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미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루미자리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항해사들이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페트뤼스 플란시우스가 도입한 별자리이다.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처음 수록되었으며, 국제천문연맹(IAU)에서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공식 인정되었다. 남쪽물고기자리에서 분리되어 만들어졌으며, 알파 두루미자리(알나이르)를 비롯한 밝은 별들과, IC 5148 행성상성운, 두루미자리 4중주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에서 '천학좌', 일본에서 '두루미'로 불린다. 17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별자리로, 그리스 로마 신화와 관련된 이야기는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루미자리 - HD 208487 b
- 두루미자리 - HD 207129
- 남반구의 별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비둘기자리
1679년 오귀스탱 루아예에 의해 큰개자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별자리로 인정받은 비둘기자리는 성경 속 노아의 비둘기를 상징하며, 2.65 등급의 가장 밝은 별 '팍트'와 궤도 이탈성인 뮤별, 그리고 NGC 1851, NGC 1792, NGC 1808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 별자리에 관한 - 이십팔수
이십팔수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황도를 따라 나눈 28개의 별자리 체계로, 천체 위치 측정, 시간 계산, 계절 예측 등에 활용되었으며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다. - 별자리에 관한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두루미자리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두루미자리 |
| 라틴어 이름 | Grus |
| 약자 | Gru |
| 소유격 | Gruis |
| 발음 | , 구어체:; 속격: |
| 상징 | 두루미 |
| 위치 | 남쪽 하늘 |
| 적경 | 21h 27.4m ~ 23h 27.1m |
| 적위 | -36.31° ~ -56.39° |
| 사분면 | SQ4 |
| 면적 | 366 평방도 |
| 면적 순위 | 45위 |
| 주요 별의 수 | 8 |
| Bayer/Flamsteed 별의 수 | 28 |
| 행성을 가진 별의 수 | 6 |
| 밝은 별의 수 | 3 |
| 가장 가까운 별 이름 | 글리제 832 |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광년) | 16.11 광년 |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파섹) | 4.94 파섹 |
| 메시에 천체 수 | 0 |
| 유성우 | 없음 |
| 인접 별자리 | 남쪽물고기자리 현미경자리 인디언자리 큰부리새자리 불사조자리 조각가자리 |
| 위도 (최대) | 34° |
| 위도 (최소) | 90° |
| 관측 가능 시기 | 10월 |
| 별 | |
| 가장 밝은 별 | α Gru (알나이르) |
| 별의 밝기 | 1.73 등급 |
| 기원 | |
| 별자리 그룹 | 바이어 |
2. 역사
두루미자리는 16세기 말 네덜란드의 항해가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와 프레데릭 더 하우트만이 남반구 항해 중 관측한 자료를 바탕으로 페트뤼스 플란시우스가 처음으로 도입하였다. 1598년 플란시우스가 요도쿠스 혼디우스와 함께 출판한 천구의에 처음 등장했으며,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성도 《우라노메트리아》에 처음 수록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수록된 이후, 한때 플라밍고를 의미하는 '포에니콥테루스(Phoenicopterus)'로 불리기도 했으나,[1] 현재는 두루미를 의미하는 '그루스(Grus)'로 굳어졌다. 17세기까지 두루미자리는 남쪽물고기자리의 일부로 여겨졌으며, 별자리의 별들에 붙여진 아라비아식 이름은 이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α별 알나이르는 아랍어로 "물고기 꼬리의 밝은 것"을 의미하고, γ별 알다나브는 "꼬리"를 의미한다.
2. 1. 동아시아의 역사
중국에서는 명나라 말기에 서양 천문학의 영향을 받아 '학(鶴)'이라는 성관으로 도입되었다. 이 별자리는 예수회 소속 아담 샬과 쉬광치 등이 편찬한 천문서 『숭정역서』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청나라의 천문서 『흠정의상고성』에도 같은 이름으로 등장한다.3. 특징
두루미자리는 남쪽물고기자리에서 분리되었다. 북쪽으로 남쪽물고기자리, 북동쪽으로 조각가자리, 동쪽으로 불사조자리, 남쪽으로 투칸자리, 남서쪽으로 고래자리, 서쪽으로 현미경자리와 접하고 있다. 바이어는 그의 저서 《우라노메트리아》에서 두루미자리를 만들기 위해 남쪽물고기자리의 꼬리를 곧게 폈다.[1] 366 평방 도를 덮고 있으며, 88개의 현대 별자리 중 크기 면에서 45위이며 밤하늘의 0.887%를 차지한다.[6] 1922년 국제천문연맹에서 채택한 별자리의 세 글자 약어는 "Gru"이다.[7] 1930년 벨기에 천문학자 외젠 조제프 들포르트에 의해 정해진 공식적인 별자리 경계는 6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정의된다. 적도 좌표계에서 이 경계의 적경 좌표는 와 사이에 있으며, 적위 좌표는 -36.31°와 -56.39° 사이에 있다.[8] 두루미자리는 영국 제도와 미국 북부의 관찰자들에게는 너무 남쪽에 위치해 관측이 불가능하지만, 플로리다나 샌디에이고에서는 쉽게 관측할 수 있다.[9] 별자리 전체는 위도 33°N 남쪽의 관찰자들에게 보인다.[10]
4. 주요 천체
두루미자리는 밝은 별과 여러 심원 천체를 포함하고 있다. 두루미자리 α(알나이르), 두루미자리 β(티아키), 두루미자리 γ(알 다나브)는 각각 1.73등급, 2.07등급, 3.0등급의 밝은 별이다.
IC 5148은 두루미자리 람다 근처에 있는 행성상성운이다. NGC 7552, 7582, 7590, 7599 등은 봉황자리 쪽에 가까운 은하들이다.
1756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두루미자리의 별들에 알파부터 파이까지 이름을 붙였다. 1879년, 미국의 천문학자 벤자민 애프토프 골드는 카파, 뉴, 옴미크론, 시를 추가했다. 원래 현미경자리에 있었던 시 그루이스는 골드에 의해 두루미자리에 포함되었고, 라카유가 너무 희미하다고 판단한 시그마는 제외되었다.[12]
4. 1. 항성
두루미자리 α(알나이르): 1.73등급의 별로, 두루미자리에서 가장 밝은 청백색 주계열성이다. 알나이르라는 이름은 "밝은 자"를 의미한다.[14] 광도가 태양의 약 380배이며, 지름은 태양의 3배 이상이다.[14]두루미자리 β(티아키): 2.07등급의 붉은색 적색 거성이며, 변광성이다.[17] 최소 등급은 2.3, 최대 등급은 2.0이다.[17] 2017년 9월에는 투아모투어에서 유래된[15] 티아키라는 고유 명칭이 인증되었다.
두루미자리 γ(알다나브): 3.0등급의 청백색 준거성이다.[19] 핵심 수소 융합을 마치고 냉각과 팽창을 시작하여 적색 거성으로 변환될 것이다.[20] 알다나브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고 있다.
HD 208487: 태양계에서 약 146 광년 거리에 있는 G형 또는 F형 주계열성으로, 2개의 외계 행성이 확인되었다. 주성은 Itonda, 외계 행성 b는 Mintome으로 명명되었다.
그 외에도 여러 쌍성과 변광성이 존재한다. 주요 쌍성과 변광성은 다음과 같다.
| 항성 이름 | 구성 | 특징 |
|---|---|---|
| 델타 그루이스 | 델타1과 델타2 | 쌍성 |
| 델타1 | 분광형 G7III, 등급 4.0의 황색 거성 | |
| 델타2 | 분광형 M4.5III의 적색 거성이며, 겉보기 등급이 3.99에서 4.2 사이인 반규칙 변광성 | |
| 무 그루이스 | 무1과 무2 | 쌍성 |
| 무1 | 등급 4.8의 황색 거성 | |
| 무2 | 등급 5.11의 황색 거성 | |
| 파이 그루이스 | 파이1과 파이2 | 쌍성 |
| 파이1 | 분광형 S5의 반규칙 변광성 적색 거성으로, 191일 주기로 등급 5.31에서 7.01 사이를 오감 | |
| 파이2 | 분광형 F3III-IV의 거성 | |
| 세타 그루이스 | 쌍성 | |
| RZ 그루이스 | 백색 왜성과 주계열성 | 고양이자리 UX 변광성 하위 그룹 |
| CE 그루이스 | 백색 왜성과 도너 별 | 극성 |
6개의 별 시스템이 행성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항성 이름 | 특징 |
|---|---|
| 타우1 그루이스 | 등급 6.0의 황색 별, 2002년에 행성 동반자 발견 |
| HD 215456, HD 213240, WASP-95 | 두 개의 행성을 가진 황색 태양과 같은 별들 |
| 글리제 832 | 분광형 M1.5V, 겉보기 등급 8.66의 적색 왜성, 2008년에 목성과 같은 행성인 글리제 832 b 발견 |
| WISE 2220−3628 | 분광형 Y의 갈색 왜성 |
S5-HVS1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별이다. 이 별은 궁수자리 A*와 상호 작용한 후 은하 밖으로 밀려났을 수 있다.[42]
4. 2. 심원 천체
IC 5148은 두루미자리 람다 근처에 있는 행성상성운으로, '예비 타이어 성운'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46] 이 성운은 약 3,000 광년 거리에 있으며 초당 50킬로미터로 팽창하는데, 이는 모든 행성상 성운 중에서 가장 빠른 팽창 속도 중 하나이다.[46]두루미자리 4중주는 NGC 7552, NGC 7590, NGC 7599, NGC 7582로 구성된, 서로 상호작용하는 네 개의 은하군이다.[48][49] 이 중 세 은하 (NGC 7590, NGC 7599, NGC 7582)는 하늘에서 10 각분 이내의 좁은 면적에 모여 있어 '두루미자리 삼중주'라고도 불리지만, 네 은하 모두 IC 1459 두루미자리 은하군의 일부이다.[60] NGC 7552와 NGC 7582는 활발한 별 폭발 활동을 보이는데, 이는 은하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조석력 때문으로 추정된다.[49]
NGC 7424는 겉보기 등급 10.4의 막대 나선 은하이다.[52] 약 3,75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지름이 약 10만 광년이고, 뚜렷한 나선 팔을 가지고 있어 은하수와 유사한 구조로 여겨진다.[53] NGC 7424에서는 두 개의 초고광도 X선원과 하나의 초신성(SN 2001ig)이 관측되었다.[54] SN 2001ig는 IIb형 초신성으로 분류되며, 분광형 F, A 또는 B형의 거대한 별이 울프-레이에 별로 추정되는 SN 2001ig의 동반성으로 존재한다.[56]
NGC 7213은 알나이르 근처에 위치한 1형 세이퍼트 은하로, 지구로부터 약 7,170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12.1이다.[57][58]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평범해 보이지만, 장파장 관측에서는 은하 충돌이나 병합의 흔적이 나타나며, 이온화된 수소로 이루어진 64,000 광년 길이의 가스 필라멘트 구조를 보인다.[57] 이 은하는 10개의 은하군에 속해 있다.[59]
NGC 7410은 1834년 10월 존 허셜이 발견한 나선 은하로, 겉보기 등급은 11.7이며 지구에서 약 1억 2,200만 광년 떨어져 있다.[60]
5. 신화


17세기에 만들어진 별자리이므로, 관련된 그리스 로마 신화는 없다.[1]
두루미자리를 이루는 별들은 원래 인접한 남쪽 물고기자리의 일부로 여겨졌으며, 감마 두루미자리는 물고기 꼬리의 일부로 여겨졌다.[1] 이 별들은 천문학자 페트루스 플란시우스가 네덜란드 탐험가 피터 디르크존 키이저와 프레데릭 데 호우트만의 남쪽 하늘 관측을 바탕으로 12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면서 처음으로 별개의 별자리로 정의되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Gr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4-02-08
[2]
웹사이트
Bayer's Southern Star Chart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3-08-18
[3]
웹사이트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3-08-15
[4]
서적
Exploring the Night Sky with Binocular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5]
서적
Night Skies of Aboriginal Australia: a Noctua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Sydney
1998
[6]
서적
The Star Atlas Companion: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Constel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7]
간행물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922
[8]
간행물
Grus, Constellation Boundary
http://www.iau.org/p[...]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3-11-19
[9]
서적
Stargazing: Astronomy Without a Telescop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0]
웹사이트
Constellations: Andromeda–Ind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4-04-01
[11]
간행물
On Frederick de Houtman's Catalogue of Southern Stars, and the Origin of the Southern Constellations
1917
[12]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2003
[13]
웹사이트
Alpha Gruis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12-01
[14]
웹사이트
Al Nair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3-12-01
[15]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8-07-30
[16]
웹사이트
Beta Gruis – Pulsating Variable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12-01
[17]
웹사이트
Beta Gruis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3-12-01
[18]
서적
The Constellations: An Enthusiast's Guide to the Night Sky
Aurum Press
1991
[19]
웹사이트
Gamma Grui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3-12-04
[20]
웹사이트
Al Dhanab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3-12-04
[21]
웹사이트
HR 8556 – Star in double system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1-19
[22]
웹사이트
Delta Gruis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4-01-26
[23]
웹사이트
Delta 2 Gruis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09-08-25
[24]
웹사이트
Mu Gruis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4-01-26
[25]
웹사이트
HR 8486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1-19
[26]
웹사이트
HR 8488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1-19
[27]
웹사이트
Pi 1 Gruis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1-06-20
[28]
웹사이트
Pi1 Gruis – S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1-19
[29]
간행물
The close circumstellar environment of the semi-regular S-type star π 1 Gruis
http://hal.archives-[...]
2008
[30]
웹사이트
LTT 8994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1-19
[31]
간행물
Far Ultraviolet Spectroscopy of Three Long Period Nova-Like Variables
2012
[32]
간행물
RZ Gru – A UX UMa 'disc star'
1984
[33]
웹사이트
UX Ursae Majoris
http://www.aavso.org[...]
2010-07-17
[34]
간행물
First X-ray Observations of the Polar CE Gru
2002
[35]
웹사이트
Tau1 Gruis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2-11
[36]
논문
An Exoplanet in Orbit around τ1 Gruis
2003
[37]
arXiv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XXIV. Occurrence, Mass Distribution and Orbital Properties of Super-Earths and Neptune-mass Planets
2011
[38]
논문
Four New Wide Binaries Among Exoplanet Host Stars
2005
[39]
논문
Transiting Hot Jupiters from WASP-South, Euler and TRAPPIST: WASP-95b to WASP-101b
2014
[40]
논문
A Jupiter-like Planet Orbiting the Nearby M Dwarf GJ832
[41]
논문
Further Defining Spectral Type "Y" and Exploring the Low-mass End of the Field Brown Dwarf Mass Function
[42]
뉴스
A Black Hole Threw a Star Out of the Milky Way Galaxy - So long, S5-HVS1, we hardly knew you.
https://www.nytimes.[...]
2019-11-18
[43]
논문
Discovery of a nearby 1700 km/s star ejected from the Milky Way by Sgr A*
2019-11-11
[44]
뉴스
Bizarre Star Found Hurtling Out of Our Galaxy Centre Is Fastest of Its Kind Ever Seen
https://www.sciencea[...]
2019-11-18
[45]
뉴스
Fastest star ever found is being flicked out of the Milky Way
https://newatlas.com[...]
2019-11-18
[46]
웹사이트
From Cosmic Spare Tyre to Ethereal Blossom
http://www.eso.org/p[...]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2014-02-06
[47]
웹사이트
Grus—An Elegant Starry Bird
http://www.mnassa.or[...]
The Astronomical Society of Southern Africa
2014-02-07
[48]
서적
1,001 Celestial Wonders to See Before You Die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LLC
2010
[49]
웹사이트
The Grus-Quartet
http://www.atnf.csir[...]
2014-01-28
[50]
논문
The Black Hole in IC 1459 from Hubble Space Telescope Observations of the Ionized Gas Disk
2000
[51]
웹사이트
IC 1459 – LINER-type Active Galaxy Nucleu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2-07
[52]
웹사이트
NGC 7424 – Galaxy in Group of Galaxie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2-04
[53]
APOD
Grand Spiral Galaxy NGC 7424
2014-02-04
[54]
논문
Multiband Study of NGC 7424 and its Two Newly-discovered ULXs
2006
[55]
논문
Spectropolarimetry of the Type IIb Supernova 2001ig*
2007
[56]
논문
A Post-mortem Investigation of the Type IIb Supernova 2001ig
2006
[57]
논문
The Discovery of a Giant Hα Filament in NGC 7213
https://cds.cern.ch/[...]
2001
[58]
웹사이트
NGC 7213 – Type 1 Seyfert Galaxy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4-02-05
[59]
논문
Dynamics of the Pavo-Indus and Grus Clouds of Galaxies
[60]
서적
Deep Sky Companions: Southern Gems
http://simbad.u-st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61]
웹인용
Obsolete Constellations: Phoenicopterus
http://www.pa.msu.ed[...]
2008-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