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치신경얼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엉치신경얼기는 허리엉치신경얼기의 일부로, 첫째 엉치신경의 앞갈래, 둘째와 셋째 엉치신경 앞갈래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 신경얼기는 궁둥구멍근과 골반 근막 앞의 골반 뒤쪽에 위치하며, 궁둥신경, 위볼기신경, 아래볼기신경 등 다양한 신경을 형성한다. 엉치신경얼기는 허리신경얼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엉치신경얼기에서 분지된 신경들은 둔부, 다리, 발, 골반 부위의 근육과 피부 감각을 지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얼기 - 팔신경얼기
팔신경얼기는 팔의 감각, 운동, 고유수용성감각 기능을 담당하는 신경 네트워크로, 손상은 교통사고나 신생아에게서 발생하며, MRI 촬영과 상지 수술 마취에 활용된다. - 신경얼기 - 점막밑신경얼기
점막밑신경얼기는 19세기 마이스너 교수가 기술한 소화관 벽 내 신경얼기로, 소장 상장간막동맥 주변 부교감신경에서 분지되어 점막하층에 위치하며, 신경절을 포함하고 점막근판 및 점막층으로 신경 섬유를 뻗어 소화관 상피 세포의 분비를 조절한다. - 척수신경 - 음부신경얼기
- 척수신경 - 뒤뿌리 신경절
뒤뿌리 신경절은 척수에서 뻗어 나온 감각 신경 섬유가 지나가는 통로에 위치한 말초신경계의 신경세포체 집합으로, 감각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하고 통각 및 통증 전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하반신의 신경 - 폐쇄신경
폐쇄신경은 허리신경얼기에서 시작하여 골반을 거쳐 넓적다리 안쪽으로 연결되는 신경으로, 다리 안쪽 피부 감각과 다리 모음근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며, 무릎이나 요도 수술 시 신경 차단술에 활용되고, 일부 사람들에게는 부폐쇄신경이 존재할 수 있다. - 하반신의 신경 - 얕은종아리신경
얕은종아리신경은 다리의 피부 감각과 근육 운동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으로, 안쪽발등피부신경과 중간발등피부신경으로 나뉘어 발등 피부 감각을 담당하며, 긴종아리근과 짧은종아리근을 지배하고 손상 시 발등 젖힘 능력 상실 및 감각 저하를 유발하여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엉치신경얼기 | |
---|---|
개요 | |
이름 | 엉치신경얼기 |
라틴어 이름 | plexus sacralis |
영어 이름 | sacral plexus |
구조 | |
기원 | L4-L5, S1-S4 |
분포 | 볼기 샅 부위 다리 |
가지 | 위볼기신경 아래볼기신경 뒤넙다리피부신경 궁둥신경 음부신경 |
그림 | |
![]() | |
![]() |
2. 구조
엉치신경얼기는 다음 신경들에 의해 형성된다.
- 허리엉치신경얼기
- 첫째 엉치신경의 앞갈래
- 둘째, 셋째 엉치신경 앞갈래의 일부
엉치신경얼기를 형성하는 신경들은 큰궁둥구멍 아랫부분을 향해 모여 납작한 띠 모양으로 합쳐진다. 이 띠는 궁둥신경으로 이어지며, 넓적다리 뒤쪽에서 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으로 갈라진다. 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은 간혹 신경얼기에서 따로 갈라져 나오기도 하며, 해부 시 이 두 신경의 독립성을 확인할 수 있다.
엉치신경얼기와 허리신경얼기는 종종 허리엉치신경얼기라는 하나의 큰 신경얼기로 합쳐서 불리며, 허리엉치신경줄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가지는 피부가지와 근육가지(근피지)로 나뉜다. 근육가지는 외측관골근, 대퇴굴근, 하퇴 및 발의 모든 근육, 회음근을 지배하며, 피부가지는 둔부, 대퇴 뒤쪽, 하퇴 및 발, 외음부의 피부에 분포한다.
2. 1.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
엉치신경얼기는 궁둥구멍근과 골반 근막 앞쪽의 골반 뒤에 위치한다. 앞쪽에는 속엉덩동맥, 속엉덩정맥, 요관, 구불결장이 있다. 위볼기동맥과 정맥은 허리엉치줄기와 첫 번째 엉치신경 사이로 지나가고, 아래볼기동맥과 정맥은 두 번째와 세 번째 엉치신경 사이로 지나간다.3. 형성되는 신경
엉치신경얼기는 허리엉치신경줄기, 첫째 엉치신경의 앞가지, 그리고 둘째와 셋째 엉치신경 앞가지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엉치신경얼기를 형성하는 신경들은 큰궁둥구멍 아랫부분을 향해 모여 납작한 띠 모양으로 합쳐진다. 이 띠는 궁둥신경으로 이어지며, 넙다리 뒤쪽에서 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으로 갈라진다. 이 두 신경은 때때로 신경얼기에서 따로따로 나오기도 하며, 해부를 통해 그 독립성을 확인할 수 있다.
허리신경얼기와 엉치신경얼기는 종종 허리엉치신경얼기라고 불리는 하나의 큰 신경얼기로 합쳐져서 언급된다. 허리엉치신경줄기는 이 두 신경얼기를 연결한다.
3. 1. 세부 가지
셋째엉치신경을 제외하고 엉치신경얼기로 들어가는 신경은 모두 배쪽과 등쪽 갈래로 나뉘며, 이렇게 들어간 척수신경들이 형성한 신경얼기에서 갈라져 나오는 신경들은 아래 표와 같다.신경 | 분절 | 지배 근육 | 피부 가지 |
---|---|---|---|
위볼기신경 | L4-S1 | 중간볼기근, 작은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 | |
아래볼기신경 | L5-S2 | 큰볼기근 | |
뒤넙다리피부신경 | S1-S3 | 아래볼기피부신경, 뒤넙다리피부신경 샅가지 | |
궁둥구멍근신경 | S1-2 | 궁둥구멍근 | |
속폐쇄근신경 | L5, S1-2 | 속폐쇄근, 위쌍동근 | |
넙다리네모근신경 | L4-5, S1 | 넙다리네모근, 아래쌍동근 | |
궁둥신경 | L4-S3 | 반막근, 반힘줄근, 넙다리두갈래근, 큰모음근의 안쪽 일부 (넙다리두갈래근만 온종아리신경 성분이, 나머진 정강신경 성분이 분포) | |
온종아리신경 | L4-S2 | 가쪽장딴지피부신경 | |
정강신경 | L4-S3 | 장딴지근, 가자미근, 장딴지빗근, 오금근, 뒤정강근, 긴엄지굽힘근, 긴발가락굽힘근 | 안쪽장딴지피부신경, 가쪽발등피부신경, 안쪽발꿈치가지 |
관통피부신경 | S2-S3 | ||
음부신경 | S2-S4 | 항문올림근, 바깥항문조임근, 바깥요도조임근, 궁둥해면체근, 망울해면체근 | |
골반내장신경 | S2-S4 | 속요도조임근 |
4.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2006
[2]
서적
Thieme Atlas of Anatomy
2006
[3]
논문
Thieme Atlas of Anatomy: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Thieme Atlas of Anatomy: Neck and Internal Organs
http://dx.doi.org/10[...]
2008-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