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는 1975년 필리핀 디나카트섬에서 처음 발견된 붓꼬리구름쥐속의 설치류이다. 야행성이며 수목 생활을 하는 이 종은 1975년 수집된 표본 외에는 오랫동안 발견되지 않아 멸종 위기에 놓여 있었으나, 2012년 살아있는 개체가 재발견되었다. 종소명 'australis'는 남부를 의미하며, 필리핀 남부에서 발견되는 붓꼬리구름쥐속의 유일한 종임을 나타낸다.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는 중간 크기의 붓꼬리구름쥐속 종으로, 담황색과 오렌지색을 띠며, 꼬리가 몸통보다 길다. 서식지 파괴와 광산 개발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여 있으며, 보존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5년 기재된 포유류 - 비트마모셋
비트마모셋은 검은 털, 흰색 뺨과 이마 무늬, 고리 모양 꼬리를 가진 수액을 주식으로 하는 사회적 원숭이로, 키메리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협력적 육아 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맹금류, 고양이과 동물, 뱀 등이 주요 천적이다. - 1985년 기재된 포유류 - 타위타위숲쥐
필리핀 타위타위섬에 서식하는 타위타위숲쥐는 짧고 부드러운 털을 가진 짙은 갈색 몸과 짙은 회색 배를 가진 육상성 설치류이다. - 쥐아과 - 붉은나무쥐
붉은나무쥐는 붉은 갈색 등과 흰색 배를 가진 설치류로, 나무 위에서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자와섬 서부 열대 숲에 서식한다. - 쥐아과 - 쥐족
쥐족은 쥐아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에티오피아등줄쥐속과 생쥐속을 포함하며, 큰구름쥐족, 시궁쥐족, 물쥐족 등 다양한 족으로 세분화되어 형태적, 유전적 특징을 공유하고 지리적 분포와 생태적 적응을 보인다.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rateromys australis |
명명자 | Musser, Heaney & Rabor, 1985 |
멸종 위기 등급 | 취약종 |
IUCN 등급 기준 | IUCN3.1 |
![]() |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큰구름쥐족 |
속 | 붓꼬리구름쥐속 |
종 |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 (C. australis) |
기타 | |
동의어 | 붓꼬리구름쥐속 |
분포 및 서식지 | |
분포 | 필리핀 디나가트 섬 |
서식지 | 열대 우림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위기 등급 - 취약종 |
위협 요인 | 서식지 파괴 및 사냥 |
형태 및 크기 | |
크기 | 약 2피트 (약 60cm) |
추가 정보 | |
재발견 | 40년 이상 실종 후 재발견됨 (2012년) |
참고 자료 | 필리핀의 구름쥐 분포 및 현황에 대한 예비 보고서 몽가베이(Mongabay) 뉴스 기사 |
2. 발견과 재발견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는 1975년 필리핀 디나가트섬에서 필리핀 대학교의 디오스코로 S. 라보르(Dioscoro S. Rabor)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완모식표본이 확보되었다.[4][13] 이 표본은 10년 뒤인 1985년, 라보르와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가이 G. 머서(Guy G. Musser), 미시간 대학교의 로렌스 R. 히니(Lawrence R. Heaney)에 의해 상세히 연구되어 신종으로 공식 기재되었다.[4][13]
그러나 처음 발견된 이후 이 동물은 야행성이고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이라는 특성 때문에 오랫동안 관찰되지 않았다.[5][14] 약 40년 가까이 지난 2012년 1월, 체코의 동물학자 밀라다 레하코바(Milada Řeháková)가 이끄는 연구팀이 디나가트섬에서 살아있는 개체를 발견하고 영상으로 기록하는 데 성공하면서 다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12][3]
2. 1. 최초 발견 (1975년)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는 1975년 디나가트섬의 동물 종에 대한 과학 탐사 중 북수리가오주 로레토시 발릿비톤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4][13] 현재까지 알려진 유일한 표본이자 완모식표본은 1975년 5월 16일, 필리핀 대학교의 디오스코로 S. 라보르(Dioscoro S. Rabor)가 수집한 것이다.[4][13] 이 표본은 벌목 도로 근처의 교란된 저지대 숲에서 발견되었으며, 피부, 두개골, 하악골, 음경골(음경 뼈)을 보존하기 위해 박제되었다.[4][13] 현재 이 표본은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4][13] 라보르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가이 G. 머서(Guy G. Musser) 및 미시간 대학교의 로렌스 R. 히니(Lawrence R. Heaney)와 함께 10년 후인 1985년에 이 종에 대한 상세한 기재 내용을 보고했다.[4][13] (같은 탐사를 통해 디나가트 문랫( ''Podogymnura aureospinula'')과 디나가트털꼬리쥐( ''Batomys russatus'')와 같은 새로운 종도 발견되었다.)[4][13]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는 야행성이고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이기 때문에 관찰이 어렵다.[5][14]2. 2. 재발견 (2012년)
1975년 첫 표본이 수집된 이후,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는 40년 가까이 발견되지 않았다.[14][5] 야행성이며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상성 동물이기 때문에 관찰이 어려웠기 때문이다.[14][5]그러던 2012년 1월, 체코의 동물학자 밀라다 레하코바(Milada Řeháková)가 이끄는 연구팀이 디나가트섬 북중부의 보호 구역에서 살아있는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를 발견하고 비디오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12][3] 레하코바 연구팀은 원래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보홀 등지에서 필리핀안경원숭이 ''Tarsius syrichta''를 연구하고 있었으며, 필리핀 생물다양성 보전 재단의 지원을 받아 디나가트섬의 안경원숭이 개체군 연구를 확장하던 중이었다.[15][6]
연구팀은 2012년 1월 5일부터 15일까지 로레토시 일대에서 안경원숭이를 찾았지만 발견하지 못했다.[15][6] 대신 생체음향 기록 장비를 통해 안경원숭이의 소리와는 명확히 다른, 어떤 동물의 바스락거리는 움직임과 소리를 포착했다.[16][7] 연구팀은 3일 밤 동안 해 질 녘(현지 시간 17:55–18:35)에 같은 소리를 녹음했고, 마침내 2012년 1월 8일 저녁 6시 5분경, 소리의 주인공인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를 실제로 발견했다. 이 장면은 스틸 카메라와 비디오 카메라로 기록되었으며, 쥐는 카메라 플래시가 터지자 달아났다.[16][7] 처음 이 동물을 발견한 사람은 레하코바의 남편인 바츨라프 레학(Václav Řehák)이었다.[17][8] 연구팀은 1월 11일과 14일에도 같은 시간대에 구름쥐를 다시 관찰했다.[16][7]
이 재발견 결과는 2012년 4월 17일부터 20일까지 열린 필리핀 야생동물 보존 협회 심포지엄에서 발표되었고, 자세한 기술 보고서는 2015년 6월 20일 '멸종 위협 분류군 저널'(Journal of Threatened Taxa)에 게재되었다.[16][7]
3. 어원
종소명 australis|아우스트랄리스lat는 "남부"(southerneng)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이는 이 종이 필리핀 남부에서 발견되는 붓꼬리구름쥐속(''Crateromys'')의 유일한 종이기 때문이다.[13][4]
4. 특징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는 붓꼬리구름쥐속(''Crateromys'')에 속하는 중간 크기의 포유류이다.[13][4] 몸 전체적으로 황갈색과 주황색을 띠며 뚜렷한 무늬는 없다.[4] 몸보다 긴 꼬리에는 세 가지 색의 털 줄무늬가 있다.[13][4]
4. 1. 외형
붓꼬리구름쥐속(''크레이터로미스'')의 종 중에서 중간 크기에 속한다.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는 26.5cm이고, 꼬리 길이는 28cm로 몸보다 길다.[13][4] 다른 붓꼬리구름쥐속 동물들과 달리 몸 전체적으로 황갈색과 주황색을 띠며, 특별한 무늬는 없다. 머리 윗부분에는 털 볏이 없다.[4]머리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을 띠지만, 눈 주위는 어둡게 착색된 피부가 띠 모양으로 있고, 그 위에 옅은 갈색의 짧은 털이 고리처럼 나 있다.[4] 등 쪽의 잔털은 회색이며,[13] 등 중앙 부분에서 시작된 짧은 검은색 털은 몸의 다른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희미해진다.[4] 귀는 둥글고 진한 색을 띠며, 각 귀의 윗부분 중간까지 짧은 갈색 털이 자란다.[13][4] 목과 배 쪽은 밝은 주황색-갈색으로 균일하다.[4]
꼬리는 몸통보다 길며, 짧고 뻣뻣한 털이 세 가지 색깔로 줄무늬를 이룬다.[4] 다리 길이는 각각 약 5.4cm이다.[13][4] 처음 발견된 표본은 성체 수컷이었으며, 이 표본의 음낭은 황금빛 털로 덮여 있었다.[4]
4. 2. 생태
(내용 없음)5. 보전 상태
1975년 발견 이후 2012년 재발견되기 전까지 오랜 기간 동안 단 한 점의 수컷 표본만이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의 멸종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우려 속에서 2008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적색 목록을 통해 이 종의 멸종 가능성을 언급하였다.[11]
5. 1. 위협 요인
1975년 발견 이후 2012년 재발견되기 전까지 오랜 기간 동안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는 단 한 점의 수컷 표본만 알려져 멸종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실제로 2008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는 멸종 가능성이 언급되기도 했다.[11]이들의 주요 위협 요인은 광산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이다. 디나가트 지역의 서식지는 1939년 당시 미국 식민 정부 산하 환경자원부에서 발효한 필리핀 공화국 법률 제391호에 따라 광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16][7] 이 법률은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숲이 광산 회사에 의해 벌채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이 법을 개정하려는 여러 차례 시도가 있었으나, 필리핀의 다양한 정치 세력을 광산업계가 장악하고 있어 번번이 실패했다.[7] 이는 광산업 이권과 결탁한 정치적 상황이 생태계 보전을 가로막는 현실을 보여준다.
5. 2. 보전 노력
1975년 발견 이후 2012년 재발견되기 전까지 오랜 기간 동안 단 한 점의 수컷 표본만이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디나가트붓꼬리구름쥐의 멸종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우려 속에서 2008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적색 목록을 통해 이 종의 멸종 가능성을 언급하였다.[11] 한편, 디나가트 지역의 서식지는 이미 1939년에 필리핀 환경자연보전부에 의해 공화국 법 391호에 따라 광물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16]참조
[1]
간행물
"''Crateromys australis''"
2017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bcfi.org.ph/[...]
2017-08-09
[3]
뉴스
Two-foot-long cloud rat rediscovered after missing for forty years in the Philippines
http://news.mongabay[...]
2012-04-17
[4]
논문
Philippine rats: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Crateromys from Dinagat Island
http://digitallibrar[...]
[5]
웹사이트
Dinagat bushy-tailed Cloud Rat (Crateromys australis)
http://www.edgeofexi[...]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5-11-21
[6]
뉴스
Feared extinct, large rat species 'rediscovered' on Dinagat Island
http://www.gmanetwor[...]
2012-04-12
[7]
논문
Rediscovery of the Dinagat Bushy-tailed Cloud Rat Crateromys australis (Musser, Heaney & Rabor, 1985) (Mammalia: Rodentia: Muridae) from Dinagat Island, Philippines
[8]
웹사이트
A lost species was rediscovered on Dinagat Island, Philippines.
http://www.tarsiuspr[...]
2015-11-21
[9]
웹사이트
Crateromys australis
http://www.iucnredli[...]
2007-07-09
[11]
저널
Crateromys australis
2008
[12]
뉴스
Two-foot-long cloud rat rediscovered after missing for forty years in the Philippines
http://news.mongabay[...]
2012-04-17
[13]
저널
Philippine rats: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Crateromys from Dinagat Island
http://digitallibrar[...]
[14]
웹인용
Dinagat bushy-tailed Cloud Rat (Crateromys australis)
http://www.edgeofexi[...]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5-11-21
[15]
뉴스
Feared extinct, large rat species 'rediscovered' on Dinagat Island
http://www.gmanetwor[...]
2012-04-12
[16]
저널
Rediscovery of the Dinagat Bushy-tailed Cloud Rat Crateromys australis (Musser, Heaney & Rabor, 1985) (Mammalia: Rodentia: Muridae) from Dinagat Island, Philippines
[17]
웹인용
A lost species was rediscovered on Dinagat Island, Philippines.
http://www.tarsiuspr[...]
2015-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