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구얼쑤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구얼쑤룽은 청나라 귀족 데므치그돈로브의 아들로, 몽골군 정부와 몽골연합자치정부에서 활동했다. 1939년 몽강연합자치정부 총리에 임명되어 실권을 행사했으며, 1945년 몽강국 멸망 이후 전범 재판에서 석방되었다. 이후 몽골과 중국 사이에서 방황하다가 1952년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총살되었다. 사후에는 명예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일제 부역자 - 가르마인 우르진
    가르마인 우르진은 러시아 내전 이후 만주국 군에서 복무하며 흥안 북성 경비군 사령관, 제10군관구 사령관을 역임하고 노몬한 사건에 참전한 부랴트족 출신 군인이다.
  • 몽골의 일제 부역자 - 데므치그돈로브
    데므치그돈로브는 청나라 시대에 태어나 몽골 자치 운동에 관여했으며, 일본과 협력하여 내몽골 자치를 추진하고 몽골군정부 및 몽강 연합 자치 정부의 수뇌를 역임하다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직전 몽골로 망명하여 체포된 몽골의 정치인이다.
  • 총리 -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는 로앙고 군주국의 귀족으로, 총수상을 거쳐 콩고 왕국으로부터 군왕 보위를 선위받아 제17대 로앙고 군주국 군왕이 되었으며, 그의 즉위로 로앙고 군주국 군왕 보위는 그의 직계 후손에게 세습되었다.
  • 총리 - 수상
    수상은 국가의 행정부 수반으로서 정치 체제에 따라 지위와 권한이 다르며,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다수당 당수가 되어 행정부를 이끌지만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의 역할로 인해 권한이 축소될 수 있고, "총리", "국무총리", "수석장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 몽골의 정치인 - 복드 칸
    복드 칸은 몽골의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로, 1911년 몽골 독립 후 칸으로 추대되어 1924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으며 그의 사후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몽골의 정치인 - 이태준 (1883년)
    이태준은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의사이자 독립운동가로, 세브란스 의학교 졸업 후 몽골에서 의료 활동을 펼치며 독립운동 자금 지원에 헌신하여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두구얼쑤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명都固爾蘇隆
본관소조정 보르지긴씨
출생지네이멍구 자치구 차하르 지방 시린궈러 맹 쑤니터 우기
사망지인민공화국 울란 바토르 국제 인민 형무소
출생일1917년 6월 1일
사망일1952년 2월 29일
직책
직책몽강국 내무행정장관
임기1937년 5월 12일 ~ 1939년 5월 12일
직책2몽강국 총리
대통령더왕 데므치그돈로브
부주석2리서우신
주석2더왕 데므치그돈로브
임기21939년 5월 12일 ~ 1945년 8월 15일
경력
경력前 청나라 몽골족 덕왕부 사손
前 몽골 인민협상위원회 참의원
前 중국공산당 내몽골 인민위원회 참의원
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
개인 정보
종교불교
정당무소속
아버지더왕 데므치그돈로브(德王 德穆楚克棟魯普)
생모보르지기트 써부지더마(博爾濟吉特 色布吉德瑪)
계모구왈기야 어런친차오(瓜爾佳 額仁欽朝)
친조부패아지근 나목제륵왕초극(孛兒只斤 那木濟勒旺楚克)
친조모엽혁나랍 색체나목조(葉赫那拉 索達那木朝)
배우자보르지기트 얼지미더거(博爾濟吉特 爾吉米德格)
자녀슬하 1남 1녀
기타
몽골어 표기}}

2. 직계 가계 배경

아버지는 청나라 귀족 덕왕 데므치그돈로브(德王 德穆楚克棟魯普)이다. 친조부 패아지근 나목제륵왕초극(孛兒只斤 那木濟勒旺楚克)과 친조모 엽혁나랍 색체나목조(葉赫那拉 索達那木朝)는 1906년 청 광서제(淸 光緖帝)에게 면사금패(免死金佩)를 받았던 네이멍구 자치구 덕왕부(德王府)의 은덕 귀족이었다.

3. 생애

아버지 데므치그돈로브를 따라 젊은 시절부터 정치 활동에 참여했다. 1936년 몽골군 정부 수립 이후 실무를 맡았으며, 1939년 아버지가 몽강연합자치정부의 국가주석이 되자 총리로 임명되어 1944년까지 실권을 행사했다. 1945년 몽강연합자치정부가 멸망한 후 전범 재판에 회부되었으나 석방되었다. 이후 몽골 인민 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서 활동하다가 1950년 마오쩌둥의 암살 위협을 피해 몽골로 망명했으나, 변절 혐의로 체포되어 1952년 울란바토르에서 처형되었다.

3. 1. 몽골군 정부 및 몽골연합자치정부 참여 (청년 시절)

그는 아버지 데므치그돈로브1936년 몽골군 정부(蒙古軍 政府)를 수립하여 몽골군 정부 총수반으로 취임하자 몽골군 정부 실무반 영수로 참여하였다. 이듬해 1937년 아버지 데므치그돈로브가 몽골군 정부를 몽골연합자치정부(蒙古聯盟自治政府)로 재수립하여 몽골연합자치정부 총통으로 취임하자 몽골연합자치정부 행정실무반 영수로 참여하였다.

3. 2. 몽강연합자치정부 총리 시절

1939년 아버지 데므치그돈로브가 몽골연합자치정부를 몽강연합자치정부로 개편하고 국가주석에 취임하였다. 이때 리서우신 장군이 국가부주석에 임명되었고, 두구얼쑤룽은 몽강연합자치정부 총리로 임명되었다.

총리 임명 초기인 1940년부터 1941년까지는 국가부주석 리서우신이 아버지 데므치그돈로브 주석을 보좌하며 실권을 행사했다. 이후 두구얼쑤룽은 1941년부터 1944년까지 3년간 아버지 데므치그돈로브 주석을 보좌하며 총리로서 몽강연합자치정부의 실권을 담당했다.

1942년에는 11세 연하인 보르지기트 얼지미더거(博爾濟吉特 爾吉米德格)와 결혼하여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3. 3. 몽강국 멸망 이후

1945년 몽강국 멸망 이후 전범재판에 기소되었다가 석방되었다.

3. 4. 몽골과 중공 사이에서의 방황과 죽음

몽골 인민 공화국 인민협상위원회 참의원과 중국 공산당 내몽골 인민위원회 참의원을 거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을 지냈다.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으로 활동하던 1950년, 같은 전국위원이던 아버지 데므치그돈로의 뜻과 다른 행보를 보였다. 그 해, 마오쩌둥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원수가 자신을 암살하려 한다는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고 베이징을 탈출했다. 그는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로 도피했지만, 당시 몽골 대통령 곤치긴 붐첸드에게 현행 변절범으로 체포되었다. 이후 울란바토르 인민종인부에서 2년간 연금되었다가 1952년 몽골 울란바토르 국제인민형무소 사형장에서 총살형으로 생을 마감했다.

4. 사후

마오쩌둥이 두구얼쑤룽을 암살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 있었다. 이 암살 시도 계획은 1967년 3월 24일, 당시 중공 국가주석이었던 류사오치, 총리 저우언라이, 그리고 전 국가주석 마오쩌둥에 의해 비밀리에 공개되었다.

이후 문화 대혁명이 진행 중이던 시기, 당시 부총리였던 린뱌오의 건의가 받아들여져 같은 해 1967년 5월 20일, 두구얼쑤룽은 사망한 지 15년 만에 명예가 회복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