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스커스는 아마존 강 유역에 서식하는 열대어의 일종으로, 요한 야콥 헤켈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Symphysodon discus*라는 학명으로 명명되었다. 1960년대부터 전 세계로 보급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관상어로 인기가 높다. 디스커스는 사육 환경에 민감하여, 수질, 수온, 먹이 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번식 시에는 부모가 새끼에게 피부에서 분비되는 '디스커스 밀크'를 먹이는 독특한 양육 행동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어 - 테트라
테트라는 카라신목에 속하는 열대어의 일종으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관상어로 널리 사육된다. - 열대어 - 키포틸라피아 프론토사
키포틸라피아 프론토사는 동아프리카 탕가니카호의 고유종으로, 최대 33cm까지 성장하며 흰색 또는 파란색 몸통과 검은색 줄무늬, 머리의 혹이 특징인 시클리드과의 물고기이다. - 키클라아과 - 키클라소마속
키클라소마속은 키클리드과의 한 속이며, 현재 3종의 어류가 속해 있고, 많은 종들이 다른 속, 예를 들어 헤로스속, 토르키클라스속 등으로 재분류되었다. - 키클라아과 - 니그로
니그로는 중앙아메리카 원산의 시클리드과 물고기로, 검은색 줄무늬가 있고 번식이 쉬워 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강한 번식력과 공격성으로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애완동물 - 인공수정
인공수정은 정자를 인위적으로 자궁에 주입하여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난임 치료에 사용되며 윤리적, 사회적 문제 및 법적 제한과 관련이 있고, 동물 인공수정은 가축 개량 등에 활용된다. - 애완동물 - 요크셔 테리어
요크셔 테리어는 19세기 영국 요크셔에서 탄생한 소형견으로, 쥐잡이 개에서 빅토리아 시대 인기를 얻어 켄넬클럽에 인정받았으며, 긴 털과 애정 어린 성격을 지녔지만 건강 문제에 취약하고 평균 수명은 12~14년이다.
디스커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ymphysodon |
명명자 | 헤켈, 1840년 |
모식종 | Symphysodon discus |
모식종 명명자 | 헤켈, 1840년 |
영어 이름 | Discus |
하위 분류 | |
종 | 본문 참조 |
2. 역사
1840년 오스트리아 빈의 어류학자 요한 야콥 헤켈(요한 야콥 헤켈)이 디스커스를 처음 발견하여 *Symphysodon discus*라는 학명으로 기재하였다.[1] 헤켈의 이름을 따서 아직도 애어가들 사이에서는 헤켈 디스커스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1] 1930년대에 디스커스가 미국이나 독일로 수입되기 시작했으나, 일부 귀족층만이 디스커스를 키울 수 있었다.[1] 그러나 그들이 디스커스 부화에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는 파악할 길이 없다.[1]
초창기에는 디스커스 산란 후 어미로부터 알을 분리하여 인공 부화를 시도하였는데, 이는 엔젤피쉬에 사용한 방법을 그대로 디스커스에 적용했기 때문이다.[1]
1960년대에 디스커스에 대한 과학적 정보가 전문지에 실리고 남아메리카 항공편이 개설되면서, 페루의 이키토스, 콜롬비아의 레티시아, 브라질의 마나우스, 벨렝 등에서 디스커스를 전세계로 수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1] 이때부터 디스커스 보급이 확대되었으며, 1970년대에는 디스커스 자연 채집이 붐을 이루기도 했다. 이러한 자연산 디스커스는 현재 독일에서 판매되는 질 좋은 디스커스의 원류가 되었다.[1]
2. 1. 대한민국에서의 디스커스 역사
1960년대 후반, 대한민국에 디스커스가 처음으로 수입되었다.[1] 당시에는 희귀하고 값비싼 열대어로 여겨져 일부 부유층만이 디스커스를 키울 수 있었다.[1] 1980년대 경제 성장과 함께 열대어 사육 인구가 증가하면서 디스커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1] 1990년대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디스커스 관련 정보 교류가 활발해지고, 동호회 활동이 활성화되면서 디스커스 애호가층이 두터워졌다.[1] 2000년대 이후, 국내에서도 디스커스 양식이 시도되면서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다양한 품종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1]3. 생태
디스커스는 남아메리카의 브라질, 페루, 콜롬비아, 베네수엘라에 걸쳐 펼쳐진 아마존강 유역의 열대우림 지역에 서식한다. 아마존 강은 강물의 색깔에 따라 화이트 워터, 블랙 워터, 클리어 워터로 분류되며, 디스커스는 주로 블랙 워터와 클리어 워터에서 발견된다.[11] 아마존 분지의 범람원 호수와 강의 가장자리에 서식하며,[19] 정체수 서식지를 선호한다.[14]
디스커스의 종에 따른 서식지는 다음과 같다.
- ''S. discus''는 흑수역에 국한되지만, 주기적으로 백수역의 짧은 홍수를 겪을 수 있다.[11] 히우 네그루, 상부 우아투마 강, 냐문다 강, 트롬베타스 강, 아바카시스 강의 하류 지역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보인다.[8][14]
- ''S. tarzoo''는 흑수역[11]과 백수역에서 모두 발견된다.[8]
- ''S. aequifasciatus''는 푸루스 아치 아래의 동아마존에 서식하고, 청수역에서도 발견된다.[11]
아마조나스 서부 지역의 나나이 강은 원산지 범위를 벗어난다. 이 강에 서식하는 디스커스는 30년 이상 전에 수족관 수출업자에 의해 도입종으로 테페 지역에서 유래한 개체로부터 도입되었다.[11]
우기에는 아마존 유역이 일시적으로 물에 잠기면서 디스커스가 산란하기에 적당한 환경이 조성된다. 나무 그늘에 가려지지 않아 태양에 노출되어 있는 웅덩이의 온도는 32°C 정도이며, 이는 디스커스의 산란에 매우 적당하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는 갓 부화한 새끼들의 먹이로 이용되는 인푸소리아와 같은 미생물들의 번식이 왕성해진다.

''심피소돈''속은 고도로 사회적이며, 일반적으로 수십 마리에 달하는 무리를 이루는데, 이는 아메리카 대륙의 시클리드 중 독특한 특징이다.[19] 대부분의 시클리드와 마찬가지로, 양육 행동이 매우 발달하여 양쪽 부모 모두 어린 개체를 돌본다.[21] 성체 디스커스는 피부를 통해 분비물("디스커스 밀크")을 생성하며,[22] 이 분비물 위에서 유충이 처음 4주 동안 산다.[23]
디스커스는 주로 조류, 기타 식물 재료, 유기물 부스러기(주변 부착물)를 먹지만, 작은 무척추동물도 먹는다.[19] 초식 동물 또는 잡식 동물의 특징인 비교적 긴 창자를 가지고 있다.[19]
3. 1. 아마존 강의 수질
아마존 강의 수질은 강물의 색깔에 따라 화이트 워터(White Water), 블랙 워터(Black Water), 클리어 워터(Clear Water)로 분류된다.- 화이트 워터 (White Water): 연노란색을 띠는 혼탁한 강으로, 안데스산맥에서 흘러나와 많은 퇴적물을 아마존강으로 운반하여 대서양으로 보낸다. 투명도는 몇 인치밖에 되지 않으며, pH(수소이온농도)는 중성에 가깝고, 전기전도도는 30-60μs로 매우 높다. 퇴적물로 인해 수질 변화가 계속 일어난다.
- 블랙 워터 (Black Water): 올리브색보다 짙은 갈색을 띠며, 투명도는 1.5m 정도로 비교적 높다. 전기전도도는 10-20μs로 낮고, pH는 4.5 정도의 산성이다.
- 클리어 워터 (Clear Water): 푸르스름한 빛깔을 띠며, 투명도는 4m 정도로 가장 높다. 전해질 농도가 낮아 전기전도도가 낮고, pH는 5~6 정도이다.
4. 종류 및 분류
디스커스는 학자에 따라 2~4종으로 분류되며, 이는 계속 논쟁 중이다.
디스커스는 4가지 종으로 구분되지만, 확실하게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2006년에 발표된 검토에 따라, FishBase에서는 3종을 인정한다.[8][9]
사진 | 이름 | 분포 |
---|---|---|
![]() | 심피소돈 아에퀴파시아투스 펠르그랭, 1904 (블루 디스커스 또는 브라운 디스커스) | 중앙 아마존 분지 |
![]() | 심피소돈 디스커스 헤켈, 1840 (레드 디스커스 또는 헤켈 디스커스) | 아마존 분지 |
심피소돈 타르조 E. 라이온스, 1959 (그린 디스커스) | 서부 아마존 분지 |
2011년의 분자 연구에서는 5개의 주요 그룹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이전에 인식된 표현형과 일치했다. 이들은 이를 진화적으로 유의미한 단위와 종으로 인식했다.[14]
- Heckel (''S. discus''; 흑강, 상부 우아투마, 냐문다, 트롬베타스 및 아바카시스)
- 녹색 (''S. tarzoo''; 푸루스 아치에서 상류의 서부 아마존 배수)
- 파란색 (''S.'' sp. 1; 푸루스 아치에서 물의 합류 지점까지의 중앙 아마존)
- 갈색 (''S. aequifasciatus''; 물의 합류 지점에서 하류의 동부 아마존)
- Xingu 그룹 (''S.'' sp. 2; 싱구 및 토칸틴스)
분류학적 검토에 따라 ''S. aequifasciatus'', ''S. discus'' 및 ''S. tarzoo'' 종을 포함하는 ''Symphysodon'' 속의 물고기이다.[8][10]
독일에서 부화시킨 디스커스는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 벨기에, 네덜란드, 영국, 미국, 캐나다, 일본 등지로 수출되기도 한다. 1980년대에는 독일에서 대량으로 부화되었고, 특히 로얄 블루와 터콰이즈 종들이 열대어 시장을 주도했다. 여러 해에 걸친 인위적인 교배로 자연산에는 없는 아름다운 디스커스가 나타났다.
4. 1. 야생종
디스커스는 4가지 종으로 구분되지만, 확실하게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야생종은 다음과 같다.- 헤켈 디스커스 (*Symphysodon discus*): 헤켈이 1840년에 처음 기재한 종으로, 브라질의 아마존강, 네그루강, 아바카시스강, 트롬베타스강에 분포한다.[33] 중앙의 굵은 가로줄무늬가 특징이다.[36] 붉은색에서 청록색에 이르는 아름다운 바탕색을 가지고 있으며, 짙은 청록색의 야생 디스커스는 아름답게 느껴질 수 있다. 아시아에서는 청록색을 얻기 위해 잡종교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한다. 폼파도르 디스커스, 블루헤켈 또는 래드 헤켈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 브라운 디스커스 (*Symphysodon aequifasciatus axelrodi*): 1960년대나 70년대에 이미 애어가들에게 널리 보급되었으며 현존하는 디스커스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다. 밝은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 몸체에 머리, 등, 배지느러미에 푸른 줄무늬가 있다. 눈 부위나 꼬리지느러미에 수직 줄무늬를 가지며 항문 주위의 지느러미는 붉은색을 띤다.
- 그린 디스커스 (*Symphysodon aequifasciatus aequifasciatus*): 펠레그린에 의해 1903년에 명명되었다. 초록빛과 갈색을 띠는 바탕색에 등과 배 부위에 초록색 줄무늬가 있다. 특히 몸 전체에 초록색이나 밝은 청록색 줄무늬를 가진 그린 디스커스를 펠레그린 디스커스 혹은 로얄 그린 디스커스라고 부른다. 테페(Tefe) 디스커스라는 변종은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수직 줄무늬가 특히 두드러지고 붉은 점이 몸 전체, 특히 배 부위에 밀집해 퍼져 있다는 특징이 있다.
- 블루 디스커스 (*Symphysodon aequifasciatus haraldi*): 머리 부위가 자주색을 띠며, 등과 배, 머리 부분에 푸른색 가로 줄무늬가 있다. 처음 채집되었을 때 로얄 블루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수년간 디스커스의 왕자 자리를 차지했었다.
- ''Symphysodon tarzoo'': 1959년에 기술되었으며, 아마존 서부에 분포하며 붉은 반점이 특징이다.[8]
2006년과 2007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디스커스를 3종으로 분류했다.[8][9][10][11][12]
사진 | 이름 | 분포 |
---|---|---|
심피소돈 아에퀴파시아투스 (펠르그랭, 1904) (블루 디스커스 또는 브라운 디스커스) | 중앙 아마존 분지 | |
심피소돈 디스커스 (헤켈, 1840) (레드 디스커스 또는 헤켈 디스커스) | 아마존 분지 | |
심피소돈 타르조 (E. 라이온스, 1959) (그린 디스커스) | 서부 아마존 분지 |
2011년의 분자 연구에서는 5개의 주요 그룹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진화적으로 유의미한 단위와 종으로 인식했다.[14]
- Heckel (''S. discus''; 흑강, 상부 우아투마, 냐문다, 트롬베타스 및 아바카시스)
- 녹색 (''S. tarzoo''; 푸루스 아치에서 상류의 서부 아마존 배수)
- 파란색 (''S.'' sp. 1; 푸루스 아치에서 물의 합류 지점까지의 중앙 아마존)
- 갈색 (''S. aequifasciatus''; 물의 합류 지점에서 하류의 동부 아마존)
- Xingu 그룹 (''S.'' sp. 2; 싱구 및 토칸틴스)
하지만, 이러한 분류는 학계에서 논쟁 중이며, 산지에 따른 종의 특징 변화가 연속적이고 종 간의 교잡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35][36]
4. 2. 개량 품종
여러 해에 걸친 인위적인 교배와 개척자적인 선택 교배를 통해 자연산 디스커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아름답고 선명한 디스커스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37] 야생종의 번식이 어렵고 건강 유지 문제가 있어 전문가들은 야생종을 번식시킨 브리드(개량)종을 판매하고 있다.[38]개량 품종은 주로 수소 이온 지수(pH)가 높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에서 브리딩된다.[39]
다양한 브리드종이 존재하며, 대표적인 품종은 다음과 같다.
- 블루 다이아몬드
- 코발트 블루
- 터키스 블루
- 레드 멜론
- 스네이크 스킨
- 링 레오파드
- 오리엔탈 드림
- 타이거 터키스
- 밀키웨이
- 알비노 디스커스
Japan Discus Laboratry(일본 디스커스 연구소) 대표인 스하라 미노루에 따르면, 대부분의 디스커스 개체에 호르몬제(테스토스테론 계열)가 사용되고 있으며, 수입 후 6개월 이내에 25% 이상의 폐사율을 보이므로 구입 시 주의가 필요하다.[39]
5. 사육
디스커스는 아름다운 외모 덕분에 관상어로 인기가 높지만, 사육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수질, 수온, 먹이 등 사육 환경을 세심하게 관리해야 하며, 갑작스러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주의해야 한다.[27] 사육자들은 수돗물 적응성이 더 높은 개체를 선별해 왔다.[28]
디스커스 애어가들의 숫자는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국내에서 부화되는 치어의 품질은 썩 나아지고 있지 않다. 국내에서 부화되는 치어의 품질이 높아지면 값비싼 야생종의 수요도 줄어들 것이다. 디스커스는 까다로운 물고기로 취급되며, 많은 열대어 사육가들이 전문가들만이 키울 수 있는 물고기라고 생각하거나 질병에 약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디스커스 사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물 관리이다. 디스커스는 부유물질이 많은 경도가 낮은 연수에서 서식하며, 어항 내 pH는 6~7 정도의 약산성이 적합하다. 수온은 28°C~30°C를 유지해야 하며, 27°C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먹이를 공급해야 하며 단일 성분의 먹이만 공급하면 산란하지 않을 수 있다.
매년 광저우에서 세계 디스커스 대회가 개최된다.[30] 북미 디스커스 협회는 애호가들을 지원하고 야생 디스커스를 돕는 데 중점을 둔다.[31]
5. 1. 사육 환경
디스커스는 사육 환경에 민감한 어종으로, 건강하게 기르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들을 충족해야 한다.조건 | 설명 |
---|---|
수온 | 28°C~30°C 유지, 27°C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 |
pH | 6~7 정도의 약산성 유지, 급격한 변화는 피해야 함 |
경도 | 10~15 이하의 연수 유지 |
여과 | 여과력이 좋은 외부 여과기 사용, 정기적인 물갈이로 수질 관리 |
어항 크기 | 성어 한 쌍 기준 최소 150L 이상 (최소 55usgal, 권장 75usgal) |
디스커스는 자연 상태에서 부유물질이 많은 연수에서 서식하며, 이러한 부유물질은 성장에 필수적이다. 하지만 부유물질이 너무 많으면 물이 혼탁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어항 내 pH는 6~7 정도의 약산성이 적합하며, 약품을 사용해 급격하게 pH를 바꾸는 것은 피해야 한다. 이탄(에피토프)을 통해 물을 여과하면 급격한 변화를 막을 수 있다.
수온 변화는 디스커스의 산란을 촉진한다. 평소보다 따뜻하거나 차가운 물은 디스커스의 구애 행동과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작은 어항에서는 세균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물갈이를 자주 해야 한다. 아질산염, 질산염 등의 해독성 물질은 물갈이나 이온교환기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온교환기는 pH를 6~7 사이로 조절하는 기능도 한다.
디스커스는 평균 10년, 최대 15년까지 살 수 있으며 최대 약 20.32cm까지 자랄 수 있다.[29]
5. 2. 먹이
디스커스는 잡식성이지만, 단백질이 많은 먹이를 선호한다. 냉동짱구벌레, 물벼룩, 실지렁이와 같은 생먹이와 디스커스 전용 사료를 함께 주는 것이 좋다. 몇몇 사료는 디스커스의 색깔을 더 좋게 만드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34] 디스커스는 주로 감마루스라고 불리는 민물새우를 주식으로 하며, 이끼 등도 섭취한다.[29]일반적으로 소 심장 민스에 다양한 영양을 첨가한 디스커스 햄버그나 장구벌레, 인공 사료가 먹이로 사용된다. 테트라사가 생산하는 테트라비트, 델리카감마루스, 테트라팁 등의 건조 사료는 디스커스에게 필요한 영양분이 충분히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비타민과 무기질이 보강되어 있어 훌륭한 먹이이다.
5. 3. 번식
''심피소돈''속은 수십 마리가 무리를 이루는 사회적인 물고기이다.[19] 번식기에는 짝을 이뤄 무리에서 벗어나는데, 이는 어린 개체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다.[19] 대부분의 시클리드처럼 디스커스는 부모가 새끼를 함께 돌보는 습성이 발달되어 있다.[21]특히 디스커스는 '디스커스 밀크'라는 분비물을 피부에서 생성하여[22] 부화 후 약 4주 동안 새끼에게 먹인다.[23] 처음 2주 동안은 부모가 새끼 곁에 머물며 먹이를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돕고, 이후 2주 동안은 멀리 헤엄쳐 새끼가 스스로 생활하도록 돕는다.[23] 이러한 습성은 물고기 중에서는 드문 경우이며, ''의사에트로플루스''와 ''우아루'' 종을 포함한 30종 이상의 시클리드에서 발견된다.[23],[24] 디스커스는 1년 안에 성적으로 성숙한다.[19]
연구에 따르면,[25] 디스커스 부모는 피부 점액으로 새끼에게 중요한 미생물을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은 부모와 함께 자란 새끼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인공적으로 키운 새끼의 낮은 생존율과 비교된다.[25]
thumb
디스커스는 암수 한 쌍이 수초나 나무 표면 등에 50–300개 정도의 알을 낳고, 양쪽 부모가 알을 보호한다.[33] 알은 약 2.5일 후에 부화하며, 치어는 부화 후 7일 동안 난황을 흡수한다. 치어가 부모 주위를 헤엄치기 시작하면, 어미는 몸에서 디스커스 밀크를 분비하여 치어에게 먹인다. 디스커스 치어는 플랑크톤 등을 먹을 수 없으므로 디스커스 밀크가 필수적이다.[34]
5. 4. 호르몬제 사용
일부 디스커스 양식업자들은 디스커스의 발색을 좋게 하기 위해 호르몬제(테스토스테론 계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39] 호르몬제를 투여한 디스커스는 화려한 색상을 띠지만, 건강이 약해지고 수명이 짧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Japan Discus Laboratry(일본 디스커스 연구소) 대표인 스하라 미노루에 따르면 수입 후 6개월 이내에 25% 이상의 폐사율을 보이므로 구입 시 주의가 필요하다.[39]참조
[1]
웹사이트
This Obscure Bangkok Market is Home to a Million-Dollar Collection of Tropical Fish. In the market for rare aquarium fish? Head to Thailand.
https://www.atlasobs[...]
Atlas Obscura
2016-12-01
[2]
서적
The Cichlid Aquarium
Tetra Press
[3]
간행물
A fishkeepers guide to Central American cichlids.
Tetra Press
[4]
서적
Aquarium Fish
Harper Collins
[5]
논문
Characterisation of proteins in epidermal mucus of discus fish (Symphysodon spp.) during parental phase
2005-09-12
[6]
서적
Discus fish
[7]
서적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Set
[8]
논문
Discus fishes: mitochondrial DNA evidence for a phylogeographic barrier in the Amazonian genus Symphysodon (Teleostei: Cichlidae)
[9]
FishBase
2013-04-01
[10]
웹사이트
New Discus named Symphysodon tarzoo
https://web.archive.[...]
practical fishkeeping
2009-08-15
[11]
논문
Revision of the genus Symphysodon Heckel, 1840 (Teleostei: Perciformes: Cichlidae)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12]
웹사이트
Discus genus revised
https://web.archive.[...]
Practical Fishkeeping
2009-08-15
[13]
웹사이트
On the name Symphysodon Discus Tarzoo
http://www.cichlidae[...]
[14]
논문
A Molecular Perspective on Systematics, Taxonomy and Classification Amazonian Discus Fishes of the Genus Symphysodon
2011
[15]
웹사이트
Symphysodon
http://researcharchi[...]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17-01-26
[16]
논문
Genetic diversity among wild forms and cultivated varieties of Discus (Symphysodon spp.) as revealed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fingerprinting
[17]
웹사이트
Discus Fish: The Complete Care, Species, & Breeding Guide
https://www.buildyou[...]
Build Your Aquarium
2022-03-11
[18]
웹사이트
Candidate Species for Florida Aquaculture: Discus Symphysodon spp., a Profitable but Challenging Species for Florida Aquaculture
https://edis.ifas.uf[...]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F/IFAS Extension Service, University of Florida
2017-01-25
[19]
논문
Ecology and life history of an Amazon floodplain cichlid: the discus fish Symphysodon (Perciformes: Cichlidae)
[20]
웹사이트
Discus
http://www.seriously[...]
Seriously Fish
2017-01-25
[21]
웹사이트
The Complete Discus Fish Care Guide
https://web.archive.[...]
2019-11-26
[22]
논문
D. Prolactin and Epidermal Mucous Cells in Teleosts - The Endocrine System
https://www.scienced[...]
[23]
논문
Biparental mucus feeding: a unique example of parental care in an Amazonian cichlid
[24]
웹사이트
Cichlids of the Americas - Mouthbrooders
http://www.fishchann[...]
FishChanel
2017-01-22
[25]
논문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ransmitted microbial symbionts shape the gut microbiota ontogenesis of a skin-mucus feeding discus fish progeny
[26]
웹사이트
Build Your Dream Discus Fish Aquarium - an Expert Guide
https://web.archive.[...]
2019-05-13
[27]
웹사이트
Aquaworld Aquarium - Article - Discus - King Of The Aquarium
https://web.archive.[...]
2019-11-26
[28]
웹사이트
Discus: The whole truth and nothing but...
https://www.practica[...]
2020-04-29
[29]
웹사이트
Discus
https://a-z-animals.[...]
2019-11-26
[30]
웹사이트
AQUARAMA 2019 Aquaria, Terraria, Garden & Pond World Discus Competition
http://www.aquarama.[...]
2019-11-26
[31]
웹사이트
North American Discus Association
http://www.discusnad[...]
2019-11-26
[32]
서적
魚の名前
東京書籍
[33]
논문
http://www.scielo.br[...]
[34]
논문
http://link.springer[...]
[35]
논문
http://www.sciencedi[...]
[36]
논문
Discus fishes: mitochondrial DNA evidence for a phylogeographic barrier in the Amazonian genus Symphysodon (Teleostei: Cichlidae)
[37]
서적
Discus Breeding for Beginners
Tfh Pubns Inc
[38]
서적
Discus Breeding for Beginners
Tfh Pubns Inc
[39]
웹사이트
https://discus-jap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