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뱌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린뱌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문화대혁명 시기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목되었으나, 몰락했다. 그는 항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공산당의 승리에 기여했으나, 1971년 쿠데타 실패 후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이후 반역자로 규정되어 모든 공적을 박탈당했으나, 최근에는 그의 군사적 업적을 재평가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망명자 - 린리궈
중국 공산당 간부 린뱌오의 아들 린리궈는 문화대혁명 중 공군에서 급속히 승진했으나 마오쩌둥 암살 계획에 연루되어 린뱌오 일가와 함께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는 중국 정부 발표와는 달리, 그의 역할과 사건 진상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망명자 - 가오싱젠
가오싱젠은 실험적인 연극으로 중국 연극계에 영향을 주었으나, 중국 공산당 비판으로 중국 내에서 작품 상연이 금지된 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하고 《영산》, 《어느 한 사람의 성경》 등의 작품으로 2000년 중국어 작가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중국 태생의 프랑스 소설가, 극작가, 번역가, 연출가, 화가이다. - 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 - 예젠잉
예젠잉은 중국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청나라 말기에 태어나 중국공산당 입당 후 여러 봉기에 참여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화난 지역에서 세력을 구축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 신중한 처신으로 자리를 유지하다 사인방 체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덩샤오핑의 복귀와 개혁개방 정책 추진에 기여했다. - 지난 대학 (광저우시) 동문 - 박시창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한 군인 박시창은 박은식의 양자이며, 황포군관학교 졸업 후 중국 국민혁명군에 참여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 광복 후 대한민국 육군에 참여 및 한국 전쟁에도 참전, 광복회 회장을 역임하며 독립유공자들의 권익을 위해 노력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 허룽 (1896년)
허룽은 중국 공산당의 군사 지도자이자 인민해방군 원수로서, 난창 봉기의 주역이었으며 중국혁명에 기여했고, 의적 활동으로 시작해 농민군을 이끌며 국공합작, 항일전쟁, 국공 내전에서 활약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요직을 지냈으나 문화대혁명 중 사망 후 복권되어 그의 업적은 기념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 류보청
류보청은 신해혁명부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까지 혁명에 헌신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고, 팔로군 사령관으로서 항일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국공 내전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중국의 군인이다.
린뱌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린위룽 |
출생일 | 1907년 12월 5일 |
출생지 | 황강, 후베이, 청나라 |
사망일 | 1971년 9월 13일 |
사망지 | 온드르항, 몽골 인민 공화국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정당 | 중국공산당 (1927–1971) |
배우자 | 장메이(1937–42) 예췬(1942–71) |
자녀 | 린샤오린(딸) 린리궈(아들) 린리헝(딸) |
군 복무 | 1925–1971 |
소속 군 | 중국인민해방군 육군 중국공농홍군 국민혁명군 |
계급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중장(국민혁명군) |
지휘 | 제1군단 중국 홍군] 제1군단] 제115사단, [[제8로군 중국인민해방군 |
훈장 | 8.1 훈장(1급) 독립자유 훈장(1급) 해방 훈장(1급) |
별칭 | 린 총 홍군의 매 101 (군사 호출 부호) |
학력 | 황푸 군관학교 |
정치 경력 | |
직책 | 중국공산당 부주석 중국공산당 제1부주석 중국 국무원 부총리 국방부장 |
중국공산당 부주석 임기 | 1958년 5월 25일 ~ 1971년 9월 13일 |
주석 | 마오쩌둥 |
중국공산당 제1부주석 임기 | 1966년 8월 1일 ~ 1971년 9월 13일 |
이전 제1부주석 | 류사오치 |
후임 제1부주석 | 저우언라이(1973년) |
중국 국무원 제1부총리 임기 | 1964년 12월 21일 ~ 1971년 9월 13일 |
총리 | 저우언라이 |
이전 제1부총리 | 천윈 |
후임 제1부총리 | 덩샤오핑 |
중국 국무원 부총리 임기 | 1954년 9월 15일 ~ 1971년 9월 13일 |
국방부장 임기 | 1959년 9월 17일 ~ 1971년 9월 13일 |
이전 국방부장 | 펑더화이 |
후임 국방부장 | 예젠잉 |
기타 |
2. 생애
1907년 후베이성 황강 출신으로, 황푸 군관학교 졸업 후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여 북벌, 난창 봉기, 장정 등에 참여하며 홍군 내 주요 군사 지휘관으로 성장했다.[1][9] 중일 전쟁 시기 핑싱관 전투 승리로 명성을 얻었으나[3] 1938년 중상으로 인해 이후 지속적인 건강 문제를 겪게 되었다.[22][43] 국공 내전에서는 동북 지역을 석권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다.[84]
건국 후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등 고위직에 올랐으나[1][18] 건강 문제로 실제 활동은 제한적이었다.[18] 1959년 펑더화이 실각 후 국방부장에 임명되어[18] 군 내 마오쩌둥 사상 학습과 개인숭배를 주도하며 마오쩌둥의 핵심 측근으로 부상했다.[56][59] 문화대혁명 시기 마오쩌둥의 후계자로 공식 지정되었고,[76] 1969년 당 부주석으로서 당 규약에 후계자로 명시되었다.[76]
그러나 1970년 이후 마오쩌둥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76] 1971년 9월 마오쩌둥 암살 시도(571 공정 계획) 실패 후[79] 소련으로 망명을 시도하다 몽골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9·13 사건).[82][85] 사후 반역자로 규정되었으며,[103] 그의 몰락과 죽음을 둘러싼 진상은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 있다.[83]
2. 1. 초기 이력

어린 시절 이름은 '''린위룽'''(林育蓉)으로,[3] 1907년 12월 5일 청나라 후베이성 황강의 작은 지주 집안[1] 또는 부유한 상인 가문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한때 수공업 공장을 운영했으나 지역 군벌의 과도한 세금으로 폐업하고 강 상선의 사무장으로 일했다.[3] 린뱌오는 1917년 초등학교에 입학했고,[2] 1919년 학업을 위해 상하이로 이주했다.[3] 어린 시절부터 정규 교육보다는 학생 운동에 더 관심이 많았으며,[4] 15세에 우창공진중학교(武昌共進中学)로 전학했다.[5]
1925년 중국 사회주의청년단에 가입했고,[1] 같은 해 5·30 운동에 참여했다. 같은 해 18세의 나이로 광저우에 새로 설립된 황푸 군관학교에 입학하여[1]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황푸 군관학교 시절 교장이었던 장제스를 존경했으며,[4] 8살 위인 저우언라이와 소련 교관 바실리 블류헤르 밑에서 배웠다.[6] 저우언라이와는 이후 1930년대 후반 옌안에서 재회하기 전까지 교류가 없었으나, 서로 직접적으로 대립하는 일은 드물었다.[83]
1926년 황푸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예팅이 지휘하는 연대에 배속되어 북벌에 참여했다.[1] 몇 달 만에 부소대장에서 국민혁명군의 대대장으로 빠르게 승진했으며,[1] 1927년에는 대령이 되었다. 스무 살 무렵, 부모가 주선한 '옹(Ong)'씨 성의 여성과 결혼했으나, 린뱌오가 공산 혁명가의 길을 걷기로 하면서 관계는 사실상 끝났다.[4]
1927년 국공합작 결렬 이후, 그의 지휘관 예팅은 허룽과 함께 8월 1일 난창 봉기에 참여했고,[3][7] 린뱌오는 이 봉기에서 천이가 이끄는 연대의 중대장으로 참전했다.[8] 봉기가 실패하자 오지의 공산당 근거지로 피신하여 1928년 마오쩌둥과 주더에 합류, 강서-복건 소비에트에 참여했다.[9] 이후 마오쩌둥의 가장 가까운 지지자 중 한 명이 되었다.[83]
강서 소비에트 시기 린뱌오는 제1군단을 지휘하며 펑더화이(제3군단장)와 함께 가장 중요한 군사 지휘관 중 한 명으로 부상했다. 코민테른 대표 오토 브라운은 당시 린뱌오를 "정치적으로... 마오쩌둥이 원하는 대로 쓸 수 있는 백지"라고 평가했다.[10] 1932년 닝두 회의에서 마오쩌둥이 28인의 볼셰비키에 의해 권력에서 밀려났을 때, 린뱌오는 마오쩌둥을 대신해 회의에 참석하여 마오의 반대파들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10]
린뱌오가 이끈 제1군단은 홍군 내에서 가장 잘 장비되고 성공적인 부대로 평가받았다. 특히 기동성과 우회 기동 능력이 뛰어났으며,[11] 1930년에서 1933년 사이 제3군단과 제5군단을 합친 것보다 두 배나 많은 포로와 군사 장비를 획득했다. 이는 제1군단의 공세적이고 비정통적인 전술 운용 덕분이기도 했다.[11]
1933년~1934년 장제스의 강서 소비에트 제5차 토벌 작전 당시, 린뱌오는 오토 브라운 등이 주장한 정규전 대신 장기적인 게릴라전을 주장했다. 그는 기만, 매복, 포위, 기습 공격을 통해 적을 약화시키는 것이 최선이라고 보았는데, 이는 마오쩌둥의 전술과 맥을 같이 했다.[12] 장제스 군대가 소비에트 내 주요 거점을 점령하자, 린뱌오는 강서 소비에트 포기를 공개적으로 주장한 최초의 홍군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13]
1934년 시작된 장정 기간 동안 린뱌오는 홍군에서 가장 성공적인 지휘관 중 한 명으로 활약했다. 1935년 1월 쭌이 회의에서는 펑더화이와 함께 마오쩌둥의 지도력 부상을 지지했다.[14] 장정 막바지에 마오의 회피 전략에 대해 사적인 불만을 표하기도 했으나, 공개적으로는 계속 마오를 지지했다.[14] 1936년 12월, 홍군은 마침내 산시성 옌안의 공산당 근거지에 도착했다.
린뱌오와 펑더화이는 홍군 최고의 야전 지휘관으로 꼽혔지만, 장정 기간 동안 서로 경쟁 관계는 아니었다.[9] 미국의 언론인 에드거 스노는 1936년 옌안에서 린뱌오를 만나 그의 저서 ''중국의 붉은 별''에서 그를 묘사했다. 스노우는 린뱌오가 펑더화이보다 젊고 내성적이며, 부하들과 거리를 두는 성격이라고 적었다. 또한 그의 전술적 특징으로 기만, 은폐, 기습, 매복 등을 언급하며 펑더화이의 정면 돌파 방식과 대조했다.[16] 스노우는 린뱌오가 이끄는 제1군단이 홍군에서 가장 강력한 부대가 되었으며, 린뱌오의 군사 논문이 난징의 국민당 군사 잡지는 물론 일본과 소련에서도 연구될 정도로 인정받았다고 기록했다.[17] 스노우가 기록할 당시까지 린뱌오는 수많은 전투에도 불구하고 부상을 입지 않았었다.[17]
그러나 스노우의 기록 1년 후인 1938년,[18] 린뱌오는 산시성에서 부하 병사의 오인 사격으로 중상을 입었다.[43] 이 부상은 이후 그의 평생에 걸친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43] 옌안에 정착한 후, 린뱌오는 새로 설립된 항일군사정치대학의 학장을 맡았다. 1937년에는 그곳의 학생이었던 리우시민(劉?)("대학의 꽃"이라는 별명)과 결혼했다.[21]
2. 2. 혁명 활동
1925년 황푸군관학교에 입학하여 중국 공산당의 위성 조직인 중국 사회주의청년단에 가입했고, 같은 해 5·30 운동에 참여했다.[1][5] 젊은 사관생도 시절에는 당시 교장이던 장제스를 존경하기도 했다.[4] 황푸군관학교에서는 저우언라이 밑에서 공부했다.[6]
1926년 졸업 후 예팅이 지휘하는 연대에 배속되어 북벌에 참여했으며, 몇 달 만에 부소대장에서 대대장으로 빠르게 승진했다. 이 기간에 중국 공산당에 정식으로 가입했다.[1] 1927년에는 대령 계급에 올랐다.
국공합작이 결렬되자, 린뱌오가 속했던 부대의 지휘관 예팅은 허룽과 함께 1927년 8월 1일 난창 봉기를 일으켰다.[3][7] 린뱌오는 이 봉기에서 천이가 이끄는 연대의 중대장으로 참전했다.[8] 봉기가 실패하자 국민당군을 탈주하여[9] 마오쩌둥과 주더가 이끄는 장시 소비에트의 중국공농홍군에 합류했다.[9] 이후 마오쩌둥의 가까운 지지자가 되었다.[83]
홍군 내에서 린뱌오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여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1932년에는 약 2만 명 규모의 제1군단 지휘관이 되었고,[17] 1934년에는 군단장까지 승진했다. 그의 제1군단은 홍군 내에서 가장 잘 장비되고 성공적인 부대로 평가받았으며, 기동성과 우회 기동 능력으로 유명했다.[11][17] 린뱌오는 펑더화이와 함께 홍군의 가장 유능한 야전 사령관으로 꼽혔다.[9] 그는 마오쩌둥의 게릴라전 전략을 지지했으며,[12] 1932년 닝두 회의에서 마오쩌둥이 권력에서 밀려났을 때도 그를 대신해 회의에 참석하여 마오쩌둥의 입장을 대변하기도 했다.[10]
1934년 장제스의 제5차 토벌 작전으로 홍군이 위기에 처하자, 린뱌오는 장시 소비에트 포기를 주장한 최초의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13] 이후 부대를 이끌고 장정에 참여하여 1936년 산시성 옌안에 도착했다. 장정에는 훙쉐즈, 쑤위뿐만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 된 김무정도 참여했다. 린뱌오는 펑더화이와 함께 장정 기간 동안 가장 성공적인 지휘관 중 한 명이었으며,[9] 1935년 1월 쭌이 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당의 지도권을 장악하는 것을 지지했다.[14]
1936년 미국의 언론인 에드거 스노는 옌안에서 린뱌오를 만나 그의 저서 ''중국의 붉은 별''에서 그를 "마오쩌둥의 최고 현장 지휘관 중 한 명"으로 묘사하며, 그의 뛰어난 전술 능력과 펑더화이와의 차이점을 기록했다.[16][17] 스노우는 당시 린뱌오가 수많은 전투에도 불구하고 부상을 입지 않았다고 언급했지만,[17] 이 기록 1년 후 린뱌오는 큰 부상을 당하게 된다.[18] 옌안 도착 후에는 항일군사정치대학의 학장을 맡았다.[21]
제2차 국공 합작이 성립되어 공동 항일전선이 형성되자, 1937년 8월 린뱌오는 팔로군 제115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3] 9월에는 산시성 핑싱관 전투에서 일본군 제5사단을 매복 공격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는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연패하던 중국군에게 첫 승리를 안겨주었으며, 중국인들의 사기를 크게 높이고 공산당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1938년 3월, 린뱌오는 산시성에서 전투 중 노획한 일본군 외투를 입고 말을 타다가 아군인 옌시산 부대 병사에게 일본군 장교로 오인받아 총격을 당했다.[22] 총알이 머리를 스쳐 지나가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23] 말에서 떨어져 허리도 다쳤다.[22] 이 부상은 이후 그의 건강에 지속적인 악영향을 미쳤다.[43] 부상 치료와 결핵 발병으로 인해 1938년 말 소련 모스크바로 후송되어 1942년 2월까지 요양하며 코민테른 관련 업무를 수행했다.[3] 이때 신경계 부상으로 물과 바람에 대한 극심한 공포증을 앓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옌안으로 돌아온 후에는 중앙당교 부교장과 항일군정학교 교장을 맡았다.
1945년 일본이 항복한 후 국공 내전이 재개되었다. 당시 국민당군은 수적으로 우세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원조로 최신 무기를 갖추고 있었다. 초기 공산군은 후퇴를 거듭하여 본부가 있던 옌안마저 함락당했다. 린뱌오는 동북항일연군이 개편된 동북인민해방군(이후 제4야전군) 총사령관을 맡아 만주 지역에서 전투를 지휘했다. 1948년 11월, 린뱌오는 수적으로 우세했던 국민당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하여 랴오선 전역에서 승리했다. 이 승리는 국공 내전의 전세를 공산당에게 유리하게 바꾸는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린뱌오는 약 백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남하하여 1949년 2월 베이징을 점령하고, 장강을 건너 1950년까지 남진하여 광시성 등 중국 남부 지역을 장악했다.
2. 3.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린뱌오는 당과 군에서 고위직에 올랐다.[1] 1949년 10월 공화국 수립 후 중앙인민정부 위원, 중남군정위원회 주석, 제4야전군 사령관 겸 중남군구 사령관 등을 맡았으나, 제2차 국공 내전 중 입은 부상 후유증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지 못했다.[18]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유엔군이 북진하자, 마오쩌둥은 북한에 중국인민지원군 파병을 계획했다. 마오쩌둥은 린뱌오를 지원군 사령관으로 임명하려 했으나, 린뱌오는 대부분의 정치국 위원들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핵 공격 가능성 등을 우려하며 참전에 반대했고, 건강 문제를 이유로 고사했다.[47] 결국 펑더화이가 지원군 사령관을 맡았고, 린뱌오가 지휘했던 제4야전군 병력이 주축이 되어 참전했다.[1][47] 그럼에도 1950년 10월, 린뱌오는 저우언라이와 함께 소련을 방문하여 스탈린과 중국의 참전에 대한 소련의 지원 문제를 협상하는 등 여전히 마오쩌둥의 신임을 받았다.[47]
1951년 11월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54년 9월 국무원 부총리 겸 국방위원회 부주석,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55년 4월에는 당 중앙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고,[18] 같은 해 9월 인민해방군에 계급 제도가 도입되면서 주더, 펑더화이에 이어 서열 3위의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받았다. 10명의 원수 중 최연소였다.[1][18]
그러나 1949년 이후 린뱌오의 건강은 계속 악화되었고, 이로 인해 고위 군사 및 정치 직책을 피하려 했다. 그의 지위 때문에 여러 고위직에 임명되었지만, 대부분 명예직이었고 실질적인 책임은 거의 지지 않았다.[18]
=== 건강 문제 ===
1938년 부상 이후 린뱌오는 지속적인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에 시달렸다.[43] 마오쩌둥의 주치의였던 리즈수이는 린뱌오가 신경쇠약과 건강염려증을 앓았다고 보았다. 그는 땀을 흘릴 때마다 아팠고, 물, 바람, 추위,[44] 빛, 소음에 대한 극심한 공포증을 보였다.[4] 강이나 바다 그림을 보거나 흐르는 물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불안 증세를 보이며 설사를 했다고 한다.[44]
일부 연구에서는 린뱌오가 분열성 인격 장애와 유사한 증상(무관심, 사회적 관계 회피, 비밀스러움, 감정적 냉담)을 보였다고 분석하기도 한다.[45] 그는 만성적인 두통과 불면증에 시달려 수면제를 자주 복용했으며, 식사량이 적고 담배와 술은 전혀 하지 않았다.[46][44] 물에 대한 공포 때문에 목욕이나 과일 섭취를 거부했고, 빛과 바람을 피해 사무실을 항상 어둡고 환기가 안 되는 상태로 유지했다.[44] 일각에서는 아편이나 모르핀 중독설도 제기되었다.[4]
1953년 초 소련 의사들은 린뱌오가 조울증을 앓고 있다고 진단했으며, 이는 나중에 중국 의사들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린뱌오의 아내 예군(葉群)은 이 진단을 처음에는 거부했으나, 그의 허약한 건강 상태는 예군과 같은 다른 정치 인물들에게 쉽게 조종당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44] 말년에 린뱌오는 극도로 내성적이고 고립되어 책이나 신문조차 읽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멍하니 앉아 보내거나 자신의 건강 문제에 대해 불평하는 데 보냈다고 전해진다.[85]
=== 권력 부상과 국방부장 임명 ===
건강 문제에도 불구하고 린뱌오의 정치적 지위는 점차 상승했다. 1950년대 초 중국 중남부 지역의 민정 및 군사 책임자 중 한 명이었으며, 1953년 가오강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심을 받기도 했다.[48] 1958년에는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이자 당 부주석 중 한 명으로 선출되었다.[50]
1959년 루산 회의에서 국방부장이었던 펑더화이가 마오쩌둥의 대약진 운동 정책을 비판하자, 마오쩌둥은 펑더화이를 숙청하고 그 자리에 린뱌오를 임명했다.[18] 린뱌오는 비공개적으로 펑더화이에게 동의했고 그의 숙청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자신도 숙청될 것을 두려워하여 공개적으로는 마오쩌둥의 결정에 동조하며 펑더화이를 "야심가, 음모가, 위선자"라고 맹비난했다.[51][52]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마오쩌둥의 경제 정책으로 수천만 명이 기아로 사망하는 인위적인 기근이 발생했음에도,[54] 린뱌오는 마오쩌둥을 가장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고위 지도자가 되었으며, 1962년 7천 간부 회의에서도 마오쩌둥을 적극 옹호했다.[53][55]
=== 국방부장 시기 활동 ===

국방부장이 된 린뱌오는 인민해방군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군대 내 계급 제도를 폐지하고, 소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간주되는 군 간부들을 숙청했으며, 군인들이 생산 노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했다. 무엇보다 마오쩌둥 사상 학습을 강화하여 군에 대한 당의 통제를 확고히 하고, 정치장교의 권한을 대폭 강화했다.[56][50] 린뱌오는 마오쩌둥을 기쁘게 하기 위해 이러한 개혁을 실시했지만, 비공개적으로는 이것이 인민해방군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실제로 그렇게 되었다).[67] 마오쩌둥은 이러한 개혁에 크게 만족하며 린뱌오를 더욱 신임했다.[18]
린뱌오는 국방부장직을 이용하여 마오쩌둥 개인숭배를 체계적으로 조장했다. 그는 인민해방군을 동원하여 여러 선전 운동을 기획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1963년 시작된 "레이펑 배우기 운동"이다.[59] 또한 마오쩌둥의 주요 저작과 연설을 발췌하여 『마오 주석 어록』(일명 '작은 빨간 책')을 편찬하여 군대는 물론 전국적으로 보급했다.[63]
1965년에는 린뱌오의 이름으로 『인민전쟁 승리 만세!』라는 장문의 글이 발표되었다.[61] 이 글은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등 제3세계를 '세계의 농촌'으로, 서구 선진국들을 '세계의 도시'로 비유하며, 농촌이 도시를 포위하여 최종적으로 승리한다는 마오쩌둥 사상의 혁명 전략을 제시했다. 이 글은 린뱌오를 마오쩌둥 사상의 주요 이론가 중 한 명으로 부상시켰다.[62][50] 같은 해, 마오쩌둥은 예군에게 린뱌오를 대신하여 참모총장 뤄루이칭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도록 요청했고, 뤄루이칭이 숙청된 후 린뱌오는 예군에게 화를 냈지만 결과를 바꾸지는 못했다.[60]
린뱌오가 추진한 군 개혁과 1962년 중-인도 국경 분쟁에서의 승리는 마오쩌둥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후 "인민해방군을 배우자"는 구호 아래 군의 정치화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이는 곧이어 불어닥칠 문화대혁명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63]
2. 4. 마오쩌둥의 후계자
1959년 루산 회의에서 국방부장 펑더화이가 대약진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하자, 마오쩌둥은 그를 해임하고 린뱌오를 새로운 국방부장으로 임명했다.[99] 이 사건으로 펑더화이는 정치적으로 몰락했고, 린뱌오는 권력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린뱌오는 국방부장 취임 후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에도 임명되어 군권을 장악하였다.[99]펑더화이가 소련식 군대 정예화와 현대화를 추구했던 것과 달리, 린뱌오는 마오쩌둥의 뜻에 따라 군 내에서 "연안 정신"의 부활을 강조하고 마오쩌둥 사상에 기반한 정치 교육을 강화했다.[99] 그는 군인들이 마오쩌둥 사상에 절대적으로 복종하도록 만들었으며, 이를 위해 1959년 인민해방군용 『마오쩌둥어록』의 편집과 간행을 지시했다.[99] 이 책은 1964년 증보판이 간행될 때 린뱌오의 서문이 추가되었고,[100] 문화대혁명이 시작되면서 일반 대중에게도 대량으로 보급되었다. 린뱌오의 이러한 조치들은 문화대혁명 시기 군대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반이 되었다.[99] 또한 1965년 5월에는 군의 계급 제도를 폐지하였다.[100]
1962년 중인국경분쟁에서 린뱌오의 지휘 아래 중국군이 인도군을 상대로 승리하고, 당내에서도 린뱌오가 류사오치에 맞서 마오쩌둥을 확고히 지지하자 마오쩌둥의 신임은 더욱 깊어졌다. 1962년 7천인 대회에서 대약진 운동의 실패로 마오쩌둥이 비판받는 상황에서도 린뱌오는 공개적으로 마오쩌둥을 옹호했다.[55]
1965년, 베트남 전쟁 개입 문제와 관련하여 당시 총참모장 뤄루이칭이 소련과의 관계 개선 및 현대 무기 도입을 주장하자, 린뱌오는 "인민전쟁" 노선을 강조하며 소련을 "배신자"로 규정하고 뤄루이칭을 비판했다. 결국 뤄루이칭은 그해 12월 군 지도부에서 축출되었다.[100] 린뱌오는 마오쩌둥의 인격 숭배를 적극적으로 조장했으며,[58] 1963년 "레이펑에게 배우자" 운동과 같은 전국적인 선전 운동을 기획하고 실행했다.[59] 1965년에는 그의 이름으로 『인민전쟁의 승리 만세!』라는 소책자가 발표되어, 그를 마오쩌둥 정치 이론의 주요 해석자 중 한 명으로 부각시켰다.[62]
1966년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자 린뱌오는 마오쩌둥의 가장 강력한 지지자로 부상했다. 국가주석 류사오치가 "자본주의의 길을 걷는 자"로 비판받고 실각하면서 린뱌오는 마오쩌둥의 유력한 후계자로 떠올랐다. 그는 이 자리를 피하려 했으나 마오쩌둥의 강력한 의지로 결국 수락하게 되었다.[18] 비공식적으로는 류사오치와 덩샤오핑의 숙청에 반대했지만, 공개적으로는 마오쩌둥의 노선에 동조했다.[96] 1966년 유일한 당 부주석으로 임명된 후,[57] 그는 마오쩌둥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모든 공식 석상에서 『마오쩌둥어록』을 손에 들고 마오쩌둥 곁을 지켰다.[65]
부주석이 된 후에도 린뱌오는 실질적인 정치 활동에는 소극적이었으며, 문화대혁명 자체에 대해서도 개인적인 자리에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67] 그는 "세 가지 '아니오': 책임 없음; 제안 없음; 범죄 없음"이라는 원칙으로[68] 문화대혁명의 격랑 속에서 자신을 보호하려 했다. 그러나 1966년에는 홍위병들에게 "사구 타파"를 지시하고,[69] 군사 학교의 수업 중단과 문화대혁명 참여를 독려하는 등[70] 혼란을 부추기기도 했다. 1967년 마오쩌둥이 군의 개입을 통해 홍위병의 과격 행동을 제지하려 할 때까지 린뱌오는 홍위병을 지지했다.[69] 이 과정에서 많은 군 간부들이 숙청되고 군의 전투력은 약화되었다.[70]

문화대혁명 초기에는 장칭과 협력했지만, 장칭이 군사 문제에 간섭하려 하면서 1968년부터 관계가 악화되었다.[73] 또한 미국 및 소련과의 관계를 놓고 저우언라이와 대립했는데, 린뱌오는 두 초강대국 모두를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저우언라이는 소련의 위협에 맞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다.[74] 1969년 3월 진보섬 사건 당시 국방부장으로서 소련에 대한 강경 대응을 주도하며 군 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려 했다.[75]

1969년 4월 중국 공산당 제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린뱌오는 마오쩌둥의 "가장 가까운 전우이자 후계자"로 공식 인정받았고, 이는 당 규약에도 명시되었다.[76] 이 대회에서 선출된 정치국 위원 21명 중 린뱌오 파벌은 6명으로 가장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으며, 중앙위원회 위원의 45% 이상이 군 출신으로 채워져 그의 권력은 마오쩌둥 다음으로 막강해졌다.[77] 린뱌오와 그 지지자들은 국방력 강화와 제3전선 건설 운동을 강력히 추진했다.[78]

그러나 1970년 8월 루산에서 열린 제9기 중앙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린뱌오의 권력 강화에 불안감을 느낀 마오쩌둥은 그를 견제하기 시작했다. 린뱌오가 국가주석직 부활과 마오쩌둥의 취임을 제안했지만, 마오쩌둥은 이를 린뱌오의 권력 강화 시도로 의심하고 거절했다.[76] 마오쩌둥은 린뱌오의 핵심 측근인 천보다를 공격하여 숙청함으로써 린뱌오에게 경고를 보냈다.[79] 이 사건 이후 마오쩌둥과 린뱌오 사이의 불신은 깊어졌다. 마오쩌둥은 린뱌오에게 자아비판을 요구했지만 린뱌오는 이를 거부했고,[65] 1971년 7월 마오쩌둥은 린뱌오와 그의 지지 세력을 제거하기로 결심했다. 저우언라이의 중재 노력도 실패로 돌아가면서[81] 린뱌오의 정치적 몰락은 가시화되었다.

2. 5. 몰락
군부의 강한 지지를 받으며 점차 세력을 키워가던 린뱌오를 마오쩌둥은 경계하기 시작했고, 그를 제거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했다.1971년 9월, 마오쩌둥은 남부 지역을 시찰하며 공개적으로 린뱌오를 비판했다. 이를 자신에 대한 제거 신호로 해석한 린뱌오는 중화인민공화국 공군 작전부 부부장이었던 아들 린리궈(林立果, 1945년 ~ 1971년 9월 13일)와 함께 마오쩌둥 암살 및 쿠데타를 계획했다. 이 계획은 암호명 571 프로젝트(五七一工程)로 알려졌는데, 중국어로 숫자 '5-7-1'(五七一|wǔqīyī중국어)의 발음이 '무장 봉기'(武裝起義|wǔzhuāng qǐyì중국어)와 유사했기 때문이다.[79] 그러나 예상과 달리 마오쩌둥이 베이징으로 일찍 복귀하면서 쿠데타는 미수에 그쳤다.
쿠데타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자 린뱌오는 아내 예췬, 아들 린리궈 등 가족 및 측근들과 함께 서둘러 산하이관 공항에서 호커 시들리 트라이던트 1E 여객기(중국민항 소속 B-256)를 타고[105][84] 소련으로 망명을 시도했다. 그러나 1971년 9월 13일 새벽, 항공기는 연료 부족으로[84] 몽골 헨티주 이데르멕 솜(온드르항 부근) 상공에서 추락하여 린뱌오를 포함한 탑승자 9명 전원이 사망했다.[82][85] 이 사건은 린뱌오 사건 또는 9.13 사건으로 불린다.

린뱌오의 갑작스러운 쿠데타 시도, 망명, 그리고 죽음을 둘러싼 정확한 진상은 여전히 많은 의문점을 남기고 있다.[83] 중국 정부의 공식 발표는 연료 부족으로 인한 추락이지만, 탈출을 저지하려던 측근들 간의 기내 총격설, 소련의 미사일 격추설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되었다.[102] 망명 소식을 들은 마오쩌둥은 "비는 내리고, 과부는 시집간다. 내버려 두라"(天要下雨,娘要嫁人,由他去吧중국어)고 말하며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102][43] 서방 학계에서는 마오쩌둥의 가장 가까운 동맹이자 후계자였던 린뱌오가 갑자기 허술한 쿠데타를 시도하고 소련으로 망명하려 했다는 공식 설명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65] 1971년 소련의 법의학 조사와 1994년 서구 학자들의 조사 결과, 추락사한 시신 중에 린뱌오 일가족이 포함된 것은 확인되었으나, 추락 당시 비행기가 소련 영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비행 중이었다는 점,[87] 린뱌오가 사망 직전 대만의 국민당과 접촉을 시도했다는 주장[87] 등은 사건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린뱌오 사후,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을 중심으로 한 사인방 세력이 실권을 장악하면서 린뱌오는 "자산계급 야심가, 음모가, 반역자, 매국노"로 공식 규정되었다.[103] 그의 모든 공적과 당직은 박탈되었으며, 그와 공자를 함께 비판하는 비림비공 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다. 이후 덩샤오핑이 집권하면서 문화대혁명 시기 박해받았던 류사오치나 펑더화이 등 많은 인물들이 복권되었지만, 문화대혁명을 주도했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린뱌오는 복권되지 못했다.
3. 평가
1949년 이후 린뱌오는 계속해서 건강 악화에 시달렸고, 고위 군사 및 정치 직책을 피하려 했다. 그의 지위 때문에 1950년대 대부분 동안 여러 고위직에 임명되었지만, 이는 대부분 명예직이었고 책임은 거의 없었다. 그는 일반적으로 건강 악화를 이유로 자신에게 할당된 많은 공식적인 정치적 책임을 위임하거나 소홀히 했다.[18]
1938년 입은 부상이 평생에 걸친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43] 그의 정확한 병명은 그의 의료 기록이 공개된 적이 없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마오쩌둥의 주치의 중 한 명이었던 리즈수이(李志綏) 박사는 린뱌오가 신경쇠약과 건강염려증을 앓았다고 믿었다. 그는 땀을 흘릴 때마다 아팠고 물, 바람, 추위,[44] 빛, 소음에 대한 공포증을 앓았다.[4] 전통 중국화에서 강과 바다를 보면 불안해하고 설사를 했는데, 흐르는 물소리에도 설사가 유발될 수 있었다.[44] 리즈수이의 린뱌오의 상태에 대한 설명은 중국 공식 발표와 현저히 다르다.
다른 연구에서는 린뱌오가 분열성 인격 장애 환자에게서 볼 수 있는 증상과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그가 보여준 무관심, 사회적 관계에 대한 무관심, 비밀스러움, 감정적 냉담 등의 인격 특성은 모두 분열성 인격 장애를 앓는 사람들에게서 볼 수 있는 증상과 매우 유사했다. 문화대혁명의 격변하는 정치적 상황과 함께 린뱌오의 인격 문제는 그의 직책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45]
린뱌오는 심한 두통에 시달렸고, 자신의 여가 시간 대부분을 중국 의학 서적을 참고하고 자신을 위한 전통 중국 약을 준비하는 데 보냈다. 그는 불면증에 시달렸고, 종종 수면제를 복용했다.[46] 그는 간단한 식사를 하고, 담배를 피우지 않았고, 술을 마시지 않았다.[44] 그의 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목욕이나 과일 섭취를 거부했다. 바람과 빛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의 사무실은 어둡고 환기가 되지 않았다. 어떤 기록에서는 린뱌오가 아편[4]이나 모르핀 중독자가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1953년 초 소련 의사들은 린뱌오가 조울증을 앓고 있다고 진단했다. 린뱌오의 아내인 예군은 이 진단을 거부했지만, 나중에 중국 의사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린뱌오의 허약한 건강은 그를 취약하고 수동적이며, 특히 예군 자신과 같은 다른 정치 인물들에게 쉽게 조종당하게 만들었다.[44]
린뱌오의 불만은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면서 악화되었다. 사망 전 몇 년 동안 린뱌오의 아들의 약혼녀는 린뱌오가 극도로 소원해지고 사회적, 정치적으로 고립되어 책이나 신문조차 읽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그의 수동성 때문에 그와 의미 있는 수준에서 소통하기가 어려웠다. "보통 그는 그냥 멍하니 앉아 있었다." 린뱌오가 드물게 활동하는 기간에는 대부분 자신의 다양한 건강 문제에 대해 불평하고 치료를 구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85]
린뱌오는 딸 두두(豆豆)와 다른 딸 하나를 남겼다.[18] 린뱌오나 그의 가족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모든 군 관계자(중국 고위 군 지휘부의 대부분)는 린뱌오가 사라진 지 몇 주 안에 숙청되었다.[84] 9월 14일, 저우언라이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에 중국 최고위급 군 관계자 4명을 즉시 직무에서 정직시키고 린뱌오와의 관계를 인정하는 자기비판을 제출하도록 명령했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 직후 린뱌오와 가까운 것으로 의심되는 93명이 체포되었고,[89] 린뱌오가 사라진 지 한 달 안에 1,000명이 넘는 중국 고위 군 관계자가 숙청되었다.[65] 린뱌오 지지자들에 대한 공식적인 숙청은 1973년 8월 제10차 중앙위원회가 종결할 때까지 계속되었다.[90] 이 사건은 마오쩌둥이 항상 절대적으로 옳았다는 당 내 신화의 종말을 알렸다.[84] 1971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국경절 기념 행사는 취소되었다.
린뱌오의 사망 소식은 1971년 10월 중순 중국공산당 모든 간부들에게, 그리고 11월에는 중국 국민들에게 발표되었다. 이 소식은 대중에게 충격과 혼란으로 받아들여졌다. 마오쩌둥은 특히 이 사건에 크게 동요했는데, 건강이 악화되고 우울증에 빠졌다. 1971년 말 그는 심각한 질병을 앓았고, 1972년 1월에는 뇌졸중을 겪고 응급 치료를 받았지만 건강 상태는 불안정했다. 마오쩌둥은 린뱌오가 지지했던 숙청된 몇몇 혁명 동지들을 그리워하게 되었고, 저우언라이가 베테랑 혁명가들을 광범위하게 복권시키고 (린뱌오의 책임으로 돌린) 문화대혁명의 과도한 측면을 일부 수정하려는 노력을 지지했다.[91] 린뱌오 지지자 숙청 이후 저우언라이는 중국에서 두 번째로 권력이 있는 인물로 린뱌오를 대체했고, 장칭과 그녀의 추종자들은 그를 대체할 수 없었다. 린뱌오의 지지 없이 장칭은 저우언라이가 미국과의 관계 개선이나 문화대혁명 중 숙청된 간부들의 복권 노력을 막을 수 없었다.[92] 린뱌오가 마오쩌둥의 후계자라는 당 헌법 조항은 1973년 8월 제10차 중앙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수정되지 않았다.[90]
중국 정부의 린뱌오와 그의 죽음에 대한 입장은 1971년 이후 10년 동안 여러 차례 바뀌었다. 1년 이상 당은 린뱌오 사망의 자세한 내용을 은폐하려고 시도했다. 그런 다음 정부는 사건의 일부 세부 사항을 발표하기 시작했고, 그 뒤 린뱌오 반대 선전 운동이 이어졌다. 1976년 마오쩌둥 사망 후 정부는 린뱌오에 대한 규탄을 확인했고, 일반적으로 린뱌오의 역사적 위치에 대한 논의를 중단했다.[93] 1970년대 내내 화궈펑을 포함한 중국공산당 고위 지도자들은 외국 대표들에게 린뱌오가 마오쩌둥 암살을 위해 KGB와 공모했다는 이야기를 퍼뜨렸다.[94]
1973년
참조
[1]
문서
Leung
[2]
문서
Lin
[3]
문서
Lazitch and Drachkovitch
[4]
문서
Lee
[5]
웹사이트
林 彪--资料中心--中国共产党新闻网
http://cpc.people.co[...]
[6]
문서
Barnonin and Yu
[7]
문서
Leung
[8]
문서
Barnouin and Yu
[9]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10]
문서
Hu Chi-hsi
[11]
문서
Hu Chi-hsi
[12]
문서
Hu Chi-hsi
[13]
문서
Hu Chi-hsi
[14]
문서
Salisbury
[15]
문서
Hu Chi-hsi
[16]
문서
Salisbury
[17]
문서
Snow
[18]
문서
Mackerras, McMillen, and Watson
[19]
문서
Snow
[20]
문서
Chang and Halliday
[21]
문서
Lee
[22]
문서
Lee
[23]
문서
Hannam and Lawrence
[24]
웹사이트
Lin Biao and Sun Weishi
http://ohsnapnews.co[...]
2013-06-04
[25]
문서
Zhang
[26]
문서
Leung
[27]
문서
Barnouin and Yu
[28]
문서
Lew
[29]
문서
Lew
[30]
문서
Lew
[31]
문서
Lew
[32]
문서
Lew
[33]
문서
Lew
[34]
문서
Lew
[35]
문서
Lew
[36]
서적
Lew
[37]
서적
Lew
[38]
서적
Lew
[39]
서적
Lew
[40]
서적
Lew
[41]
서적
Barnouin and Yu
[42]
서적
Tanner
[43]
서적
The Southern Tour: Deng Xiaoping and the Fight for China's Future
Bloomsbury Academic
[44]
서적
The Culture of Power
[45]
서적
Bringing the Inside Out: Health, Personality, Politics, and the Tragedy of Lin Biao
VDM Verlag
2008-01-01
[46]
서적
Hannam and Lawrence
[47]
서적
Barnouin and Yu
[48]
서적
Barnouin and Yu
[49]
서적
Domes
[50]
서적
Lee
[51]
서적
Hu Xingdou
[52]
서적
Barnouin and Yu
[53]
서적
Barnouin and Yu
[54]
서적
Yang
[55]
서적
Dictionary of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56]
서적
Biographical Notes
[57]
서적
The Culture of Power
[58]
서적
Tanner
[59]
서적
Ebrey
[60]
서적
The Culture of Power
[61]
서적
Teiwes and Sun
[62]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63]
서적
Han
[64]
서적
The Culture of Power
[65]
서적
Distorting History
[66]
서적
The Culture of Power
[67]
서적
The Culture of Power
[68]
서적
Hu Xingdou
[69]
서적
Barnouin and Yu
[70]
서적
China at War
[71]
문서
Robinson 1081
[72]
문서
Barnouin and Yu 236–237, 241–243
[73]
문서
Barnouin and Yu 272
[74]
문서
Ross 268
[75]
문서
Uhalley and Qiu 389
[76]
문서
Uhalley and Qiu 388
[77]
문서
Ross 269–270
[78]
서적
Mao's Third Front: The Militarization of Cold War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79]
문서
He 248
[80]
문서
Ross 270–272
[81]
문서
Qiu ''The Culture of Power''. 134–135
[82]
웹사이트
1971年9月13日 林彪叛国出逃坠机身亡
http://www.china.com[...]
2009-09-11
[83]
문서
Mackerras, McMillen, and Watson. 140
[84]
문서
He 249
[85]
문서
Hannam and Lawrence 2
[86]
문서
Ross 265
[87]
문서
Hannam and Lawrence 1
[88]
문서
Hannam and Lawrence 3–4
[89]
문서
Barnouin and Yu 275
[90]
문서
Barnouin and Yu 280
[91]
문서
Barnouin and Yu 275–276
[92]
문서
Ross 275–276
[93]
문서
Robinson 1080
[94]
문서
Pacepa
[95]
문서
Hu Chi-hsi 269
[96]
문서
Qiu ''The Culture of Power''. 78
[97]
문서
Barnouin and Yu 190
[98]
문서
North 2
[99]
서적
文化大革命と現代中国
岩波書店
1988
[100]
서적
文化大革命と現代中国
岩波書店
1988
[101]
서적
林彪―七億の軍師
新人物往来社
1969
[102]
논문
「毛沢東情結(コンプレックス)」と「北京情結(コンプレックス)」--当代中国の政治文化の根底の基本線・中軸線(中)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国際関係学会
2011-03
[103]
웹사이트
林彪の再評価を避ける歴代政権 民間では人気回復、増える像
https://www.sankei.c[...]
[104]
뉴스
【検証・文革半世紀 第4部(4)】林彪の再評価を避ける歴代政権 民間では人気回復、増える像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10-29
[105]
문서
트라이덴트는 1983년 5월 5일 중국민항 296편 불시착 사건 당시의 기종이기도 하다. 단, 춘천에 비상 착륙한 기종은 트라이덴트 2E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