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코오소리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돼지코오소리속은 오소리과에 속하는 속으로, 이전에는 돼지코오소리 한 종만을 포함했지만, 2009년 연구를 통해 3개의 종으로 분류되었다. 돼지코오소리속에는 히말라야산맥 동부에 서식하는 돼지코오소리, 중국 남부에서 산시성까지 분포하는 북부돼지코오소리, 수마트라섬에 서식하는 수마트라돼지코오소리가 있다. 국제자연보전연맹은 돼지코오소리를 취약종으로, 북부돼지코오소리와 수마트라돼지코오소리를 최소관심종으로 분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소리아과 - 오소리속
오소리속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몸길이 52~90cm, 몸무게 10~16kg 정도의 잡식성 포유류로, 유라시아 대륙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숲에 굴을 파고 생활하고 유럽오소리, 아시아오소리, 일본오소리, 코카서스오소리 등이 속해 있고 과거 털이 붓이나 카펫 원료,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나 서식지 파괴와 부정적 관계로 보호 필요성이 제기된다. - 오소리아과 - 일본오소리
일본오소리는 혼슈, 시코쿠, 규슈 등 일본 지역에 서식하며 유럽오소리보다 작고 아시아오소리와 비슷하거나 약간 크며, 다양한 삼림 서식지에서 잡식성으로 생활하지만 서식지 축소 등으로 위협받고 무지나라는 요괴로도 알려져 있다.
돼지코오소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돼지코오소리속 | |
![]()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족제비과 |
아과 | 오소리아과 |
속 | 돼지코오소리속 (Arctonyx) |
속 명명 | Cuvier, 1825 |
모식종 | Arctonyx collaris |
모식종 명명 | Cuvier, 1825 |
하위 | 본문 참조 |
이명 | 해당 없음 |
![]() | |
하위 종 |
2. 분류학
이전에는 돼지코오소리 한 종만을 포함하는 단형 속으로 간주했지만, 2009년 연구에서 3개의 별개 종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1]
3. 하위 종
3. 1. 돼지코오소리 (''Arctonyx collaris'')
히말라야산맥 동부 지역에 서식한다.[2]
3. 2. 북부돼지코오소리 (''Arctonyx albogularis'')
중국 남부부터 북쪽으로 산시성까지의 지역에 분포한다.[2]
3. 3. 수마트라돼지코오소리 (''Arctonyx hoevenii'')
수마트라섬에 서식한다.[2]
4. 보존 상태
국제자연보전연맹은 돼지코오소리속의 세 종, 큰돼지코오소리(''A. collaris''), 북부돼지코오소리(''A. albogularis''), 수마트라돼지코오소리(''A. hoevenii'')의 보존 상태를 평가했다. 큰돼지코오소리는 취약종으로, 나머지 두 종은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3][4]
4. 1. 돼지코오소리 (''Arctonyx collaris'')
국제자연보전연맹은 돼지코오소리(''Arctonyx collaris'')를 취약종으로 분류한다.[3][4]4. 2. 북부돼지코오소리 (''Arctonyx albogularis'')
국제자연보전연맹은 북부돼지코오소리(''Arctonyx albogularis'')를 최소관심종으로 분류한다.[3][4]4. 3. 수마트라돼지코오소리 (''Arctonyx hoevenii'')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수마트라돼지코오소리(''A. hoevenii'')를 최소관심종으로 분류한다.[3][4]참조
[1]
논문
The hog-badger is not an edentate: systematics and evolution of the genus ''Arctonyx'' (Mammalia: Mustelidae)
2008
[2]
서적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http://www.archive.o[...]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London
1966
[3]
간행물
''Arctonyx albogularis''
2019-12-16
[4]
간행물
''Arctonyx hoevenii''
2019-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