이 구조는 약 900km 너비, 64km 직경의 소행성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다중 링 크레이터와 현무암 범람이 특징이다. 아폴로 계획을 통해 암석을 채취하지 못해 정확한 연대는 불분명하지만, 약 37억~38억 년 전으로 추정된다. 1906년 율리우스 프란츠에 의해 처음 상세히 묘사되었으며,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려워 발견과 명칭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 최근 한국의 달 탐사 계획과 관련하여 다누리 탐사선에 의해 관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Q17 쿼드랭글 - 레인저 4호
레인저 4호는 1962년 발사된 미국의 달 탐사선으로, 달 표면 사진 촬영과 지진 활동 관측을 시도했으나 통신 오류로 인해 달 뒷면에 충돌했다. - 달의 바다 - 뱀의 바다
뱀의 바다는 아직 내용이 작성되지 않은 문서이며, 추후 내용이 채워질 경우 뱀의 바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달의 바다 - 섬의 바다
- 태양계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태양계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동쪽의 바다 | |
---|---|
개요 | |
라틴어 이름 | Mare Orientale |
영어 이름 | Eastern Sea |
위치 | 달의 앞면 서쪽 경계와 뒷면 경계 사이 |
좌표 | 남위 19.4°, 서경 92.8° |
직경 | 900km |
면적 | 해당 없음 |
![]() | |
![]() |
2. 지질학
1960년대에 제라드 카이퍼(Gerard Kuiper)가 달 및 행성 연구소에서 정류된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영상을 통해 이곳이 충돌구라는 개념이 생겨났다.[2][3][4][5] 중앙에 평평한 바다가 있는 이 구조는 너비가 약 900km이며, 직경이 64km이고 속도가 15km/s인 소행성 크기의 물체의 충돌로 형성되었다. 다른 대부분의 달 분지와 비교하여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는 바다 현무암에 의한 범람이 적어 분지 구조의 많은 부분이 보인다. 오리엔탈레 분지의 중앙 부분에 있는 현무암의 두께는 아마도 1km 미만일 것이며, 이는 달의 지구 방향 측면에 있는 바다 분지보다 훨씬 얇다.[2] 충돌로 인해 달 표면에 파문이 생겨 세 개의 동심원형 특징이 생겼다. 이 거대한 다중 링 크레이터의 가장 안쪽 고리는 내부 및 외부의 로크 산(Montes Rook)이며, 가장 바깥쪽 고리는 직경이 930km인 코르디예라 산(Montes Cordillera)이다. 여기에서 바깥쪽으로 방출물은 산기슭에서 약 500km까지 뻗어 있으며, 혹과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정렬된 특징이 있는 거친 표면을 형성한다.[2]
아폴로 계획은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에서 암석을 채취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나이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곳은 달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충돌 분지로, 약 38억 5천만 년 된 임브리움 바다(Mare Imbrium)보다 젊으며, 추정 연령은 약 37억~38억 년이다.[6] 주변 분지 물질은 하부 임브리안 기에 속하며, 바다 물질은 상부 임브리안 기에 속한다.[7][8]
이 분지를 생성한 충돌 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달의 임브리안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35°보다 가파른 거의 모든 경사가 평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9]
마레 마르기니스(Mare Marginis)는 대척점에 위치해 있다.
질량 집중(mascon), 즉 중력 고는 1968년 5대의 루나 오비터 계획(Lunar Orbiter) 우주선의 도플러 추적을 통해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중심에서 확인되었다.[10] 질량 집중은 루나 프로스펙터(Lunar Prospector) 및 중력 회수 및 내부 연구소(GRAIL)와 같은 후기 궤도선으로 더 높은 해상도로 확인되고 지도화되었다.
2. 1. 형성 과정
1960년대에 제라드 카이퍼(Gerard Kuiper)가 달 및 행성 연구소에서 정류된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영상을 통해 이곳이 충돌구라는 개념이 생겨났다.[2][3][4][5] 중앙에 평평한 바다가 있는 이 구조는 너비가 약 900km이며, 직경이 64km이고 속도가 15km/s인 소행성 크기의 물체의 충돌로 형성되었다. 다른 대부분의 달 분지와 비교하여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는 바다 현무암에 의한 범람이 적어 분지 구조의 많은 부분이 보인다. 오리엔탈레 분지의 중앙 부분에 있는 현무암의 두께는 아마도 1km 미만일 것이며, 이는 달의 지구 방향 측면에 있는 바다 분지보다 훨씬 얇다.[2] 충돌로 인해 달 표면에 파문이 생겨 세 개의 동심원형 특징이 생겼다. 이 거대한 다중 링 크레이터의 가장 안쪽 고리는 내부 및 외부의 로크 산(Montes Rook)이며, 가장 바깥쪽 고리는 직경이 930km인 코르디예라 산(Montes Cordillera)이다. 여기에서 바깥쪽으로 방출물은 산기슭에서 약 500km까지 뻗어 있으며, 혹과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정렬된 특징이 있는 거친 표면을 형성한다.[2]아폴로 계획은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에서 암석을 채취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나이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곳은 달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충돌 분지로, 약 38억 5천만 년 된 임브리움 바다(Mare Imbrium)보다 젊으며, 추정 연령은 약 37억~38억 년이다.[6] 주변 분지 물질은 하부 임브리안 기에 속하며, 바다 물질은 상부 임브리안 기에 속한다.[7][8]
이 분지를 생성한 충돌 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달의 임브리안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35°보다 가파른 거의 모든 경사가 평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9]
마레 마르기니스(Mare Marginis)는 대척점에 위치해 있다.
질량 집중(mascon), 즉 중력 고는 1968년 5대의 루나 오비터 계획(Lunar Orbiter) 우주선의 도플러 추적을 통해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중심에서 확인되었다.[10] 질량 집중은 루나 프로스펙터(Lunar Prospector) 및 중력 회수 및 내부 연구소(GRAIL)와 같은 후기 궤도선으로 더 높은 해상도로 확인되고 지도화되었다.
2. 2. 지질 구조
1960년대에 제라드 카이퍼가 달 및 행성 연구소에서 정류된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영상을 통해 이곳이 충돌구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중앙에 평평한 바다가 있는 이 구조는 너비가 약 900 km이며, 직경이 64 km이고 속도가 15 km/s인 소행성 크기의 물체의 충돌로 형성되었다.[2][3][4][5] 다른 대부분의 달 분지와 비교하여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는 바다 현무암에 의한 범람이 적어 분지 구조의 많은 부분이 보인다. 오리엔탈레 분지의 중앙 부분에 있는 현무암의 두께는 아마도 1 km 미만일 것이며, 이는 달의 지구 방향 측면에 있는 바다 분지보다 훨씬 얇다.[2] 충돌로 인해 달 표면에 파문이 생겨 세 개의 동심원형 특징이 생겼다. 이 거대한 다중 링 크레이터의 가장 안쪽 고리는 내부 및 외부의 로크 산이며, 가장 바깥쪽 고리는 직경이 930 km인 코르디예라 산이다. 여기에서 바깥쪽으로 방출물은 산기슭에서 약 500 km까지 뻗어 있으며, 혹과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정렬된 특징이 있는 거친 표면을 형성한다.[2]아폴로 계획은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에서 암석을 채취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나이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곳은 달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충돌 분지로, 약 38억 5천만 년 된 임브리움 바다보다 젊으며, 추정 연령은 약 37억~38억 년이다.[6] 주변 분지 물질은 하부 임브리안 기에 속하며, 바다 물질은 상부 임브리안 기에 속한다.[7][8]
이 분지를 생성한 충돌 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달의 임브리안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35°보다 가파른 거의 모든 경사가 평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9]
마레 마르기니스는 대척점에 위치해 있다.
질량 집중(mascon), 즉 중력 고는 1968년 5대의 루나 오비터 계획 우주선의 도플러 추적을 통해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중심에서 확인되었다.[10] 질량 집중은 루나 프로스펙터 및 중력 회수 및 내부 연구소와 같은 후기 궤도선으로 더 높은 해상도로 확인되고 지도화되었다.
2. 3. 연대
1960년대 제라드 카이퍼는 달 및 행성 연구소에서 정류된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영상을 통해 이곳이 충돌구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중앙에 평평한 바다가 있는 이 구조는 너비가 약 900 km이며, 직경 64 km, 속도 15 km/s인 소행성 크기의 물체의 충돌로 형성되었다.[2][3][4][5]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는 바다 현무암에 의한 범람이 적어 분지 구조의 많은 부분이 보인다. 현무암의 두께는 아마도 1 km 미만일 것이며, 이는 달의 지구 방향 측면에 있는 바다 분지보다 훨씬 얇다.[2]충돌로 인해 달 표면에 파문이 생겨 세 개의 동심원형 특징이 생겼다. 이 다중 링 크레이터의 가장 안쪽 고리는 내부 및 외부의 로크 산이며, 가장 바깥쪽 고리는 직경이 930 km인 코르디예라 산이다. 여기에서 바깥쪽으로 방출물은 산기슭에서 약 500 km까지 뻗어 있으며, 혹과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정렬된 특징이 있는 거친 표면을 형성한다.[2]
아폴로 계획에서 암석을 채취하지 않아 정확한 나이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곳은 달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충돌 분지로, 약 38억 5천만 년 된 임브리움 바다보다 젊으며, 추정 연령은 약 37억~38억 년이다.[6] 주변 분지 물질은 하부 임브리안 기에 속하며, 바다 물질은 상부 임브리안 기에 속한다.[7][8]
이 분지를 생성한 충돌 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달의 임브리안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35°보다 가파른 거의 모든 경사가 평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9]
마레 마르기니스는 대척점에 위치해 있다.
질량 집중(mascon), 즉 중력 고는 1968년 5대의 루나 오비터 계획 우주선의 도플러 추적을 통해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중심에서 확인되었다.[10] 질량 집중은 루나 프로스펙터 및 중력 회수 및 내부 연구소와 같은 후기 궤도선으로 더 높은 해상도로 확인되고 지도화되었다.
2. 4. 중력 특성
1960년대에 제라드 카이퍼는 달 및 행성 연구소에서 정류된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영상을 통해 이곳이 충돌구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중앙에 평평한 바다가 있는 이 구조는 너비가 약 900 km이며, 직경이 64 km이고 속도가 15 km/s인 소행성 크기의 물체의 충돌로 형성되었다.[2][3][4]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는 바다 현무암에 의한 범람이 적어 분지 구조의 많은 부분이 보인다.[2] 충돌로 인해 달 표면에 파문이 생겨 세 개의 동심원형 특징이 생겼다. 이 거대한 다중 링 크레이터의 가장 안쪽 고리는 내부 및 외부의 로크 산이며, 가장 바깥쪽 고리는 직경이 930 km인 코르디예라 산이다.[2]질량 집중(mascon), 즉 중력 고는 1968년 5대의 루나 오비터 계획 우주선의 도플러 추적을 통해 달의 바다 오리엔탈레의 중심에서 확인되었다.[10] 질량 집중은 루나 프로스펙터 및 중력 회수 및 내부 연구소와 같은 후기 궤도선으로 더 높은 해상도로 확인되고 지도화되었다.
3. 발견과 명칭
동해는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가장자리 서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거친 산맥인 로크 산맥과 코르디예라 산맥, 그리고 그 너머의 어두운 마레 물질의 일부만 볼 수 있다. 그러나 달의 리브레이션 현상으로 인해, 드물게 동해가 지구를 향해 약간 더 기울어져 더 잘 보이기도 한다.
여러 천문학자들이 동해의 존재를 암시하는 단서들을 관찰했지만, 1906년 독일 천문학자 율리우스 프란츠가 저술한 저서 《달》(Der Mond)에서 처음으로 자세히 묘사했다. 프란츠는 또한 이 마레의 이름을 "동해"라고 지었는데, 당시 관례상 지구에서 볼 때 달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달을 걷는 우주비행사의 시점에서는 서쪽에 해당한다. 1961년, 국제천문연맹은 달의 동서 방향에 대한 우주비행사적 관례를 채택했고, 이 가장자리는 서쪽 가장자리가 되었다.
동해에 대한 최초의 상세 연구는 휴 퍼시 윌킨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는 이곳을 "달 마레 X"라고 불렀다. 프란츠의 발견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패트릭 무어는 1976년판 그의 저서 《달 안내서》에서 그와 윌킨스가 1946년에 동해를 발견하고 이름을 붙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무어는 그의 《2009 천문학 연감》에서 프란츠를 발견자로 인정했다(133–135쪽).
3. 1. 초기 관측
동해는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가장자리 서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거친 산맥인 로크 산맥과 코르디예라 산맥, 그리고 그 너머의 어두운 마레 물질의 일부만 볼 수 있다. 그러나 달의 리브레이션 현상으로 인해, 드물게 동해가 지구를 향해 약간 더 기울어져 더 잘 보이기도 한다.여러 천문학자들이 동해의 존재를 암시하는 단서들을 관찰했지만, 1906년 독일 천문학자 율리우스 프란츠가 저술한 저서 《달》(Der Mond)에서 처음으로 자세히 묘사했다. 프란츠는 또한 이 마레의 이름을 "동해"라고 지었는데, 당시 관례상 지구에서 볼 때 달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달을 걷는 우주비행사의 시점에서는 서쪽에 해당한다. 1961년, 국제천문연맹은 달의 동서 방향에 대한 우주비행사적 관례를 채택했고, 이 가장자리는 서쪽 가장자리가 되었다.
동해에 대한 최초의 상세 연구는 휴 퍼시 윌킨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는 이곳을 "달 마레 X"라고 불렀다. 프란츠의 발견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패트릭 무어는 1976년판 그의 저서 《달 안내서》에서 그와 윌킨스가 1946년에 동해를 발견하고 이름을 붙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무어는 그의 《2009 천문학 연감》에서 프란츠를 발견자로 인정했다(133–135쪽).
3. 2. 명칭 유래
동해는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가장자리 서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거친 산맥인 로크 산맥과 코르디예라 산맥, 그리고 그 너머의 어두운 마레 물질의 일부만 볼 수 있다. 그러나 달의 리브레이션 현상으로 인해, 드물게 동해가 지구를 향해 약간 더 기울어져 더 잘 보이기도 한다.여러 천문학자들이 동해의 존재를 암시하는 단서들을 관찰했지만, 1906년 독일 천문학자 율리우스 프란츠가 저술한 저서 《달》(Der Mond)에서 처음으로 자세히 묘사했다. 프란츠는 또한 이 마레의 이름을 "동해"라고 지었는데, 당시 관례상 지구에서 볼 때 달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달을 걷는 우주비행사의 시점에서는 서쪽에 해당한다. 1961년, 국제천문연맹은 달의 동서 방향에 대한 우주비행사적 관례를 채택했고, 이 가장자리는 서쪽 가장자리가 되었다.
동해에 대한 최초의 상세 연구는 휴 퍼시 윌킨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는 이곳을 "달 마레 X"라고 불렀다. 프란츠의 발견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패트릭 무어는 1976년판 그의 저서 《달 안내서》에서 그와 윌킨스가 1946년에 동해를 발견하고 이름을 붙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무어는 그의 《2009 천문학 연감》에서 프란츠를 발견자로 인정했다.
3. 3. 현대의 명칭
동해는 지구에서 관측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가장자리 서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거친 산맥인 로크 산맥과 코르디예라 산맥, 그리고 그 너머의 어두운 마레 물질의 일부만 볼 수 있다. 그러나 달의 리브레이션 현상으로 인해, 드물게 동해가 지구를 향해 약간 더 기울어져 더 잘 보이기도 한다.여러 천문학자들이 동해의 존재를 암시하는 단서들을 관찰했지만, 1906년 독일 천문학자 율리우스 프란츠가 저술한 저서 《달》(Der Mond)에서 처음으로 자세히 묘사했다. 프란츠는 또한 이 마레의 이름을 "동해"라고 지었는데, 당시 관례상 지구에서 볼 때 달의 동쪽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달을 걷는 우주비행사의 시점에서는 서쪽에 해당한다. 1961년, 국제천문연맹은 달의 동서 방향에 대한 우주비행사적 관례를 채택했고, 이 가장자리는 서쪽 가장자리가 되었다.
동해에 대한 최초의 상세 연구는 휴 퍼시 윌킨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는 이곳을 "달 마레 X"라고 불렀다. 프란츠의 발견은 널리 알려지지 않았고, 패트릭 무어는 1976년판 그의 저서 《달 안내서》에서 그와 윌킨스가 1946년에 동해를 발견하고 이름을 붙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무어는 그의 《2009 천문학 연감》에서 프란츠를 발견자로 인정했다(133–135쪽).
4. 갤러리
4. 1. 지형도
wikitext4. 2. 중력 지도
GRAIL(Gravity Recovery and Interior Laboratory)을 기반으로 동쪽의 바다의 중력 지도를 만들었다.
4. 3. 알베도 모자이크
4. 4. 달 정찰 궤도선 사진
5. 한국과의 관계
5. 1. 다누리의 관측
5. 2. 한국의 달 탐사 계획
참조
[1]
GPN
3685
[2]
웹사이트
Lunar Orbiter: Impact Basin Geology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13-10-29
[3]
웹사이트
Mare Orientale
http://stardate.org/[...]
McDonald Observatory
2008-06-17
[4]
뉴스
Study sheds light on violent asteroid crash that caused mysterious 'crater rings' on the moon
https://theconversat[...]
2016-11-03
[5]
학술지
Formation of the Orientale lunar multiring basin
2016-10-28
[6]
학술지
Inconsistency between the Ancient Mars and Moon Impact Records of Megameter-scale Craters
2022-12-01
[7]
웹사이트
The Isabel Williamson Lunar Observing Program
http://www.rasc.ca/s[...]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2013-03-01
[8]
간행물
The geologic history of the Moon
https://pubs.er.usgs[...]
USGS
1987
[9]
학술지
The steepest slopes on the Moon from Lunar Orbiter Laser Altimeter (LOLA) Data: Spatial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with Geologic Features
2016-01-01
[10]
학술지
Mascons: Lunar Mass Concentrations
[11]
웹사이트
月の「3重リングクレーター」はわずか数分で形成か 月探査機グレイルが謎を解明
https://sorae.info/a[...]
2023-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