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수리가오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수리가오주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북동쪽에 위치한 주로, 1960년 수리가오 주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이 주는 민다나오 본토와 시아르가오섬, 부카스 그란데섬 등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리가오 시를 주도로 한다. 지리적으로는 필리핀 해구와 접하며, 다양한 섬과 동굴,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주민들은 주로 수리가오논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교가 주요 종교이다. 북수리가오주는 20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노크-보노크 축제와 같은 독특한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시아르가오섬과 부카스 그란데섬이 있으며, 수리가오 시는 민다나오로 가는 관문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가 지방 - 남아구산주
    남아구산주는 1966년 분할되어 설립된 필리핀의 내륙 주로서, 아구산 강을 중심으로 분지 지형을 이루며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다양한 관광 명소와 문화 행사가 있다.
  • 카라가 지방 - 남수리가오주
    남수리가오주는 필리핀 민다나오 섬에 위치한 주로, 풍부한 천연자원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지니고 있으며, 스페인과 미국 점령 시대를 거쳐 필리핀 독립 후 수리가오 주에서 분리되었고,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며 농업, 임업, 광업을 주요 산업으로 하고, 티누이안 폭포, 히나투안 마법의 강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북수리가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2. 역사

수리가오 주의 일부로 현재 주의 영토를 보여주는 오래된 지도
1918년 역사적인 수리가오 주의 지도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1521년 마젤란 탐험대가 리마사와 섬에 도착했을 때, 그곳은 수리가오논족의 라자 시아위와 부투아논족의 라자 쿨람보의 사냥터였다. 이들은 귀족 계층에 속했다. 탐험대의 일원인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이들이 문신을 하고 금 장신구를 착용하고 있었다고 기록했으며, 당시 수리가오 지역을 "칼라간"이라고 불렀다고 적었다.[6]

1543년, 탐험가 루이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가 수리가오 지역으로 원정을 이끌었으나, 원주민들의 강한 저항에 부딪혀 정복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이 시기 민다나오 섬은 스페인의 카를로스 5세를 기리기 위해 '카이사레아 카롤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예수회 선교사들이 1597년 부투안을 방문했지만, 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데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스페인의 본격적인 지배는 1609년 탄다그에 스페인 당국의 권위가 세워지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622년, 레콜렉토회 선교사들이 탄다그에 도착하여 수리가오 지역에 영구적인 선교 기지를 마련했다.

수리가오델노르테 지역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카라가"라고 불렸던 광대한 지역의 일부였다. 이 명칭은 그 지역의 주요 거주민이었던 카라가족 또는 카라간족에서 유래했으며, 이들은 주로 카라가 정착지에 모여 살았다. 1609년에 설정된 카라가 지역은 오늘날의 수리가오델노르테, 디나가트 제도, 수리가오델수르, 다바오 오리엔탈 북부, 그리고 미사미스 오리엔탈 동부 지역까지 포함하는 넓은 영역이었다. 초기 행정 중심지는 탄다그였으나, 1848년 수리가오 타운으로 이전되었다.

1860년, 민다나오에 6개의 스페인 군사 지구가 설치되면서, 현재의 수리가오델노르테, 수리가오델수르, 디나가트 제도, 북아구산 주, 남아구산 주 (당시에는 통칭하여 아구산) 지역은 "동부 지구"라는 이름의 세 번째 지구를 형성했다. 이 지구는 당시 부투안과 카라가 만 사이 지역을 포함했으며, 1870년에는 "수리가오 지구"로 이름이 바뀌었다. 스페인 통치가 끝나갈 무렵인 1897년, 아구산 지역은 "부투안"이라는 단일 정치-군사 사령부로 재편되었고, 이는 수리가오 지구의 행정 관할 아래에 속하게 되었다.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21년 마젤란 탐험대는 당시 통치자들의 사냥터였던 리마사와 섬에서 수리가오논족의 라자 시아위와 부투아논족의 라자 쿨람보를 만났다. 이들은 귀족 계층이었다. 탐험대의 일원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이들이 문신을 하고 금 장신구를 착용했으며, 수리가오 지역을 "칼라간"이라고 불렀다고 기록했다.[6]

1543년 탐험가 루이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가 수리가오 원정을 이끌었으나, 원주민의 저항으로 정복 시도는 실패했다. 이때 민다나오 섬은 스페인의 카를로스 5세를 기려 '카이사레아 카롤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1597년 예수회 선교사들이 부투안을 방문했지만, 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는 데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609년 스페인은 정식 원정을 통해 탄다그에 스페인 통치권을 확립했다. 같은 해, 현재의 북수리가오주, 디나가트 제도, 수리가오델수르, 다바오 오리엔탈 북부, 미사미스 오리엔탈 동부 지역을 아우르는 광대한 지역이 "카라가"라는 이름으로 설정되었다. 이 이름은 해당 지역의 주요 거주민이자 카라가 정착지에 주로 살았던 카라가 부족(카라간족)에서 유래했다. 카라가 지역의 행정 중심지는 탄다그였다. 1622년 레콜렉토 선교사들이 탄다그에 도착하여 수리가오에 영구적인 선교 기지를 설립했다.

1848년 카라가 지역의 행정 중심지가 탄다그에서 수리가오 타운으로 옮겨졌다. 1860년 민다나오에 6개의 스페인 군사 지구가 설치되면서, 현재의 수리가오델노르테, 수리가오델수르, 디나가트 제도, 그리고 당시 '아구산'으로 통칭되던 북아구산 주와 남아구산 주 지역은 부투안 만과 카라가 만 사이 영토를 포함하여 "동부 지구"라는 이름의 제3 군사 지구를 형성했다. 이 "동부 지구"는 1870년 "수리가오 지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897년 스페인 통치 말기에는 아구산 지역이 "부투안"이라는 단일 정치-군사 사령부로 재편되어 수리가오 지구의 행정 관할 하에 들어갔다.

2. 3. 필리핀 혁명

1898년 12월 23일, 수리가오의 마지막 스페인 총독은 필리핀 임시 "지방 훈타"(스페인어: Junta Provincial)에 평화적으로 권력을 이양했다. 스페인 정부 관리들과 스페인인들은 다음 날인 12월 24일 수리가오를 떠났으며, 스페인 선교사들만 남게 되었다. 현지 주민들은 음악과 함께 호의적으로 그들을 배웅했다.[7] "지방 훈타"는 아기날도루손에서 보낸 새로운 정부 대표단이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얀토이 곤잘레스를 임시 수장으로 선출했다.

'''민다나오 최초이자 공식적인 국기 게양'''

1898년 수리가오 본당 신부로 재직했던 알베르토 마솔리버 신부는 "수리가오의 집 일기"라는 제목의 기록을 남겼다. 이 일기는 현재 스페인 산트 쿠갓 델 발레스에 있는 예수회 기록 보관소인 센트로 보르하에 보관되어 있다. 그는 1898년 12월 26일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오전 10시 전에 삼색기가 지방 정부 청사인 카사 레알(Casa Real)과 재판소에 게양되었다... 어떠한 형식도 없이... 아무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이 사람들은 그것이 무엇인지 전혀 모르고, 만약 안다 해도... 얼마나 평화롭고 악의 없이 대하는지."

당시 수리가오는 수리가오, 부투안, 카가얀 데 미사미스(카가얀 데 오로)를 관할하는 카라가 지방의 중심지이자 정부 소재지였다. 알레한드로(얀토이) 곤잘레스는 첫 국기 게양 당시 수리가오 "지방 훈타"의 회장이었다.

아기날도의 최고 혁명 정부 하의 새로운 권력은 1899년 1월 12일 수리가오에 도착했는데, 이들은 얀토이 곤잘레스의 아들들인 시몬 곤잘레스와 웬세슬라오 곤잘레스 형제였다. 곤잘레스 형제는 도착 직후, 스페인 선교사 체포, 교회 자금 및 기타 교회 재산 몰수 등을 포함한 말롤로스 지도부의 명령을 수행했다.

2. 4. 미국 점령

1899년 3월 24일, 수리가오에서 프루덴시오 가르시아가 쿠데타를 일으켜 곤잘레스 형제(얀토이, 시몬, 웬카슬라오)를 투옥시켰다. 곤잘레스 형제는 얼마 지나지 않아 코르테스(현재의 수리가오델수르 주)에서 살해되었다.[8] 1899년 4월 2일 자정, 그들은 수갑이 채워진 채 배에 실려 코르테스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총살당했다. 이 처형은 곤잘레스 형제에게 개인적인 원한이 있던 메스티소 힐라리온 마르네즈가 복수를 위해 집행한 것으로 알려졌다.[8]

곤잘레스 형제의 죽음에 대한 소식은 아기날도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아기날도는 '익명의 통신원'으로부터 "시몬 곤잘레스 장군과 그의 형제 웬카슬라오가 전쟁 자금 과다 징수로 암살당했으며, 그 후임자들 역시 필리핀 통치에 반란을 일으킨 모로족에게 암살당했다"는 허위 정보를 받았다. 이 편지는 곤잘레스 형제의 죽음 원인을 왜곡하고, 당시 수리가오에 거의 없었던 모로족에게 책임을 돌렸다.[8]

곤잘레스 일가가 처형된 후, 가르시아의 전 동맹이었던 에르메네길도 나르시소가 지사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1899년 7월경, 가르시아에 반대하는 약 400명의 병력이 수리가오 시의 도청 밖에 진을 쳤고, 80명의 병력은 도시 출구 근처 참호에 배치되었다. 7월 8일, 가르시아는 장군으로서의 예우를 받으며 방강가에서 수리가오로 돌아왔다.[9]

1899년 7월 6일, 가르시아의 군인들이 도청과 군사 구역 방어를 시작하자 저녁 6시경 가르시아와 나르시소 군대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졌다. 7시경 가르시아는 배를 타고 수리가오를 떠나려 했고, 장비를 싣는 동안 나르시소 군대의 공격이 시작되었다. 양측은 총격전을 벌였고, 가르시아의 군대는 항구로 후퇴해야 했다. 배에 타지 못한 군인들은 숨거나 항복했다. 이 충돌이 벌어진 곳은 현재 수리가오 루네타 공원과 보로메오 거리 인근이다.[9]

이후 수리가오 주는 나르시소 지사와 가르시아 장군 사이의 군사적 경쟁 상태에 놓였다. 나르시소는 수리가오와 부투안을, 가르시아는 플라세르, 칸틸란, 탄다그를 장악했다. 이러한 지역 내 권력 다툼과 혼란은 결국 미국의 점령으로 마무리되었다.[9]

2. 5. 필리핀 독립 이후

1960년 6월 19일 공포된 공화국 법 제2786호에 따라 같은 해 9월 18일, 기존의 수리가오 주는 현재의 북수리가오 주와 남수리가오 주로 분할되었다.[11] 수리가오 시는 공화국 법 제6134호에 의거하여 1970년 8월 30일 시(市)로 승격되었다.[12]

디나가트 제도는 원래 북수리가오 주의 제1 선거구의 일부였다. 2006년 12월 2일, 공화국 법 제9355호, 즉 '디나가트 제도 지방 자치법'이 주민투표를 통해 승인되면서 디나가트 제도는 북수리가오 주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디나가트 제도주가 되었다.[13] 그러나 2010년 2월부터 2011년 3월 사이, 필리핀 대법원이 공화국 법 제9355호에 대해 위헌 판결을 내리면서 디나가트 제도는 일시적으로 다시 북수리가오 주에 속하게 되었으나, 이후 다시 별도의 주로 복귀하였다.

3. 지리

북수리가오주의 본토 농업 경관


북수리가오주는 아시아 대륙붕 가장자리에 위치한 군도이다. 이 지역은 민다나오섬 북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필리핀 해구와 마주하고 있다. 북쪽으로는 디나가트 제도, 동쪽으로는 필리핀해, 남쪽으로는 북아구산 주와 남수리가오 주, 서쪽으로는 수리가오 해협과 접한다. 수리가오 해협 건너편에는 동 비사야 지방의 남레이테 주가 있으며, 북쪽의 레이테 만 너머로는 동사마르 주와 해상에서 접한다.

면적은 1972.93km2이며, 민다나오섬 북동쪽 끝의 본토 일부와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섬으로는 시가오섬과 부카스 그란데섬 등이 있다. 과거 가장 큰 섬이었던 디나가트 섬은 디나가트 제도 주로 분리 독립했다. 본토 지역은 대체로 산악 지형을 이룬다.[10]

주 내에는 섬 곳곳에 많은 동굴과 터널이 존재한다. 일부는 물에 잠겨 있으며, 부카스 그란데섬의 소호톤 코브처럼 간조 때만 접근 가능한 곳도 있다.

큰 섬들은 대부분 산악 지형이며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특히 노녹섬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니켈 매장지가 있다. 작은 섬들은 모래와 자갈 위에 있거나, 바위, 암초, 모래톱으로 묶인 석회암 기반을 가지고 있다. 시가오섬의 델 카르멘 지역에 있는 작은 섬들은 관목과 야자수로 덮인 바위 덩어리가 바다 위로 솟아 있는 독특한 경관을 보여준다.

3. 1. 기후

북수리가오주는 뚜렷한 건기가 없으며, 11월부터 1월까지 최대 강수량을 보인다.[10] 이 지역은 필리핀의 기후 변화에 가장 취약한 20개 주 중 하나이다.[14]

북수리가오주의 기후 데이터[2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9.2°C29.8°C30.8°C31.9°C32.6°C32.6°C32.3°C32.5°C32.5°C31.9°C30.6°C29.9°C
평균 최저 기온 (°C)23.4°C23.6°C24°C24.7°C25.2°C25°C24.9°C24.9°C24.8°C24.7°C24.3°C23.9°C
평균 강수일수24181713912111012151921


4. 행정 구역

북수리가오주의 행정 구역


북수리가오주는 20개의 지방 자치체와 1개의 구성 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2개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나뉘며, 총 335개의 바랑가이로 세분화된다. 제1선거구는 시아르가오섬과 부카스 그란데섬(및 주변 작은 섬들)에 위치한 9개 지방 자치체를 포함한다. 제2선거구는 주도인 수리가오 시와 민다나오 본토에 있는 11개 지방 자치체를 포함한다. 바랑가이 수는 수리가오 시가 54개로 가장 많고, 부르고스(Burgos)와 산 베니토(San Benito) 지방 자치체가 각각 6개로 가장 적다.

시/지방 자치체선거구인구
(2020년)
인구
(2015년)
면적
(km²)
인구 밀도
(/km²)
바랑가이좌표
알레그리아제2선거구16,18416,01165.28km2250129°28′06″N 125°34′36″E
바쿠아그제2선거구14,88114,48695.85km216099°36′30″N 125°38′18″E
부르고스제1선거구4,1854,03419.27km2220610°01′05″N 126°04′27″E
클라베르제2선거구36,03332,773322.6km2110149°34′23″N 125°43′57″E
다파제1선거구29,00623,78791.9km2320299°45′25″N 126°03′05″E
델 카르멘제1선거구20,12718,392151.68km2130209°52′07″N 125°58′14″E
제너럴 루나제1선거구22,85316,77141.3km2550199°47′00″N 126°09′23″E
기가키트제2선거구21,84920,864138.11km2160139°35′38″N 125°41′51″E
마니트제2선거구28,01926,741107.76km2260219°32′16″N 125°31′21″E
말리모노제2선거구18,85218,05480.13km2240149°37′06″N 125°24′06″E
필라제1선거구10,3749,75277.11km2130159°51′50″N 126°06′01″E
플라세르제2선거구29,61627,09461.29km2480209°39′26″N 125°36′05″E
산 베니토제1선거구5,6635,40445.63km212069°57′28″N 126°00′24″E
산 프란시스코 (아나오아온)제2선거구15,34714,55256.72km2270119°46′40″N 125°25′26″E
산 이시드로제1선거구8,5197,32542.03km2200129°56′11″N 126°05′13″E
산타 모니카 (사파오)제1선거구9,4238,80839.19km22401110°01′08″N 126°02′11″E
시손제2선거구14,29013,15554.7km2260129°39′32″N 125°31′43″E
소코로제1선거구25,94222,314114.45km2230149°37′06″N 125°57′54″E
수리가오 시제2선거구171,107154,137245.3km2700549°47′16″N 125°29′30″E
타가나안제2선거구17,32316,42877.29km2220149°41′50″N 125°34′57″E
투보드제2선거구15,04314,20645.34km233099°33′20″N 125°34′08″E
총계534,636485,0881972.93km2270335scope="col" |
colspan="8" style="text-align:left;" |


5. 인구

'''북수리가오 주의 인구 변화'''
연도인구±% p.a.
190344,996
191878,843+3.81%
1939138,036+2.70%
1948162,396+1.82%
1960219,676+2.55%
1970252,331+1.39%
1975280,883+2.17%
1980326,429+3.06%
1990383,698+1.63%
1995420,133+1.72%
2000442,585+1.12%
2007458,630+0.50%
2010481,146+1.74%
2015485,088+0.16%
2020534,636+1.91%
참고: 2006년까지 북수리가오 주의 일부였던 디나가트 제도는 제외된 수치임.
출처: 필리핀 통계청



202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북수리가오 주의 인구는 534,636명이며, 인구 밀도는 270PD/km2이다.

주민은 대부분 순수 또는 혼혈 오스트로네시아인이며, 일부 중국계 필리핀인과 아랍계 필리핀인 후손도 거주한다. 소수이지만 스페인계 필리핀인과 미국계 필리핀인 조상을 둔 주민도 있다.

주민의 약 95.80%는 수리가오논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세부아노어와 그 방언인 볼라논어도 사용되며, 와라이어는 소수가 사용한다. 대다수는 타갈로그어영어를 제2언어로 구사할 수 있다. 소수의 인구는 카마요어, 마노보어, 일로코어, 힐리가이논어, 팜팡가어, 마라나오어, 마긴다나오어, 타우수그어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 로마 가톨릭 대성당은 수리가오 시의 브랑기 워싱턴, 산 니콜라스 거리에 위치해 있다.


주요 종교는 로마 가톨릭으로, 신자의 비율은 약 60%이다. 그 외에 필리핀 독립 교회 신자가 약 30%, 개신교 신자가 약 10%를 차지한다.

6. 경제

'''북수리가오주의 빈곤율'''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북수리가오주의 빈곤율은 2000년, 2003년, 2006년, 2009년, 2012년, 2015년, 2018년, 2021년에 대해 집계되었다.[25][26][27][28][29][30][31][32][16][17][18][19][20][21][22][23]

7. 문화

수리가오주는 마마누아족의 고향이다. 마마누아족의 춤은 매년 9월 10일 열리는 산 니콜라스 데 톨렌티노 축제에서 선보이는 "보노크-보노크"라는 지역 축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축제는 풍성한 수확과 건강에 대해 신에게 감사를 표하는 원주민들의 기쁨을 표현하는 행사이다.

또한, 플라세르 판후퉁안 지역에서 발굴된 고대 유물들이 수리가오 시 불바르에 위치한 수리가오논 유산 미니 박물관에 전시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이 유물들에는 매장용 관, 단지, 중국 도자기 등이 포함된다.

8. 교육


  • 알레그리아 국립고등학교
  • 북수리가오 국립고등학교

9. 교통

주도 수리가오와 남레이테 주의 리로안 사이에는 중요한 해상 노선이 개설되어 있다.

10. 관광

투보드 서쪽 언덕의 코코넛 나무


북수리가오주의 해안 지역은 맹그로브가 주요 식생을 이루며, 본토와 시아르가오섬, 부카스 그란데섬 해안을 따라 175km2에 달하는 넓은 해양 숲을 형성한다. 이 지역은 무성한 해초류와 산호초를 포함한 다양한 해양 생태계의 서식지이며, 비교적 건강하게 보존되어 풍부한 해양 동식물 다양성을 뒷받침한다.

연중 황새치, 참치, 붉은 돗돔, 연체동물, 게, 오징어, 가오리, 문어 등 23종 이상의 다양한 어종이 잡힌다.

북수리가오주에는 독특한 "마그코노" (철목) 숲이 있는데, 이곳은 생산성이 높은 수역 중 하나이다. 마그코노 나무는 본래 천천히 자라며 광물화된 토양에 잘 적응하는 특징이 있다.

주도인 수리가오 시는 "민다나오로 가는 관문"으로 불리며, 리파타의 페리 터미널을 통해 루손 및 동비사야와 민다나오를 연결한다. 매년 열리는 보녹-보녹 마라자오 카라자오 축제는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 유산을 보여준다.

주의 북쪽에는 고운 백사장, 광대한 맹그로브 숲, 풍부한 해양 생물로 유명한 시아르가오 섬과 부카스 그란데 섬이 자리 잡고 있다.

플라세르 지역의 판후통안 및 아모슬로그 고고학 발굴지는 이 지역과 주민들의 기원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장소이다.

11. 저명한 인물


  • 얼린다 라반디아: 동남아시아 경기 역사상 가장 위대한 창던지기 선수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1977년 쿠알라룸푸르 동남아시아 경기에서 45.22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79년 자카르타에서는 동남아시아 경기 기록을 45.78m로 향상시켰고, 2년 후 마닐라 동남아시아 경기에서 46.2m로 기록을 갱신했다.
  • 마틴 안다나르: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 재임 시절 대통령 공보실 전 장관.
  • 로버트 바버: 내무 자치부 전 장관, 1998년 필리핀 상원의원을 역임했으며, 상원의원으로 선출된 최초의 경찰관이다.
  • 호세 세링: 페르디난드 E. 마르코스 대통령 재임 시절 POC 전 회장이자 수리가오델노르테의 여러 차례 선출된 주지사이다.
  • 리 팀방: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이글레시아 필리피나 인디펜디엔테의 전 오비스포 막시모 (최고 주교).
  • 안지 살바시온: 시아르가오 출신 ''피노이 빅 브라더: 코뮤니티 시즌 10'' 우승자.
  • 앤디 아이겐만: 시아르가오 출신 배우 겸 브이로거.

참조

[1] 웹사이트 Philippine Provinces, Cities, Municipalities http://www.philippin[...]
[2] 웹사이트 Ethnomedical documentation of and community health education for selected Philippine ethnolinguistic groups: the Mandaya people of Davao Oriental, Philippines http://herbs.ph/atta[...] 2000
[3] 서적 La Islas Filipinas. Mindanao, Volume 1 https://books.google[...] Subinspección de Infantería 1898
[4] 서적 Jolo, Relato Historico-Militar: Desde Su Descubrimiento Por Los Espanoles en 1578 A Nuestros Dias (1879) https://archive.org/[...] Imprenta y Estereotipia de Polo
[5] 서적 The Monosyllabic root -ao in Mindanao Languages Agusan del Sur State College of Agriculture and Technology 2017
[6] 서적 Magellan's Voyage Around the World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Surigao, from General Aguinaldo to General Bates (1898-1900) https://www.jstor.or[...] 1983
[8] 간행물 Surigao, from General Aguinaldo to General Bates (1898-1900) https://www.jstor.or[...] 1983
[9] 간행물 Surigao, from General Aguinaldo to General Bates (1898-1900) https://www.jstor.or[...] 1983
[10] 서적 Fast Facts about Philippine Provinces https://books.google[...] Tahanan Books 2016-04-29
[11]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2786 - An Act to Create the Provinces of Surigao del Norte and Surigao del Sur http://www.chanroble[...] 1960-06-19
[12]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6134 - An Act Creating the City of Surigao http://laws.chanrobl[...] 1970-08-31
[13]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9355; An Act Creating the Province of Dinagat Islands https://www.senate.g[...] 2016-01-11
[14] 웹사이트 About Caraga https://nro13.neda.g[...] 2022-05-13
[15] 웹사이트 Weather forecast for Surigao del Norte,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9
[16]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7] 문서 2000
[18] 문서 2003
[19] 문서 2006
[20] 문서 2012
[21] 문서 2015
[22] 문서 2018
[23] 문서 2021
[24] 웹인용 Weather forecast for Surigao del Norte, Philippines http://uk.storm247.c[...] StormGeo AS 2016-04-29
[25]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26] 문서 2000
[27] 문서 2003
[28] 문서 2006
[29] 문서 2012
[30] 문서 2015
[31] 문서 2018
[32] 문서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