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래곤 (잡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래곤(Dragon)은 TSR사가 1976년 창간한 롤플레잉 게임 잡지이다. 던전 앤 드래곤(Dungeons & Dragons)을 비롯한 다양한 게임의 규칙, 몬스터, 마법 아이템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포가튼 렐름(Forgotten Realms) 캠페인 배경을 처음 소개하는 등 롤플레잉 게임 발전에 기여했다. TSR 시대를 거쳐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 파이조 퍼블리싱을 거쳐 온라인 및 디지털 형태로 발행되었으며, 2022년 Dragon+를 마지막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진스상 수상작 - 던전 & 드래곤
    《던전 & 드래곤》은 플레이어들이 주사위와 상상력을 사용하여 판타지 세계를 모험하는 롤플레잉 게임으로, 던전 마스터가 스토리를 진행하고 플레이어들은 캐릭터를 조종하여 퀘스트를 수행하며, 다면체 주사위와 캐릭터 성장 시스템을 통해 풍부한 게임 경험을 제공하며 롤플레잉 게임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리진스상 수상작 -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는 1999년에 출시된 턴제 전략 비디오 게임으로, 인류가 알파 센타우리 행성에 식민지를 건설하는 근미래를 배경으로 하며, 플레이어는 7개의 세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행성을 탐험하고, 기지를 건설하며, 다른 세력과 경쟁하여 승리 조건을 달성해야 한다.
드래곤 (잡지)
기본 정보
드래곤 300호 표지
300호
종류롤플레잉 게임 잡지
발행 국가미국
언어영어
발행 빈도월간
ISSN1062-2101
웹사이트드래곤 매거진 공식 웹사이트
출판사 정보
회사TSR / WotC / Paizo
발간 정보
첫 발행더 스트래티직 리뷰 (The Strategic Review)
1975년 3월
더 드래곤 (The Dragon)
1976년 6월
마지막 발행인쇄본: 2007년 9월
디지털: 2013년 12월
마지막 호수인쇄본: 359호
디지털: 430호
편집자
편집자팀 캐스크
제이크 자켓
킴 모한
로저 E. 무어
볼프강 바우어
피어스 B. 워터스
앤서니 J. 브라이언트
데이브 그로스
제시 데커
크리스 토마슨
매튜 서넷
에릭 모나
크리스 영스
스티브 윈터

2. 역사

1975년 TSR사는 롤플레잉 게임과 워 게임을 다루는 ''The Strategic Review'' 잡지를 창간했다. 그러나 던전 앤 드래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TSR은 이듬해 해당 잡지를 폐간하고 롤플레잉 게임 전문 잡지인 ''The Dragon''을 1976년 6월에 새롭게 창간했다. TSR의 공동 창립자 게리 기각스는 이 잡지가 세계적인 게임 애호가들을 위한 간행물이 될 것이라 기대했지만, 예상보다 훨씬 큰 성공과 오랜 기간 발행될 줄은 몰랐다고 회고했다.[34]

''드래곤'' 잡지는 던전 앤 드래곤의 새로운 규칙, 주문, 몬스터, 마법 아이템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소개하는 주요 창구 역할을 했다. 대표적으로 에드 그린우드가 기고한 글을 통해 처음 소개된 포가튼 렐름 캠페인 설정은 이후 던전 앤 드래곤의 핵심 세계관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1997년,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가 TSR과 ''드래곤'' 잡지를 포함한 지적 재산을 인수했으며, 1999년에는 해즈브로가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를 인수했다. 이후 2002년부터 2007년까지는 파이조 퍼블리싱이 라이선스를 받아 잡지를 발행했다.

2007년,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인쇄판 발행을 중단하고 온라인으로 전환할 계획을 발표했으며,[30] 같은 해 9월 마지막 인쇄판이 발행되었다. 이후 D&D 인사이더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으로 발행되다가,[35] 2015년에는 ''Dragon+''라는 새로운 디지털 앱 매거진 형태로 명맥을 이어갔다.[3] 그러나 이 역시 2022년 4월 41호를 마지막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19][20]

2. 1. TSR 시대 (1976년 ~ 1997년)

1975년, TSR, Inc.는 ''The Strategic Review''라는 잡지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당시 롤플레잉 게임은 여전히 워게임 산업의 하위 장르로 여겨졌고, 이 잡지는 ''던전 & 드래곤''과 TSR의 다른 게임들을 지원하면서 워게임 전반을 다루도록 기획되었다. 그러나 ''던전 & 드래곤''의 인기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 게임이 워게임의 뿌리에서 벗어나 완전히 새로운 산업을 형성했음이 분명해졌다.

이에 TSR은 7호까지만 발행하고 이듬해 ''The Strategic Review''를 중단했다. 대신 미니어처 워게임을 다루는 ''리틀 워즈''와 롤플레잉 게임을 전문으로 하는 ''드래곤''이라는 두 개의 잡지로 나누어 발행하기 시작했다. ''리틀 워즈''는 12호 발행 후 독립적인 발행을 중단했고, 13호는 ''드래곤'' 22호의 일부로 발행되었다.[5]

''드래곤''은 1976년 6월에 창간되었다.[6] TSR의 공동 설립자 게리 기각스는 훗날 당시를 회상하며 "''The Strategic Review''가 적절한 수단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팀 카스크를 편집자로 고용하고 새 출판물을 ''드래곤''이라 이름 지었을 때, 전 세계 게임 애호가들에게 도움이 될 훌륭한 정기 간행물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지만, "이렇게 큰 성공이나 긴 수명을 예상하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7]

''드래곤''은 이후 ''던전 & 드래곤'' 게임의 공식 제품에 포함된 다양한 규칙, 주문, 몬스터, 마법 아이템 및 기타 아이디어들을 처음 선보이는 중요한 창구가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에드 그린우드가 1980년대 ''드래곤''에 연재한 기사들을 통해 처음 소개된 포가튼 렐름 캠페인 배경을 들 수 있다. 이 배경은 1987년부터 ''던전 & 드래곤''의 주요 공식 캠페인 세계 중 하나가 되었다. 잡지는 1980년 7월부터 표지에 단순히 ''드래곤''(Dragon)으로 표기되기 시작했으며,[8] 1987년 11월부터는 ''Dragon Magazine''으로 제호를 변경했다.[9] 이 시기는 TSR이 잡지를 발행하던 때로, 1997년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에 인수되기 전까지 이어진다.

2. 2.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 시대 (1997년 ~ 2007년)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1997년에 TSR과 《드래곤 매거진》을 포함한 지적 재산을 인수했다.[10] 이후 제작은 위스콘신 주에서 워싱턴 주로 이전되었다. 1999년,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해즈브로에 인수되었다. 《드래곤 매거진》은 236호와 237호 사이에 5개월의 공백이 있었지만, 1997년 9월부터 WotC의 자회사인 TSR에 의해 계속 발행되었고,[11] 2000년 1월 WotC가 사실상의 발행인으로 등재될 때까지 이어졌다.[12] 2000년 6월 호부터 표지 제목에서 "magazine"이라는 단어를 제거하여 출판물 이름을 다시 단순히 《드래곤》으로 변경했다.[13]

1999년에는 처음 250호의 내용을 담은 CD-ROM 합본판인 《드래곤 매거진 아카이브》가 특별 뷰어를 갖춘 PDF 형식으로 출시되었다. 여기에는 《The Strategic Review》의 7개 호가 포함되어 있다. 《드래곤 매거진 아카이브》는 수년간 《드래곤》에 게재되었던 다양한 만화의 재판 권리에 관한 2001년 《그린버그 대 내셔널 지오그래픽》 판결과 만화 제작자가 저작권을 유지한다는 파이조 퍼블리싱의 정책으로 인해 절판되었다.[14] 이러한 만화에는 《Wormy》, 《What's New with Phil & Dixie》, 《Snarf Quest》, 《Knights of the Dinner Table》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14] 이는 TSR의 첫 번째 호에서 "여기에 출판된 모든 자료는 반대의 특별한 합의가 없는 한 출판사의 독점 재산이 된다"는 자체 진술에서 다루어지고 있다.[6]

2002년, 파이조 퍼블리싱은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로부터 《드래곤》과 《던전》 두 잡지의 출판권을 라이선스했다. 그 결과 《드래곤》 잡지는 지원 기사가 게재되거나, 에이지 오브 웜즈, 새비지 타이드와 같은 여러 호에 걸친 큰 모험이 촉진되면서 《던전》 잡지에 가까워졌다. 매달 1~2 페이지가 게재된 "클래스 액츠"는 특정 캐릭터 클래스를 파고드는 아이디어를 말하는 기사였으며, 파이조에 의해 도입되었다.

2007년 4월 18일,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드래곤》 잡지와 《던전》 잡지에 관한 파이조의 라이선스를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의 던전 앤 드래곤 시니어 브랜드 매니저인 스콧 라우스는 "오늘날 사람들은 이러한 종류의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다. 온라인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전 세계 팬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30] 파이조 퍼블리싱은 2007년 9월에 《드래곤》, 《던전》 두 잡지의 마지막 인쇄판을 출판했다.

2007년 8월,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던전 앤 드래곤 제4판에 관한 계획의 일환으로, 새로운 온라인 판의 《던전》 잡지와 《드래곤》 잡지이며, 구독자는 이에 수반되는 캠페인 구축, 캐릭터 시트 관리, 기타 기능들을 가진 툴들을 이용할 수 있는 D&D 인사이더의 발행을 발표했다.[35] 이 온라인 형태에서 《드래곤》 잡지는 던전 앤 드래곤 플레이어를 위한 기사(이 기사에서 규칙과 데이터를 D&D 캐릭터 빌더 및 다른 온라인 툴에 입력할 수 있다)를 계속 출판할 것이다.

2. 3. 파이조 퍼블리싱 시대 (2002년 ~ 2007년)

2002년, 페이조 퍼블리싱(Paizo Publishing)은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Wizards of the Coast)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아 ''드래곤''(Dragon)과 ''던전''(Dungeon)의 출판 권리를 획득했다. 이에 따라 ''드래곤''은 2002년 9월부터 페이조에서 출판되기 시작했다.[15]

페이조 퍼블리싱 체제 하에서 ''드래곤''은 ''던전'' 잡지와의 연계를 강화했다. ''Age of Worms''(에이지 오브 웜스)나 ''Savage Tide''(새비지 타이드)와 같이 여러 호에 걸쳐 진행되는 주요 어드벤처 캠페인을 지원하고 홍보하는 기사를 게재하며 ''던전''과의 시너지를 추구했다.

또한, 페이조는 '클래스 액츠'(''Class Acts'')라는 월간 코너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 코너는 특정 캐릭터 클래스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플레이어들에게 캐릭터 개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한두 페이지 분량의 기사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2007년 4월 18일,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파이조와의 라이선스를 갱신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30] 이에 따라 파이조 퍼블리싱은 2007년 9월호를 마지막으로 ''드래곤''과 ''던전'' 잡지의 인쇄판 발행을 중단했다.

2. 4.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 온라인 시대 (2007년 ~ 2013년)

2007년 4월 18일,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파이조와의 ''드래곤'' 및 ''던전'' 잡지에 대한 출판 라이선스를 갱신하지 않고, 대신 온라인으로 발행 방식을 전환한다고 발표했다.[1] 이에 따라 파이조는 2007년 9월호를 마지막으로 두 잡지의 인쇄본 발행을 중단했다.

같은 해 8월,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던전 & 드래곤 4판 출시 계획과 함께 새로운 온라인 구독 서비스인 ''D&D 인사이더''를 공개했다. 이 서비스에는 ''드래곤''과 ''던전'' 잡지의 새로운 온라인 버전이 포함되었으며, 캠페인 구축, 캐릭터 시트 관리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했다.[16] 온라인으로 발행되는 ''드래곤''은 계속해서 ''던전 & 드래곤'' 플레이어들을 위한 기사를 제공했으며, 기사에 포함된 규칙 데이터는 D&D 캐릭터 빌더와 같은 온라인 도구와 연동되어 활용될 수 있었다.

온라인 발행은 몇 년간 지속되었으나, 2013년 9월 발행된 ''드래곤'' 427호에서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의 게임 디자이너이자 편집자인 크리스 퍼킨스는 중요한 발표를 했다. 그는 ''드래곤''과 자매지인 ''던전''이 2014년 1월부터 던전 & 드래곤스 5판 출시를 준비하며 휴간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17] 이에 따라 ''드래곤''의 마지막 온라인 버전은 2013년 12월에 발행된 430호가 되었다.

2. 5. Dragon+ 시대 (2015년 ~ 2022년)

2015년 4월 30일, 새로운 완전 디지털 격월간 간행물인 ''Dragon+''가 출시되어,[3] 기존의 ''드래곤''과 ''던전'' 잡지를 계승했다. 이 온라인 에디션은 Dialect가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와 협력하여 제작했으며, 이전 잡지들과의 연속성을 중단하고 호수 번호를 1번부터 다시 시작했다.

''Dragon+''는 자체를 앱으로 브랜딩하며, "배경 이야기 및 세계 정보에서부터 좋아하는 D&D 제품의 제작자 및 개발자가 다음에 무엇을 내놓을지에 대한 논의까지, 던전 앤 드래곤의 새로운 소식을 보여주는" 콘텐츠를 제공했다.[18] 기사에는 게임 전략 및 통찰력, 현재 D&D 스토리라인의 세부 정보, 인터뷰, 진행 중인 코믹 시리즈, 로어, 포가튼 렐름 세계 정보, 커뮤니티 업데이트 및 팬 제출물, 비디오 등 다양한 콘텐츠가 포함되었다. 잡지의 추가 콘텐츠는 페이스북 및 트위터 피드의 잡지 콘텐츠 링크를 통해 접근할 수도 있었다.

''Dragon+''는 총 41개의 호로 발행되었으며 마지막 호는 2022년 4월에 발행되었다.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는 2022년 7월에 간행물 중단을 발표하는 업데이트를 게시했고,[19] 2022년 11월 15일에는 "''Dragon+''는 11월 15일 전후로 앱 스토어에서 제거될 예정이며, dragonmag.com은 리디렉션되고 콘텐츠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을 것"이라고 공지했다.[20]

3. 내용

드래곤 잡지는 주로 판타지롤플레잉 게임 전반을 다루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TSR이나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가 제작한 롤플레잉 게임, 특히 던전 & 드래곤(D&D)에 초점을 맞춘 기관지 성격이 강해졌다. 다른 회사 게임에 대한 내용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잡지의 주요 내용은 D&D 게임 플레이를 위한 보충 자료들이었다. 새로운 상급 클래스, 종족, 몬스터 등을 소개하는 기사가 많았고, 플레이어들의 질문에 공식 답변을 제공하는 '세이지 어드바이스' 코너나 플레이어와 던전 마스터를 위한 조언 기사도 꾸준히 실렸다. 이는 때때로 동료 플레이어와의 관계 같은 게임 외적인 문제를 다루기도 했다.

창간호부터 2000년 274호까지는 다양한 버전의 D&D와 다른 게임 시스템 기사를 다루었으나, 이후 3판 D&D 또는 d20 시스템 기반 게임 콘텐츠 위주로 변경되었다. D&D 3.5판(309호부터), 4판(364호부터) 출시에 맞춰 해당 버전 내용만 다루었으며, 한때 "100% 공식 ''던전 & 드래곤''"이라는 표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판타지 소설(단편 또는 발췌문)이나 서평(판타지, SF 소설 및 관련 영화 포함)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나, 1990년대 이후 소설 게재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만화가 연재되었으며, 초기에는 롤플레잉 모험 시나리오나 간단한 보드 게임 같은 부록이 포함되기도 했다. 이러한 부록 제공은 D&D 모험 시나리오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던전지가 창간된 이후 드물어졌다.

다양한 던전 & 드래곤 관련 논란이 발생했을 때는 TSR의 입장을 반영하는 기사를 싣기도 했다.

3. 1. 기사

게임 업계에서 가장 유명한 작가, 게임 디자이너 및 아티스트 다수가 이 잡지에 작품을 게재했다. 잡지가 발행되는 동안 대부분의 기간 동안 단편 소설이나 소설 발췌문과 같은 판타지 소설을 자주 실었으나, 1990년대 이후 소설 게재는 상대적으로 드물어졌다. 늦은 예시로, 305호에서는 조지 R. R. 마틴휴고상 후보작인 소설 ''까마귀의 향연''의 발췌문을 실었다. 또한 판타지 및 SF 소설의 서평을 실었으며, 때때로 톰 행크스 주연의 TV 영화 ''메이즈스 앤 몬스터스''와 같이 특별한 관심이 있는 영화에 대한 서평도 게재했다.

잡지 창간호부터 2000년 8월 274호까지, ''드래곤''은 다양한 버전의 ''던전 & 드래곤''(D&D)과, 때때로 다른 게임 시스템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다. 274호부터 ''드래곤''은 3판 ''D&D'' 콘텐츠 또는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의 d20 시스템 게임에서 출판한 다른 게임에 대한 콘텐츠만을 게재했다. 2003년 7월 3.5판 업데이트가 출시되면서 309호부터는 3.5판 콘텐츠만 게재되었고, "100% 공식 ''던전 & 드래곤''"이라는 제호가 실렸다. 2008년 6월 4판이 출시되면서 364호부터는 4판 ''D&D'' 콘텐츠만 게재되었다.

잡지의 대부분의 기사는 새로운 프리스티지 클래스, 종족, 그리고 몬스터를 포함하여 ''D&D''에 대한 보충 자료를 제공했다. 오랫동안 연재된 칼럼인 ''현자의 조언''(Sage Advice영어)은 플레이어가 제출한 ''던전 & 드래곤'' 질문에 대한 공식적인 답변을 제공했다. 다른 기사들은 플레이어와 던전 마스터(DM)에게 팁과 제안을 제공했으며, 때로는 동료 플레이어들과의 관계와 같은 메타 게임 문제를 논의하기도 했다.

''드래곤''의 "○○의 생태"(Ecology of...영어) 기사는 D&D에 등장하는 특정 몬스터를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초기에는 가상의 현자 엘민스터의 목소리로 작성되어 몬스터의 섭식, 번식 등 생태를 설명했다. 파이조(Paizo) 재임 기간 동안 이러한 생태 기사는 내러티브와 설명("플러프")보다 게임 시스템상의 해설("크런치")에 더 비중을 두게 되었다.[36] ''드래곤'' 제출 지침은 생태계 기사가 "사냥꾼의 안내서 접근 방식을 가져야 하지만 '목소리로' 작성되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하고 기사의 정확한 형식을 규정하여 작가의 재량을 줄였다.

인쇄판 종료 시점에 잡지에는 다음 4개의 만화가 연재되었다.

  • Nodwick영어
  • Dork Tower영어
  • Zogonia영어
  • 웹 코믹 ''The Order of the Stick영어''의 특별판


이전에는 다음과 같은 게이머 중심 만화 스트립이 연재되었다.

  • Knights of the Dinner Table영어
  • Finieous Fingers영어
  • What's New with Phil & Dixie영어
  • Wormy영어 (by David A. Trampier)
  • Yamara영어
  • SnarfQuest영어


1980년대 초, 거의 모든 호에 역할 놀이 모험, 간단한 보드 게임 또는 판지 오려내기 성과 같은 특수 게임 부록이 포함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톰 왬의 ''Snit's Revenge영어'', ''The Awful Green Things from Outer Space영어'', ''File 13 (board game)|File 13영어''는 모두 ''드래곤'' 내의 부록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보너스 기능은 각 호에 여러 개의 새로운 ''던전 & 드래곤'' 모험을 게재한 ''Dungeon'' 잡지가 1986년에 창간된 후 드물어졌다.

1980년대에 TSR이 SPI를 인수한 후, 잡지에는 SPI의 동명 잡지를 기반으로 한 ''Ares Magazine''이라는 하위 섹션이 있었다. 이 섹션은 SF슈퍼히어로 롤플레잉 게임을 전문으로 다루었으며, 페이지 테두리가 회색으로 표시되었다. 콘텐츠에는 TSR의 ''Marvel Super-Heroes'' 게임을 위한 마블 유니버스의 다양한 캐릭터에 대한 설명 등이 포함되었다.

''드래곤''은 판타지와 롤플레잉 게임 전반을 다루었지만, 점차 TSR(이후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가 제작한 롤플레잉 게임, 특히 D&D에 초점을 맞춘 기관지 성격이 강해졌다. 다른 회사의 게임에 대한 취급은 대부분 미미했다. 또한, 다양한 Dungeons & Dragons controversies|던전 & 드래곤 논란영어 시기에는 TSR의 입장을 반영하는 기사를 게재하기도 했다.

3. 2. 만화

인쇄판 발행 종료 시점에는 4개의 만화가 연재되었다. 이는 노드윅, 도크 타워, 조고니아(Zogonia), 그리고 웹코믹인 The Order of the Stick의 특별판이다. 이전에는 나이츠 오브 더 디너 테이블, 파이너스 핑거스, 왓츠 뉴 위드 필 앤 디키, 워미, 야마라, 스나프퀘스트와 같은 인기 있는 게이머 지향적 연재 만화가 실렸다.

3. 3. 소설 및 기타

게임 업계의 저명한 작가, 게임 디자이너, 아티스트 다수가 이 잡지에 작품을 기고했다. 잡지 발행 기간 대부분 동안 단편 소설이나 소설 발췌문 같은 판타지 소설을 자주 실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로는 소설 게재 빈도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후기의 예시로는 305호에 조지 R. R. 마틴휴고상 후보작 소설인 까마귀의 향연 발췌문이 실린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판타지 및 SF 소설 서평을 실었으며, 때때로 톰 행크스 주연의 TV 영화 미로 속의 괴물들처럼 특별한 관심사가 되는 영화에 대한 서평도 게재했다.

1980년대에 TSR이 SPI를 인수한 후, 드래곤에는 SPI가 발행했던 동명의 잡지를 기반으로 한 아레스 매거진(Ares Magazine영어)이라는 섹션이 신설되었다. 이 섹션은 SF슈퍼히어로 롤플레잉 게임을 전문적으로 다루었으며, 지면에는 회색 테두리가 인쇄되어 구분되었다. 여기에는 TSR의 마블 슈퍼 히어로스 롤플레잉 게임을 위한 마블 유니버스 소속 여러 캐릭터들의 능력치 평가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

오랫동안 연재된 정기 코너 중 하나는 "몬스터의 생태" 기사였다. 이 코너에서는 엘민스터라는 가상의 현자가 던전 앤 드래곤 세계관의 특정 몬스터를 상세히 탐구하며, 그들의 섭식, 번식 및 기타 활동 방식을 설명했다. 파이조 출판사에서 라이선스를 받아 발행하던 시기에는 이러한 생태 기사가 게임 시스템상의 규칙 해설("크런치")과 배경 이야기 및 묘사("플러프")로 나뉘어 제공되어 내용이 더욱 심도 깊어졌다.[36]

1980년대 초반, 드래곤 각 호에는 롤플레잉 모험 시나리오, 간단한 보드 게임, 혹은 판지로 된 성을 조립하는 페이퍼 크래프트와 같은 특별 게임 부록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톰 왬이 디자인한 스닛의 복수(Snit's Revenge영어), 더 오플 그린 씽스 프롬 아우터 스페이스(The Awful Green Things From Outer Space영어), 파일 13(File 13영어) 등은 모두 드래곤의 부록으로 처음 소개되었다. 이러한 부록 제공은 1986년에 매호 새로운 던전 앤 드래곤 모험 시나리오를 여러 편씩 게재하는 던전지가 창간된 이후 드물어졌다.

4. 특별호

''드래곤'' 창간 이전에 ''The Strategic Review''가 7호 발행되었다. ''드래곤'' 초창기에는 ''The Strategic Review''와 ''드래곤''에서 호평받은 기사를 재수록한 "Best of the Dragon" 5호가 출판되었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드래곤''은 매년 13번째 호로, 모든 내용이 새로운 기사로 구성된 "드래곤 연감"을 출판했다.

5. 역대 편집장

'''출판 버전'''

호수편집장직책
1-34호티모시 J. 카스크 (Timothy J. Kask)편집장
35-48호제이크 자켓 (Jake Jaquet)편집장
49-114호, 199-217호킴 모한 (Kim Mohan)편집장 (49-114호), 편집 주간 (199-217호)
115-198호로저 E. 무어 (Roger E. Moore)편집장
218-221호볼프강 바우어 (Wolfgang Baur)편집장
222-238호피어스 B. 와터스 (Pierce B. Watters)편집 주간
222-229호앤서니 J. 브라이언트 (Anthony J. Bryant)편집장
230-273호, 274-287호데이브 그로스 (Dave Gross)편집장 (230-273호), 편집 주간 (274-287호)
288-311호제시 데커 (Jesse Decker)편집 주간
312-315호크리스 토마슨 (Chris Thomasson)편집 주간
316-326호매튜 세르네트 (Matthew Sernett)편집 주간
327-359호에릭 모나 (Erik Mona)편집 주간



'''디지털 (온라인/PDF) 버전'''

호수편집장직책
360-387호크리스 영스 (Chris Youngs)편집 주간
388-430호스티브 윈터 (Steve Winter)편집 주간
드래곤+ 1-7호맷 채프먼 (Matt Chapman)편집장
드래곤+ 8-13호존 홀리한 (Jon Houlihan)편집장
드래곤+ 14-현재맷 채프먼 (Matt Chapman)편집장


6. 수상

''드래곤 매거진''과 ''드래곤+''는 여러 차례 오리진 어워드와 ENNIE 어워드를 수상했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상 이름수상 부문
1984년오리진 어워드1984년 최고의 전문 롤플레잉 잡지[22]
1986년오리진 어워드1985년 최고의 전문 롤플레잉 잡지
1987년오리진 어워드1987년 특별 공로상[23]
1990년오리진 어워드1989년 최고의 전문 어드벤처 게임 잡지[24]
1994년오리진 어워드1993년 최고의 전문 게임 잡지
1995년오리진 어워드1994년 최고의 전문 게임 잡지, 어드벤처 게임 명예의 전당[25]
2004년오리진 어워드2003년 최고의 게임 관련 정기 간행물[26]
2006년ENNIE 어워드최고의 부록 (골드 수상, Dragon Compendium Vol. 1)[27]
2007년오리진 어워드2006년 올해의 논픽션 출판물


참조

[1] 웹사이트 Paizo Publishing to Cease Publication of DRAGON and DUNGEON https://web.archive.[...] 2007-04-19
[2] 웹사이트 Dragon and Dungeon Transition http://paizo.com/tra[...] 2007-03-20
[3] 웹사이트 DRAGON+ Let the Adventure Begin https://web.archive.[...] Wizards of the Coast 2015-04-30
[4] 웹사이트 Wizards of the Coast Quietly Cancels Dragon+ Magazine https://comicbook.co[...]
[5] 간행물 Dragon Rumbles https://archive.org/[...] TSR Periodicals 1979-02
[6] 문서 The Dragon https://archive.org/[...] 1976-06
[7] 간행물 Profiles: Gary Gygax https://archive.org/[...] Wizards of the Coast 1998-06
[8] 문서 Dragon https://archive.org/[...] 1980-07
[9] 문서 Dragon https://archive.org/[...] 1987-11
[10]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Dragons (& Dungeons) https://web.archive.[...] 2020-03-31
[11] 문서 Dragon https://archive.org/[...] 1997-09
[12] 문서 Dragon https://archive.org/[...] 2000-01
[13] 문서 Dragon https://archive.org/[...] 2000-06
[14] 문서 "Where's Wormy?" Thread http://paizo.com/thr[...] Art Director Dragon and Dungeon magazines
[15] 문서 Dragon https://archive.org/[...] 2002-09
[16] 웹사이트 Unofficial 4th Edition News Page https://web.archive.[...] EN World 2007-08-16
[17] 잡지 Going Dark https://archive.org/[...] 2013-09
[18] 문서 Dragon+ Issue 14 https://web.archive.[...] 2017-08-18
[19] 웹사이트 Wizards of the Coast Quietly Cancels Dragon+ Magazine https://comicbook.co[...] 2022-12-04
[20] 웹사이트 Update for Dragon+ Users http://www.dndbeyond[...] 2022-11-22
[21] 웹사이트 Dragon Writers Guildines http://paizo.com/wri[...]
[22] 웹사이트 The 1984 Origins Awards https://web.archive.[...] Game Manufacturers Association
[23] 웹사이트 The 1987 Origins Awards https://web.archive.[...] Game Manufacturers Association
[24] 웹사이트 The 1989 Origins Awards https://web.archive.[...] Game Manufacturers Association
[25] 웹사이트 The 1994 Origins Awards - Presented at Origins 1995 https://web.archive.[...] Academy of Adventure Gaming Arts & Design 2019-07-29
[26] 웹사이트 Origins Award Winners (2003) https://web.archive.[...] Academy of Adventure Gaming Arts & Design 2007-12-06
[27] 웹사이트 The ENnie Awards -- 2006 Awards https://web.archive.[...] 2022-04-19
[28] 웹사이트 Pyramid: Pyramid Pick: Dragon Magazine Archive CD-ROM http://www.sjgames.c[...] 2020-04-20
[29] 웹사이트 Backstab Magazine (French) Issue 19 https://archive.org/[...]
[30] 웹사이트 Paizo Publishing to Cease Publication of DRAGON and DUNGEON http://www.wizards.c[...] 2009-03-23
[31] 웹사이트 Dragon and Dungeon Transition http://paizo.com/tra[...] 2009-03-23
[32] 문서 Dragon online issues index http://www.wizards.c[...]
[33] 문서 これはザ・ドラゴン誌の22号と24号の論説による。
[34] 간행물 Profiles: Gary Gygax ウィザーズ・オブ・ザ・コースト
[35] 웹사이트 Unofficial 4th Edition News Page http://www.enworld.o[...] EN World 2009-03-23
[36] 간행물 「ドラゴン誌」原稿指針では生態記事は「ハンターのためのガイドブック的な取り組みをするべきであるが、’意見’の形で描くべきではない」、そして生態記事の更なる厳格な構成が指示が記述され、著者には美術的なライセンスの余地がわずかに残されているだけであった。 http://paizo.com/w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