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뿌리 신경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뒤뿌리 신경절은 척수에서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지각 신경로에 위치한 신경절로,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체의 집합이다. 이 신경절은 가짜 단극 뉴런을 포함하며, 중추신경계의 신경핵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뒤뿌리 신경절 뉴런은 말초의 원위 과정에서 시작하여 세포체를 거쳐 척수 후각의 시냅스 종말에 도달하는 활동 전위를 갖는다. 신경세포체 외에도 위성세포가 존재하며, 미엘린 수초 형성 및 신경세포에 영양 공급 역할을 한다. 뒤뿌리 신경절은 척추사이 구멍에 위치하며, 통각 수용, 기계적 감각 수용, 시냅스 전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반사궁 회로 형성에 관여하며, 통증 전달 조절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뒤뿌리 신경절 | |
---|---|
일반 정보 | |
![]() | |
![]() | |
전구체 | 신경능선 |
설명 |
2. 구조
척수에서 배뿌리를 통해 나오는 운동신경로와 뒤뿌리를 통해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지각신경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뒤뿌리에만 신경절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신경절이란 중추신경 밖에 존재하며 특정 기능을 담당한 신경세포체(soma)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중추신경계에 있는 경우 신경핵이라고 불리며, 말초신경에 있는 경우 신경절이라 한다.
배근 신경절의 뉴런은 감각신경절로 이루어져 있다. 말초신경계의 축삭은 감각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한다. 신경의 종류는 위단형신경인데, 하나의 신경에 두개의 가지를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가지처럼 행동한다.
뒤뿌리 신경절을 구성하는 뉴런은 가짜 단극 뉴런 유형으로, 하나의 축삭처럼 작용하는 두 개의 가지가 있는 세포체를 가지고 있으며, 종종 ''원위 과정''과 ''근위 과정''이라고 불린다.
중추 신경계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뉴런과 달리, 뒤뿌리 신경절 뉴런의 활동 전위는 말초의 ''원위 과정''에서 시작하여 세포체를 우회하여 척수 후각의 시냅스 종말에 도달할 때까지 ''근위 과정''을 따라 계속 전파될 수 있다.
뒤뿌리 신경절 내부에는 신경세포체 말고도 그보다 작은 세포도 많이 존재한다. 이는 신경세포와 마찬가지로 신경능선에서 유래되었으며 위성세포라고 불린다. 이 세포는 중추의 신경아교세포나 말초 축삭 주위에 있는 슈반세포와 마찬가지로 미엘린 수초를 형성하거나 신경세포에 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2. 1. 신경세포
척수에서 배뿌리를 통해 나오는 운동신경로와 뒤뿌리를 통해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지각신경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뒤뿌리에만 신경절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신경절은 중추신경 밖에 존재하며 특정 기능을 담당한 신경세포체의 집합으로, 중추신경계에 있는 경우 신경핵이라고 불린다.배근 신경절의 뉴런은 감각신경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초신경계의 축삭은 감각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한다. 신경의 종류는 위단형신경인데, 하나의 신경에 두개의 가지를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가지처럼 행동한다.
뒤뿌리 신경절 내부에는 신경세포체 외에도 신경능선에서 유래된 위성세포가 존재한다. 이 세포는 중추의 신경아교세포나 말초 축삭 주위에 있는 슈반세포와 마찬가지로 미엘린 수초를 형성하거나 신경세포에 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축삭의 원위부는 노출된 신경 종말이거나 신경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조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다. ''원위 과정''의 신경 종말이 캡슐화되는 예로는 마이스너 소체와 파치니 소체가 있다.[3]
2. 2. 신경아교세포
뒤뿌리 신경절(배근 신경절)의 뉴런은 감각신경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초신경계의 축삭은 감각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한다. 신경절에는 신경세포체 외에도 작은 세포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신경능선에서 유래된 위성세포이다. 위성세포는 중추신경계의 신경아교세포나 말초 축삭 주위의 슈반세포처럼 미엘린 수초를 형성하거나 신경세포에 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2. 3. 위치
척수에서 배뿌리를 통해 나오는 운동신경로와 뒤뿌리를 통해 감각정보를 전달하는 지각신경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뒤뿌리에만 신경절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신경절이란 중추신경 밖에 존재하며 특정 기능을 담당한 신경세포체(soma)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중추신경계에 있는 경우 신경핵이라고 불리며, 말초신경에 있는 경우 신경절이라 한다.배근 신경절의 뉴런은 감각신경절로 이루어져 있다. 말초신경계의 축삭은 감각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한다. 신경의 종류는 위단형신경인데, 하나의 신경에 두개의 가지를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가지처럼 행동한다.
뒤뿌리 신경절 내부에는 신경세포체 말고도 그보다 작은 위성세포가 존재한다. 신경능선에서 유래되었으며, 중추의 신경아교세포나 말초 축삭 주위에 있는 슈반세포와 마찬가지로 미엘린 수초를 형성하거나 신경세포에 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뒤뿌리 신경절은 척추사이 구멍에 위치한다. 앞 및 뒤 척수 신경 뿌리는 뒤뿌리 신경절의 위치 바로 바깥쪽(가쪽)에서 합쳐진다.
3. 발생
신경세포는 발생 중 신경관 등쪽에 형성되는 부분에서 나온 세포가 양쪽으로 이동한 뒤 신경세포로 분화하면서 뒤뿌리 신경절이 된다. 신경절에 정착한 세포에서는 두 개의 평행한 신경돌기(neurite)가 나오는데, 그 돌기는 곧 두 방향으로 각각 늘어나게 된다. 한쪽 돌기는 척수를 향해 후근을 형성하면서 척수 내로 진입하여 척수 수질로 여러 중계핵에 접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계 없이 후삭을 상행하는 신경섬유도 있다. 다른 쪽 돌기는 반대편으로 늘어나 피부 등 여러 감각기와 결합한다. 이렇게 해서 후근신경절 세포는 말초 지각이 척수로 운반되는 정보의 중계점 역할을 하게 된다.
배뿌리 신경절은 신경 능선 세포에서 발생하며, 신경관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척수 신경절은 말초로 전이된 척수의 회색질로 간주될 수 있다.
4. 기능
4. 1. 통각 수용
프로톤 감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는 뒤뿌리 신경절 감각 뉴런에 의해 발현되며 산 유도 통각수용에 역할을 할 수 있다.[4]4. 2. 기계적 감각 수용
척수 뒤뿌리 신경절 뉴런의 신경 종말은 기계적, 열적, 화학적, 유해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다양한 감각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5] 이 감각 뉴런에서, 체성 감각 변환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이온 통로 그룹이 확인되었다. 기계적 자극에 의한 척수 뒤뿌리 신경절의 압박은 반응을 유발하는 데 필요한 전압 역치를 낮추고 활동 전위를 발생시킨다.[6] 이러한 발화는 자극 제거 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6]두 가지 뚜렷한 유형의 기계 수용성 이온 통로가 뒤뿌리 신경절 뉴런에서 발견되었다. 두 통로는 일반적으로 고역치(HT) 또는 저역치(LT)로 분류된다.[5] 이들은 서로 다른 역치뿐만 아니라 압력에 대한 감도도 다르다. 이들은 세포 골격과 세포 골격 관련 단백질의 적절한 기능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는 양이온 통로이다.[5] 이러한 통로가 뒤뿌리 신경절에 존재한다는 것은 다른 감각 뉴런에도 이러한 통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4. 3. 기계수용성 이온 통로
척수 뒤뿌리 신경절 뉴런의 신경 종말은 기계적, 열적, 화학적, 유해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는 다양한 감각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5] 이 감각 뉴런에서, 체성 감각 변환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이온 통로 그룹이 확인되었다. 기계적 자극에 의한 척수 뒤뿌리 신경절의 압박은 반응을 유발하는 데 필요한 전압 역치를 낮추고 활동 전위를 발생시킨다.[6] 이러한 발화는 자극 제거 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6]두 가지 뚜렷한 유형의 기계 수용성 이온 통로가 뒤뿌리 신경절 뉴런에서 발견되었다. 두 통로는 일반적으로 고역치(HT) 또는 저역치(LT)로 분류된다.[5]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은 서로 다른 역치뿐만 아니라 압력에 대한 감도도 다르다. 이들은 세포 골격과 세포 골격 관련 단백질의 적절한 기능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는 양이온 통로이다.[5] 이러한 통로가 뒤뿌리 신경절에 존재한다는 것은 다른 감각 뉴런에도 이러한 통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고역치 채널은 통각 수용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은 척수 후근 신경절 세포의 더 작은 감각 신경세포에서 주로 발견되며, 더 높은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이는 통각 수용기의 특징이다.[5] 또한 HT 채널의 역치는 PGE2(기계적 자극에 대한 신경세포의 민감성을 높이고 기계적 과민성을 유발하는 화합물)가 있을 때 낮아지는데, 이는 HT 채널이 기계적 자극을 통각 신경 신호로 전달하는 데 역할을 한다는 것을 더욱 뒷받침한다.[5][6][7]
4. 3. 1. 고역치 기계수용성 채널
고역치 채널은 통각 수용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은 척수 후근 신경절 세포의 더 작은 감각 신경세포에서 주로 발견되며, 더 높은 압력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이는 통각 수용기의 특징이다.[5] 또한 HT 채널의 역치는 PGE2(기계적 자극에 대한 신경세포의 민감성을 높이고 기계적 과민성을 유발하는 화합물)가 있을 때 낮아지는데, 이는 HT 채널이 기계적 자극을 통각 신경 신호로 전달하는 데 역할을 한다는 것을 더욱 뒷받침한다.[5][6][7]4. 4. 시냅스 전 조절
척수 내 뒤뿌리 신경 종말 방전의 시냅스 이전 조절은 특정 유형의 GABAA 수용체를 통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유형의 종말에 존재하지 않는 글리신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서는 발생하지 않는다.[8] 따라서 GABAA 수용체는 시냅스 이전적으로 통각 및 통증 전달을 조절할 수 있지만, 글리신 수용체는 그렇지 않다.[8]5. 반사궁
후근신경이 척수 내에서 연합신경을 통해 운동신경에 결합함으로써 반사궁 회로가 형성된다. 후근신경은 여러 종류의 피부 지각(열통각, 촉각, 식별각, 심부 지각) 외에 힘줄(골지힘줄기관)이나 근방추로부터의 고유수용성감각 등에 관한 다양한 신경을 포함하는 집단이다.
6. 임상적 의의
6. 1. 한국의 연구 동향
참조
[1]
웹사이트
Ganglion
https://www.physio-p[...]
2021-05-15
[2]
웹사이트
The Major Afferent Pathway for Mechanosensory Information: The Dorsal Column-Medial Lemniscus System
https://www.ncbi.nlm[...]
2018-05-30
[3]
서적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McGraw-Hill
[4]
논문
Nociceptors of dorsal root ganglion express proton-sensing G-protein-coupled receptors
http://ntur.lib.ntu.[...]
[5]
논문
Mechanosensitive ion channels in cultured sensory neurons of neonatal rats
[6]
논문
The effects of mechanical compression and hypoxia on nerve root and dorsal root ganglia. An analysis of ectopic firing using an in vitro model
[7]
논문
Hyperalgesia due to nerve injury: Role of prostaglandins
[8]
논문
Gephyrin Clusters Are Absent from Small Diameter Primary Afferent Terminals Despite the Presence of GABAA Receptors
2014-06
[9]
웹인용
The Major Afferent Pathway for Mechanosensory Information: The Dorsal Column-Medial Lemniscus System
https://www.ncbi.nlm[...]
2018-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