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도는 지구 표면의 특정 지점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한 요소로,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 또는 서쪽으로의 각도를 의미한다. 기원전 2세기 히파르코스에 의해 360°로 구분되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는 왜곡을 줄인 지도 제작 시스템을 개발했다. 18세기 존 해리슨의 크로노미터 개발로 해상에서의 경도 측정 기술이 발전했고, 19세기에는 전신과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경도 결정이 이루어졌다. 현대에는 GPS 등 위성 항법 시스템을 통해 정확하고 편리하게 경도를 측정한다. 경도는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 또는 서쪽으로 최대 180°까지의 값을 가지며, 경도 1도의 길이는 위도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각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각 - 등각 사상
등각 사상은 각도를 보존하는 사상으로, 2차원에서는 도함수가 0이 아닌 정칙 함수인 복소 함수가 해당되며, 3차원 이상에서는 상사 변환, 등거리 변환, 특수 등각 변환 등으로 분류되어 지도 제작, 항공우주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지도학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도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항법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항법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경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지구 표면에서 동서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리 좌표 |
각도 측정 |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이나 서쪽으로 측정되는 각도 |
범위 | 0°에서 동쪽으로 180° 또는 서쪽으로 180° |
표현 방법 | |
각도 표기 | 도 (°) 단위로 표현, 분과 초로 세분 가능 |
방향 표기 | 동쪽(E) 또는 서쪽(W) 방향으로 명시 |
예시 | 동경 127° (127°E), 서경 74° (74°W) |
역사적 배경 | |
초기 측정 | 고대부터 천문 관측을 통해 측정 시도 |
항해술 발달 | 항해술의 발달과 함께 중요성 증가 |
경도 측정의 어려움 | 위도 측정보다 어려웠음 |
측정 방법 | |
천문학적 방법 | 천체 관측을 통한 측정 |
시계를 이용한 방법 | 정확한 시계 발명 후 가능해짐 |
GPS를 이용한 방법 | 현재는 GPS를 통해 정확하게 측정 |
중요성 | |
항법 | 항해와 항공에서 필수적 |
지도 제작 | 정확한 지도 제작에 필수적 |
위치 정보 | 지리 정보 시스템(GIS)에서 중요한 요소 |
기타 | |
관련 용어 | 위도, 본초 자오선, 자오선 |
참고 | 지구의 자전에 의해 정의됨 |
2. 역사
경도 개념은 고대 그리스 시대에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히파르코스와 프톨레마이오스 등의 천문학자들이 경도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세 시대에는 이슬람과 힌두교 천문학자들이 경도 연구를 발전시켰다.[8][9][10]
대항해 시대에는 정확한 경도 측정이 항해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이었다. 여러 국가에서 경도 결정법 개발에 상금을 걸기도 했다. 18세기 존 해리슨은 흔들리는 선상, 기온 차가 심한 항해에서도 정확한 시간을 재는 크로노미터를 개발하여 경도 측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19세기 이후에는 전신, 무선 통신, GPS 등의 기술 발전으로 경도 측정이 더욱 정밀해졌다.
2. 1. 고대
히파르코스(기원전 2세기)는 구형 지구를 가정한 좌표계를 사용하여 경도를 오늘날과 같이 360°로 나누었다. 그의 본초 자오선은 알렉산드리아를 통과했다.[3] 그는 또한 두 곳에서 월식의 현지 시간을 비교하여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경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었다.[4]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2세기)는 왜곡을 줄이는 곡선 평행선을 사용하는 매핑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는 영국에서 중동에 이르기까지 많은 지역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든 경도 값이 양수가 되도록 카나리아 제도를 통과하는 본초 자오선을 사용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시스템은 훌륭했지만, 그가 사용한 데이터는 종종 부정확하여 지중해의 길이를 크게 과대평가(약 70%)했다.[5][6][7]2. 2. 중세
알-바타니는 두 번의 월식을 동시에 관측하여 안티오키아와 락까 사이의 경도 차이를 1° 미만의 오차로 결정했다. 이것은 당시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는 최선으로 간주된다.[11][12]후기 중세 시대에 여행이 증가하고 아랍 학문이 스페인과 북아프리카와의 접촉을 통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서구에서 지리에 대한 관심이 부활했다. 12세기에 톨레도의 알-자르칼리의 업적을 바탕으로 여러 유럽 도시에 대한 천문표가 작성되었다. 1178년 9월 12일의 월식은 톨레도, 마르세이유, 헤리퍼드 사이의 경도 차이를 확립하는 데 사용되었다.[13]
2. 3. 근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월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경도를 알아내려고 두 번 시도했다. 1494년 9월 14일 사오나 섬에서, 그리고 1504년 2월 29일 자메이카에서였다.[14] 그는 천문표를 참고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경도 측정값은 각각 13°와 38° W의 큰 오차를 보였다.[14] 1514년부터 1627년까지 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측정한 경도 오차는 2°에서 25°까지 다양했다.[15]17세기 초 망원경이 발명되어 처음에는 관측 장치로 사용되었으나, 이후 반세기 동안 발전을 거듭하여 정확한 측정 도구로 변모했다.[16][17] 1657년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진자 시계를 특허받았는데,[18] 이는 이전의 기계식 시계보다 약 30배의 정확도 향상을 가져왔다.[19] 망원경과 진자 시계, 이 두 가지 발명품은 관측 천문학과 지도 제작에 혁명을 일으켰다.[20]
2. 4. 현대
1714년 영국 의회는 경도법을 통과시켜 바다에서 경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존 해리슨은 크로노미터를 개발하여 경도 측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22] 네빌 매스켈린은 달 거리 측정법을 개발하여 항해력을 통해 경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했다.[23] 초기에는 크로노미터가 매우 비쌌고, 달 거리 측정에 필요한 계산은 여전히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서 1790년 이후에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5] 크로노미터는 관측과 계산 모두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었고, 19세기 초에 값이 저렴해짐에 따라 달 거리 측정법을 대체하기 시작하여 1850년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26]최초의 작동하는 전신은 1839년 영국에서 찰스 휘트스톤과 윌리엄 포더길 쿡에 의해, 1844년 미국에서는 새뮤얼 모스에 의해 설립되었다. 전신을 이용하여 경도 결정을 위한 시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는 사실이 곧 깨달아졌다.[27] 이 방법은 특히 북미에서, 그리고 대서양 횡단 케이블 완공으로 서유럽을 포함한 전신 네트워크가 확장됨에 따라 점점 더 먼 거리에서 경도 결정에 실제로 사용되었다. 미국 해안 측량국(이후 미국 해안 측지국으로 변경)은 이러한 발전에 특히 적극적이었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서인도 제도를 거쳐 일본과 중국에 이르기까지 지도에 표시된 지역의 사슬을 설립했다.[28][29]
선원들은 정확한 해도의 이점을 누렸지만, 항해 중에는 전신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항해에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이것은 20세기 초 무선 전신(라디오)이 등장하면서 바뀌었다.[30] 선박 사용을 위한 무선 시간 신호는 1907년부터 핼리팩스에서,[31] 1910년부터 파리 에펠탑에서 전송되었다.[32] 이 신호를 통해 항해사들은 크로노미터를 자주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었다.[33]
무선 항법 시스템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시스템은 모두 고정된 항법 신호기에서의 전송에 의존했다. 선박용 수신기는 이러한 전송을 통해 선박의 위치를 계산했다.[34] 이 시스템은 시정이 좋지 않아 천문 관측이 불가능할 때 정확한 항해를 가능하게 했으며, 1990년대 초 GPS로 대체될 때까지 상업용 선박의 확립된 방법이 되었다.
3. 경도 결정 방법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고대부터 여러 방법이 고안되었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더욱 정확하고 편리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전통적으로 경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특정 사건의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다른 위치의 시간과 비교해야 했다. 히파르코스는 두 곳에서 월식의 현지 시간을 비교하여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했다.[3] 알-바타니는 두 번의 월식을 동시에 관측하여 안티오키아와 락까 사이의 경도 차이를 1° 미만의 오차로 결정하기도 했다.[11][12]
17세기 초 망원경과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의 진자시계 발명은 정확한 시간 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관측 천문학과 지도 제작에 혁명을 일으켰다.[16][17][18][19][20]
18세기 중반, 여러 유럽 해양 강국들은 바다에서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상금을 제시했다. 1714년 영국 의회에서 통과된 경도 법(Longitude Act)이 대표적이다.[22] 이 법에 따라 달 거리 측정법을 개발한 토비아스 마이어와 크로노미터를 개발한 존 해리슨이 보상을 받았다. 초기에는 크로노미터가 매우 비쌌고, 달 거리 측정 계산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렸기 때문에 1790년 이후에 달 거리 측정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5] 19세기 초, 크로노미터는 관측과 계산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해짐에 따라 달 거리 측정법을 대체하여 1850년 이후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26]
19세기에는 전신(Telegraphy)의 발명으로 시간 신호를 전송하여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이 등장했다.[27] 미국 해안 측량국은 미국,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서인도 제도, 일본, 중국에 이르기까지 지도에 표시된 지역의 사슬을 설립하여 정확한 지도 제작에 기여했다.(1874년~1890년)[28][29]
20세기 초에는 무선 전신(라디오)이 등장하면서 선박에서도 시간 신호를 수신하여 경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30] 1907년부터 선박용 무선 시간 신호가 전송되기 시작하였고, 항해사들은 이 신호를 통해 크로노미터를 자주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었다.[31][32][3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무선 항법 시스템이 보편화되었다. 이 시스템은 고정된 항법 신호기에서의 전송에 의존했으며, 선박용 수신기는 이러한 전송을 통해 선박의 위치를 계산했다.[34] 1990년대 초 GPS로 대체될 때까지 상업용 선박의 확립된 방법이 되었다.
3. 1. 전통적인 방법
경도를 결정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방법들은 자기 편차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외하면 모두 공통된 원리를 따른다. 즉, 어떤 사건이나 측정에 대한 시간을 확인하고, 이를 다른 위치의 시간과 비교하는 것이다. 본초 자오선으로부터 동쪽이나 서쪽으로 최대 180°까지인 경도는 수학적으로 최대 12시간의 시간 차이와 15의 비율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두 지점 사이의 시간 차이(시간 단위)에 15를 곱하면 경도 차이(도 단위)를 얻을 수 있다.[35]역사적으로 경도 계산에는 시태양시, 평균항성시, 역서시가 사용되었으며, 평균시가 해상 항해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 달거리 및 달 상중: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달은 별을 기준으로 시간당 약 0.5°씩 움직인다. 육분의를 사용하여 달의 가장자리와 적절한 별, 행성 또는 태양 사이의 각거리를 측정하고, 역서 표를 참조하여 기준 자오선(일반적으로 그리니치)에서의 평균시를 계산할 수 있다. 상중의 경우, 관측자는 시간을 기록하고 굴절 등의 오차를 보정한 후 역서의 기준 시간과 비교한다. 이 방법은 1786년경 내덜니얼 피곳에 의해 확립되었다.[35] 해상 연감은 1767년 영국에서 처음 발간되었고, 미국 역서 및 해상 연감은 1852년부터 발간되었다.
- 목성의 위성: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목성 위성의 궤도를 정확히 알 수 있다면, 위성들의 위치를 통해 절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 방법은 망원경이 필요하며, 역서 표를 사용하여 기준 자오선과 비교한다.
- 접근, 엄폐, 통과, 식: 접근은 두 천체(달, 별, 행성) 사이의 가장 가까운 거리를 의미하며, 엄폐는 별이나 행성이 달 뒤로 지나가는 현상으로, 일종의 식이다. 달의 식은 계속 사용되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시간을 기준 자오선의 시간과 비교한다. 주요 천문대는 천이 원 또는 자오선 원을 사용하여 자국의 매우 정확한 경도를 설정하고, 종종 기기의 경도에 자신의 본초 자오선을 설정했다.[36]
- 항해용 크로노미터 사용: 경도를 알고 있는 출발 지점의 현지 시간으로 시계를 설정하고, 다른 장소의 평균항성시를 시계 시간과 비교하여 경도를 결정한다. 항해용 크로노미터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크고 비쌌다. 석영 크리스털 이전에는 온도 변화와 진동으로 인해 시간 오차가 발생하기 쉬웠다.
- 신호: 18세기와 19세기에 로켓과 불빛이 가끔 사용되었지만, 짧은 거리와 시범을 제외하고는 실용적이지 않았다.[35] 이것은 시간 동기화와 경도 설정의 기본적인 형태였다. "볼 드롭" 신호는 19세기에 미국 해군과 영국 해군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수역 근처의 천문대에서 탑에서 공을 떨어뜨려 배에 정확한 시간을 알려주어, 바다에서 안정적인 경도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했다.[37]
- 전신을 이용한 경도 결정: 미국의 천문학자 시어스 쿡 워커가 처음 제안했으며, 미국 해안 측량은 1849년부터 이를 배치하기 시작했다.[35] 유럽도 빠르게 뒤따랐다. 미국 서부가 정착되면서 전신을 사용하여 여러 지점 사이의 시간과 경도 차이를 결정함으로써 지도 제작과 측량이 크게 개선되었다. 대서양 횡단 전신 케이블 설치도 조정된 세계 지도 제작과 항해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 자기 편차: 나침반 바늘은 일반적으로 진북을 가리키지 않는다. 진북으로부터의 편차는 위치에 따라 다르며, 이를 경도 결정의 기초로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자기 편차를 제외한 모든 방법은 실용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육지와 바다에서의 발전은 매우 달랐다.
16세기 이후 대양 항해가 활발해지면서, 항해 중 자신의 배 위치를 아는 것은 안전에 중요했다. 위도는 태양의 고도 등으로 비교적 알기 쉬웠지만, 경도는 기준 경도의 도시 시간을 정확하게 표시하는 시계가 없었던 시대에는 매우 어려웠다. 많은 국가에서 해상 경도 결정법 개발에 현상금을 걸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목성의 위성 이오의 식(蝕) 주기를 자연의 시계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토비아스 마이어는 월 운행표를 작성했는데, 원래는 지상 지도 작성을 위해 작성되었지만, 해상 경도 결정법으로 상금을 받았다.
18세기 존 해리슨의 크로노미터 개발에 관한 이야기는 데바 소벨의 『경도를 찾아서』(Longitude)에 묘사되어 있다.
3. 2. 현대적인 방법
항해용 크로노미터는 출발 지점의 시간을 기준으로, 다른 장소의 평균항성시와 비교하여 경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35] 항해용 크로노미터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지만, 크기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들었다. 석영 크리스털이 개발되기 전에는 온도 변화와 진동으로 인해 시간 오차가 발생하기 쉬웠다.전신을 이용한 경도 결정은 미국의 천문학자 시어스 쿡 워커가 처음 제안했으며, 미국 해안 측량은 1849년부터 이를 도입하기 시작했다.[35] 유럽도 빠르게 이 방법을 따랐다. 미국 서부 정착 과정에서 전신은 여러 지점 간의 시간 및 경도 차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어 지도 제작과 측량을 크게 개선했다. 대서양 횡단 전신 케이블 설치는 조정된 세계 지도 제작과 항해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자기 편차는 나침반 바늘이 진북과 이루는 각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경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확도가 낮아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무선 항법, 위성 항법, 관성 항법 시스템은 현대적인 항해 및 위치 측정 기술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정된 항법 신호기나 인공위성, 관성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이나 항공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이를 통해 경도를 결정한다.
4. 경도의 값
경도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0°이며, 서쪽으로 −180°에서 동쪽으로 +180°까지의 범위를 갖는다.[38][39] 경도는 60개의 분으로 세분되며, 각 분은 다시 60개의 초로 나뉜다. 따라서 경도는 23° 27′ 30″ E 와 같이 60진법 표기로 나타낸다. 더 높은 정밀도를 위해서는 초를 소수로 표현하며, 23° 27.5′ E 와 같이 도와 분의 일부를 소수로 나타내거나, 23.45833° E 와 같이 도를 소수로 표현할 수 있다.
계산 시에는 서쪽/동쪽 접미사 대신 서반구에서 음수를 사용한다. 동쪽을 양수로 표시하는 것은 국제 표준 규약(ISO 6709)이며, 이는 북극이 위쪽인 오른손 직교 좌표계와 일치한다. 특정 경도는 특정 위도(북반구에서 양수)와 결합하여 지구 표면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낸다.
본초자오선보다 동쪽은 '''동경''', 서쪽은 '''서경'''이라고 하며, 각각 180도까지이다. 동경에는 + (플러스), 서경에는 - (마이너스)를 붙여 표시하기도 한다. 1도보다 세밀한 경도는 1도 = 60분 = 3600초로 나누어 표현한다 (0.1도는 6분).
5. 경도 1도의 길이
경도 1도의 길이(동서 거리)는 위도 원의 반지름에만 의존한다. 반지름이 a인 구에서 위도 φ의 반지름은 a cos φ이며, 위도 원을 따라 1도(또는 π/180 라디안)의 호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
위도 (φ) | 경도 1도의 길이 |
---|---|
0° | 111.32km |
15° | 107.551km |
30° | 96.486km |
45° | 78.847km |
60° | 55.8km |
75° | 28.902km |
90° | 0km |
WGS84 타원체에서, cos φ는 적도에서 1, 극에서 0으로 감소하며, 이는 위도원이 적도에서 극의 한 점으로 수축하는 정도를 측정한 것이다. 따라서 경도 1도의 길이도 마찬가지로 감소한다. WGS84 타원체에서 적도에서 경도 1도의 길이는 약 111.32km이다.[41][42]
지리적 마일은 적도를 따라 1분(적도 경도 1분)의 길이로 정의된다. 따라서 적도를 따라 경도 1도는 정확히 60지리적 마일 또는 111.3km이다(1도에 60분이 있기 때문). 적도를 따라 경도 1분의 길이는 1지리적 마일 또는 1.855km이고, 1초의 길이는 0.016지리적 마일 또는 30.916m이다.
위선을 따라 측정한 길이(평행권 호장) 는 그 시점과 종점의 경도 차 에 비례한다.[43] 그 비례 계수는 지리위도 에 의존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및 는 각각 지구타원체의 적도 반지름(장반축) 및 이심률이다. 위선 둘레의 경우 가 되고, 경도 1초에 해당하는 길이의 경우 가 된다.
GRS 80을 채택한 경우, 경도 1초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위도 | 경도 1초의 길이 |
---|---|
0°(적도) | 30.922m |
15° | 29.875m |
24° | 28.264m |
25° | 28.042m |
26° | 27.81m |
27° | 27.571m |
28° | 27.323m |
29° | 27.066m |
30° | 26.802m |
31° | 26.529m |
32° | 26.248m |
33° | 25.959m |
34° | 25.662m |
35° | 25.358m |
35° 39′ 29″ 1572(일본경위도원점) | 25.153128762m |
36° | 25.045m |
37° | 24.725m |
38° | 24.398m |
39° | 24.063m |
40° | 23.721m |
41° | 23.371m |
42° | 23.014m |
43° | 22.65m |
44° | 22.279m |
45° | 21.902m |
46° | 21.518m |
60° | 15.5m |
75° | 8.028m |
90°(극점) | 0m |
6. 한반도의 경도
대한민국 한반도는 동경 124도(용천군 비단도 또는 마안도)에서 동경 132도(독도) 사이에 걸쳐 있다.[1] 독도는 동경 131도 52분에 위치하여 대한민국의 최동단이다.[1]
7. 각 경도의 주요 도시
각 경도에 위치한 주요 도시들은 각 대륙의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1]
- 동경 120~180도: 마닐라(필리핀, 동경 121도), 아카시(일본, 동경 135도) (일본 표준시의 기준), 캔버라(오스트레일리아, 동경 149도), 웰링턴(뉴질랜드, 동경 175도)
- 서경 60~120도: Washington, D.C.|워싱턴 D.C.영어 (미국, 서경 77도), 시카고 (미국, 서경 87도), 덴버 (미국, 서경 105도), 로스앤젤레스 (미국, 서경 118도)
- 서경 120~180도: 호놀룰루 (미국, 서경 157도), 누쿠알로파 (통가, 서경 175도)
7. 1. 동경 0~60도
7. 2. 동경 60~120도
7. 3. 동경 120~180도
마닐라(필리핀, 동경 121도)[1], 아카시(일본, 동경 135도)[1] (일본 표준시의 기준), 캔버라(오스트레일리아, 동경 149도)[1], 웰링턴(뉴질랜드, 동경 175도)[1]7. 4. 서경 0~60도
7. 5. 서경 60~120도
7. 6. 서경 120~180도
8. 천문 경도와 지리 경도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해당 지점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천문 측량을 통해 경도 기준점과 측정 지점 바로 위의 적경을 동시에 측정하거나, 같은 별의 남중 시각의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예부터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력은 지하 구조의 영향을 약간 받기 때문에, 수직선이 정확하게 지축을 향하는 것은 아니며, 지축을 기준으로 한 “경도”와는 각도로 수 초~수십 초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그 차이는 장소에 따라 복잡하게 다르다. 천문 측량으로 구할 수 있는 경도를 '''천문 경도''', 지축을 기준으로 한 경도를 '''지리 경도'''(또는 '''측지 경도''')라고 한다. 지상 측량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한 경도를 측지 경도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현재는 GPS 등 전 지구적 위치 측정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지축 기준의 경도를 알 수 있지만, 19세기~20세기에 구축된 측량 체계는 천문 측량과 지상 측량에 기반한 것이다. 메이지 시대에 제정된 일본 측지계의 경위도 오차가 컸던 것은 일본 부근의 중력 구조의 복잡성이 큰 요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LONGITUD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2018-03-14
[2]
간행물
Oxford English Dictionary
[3]
논문
Hipparchus : a critical edition of the extant material for his life and works
https://ethos.bl.uk/[...]
Birkbeck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1953
[4]
서적
The Science of Time
Springer International
2016
[5]
서적
Ptolemy in Perspective: Use and Criticism of his Work from Antiquity to the Nine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Springer
2010
[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eography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879
[7]
학술지
The Error in Longitude in Ptolemy's Geography Revisited
2016
[8]
서적
The geographical lore of the time of the Crusades: A study in the history of medieval science and tradition in Western Europe
https://archive.org/[...]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1925
[9]
서적
Ptolemy in Perspective
https://authors.libr[...]
Springer
2010
[10]
서적
The History of Cartography Vol. 2 Cartography in the Traditional Islamic and South Asian Socie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11]
학술지
Solar and Lunar Eclipse Measurements by Medieval Muslim Astronomers, II: Observations
1997
[12]
논문
Observations and predictions of eclipse times by astronomers in the pre-telescopic period
University of Durham (United Kingdom)
1998
[13]
학술지
Notes on the Knowledge of Latitudes and Longitudes in the Middle Ages
https://archive.org/[...]
1923
[14]
학술지
Columbus's Method of Determining Longitude: An Analytical View
1996
[15]
학술지
Portuguese and Spanish attempts to measure longitude in the 16th century
1985
[16]
서적
A history of astronomy
https://archive.org/[...]
Courier Corporation
1989
[17]
학술지
The Telescope in the Seventeenth Century
1974
[18]
학회
Huygens and the advancement of time measurements
ESA Publications Division
2004
[19]
학술지
Friction and Dynamics of Verge and Foliot: How the Invention of the Pendulum Made Clocks Much More Accurate
2020
[20]
학술지
The Voyage of Jean Richer to Acadia in 1670: A Study in the Relations of Science and Navigation under Colbert
1960
[21]
학술지
Observations on the Eclipse of the Moon, June 18, 1722. and the Longitude of Port Royal in Jamaica; The Longitude of Buenos Aires, Determin'd from an Observation Made There by Père Feuillée; Extract of a letter from the Honble Edward Legge, Esq; F. R. S. Captain of his Majesty's ship the Severn, containing an observation of the eclipse of the moon, Dec. 21. 1740. at the Island of St. Catharine on the Coast of Brasil
https://archive.org/[...]
1722
[22]
학술지
Law and Longitude
2009
[23]
학술지
Tobias Mayer's lunar tables
[24]
웹사이트
There was no such thing as the Longitude Prize
https://www.rmg.co.u[...]
2012-03-07
[25]
서적
Navigational Enterprises in Europe and its Empires, 1730-1850
Palgrave Macmillan UK
[26]
학술지
The Decline of the Lunar Distanc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Time and Longitude at
https://archive.org/[...]
1909
[27]
학술지
Report on the experience of the Coast Survey in regard to telegraph operations, for determination of longitude &c.
https://archive.org/[...]
1850
[28]
학술지
Precise Determination of Longitude in the United States
1957
[29]
서적
Telegraphic Determination of Longitudes in Japan, China, and the East Indies: Embracing the Meridians of Yokohama, Nagasaki, Wladiwostok, Shanghai, Amoy, Hong-Kong, Manila, Cape St. James, Singapore, Batavia, and Madras, with the Latitude of the Several Stations
https://archive.org/[...]
US Hydrographic Office
1883
[30]
학술지
Time-Signals by Wireless Telegraphy
https://zenodo.org/r[...]
[31]
학술지
Wireless Time Signals from the St. John Observatory of the Canadian Meteorological Service.
https://archive.org/[...]
1908
[32]
학술지
International Time and Weather Radio-Telegraphic Signals
[33]
웹사이트
The first wireless time signals to ships at sea
https://www.antiquew[...]
Antique Wireless Association
[34]
학술지
An introduction to Loran
1946
[35]
백과사전
[36]
백과사전
Transit Circle
[37]
웹사이트
How Time Balls Work
https://prancer.phys[...]
[38]
웹사이트
Coordinate Conversion
https://web.archive.[...]
2018-03-14
[39]
논문
Map Projections, A Working Manual
https://pubs.er.usgs[...]
USGS
[40]
웹사이트
NOAA ESRL Sunrise/Sunset Calculator
https://www.esrl.noa[...]
2019-10-18
[41]
서적
The Mercator Projections: The Normal and Transverse Mercator Projections on the Sphere and the Ellipsoid with Full Derivations of all Formulae
https://web.archive.[...]
2016-01-24
[42]
서적
Geometric Geodesy Part I
Department of Geodetic Science and Surveying, Ohio State University
1991-04-01
[43]
간행물
理科年表
(2014年版、2013年11月30日発行)
2013-11-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