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상은 행정부의 수반을 의미하며, 국가의 정치 체제와 역사적 배경에 따라 지위와 권한이 다르다.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의회 다수파의 지지를 받아 행정부를 이끌며,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을 보좌하거나 대통령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업무를 수행한다. 각국의 헌법은 총리의 권한, 기능, 임명 및 해임 절차를 규정하며, '총리', '수상', '수석 장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총리직은 입헌군주국과 공화국에서 모두 존재하며, 정치 제도 유형에 따라 총리의 역할과 권한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리 -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
응강게 음붐베 니암비는 로앙고 군주국의 귀족으로, 총수상을 거쳐 콩고 왕국으로부터 군왕 보위를 선위받아 제17대 로앙고 군주국 군왕이 되었으며, 그의 즉위로 로앙고 군주국 군왕 보위는 그의 직계 후손에게 세습되었다. - 총리 - 내각 수상
내각 수상은 각료회의를 이끄는 직책으로, 정부 수반 또는 행정부 수반으로서 내각 구성, 정책 결정, 국가 대표의 역할을 수행하며, 여러 국가와 유럽 연합, 러시아-벨라루스 연합국 등 초국가적 기구에서 총리 또는 이와 유사한 직책으로 사용된다. - 17세기 신조어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7세기 신조어 - 상비군
상비군은 정규 급여를 받는 전문 군대로, 고대 아시리아에서 처음 창설되었으며, 스파르타, 진나라, 마우리아 제국, 로마 제국 등에서 운용되었고, 오스만 제국의 예니체리, 프랑스의 콩파니 돌드르낭스, 스페인의 테르시오, 영국의 뉴 모델 군 등이 대표적이지만, 높은 전문성과 즉각 대응 능력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유지비용이 든다.
수상 | |
---|---|
지도 | |
직책 개요 | |
직책 종류 | 정부수반 |
역할 | 내각의 수장 및 정부의 수반 |
명칭 | |
영어 | Prime minister |
러시아어 | Председатель Правительства |
중국어 | 国务院总理 |
권한 및 책임 | |
내각 구성 | 각료를 임명하고 내각을 구성한다. |
정부 정책 결정 | 주요 정부 정책을 결정하고 추진한다. |
의회와의 관계 | 의회에 대한 책임을 지며, 의회와 협력한다. |
국가 대표 | 대외적으로 국가를 대표한다. |
역사 | |
기원 | 의원내각제의 발달과 함께 시작되었다. |
발전 | 군주제에서 점차 정부 수반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
기타 | |
관련 직책 | 총리 수상 내각총리대신 국무총리 수석 장관 행정 장관 |
2. 지위 및 권한
수상은 국가 원수와는 별개로 정부 수반의 역할을 수행하며, 그 지위와 권한은 국가의 정치 체제에 따라 다양하다.[25]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수상이 행정부의 수반으로서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반면,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이 행정부 수반의 역할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다. 이원집정부제 국가에서는 대통령과 수상이 권한을 분담한다.
수상의 임명 방식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의회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군주나 대통령 등의 국가 원수가 임명권을 가지는 경우가 많지만, 의회의 지명이나 승인을 거치는 절차가 일반적이다.[25] 수상 임명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있다.
- 국가 원수가 직접 임명: 프랑스
- 국가 원수가 임명 후 신임 투표: 이탈리아, 루마니아, 태국
- 조각가(formateur) 임명 후 의회 신임: 이스라엘
- 다수당 대표를 국가 원수가 임명: 그리스
- 국가 원수 지명 후 의회 승인: 스페인, 독일
- 의회 지명 후 국가 원수 임명: 아일랜드, 일본
- 입법부 선출: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 국민 투표: 1996~2001년 이스라엘
- 국가 원수 외 공무원 지명: 스웨덴
국가 원수와 수상의 관계는 국가 원수가 내각의 일원인지, 내각회의를 주재하는지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의원내각제에서는 국가 원수가 명목상의 지위에 머무르고, 수상이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행사한다.
집정권 및 의회 해산권 행사 방식은 국가별로 상이하며, 대체로 입법부의 승인 절차를 필요로 한다.[25]
2. 1. 행정부 수반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행정부 수반은 수상이며, 다수당의 당수가 이 직책을 맡는다. 수상은 내각회의를 주재하고 행정부를 이끈다.[25] 이원집정부제 국가에서는 대통령이 내각회의를 주재하는 경우가 많아,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수상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25]수상의 임명권자는 보통 국가 원수인 군주나 대통령이다. 대통령제 국가나 군주권이 강한 나라에서는 국가 원수가 직접 수상을 임명하는 경우가 많다.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상을 임명한다.
어떤 경우든 의회의 신임을 얻지 못하면 수상직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의회가 수상을 지명하는 것과 같다.
"수상", "총리", "수석장관" 등은 의미가 동일하거나 "총리"로 번역되는 다른 명칭들이다. 인도네시아와 나이지리아는 1966년에 총리직을 상실했고, 브라질, 이란, 필리핀, 터키 또한 총리직을 상실했다. 칠레, 멕시코, 스위스, 미국은 총리직을 가진 적이 없다.
대통령제와 준대통령제 국가에서는 총리가 대통령을 보좌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의회의 승인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프랑스 총리 임명에는 의회 승인이 필요하지 않지만, 의회는 정부의 사퇴를 강요할 수 있다. 중화민국 (대만) 총리는 총통이 임명하며 의회 승인이 필요하지 않다.
의원내각제에서 총리는 여러 방법으로 취임할 수 있다.
- 국가원수가 개인적으로 선택한 총리를 임명하는 경우: 프랑스
- 국가원수가 신임 투표를 받아야 하는 기한을 정해 총리를 임명하는 경우: 이탈리아, 루마니아, 태국
- 국가원수가 의회 의원 중에서 조각가(formateur)를 임명하고, 그 후 조각가가 내각을 구성하여 의회의 신임을 얻는 경우: 이스라엘
- 국가원수가 의회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를 총리로 임명하는 경우: 그리스
- 국가원수가 총리 후보를 지명하고, 총리로 임명되기 전에 의회의 승인을 받는 경우: 스페인, 독일
- 의회가 후보를 지명하고, 국가원수는 헌법에 따라 그 후보를 총리로 임명해야 하는 경우: 아일랜드, 일본
- 입법부에 의한 선출: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 국민투표에 의한 직접 선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이스라엘
- 국가원수 또는 그 대표 이외의 국가 공무원에 의한 지명: 현대 스웨덴
의원내각제에서 정부는 일반적으로 하원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 정부가 ''신임 투표''에서 패배하거나, ''불신임 투표''가 통과되거나, 예산 지원을 상실하면 대부분의 헌법 체제는 사임 또는 의회 해산을 요구한다.
독일과 스페인과 같은 일부 시스템에서는 불신임 투표가 건설적이어야 한다. 즉, 대안 총리의 이름을 포함해야 한다.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총리는 내각을 구성하는 각료에 대한 임명권을 행사하며, 이를 통해 각료에 대한 지휘권을 장악하는 경우가 많다.
2. 2. 국가 원수와의 관계
의원내각제에서 행정에 관한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권한은 수상과 그가 구성하는 내각에 귀속된다.[7] 대통령이나 군주는 국가의 명목상 원수로서 행정에 관한 의례적, 형식적 권한만을 행사한다.[7]외교 의례상 수상은 자국의 군주나 대통령과 함께 열석할 때 석차로 구별하며,[8] 접수 형태나 상대방에 따라서도 구별한다.[8] 외교 관례에서는 국가원수에게 치외법권이 인정되어 해외 방문 시 접수국 측의 보호 의무가 발생하지만,[9] 현대에는 국가원수와 실질적인 행정부의 장(수상)이 다른 경우가 많아, 양측의 합의에 따라 수상이나 정부 요인(예: 왕실, 황실 가족 등)에게 국가원수에 준하는 대우를 하는 경우가 많다.[9]
2. 3. 임명 및 해임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다수당의 당수가 수상이 되며, 수상은 행정부의 장으로서 내각회의를 주재한다. 수상의 임명권자는 군주나 대통령 등의 국가 원수이다. 이때 대통령제나 군주권이 강한 나라에서는 국가 원수가 스스로 결정해 임명하는 경우가 많다.[25]의원내각제 국가의 경우, 의회의 지명에만 근거해 임명(일본, 독일 등)하거나, 전임 수상의 조언, 또는 정당 등에서의 추천과 관례에 따라 임명하고 의회의 승인은 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같은 방법으로 수상 후보를 결정해 의회에 추천하고, 의회에서 승인되면 정식으로 임명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어느 경우든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없는 인물은 수상의 자리에 있을 수 없어, 실질적으로 의회가 수상을 지명하는 것과 의미는 같다.
의회주의 국가에서 총리는 여러 방법으로 취임할 수 있다.
- 국가원수가 개인적으로 선택한 총리를 임명하는 경우: 프랑스에서는 대통령이 마음대로 총리를 임명할 권한이 있지만, 국민의회는 정부의 사퇴를 강요할 수는 있으나 새로운 후보를 지명하거나 임명할 수는 없다.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인도, 영국 포함) 하에서는 대부분의 총리가 의회에서 가장 큰 정당 또는 연합의 지도자이지만, 기술적으로 총리 임명권은 *법적으로* 국가원수가 행사한다.
- 국가원수가 신임 투표를 받아야 하는 기한을 정해 총리를 임명하는 경우: 이탈리아, 루마니아, 태국
- 국가원수가 의회 의원 중에서 조각가(formateur)를 임명하고, 그 후 조각가가 내각을 구성하고 내각 구성과 입법 프로그램을 의회에 제출한 후 의회의 신임을 얻을 기한을 정하는 경우, 의회의 승인을 받으면 조각가가 총리가 되는 경우: 이스라엘
- 국가원수가 의회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를 총리로 임명하는 경우. 어떤 정당도 다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에게 3일 이내에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탐색적 권한(exploratory mandate)*이 주어진다.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두 번째로 많은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에게 탐색적 권한이 주어진다. 이것도 실패하면 세 번째로 큰 정당의 대표에게 주어지는 식이다.: 그리스, 그리스 총리 참조
- 국가원수가 총리 후보를 *지명*하고, 총리로 임명되기 전에 의회의 승인을 받는 경우: 스페인의 경우, 국왕이 의회에 승인을 위해 지명을 제출한다. 또한 독일 기본법(헌법)에 따라 연방의회가 연방 대통령이 지명한 후보에 대해 투표하는 독일도 마찬가지다. 필리핀의 경우, 계엄령 이후 개정된 1973년 헌법에 따라 총리는 바타상 팜반사(입법부)가 대통령의 지명을 받아 선출했다. 이러한 경우 의회는 다른 후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후보는 국가원수(또는 필리핀의 경우 직접 선출된 후보)에 의해 임명된다.
- 의회가 후보를 *지명*하고, 국가원수는 헌법에 따라 그 후보를 총리로 임명해야 하는 경우: 아일랜드의 경우, 대통령은 다일 에이린의 지명에 따라 타오이세흐를 임명한다. 일본도 마찬가지다.
- 입법부에 의한 선출: 솔로몬 제도와 바누아투. 또한 개정되지 않은 1973년 필리핀 헌법에 따라 총리는 바타상 팜반사에 의해 선출될 예정이었지만, 당시 필리핀이 계엄령 하에 있었기 때문에 이 조항은 사용되지 않았다.
- 국민투표에 의한 직접 선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이스라엘에서는 총리가 정당 소속과 관계없이 총선에서 선출되었다.
- 국가원수 또는 그 대표 이외의 국가 공무원에 의한 지명: 현대 스웨덴 정부 수단에 따르면, 정부 구성을 위한 권한은 국왕에서 의회 의장과 의회 자체로 이전되었다. 의장은 후보를 지명하고, 의회 의원의 절대 다수가 반대표를 던지지 않으면(즉, 예보다 아니오 표가 더 많더라도 후보가 선출될 수 있음) 의회에서 총리(statsminister)로 선출된다.
의원내각제에서 정부는 일반적으로 하원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 만약 정부가 ''신임 투표''에서 패배하거나, ''불신임 투표''가 통과되거나, 예산 지원을 상실하면 대부분의 헌법 체제는 사임서 제출 또는 의회 해산 요구를 요구한다. 많은 관할권에서 국가 원수는 의회 해산을 거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리와 그의 정부의 사임을 요구한다. 대부분의 현대 의원내각제에서 총리는 의회 해산을 요구할 시기를 결정하는 사람이다.
독일과 스페인과 같은 일부 시스템에서는 불신임 투표가 건설적이어야 한다. 즉, 대안 총리의 이름을 포함해야 한다. 불신임 투표가 성공하면 대안 총리가 자동으로 현 정부를 대체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총리가 사임 결의에 따라 당의 과반수 지지를 잃으면 사임해야 한다. 토니 애벗, 줄리아 길라드, 케빈 러드, 말콤 턴불 등 많은 총리가 그랬다.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총리는 내각을 구성하는 각료에 대한 임명권을 행사하며, 이를 통해 각료에 대한 지휘권을 장악하는 경우가 많다.
3. 정치 제도 유형과 총리
정치 제도는 총리의 선출 및 해임 방식에 따라 의원내각제, 자율내각제, 총리 직선제, 대통령제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26]
- 의원내각제: 의회 다수파가 총리를 선출하고 해임할 수 있다. 총리는 행정부 수반으로서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며, 로버트 월폴이 근대 의원내각제 최초의 총리로 여겨진다.
- 자율내각제: 스위스에서 채택하는 제도로, 의회가 총리를 선출하지만 임기 중에는 해임할 수 없다.[26]
- 총리 직선제: 유권자가 직접 총리를 선출하는 제도이다. 이스라엘에서 채택된 적이 있으나 의회 지지 기반 확보의 어려움으로 폐지되었다.[26]
- 대통령제: 대통령이 행정부 수반이며, 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거나 대통령의 권한 일부를 위임받는다. 한국과 아르헨티나 등에서는 총리가 대통령에 의해 임명 및 해임되고, 대통령의 참모로서 기능한다.[27]
국가 원수와 내각 및 수상과의 관계, 국가 원수의 각의 주재 여부 등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다.[25]
3. 1. 의원내각제
의원내각제에서는 의회 다수파가 총리를 선출하고 해임할 수 있다.[26] 총리는 행정부의 수반으로서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한다. 근대 의원내각제에서 역사상 최초의 '''총리'''는 영국의 로버트 월폴로 여겨진다.[26] 하노버 왕조 초대 국왕 조지 1세는 독일인이었기 때문에 영어를 전혀 읽고 쓸 수 없었고, 월폴에게 내정, 외교 모든 정책 결정권을 위임했다. 이것이 국가 원수인 군주가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입헌군주제와 의원내각제에 의한 민주주의 정치 시스템 구축의 시작으로 여겨진다.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다수당의 당수가 수상이 되며, 수상은 행정부의 장으로서 내각회의를 주재한다. 이원집정부제에서는 수상이 있어도 대통령이 내각회의를 주재하는 나라가 많다.
수상의 임명권자는 군주나 대통령 등의 원수이다. 의원내각제의 경우, 의회의 지명에만 근거해 임명(일본, 독일 등)하거나, 전임 수상의 조언, 또는 정당 등에서의 추천과 관례에 따라 임명하고 의회의 승인을 취하지 않거나, 같은 방법으로 수상 후보를 결정해 의회에 추천하고 의회에서 승인되면 정식으로 임명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어느 경우든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없는 인물은 수상의 자리에 있을 수 없어, 실질적으로 의회가 수상을 지명하는 것과 의미는 변함없다.
20세기 후반에는 세계 여러 국가에서 입헌군주제 또는 의전적인 대통령 하에 총리 또는 이와 동등한 장관이 직책을 수행했다.[16][17] 총리직은 입헌군주국(예: 벨기에, 덴마크, 일본, 말레이시아, 스페인, 영국)과 국가원수가 선출직인 의원내각제 공화국(예: 방글라데시, 프랑스, 인도, 이탈리아) 모두에서 볼 수 있다.
의회주의 국가에서 총리는 여러 방법으로 취임할 수 있다.
- 국가원수가 개인적으로 선택한 총리를 임명하는 경우: (예: 프랑스)
- 국가원수가 신임 투표를 받아야 하는 기한을 정해 총리를 임명하는 경우: (예: 이탈리아, 루마니아, 태국)
- 국가원수가 의회 의원 중에서 조각가(formateur)를 임명하고, 그 후 조각가가 내각을 구성하고 내각 구성과 입법 프로그램을 의회에 제출한 후 의회의 신임을 얻을 기한을 정하는 경우, 의회의 승인을 받으면 조각가가 총리가 되는 경우: (예: 이스라엘)
- 국가원수가 의회에서 다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를 총리로 임명하는 경우: (예: 그리스)
- 국가원수가 총리 후보를 *지명*하고, 총리로 임명되기 전에 의회의 승인을 받는 경우: (예: 스페인, 독일)
- 의회가 후보를 *지명*하고, 국가원수는 헌법에 따라 그 후보를 총리로 임명해야 하는 경우: (예: 아일랜드, 일본)
- 입법부에 의한 선출: (예: 솔로몬 제도와 바누아투)
- 국민투표에 의한 직접 선출: (예: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이스라엘)
- 국가원수 또는 그 대표 이외의 국가 공무원에 의한 지명: (예: 현대 스웨덴)
3. 2. 자율내각제
스위스에서 채택하고 있는 자율내각제는 의회에서 총리를 선출하지만, 임기 동안에는 해임할 수 없는 제도이다.[26] 스위스에서는 의회에서 각 지역, 각 언어권을 대표하는 정당에서 내각 구성원을 선출하고, 내각 전체가 동등하게 정책 결정에 책임을 지며, 총리직도 각료 간의 1년 단위 교대제이다(내각 임기는 4년).[26]3. 3. 총리 직선제
총리 직선제는 유권자가 직접 총리를 선출하는 제도이다.[25] 이스라엘에서 채택된 적이 있었으나, 의회 다수파에서 선출되는 것이 아니어서 의회 지지 기반이 없는 총리가 탄생하고 다당 분립이 심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의회에서 정책 지지를 원활하게 확보하기 어려워져 결국 폐지되었다.[26]3. 4. 대통령제
대통령제는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이 존재하며, 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거나 대통령의 일부 권한을 위임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 아르헨티나와 같이 대통령제 국가에서는 총리의 선출 및 해임이 대통령에 의해 이루어지며, 총리는 대통령의 참모로서 기능한다.[26]4. 각국의 명칭
총리는 각국에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국가 | 직함 |
---|---|
대한민국 | 국무총리(國務總理) |
일본 | 내각총리대신(内閣総理大臣)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내각총리(內閣總理) |
중화민국 | 행정원장(行政院長) |
중화인민공화국 | 국무원총리(国务院总理) |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 | 정부수상(Thủ tướng Chính phủ/政府首相) |
독일 | Bundeskanzler |
러시아 | Председатель Правительства(Predsedatel Prabitelstba) |
스웨덴 | Statsminister |
스페인 | Presidente del Gobierno |
영국 | Prime Minister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
오스트레일리아 | Prime Minister of Australia |
뉴질랜드 | Prime Minister of New Zealand |
이탈리아 | Presidente del Consiglio dei Ministri |
캐나다 | Prime minister of Canada |
터키 | Türkiye Cumhuriyeti Başbakanı |
프랑스 | Premier ministre |
태국 | นายกรัฐมนตรี |
각국의 총리 직책 명칭은 다르지만, 총리에 해당하는 직책이라면 일본어에서는 관례적으로 모두 “수상(首相)”이라고 부른다. 영어에서도 원어의 직책 명칭과 관계없이 “Prime Minister”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외적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수상은 독일어 “Kanzler”를 직역하여 “Chancellor”로 번역되며, 아일랜드의 수상은 아일랜드어 “Taoiseach”를 영어에서도 그대로 사용한다.[1] (아일랜드어에서는 다른 나라의 총리를 “Prime Minister”에 해당하는 “Príomh-Aire”라고 부른다.)
중국어에서는 군주국일 경우 “首相(수상)”, 공화국일 경우 “总理(총리)”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에서는 외교 문서나 외국 법령의 일본어 번역에서 외국 총리를 “총리대신(総理大臣)” 또는 “내각총리대신(内閣総理大臣)”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28]
4. 1. 한국
4. 2. 기타 국가
5. 유명한 총리
대한민국 초대 국무총리는 이범석이다.[1] 영국의 총리로는 벤저민 디즈레일리(빅토리아 여왕 재위 기간), 윈스턴 처칠(제2차 세계대전 시기), 마거릿 대처(포클랜드 전쟁 당시,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가 있다. 독일의 총리로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독일 제국 초대), 콘라드 아데나워(독일연방공화국 초대), 빌리 브란트(동방 정책 추진), 헬무트 콜(독일의 재통일 당시)이 있다.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 초대 국무총리는 이범석으로, 독립운동가 출신으로 정부 수립 초기 국가 기틀 마련에 기여했다.[1]5. 2. 영국
-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빅토리아 여왕 재위 중 영국의 수상을 지냈다.
- 윈스턴 처칠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수상을 지냈다.
- 마거릿 대처는 영국 최초의 여성 수상으로, 포클랜드 전쟁 당시 수상이었다.
5. 3. 독일
6. 어원
premier ministre프랑스어'라는 표현은 17세기 프랑스에서 리슐리외 추기경을 가리킬 때 처음 사용되었다.[4] 18세기 영국에서는 로버트 월폴 경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prime minister'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프랑스 절대 군주정과의 비교를 통해 월폴을 깎아내리려는 의도였다.[6]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 용어는 명예로운 직함으로 자리 잡았다.[6]
'총리'에 해당하는 '수상'이라는 단어는 수석 재상을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7. 현대적 의의
총리는 현대 정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각 국가의 정치 체제와 역사적 배경에 따라 그 지위와 권한이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총리는 행정부의 수반으로서 국정 운영을 주도하며, 국가의 발전과 안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16][17] 대한민국의 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고 행정 각 부처를 통할하는 중요한 직책으로, 국정 운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총리 직책은 명칭은 다르더라도 일부 국가에서 수상과 동일하거나 비슷하며, 정부 수반의 역할을 한다.[7][8][9] 20세기 후반에는 세계 여러 국가에서 입헌군주제 또는 의전적인 대통령 하에 총리 또는 이와 동등한 장관이 직책을 수행했다.[16][17]
총리직은 벨기에, 덴마크, 일본,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말레이시아, 모로코, 스페인, 스웨덴, 태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영국과 같은 입헌군주국과 방글라데시, 핀란드, 체코, 프랑스, 그리스, 헝가리, 인도, 아일랜드, 파키스탄, 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이탈리아와 같은 국가원수가 선출직인 의원내각제 공화국에서 모두 볼 수 있다.
마하티르 모하마드는 24년 이상(1981년~2003년, 2018년~2020년) 말레이시아 총리를 역임하며 국가 경제 현대화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Root of the Great Vizier in the Ottoman Empire Until the Era of Sultan Muhammad Al-Fateh 1429-1481)
https://www.rimakjou[...]
[2]
웹사이트
The Ottoman Empire's No 2 man
https://www.hurriyet[...]
2014-02-17
[3]
웹사이트
What role did the vizier play in 'Abbasid administration? | TutorChase
https://www.tutorcha[...]
[4]
서적
Testament Politique du Cardinal Duc de Richelieu, Premier Ministre de France sous le Règne de Louïs XIII
https://books.google[...]
2017-06-16
[5]
웹사이트
Ancien Régime
http://www.larousse.[...]
[6]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v[...]
2014-12-15
[7]
웹사이트
The Ottoman Empire's No 2 man
https://www.hurriyet[...]
2014-02-17
[8]
웹사이트
(The Root of the Great Vizier in the Ottoman Empire Until the Era of Sultan Muhammad Al-Fateh 1429-1481)
https://www.rimakjou[...]
[9]
웹사이트
What role did the vizier play in 'Abbasid administration? | TutorChase
https://www.tutorcha[...]
[10]
웹사이트
Britain's unwritten constitution
https://web.archive.[...]
British Library
2015-11-27
[11]
웹사이트
The Institution of Prime Minister
https://history.blog[...]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History of Government Blog
2016-04-15
[12]
서적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4-15
[13]
서적
Reforming parliamentary democrac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6-04-23
[14]
서적
The Historical Foundations of World Order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6-02-27
[15]
서적
Settler self-government, 1840–1900 :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and responsible government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16-02-27
[16]
서적
Constitutionalism and political reconstruction
Brill
2016-02-27
[17]
웹사이트
How the Westminster Parliamentary System was exported around the World
http://www.cam.ac.uk[...]
University of Cambridge
2013-12-16
[18]
웹사이트
Privy Council Members
https://web.archive.[...]
The Privy Council Office
2009-09-19
[19]
법률
Constitution Act, 1867
https://laws-lois.ju[...]
[20]
법률
Constitution Act, 1867
https://laws-lois.ju[...]
[21]
법률
Constitution Act, 1982
https://laws-lois.ju[...]
[22]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首相」
https://kotobank.jp/[...]
[23]
뉴스
ジョンソン英首相、「違うやり方もあったかもしれない」 新型コロナウイルス対策
https://www.bbc.com/[...]
2020-08-21
[24]
뉴스
中国の李克強首相、武漢を訪問=声明
https://web.archive.[...]
2020-08-21
[25]
학술지
執政制度の設計と権限行使の経路
日本比較政治学会
2021-07-11
[26]
서적
政治学の第一歩
有斐閣
[27]
서적
政治学の第一歩
有斐閣
[28]
문서
原水爆実験禁止問題に関するマクラミン英首相宛ての岸信介首相書簡
https://worldjpn.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