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알리움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알리움아과는 콩목에 속하는 콩과의 아과이다. 디알리움속, 안드로칼림마, 아풀레이아, 보두이니아, 디코리니아, 디스테모난투스, 엘리기오카르푸스, 칼라피아, 쿰파시아, 라비케아, 마르티오덴드론, 멘도라비아, 페탈로스티리스, 푀피지아, 스토르키엘라, 위티니아, 제니아 등을 포함한다. 디알리움아과는 콩목 내에서 두파르퀘티아아과, 실거리나무아과, 콩아과 등과 계통 발생 관계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콩과 - 협과
협과는 콩과 식물의 씨앗을 감싸는 껍질을 의미하며, 콩과 식물은 질소 고정을 통해 토양 비옥도를 높이고 식량 자원으로 활용되며, 2016년에는 콩류의 국제 해로 지정되었다. - 콩과 - 두파르퀘티아
두파르퀘티아는 콩목 콩과에 속하는 아과이며, APG 체계에 따라 콩과는 6개의 아과로 분류된다. - 1837년 기재된 식물 - 감귤나무
감귤나무는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상록 과수로, 다양한 품종의 감귤류 과일을 생산하며, 얇은 껍질과 높은 당도로 생식용으로 널리 소비되고 껍질은 향신료 등으로 활용되며 제주도가 주요 생산지이다. - 1837년 기재된 식물 - 부추아과
부추아과는 다육질의 근경이나 인경을 가지는 여러해살이풀로, 파속의 양파, 마늘, 부추 등이 식량 작물로 재배되며, 과거에는 백합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아과로 분리되어 4개의 족으로 나뉜다.
디알리움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문적 분류 | 계: 식물계 |
미분류군 |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
목 | 콩목 |
과 | 콩과 |
아과 | 디알리움아과(Dialioideae) |
명명자 | 콩과 계통학 실무 그룹(Legume Phylogeny Working Group, LPWG), 2017 |
모식속 | 디알리움속(Dialium L.) |
하위 분류 | 속(본문 참조) |
이전 분류 | Dialiinae H.S.Irwin & Barneby 1981 Dialiinae Clade Labicheinae H.S.Irwin & Barneby 1981 |
2. 하위 분류
디알리움아과는 콩과에 속하는 아과로서, 여러 속을 포함한다.[1]
2. 1. 속 목록
- 디알리움속(Dialium L.)[1]
- 안드로칼림마(Androcalymma 드와이어)[1]
- 아풀레이아(Apuleia 마트.)[1]
- 보두이니아(Baudouinia 바일.)[1]
- 디코리니아(Dicorynia 벤트.)[1]
- 디스테모난투스(Distemonanthus 벤트.)[1]
- 엘리기오카르푸스(Eligmocarpus 카푸론)[1]
- 칼라피아(Kalappia 코스터.)[1]
- 쿰파시아(Koompassia 마잉게이 전 벤트.)[1]
- 라비케아(Labichea 고디치. 전 DC.)[1]
- 마르티오덴드론(Martiodendron 글리슨)[1]
- 멘도라비아(Mendoravia 카푸론)[1]
- 페탈로스티리스(Petalostylis R.Br.)[1]
- 푀피지아(Poeppigia C. 프레슬)[1]
- 스토르키엘라(Storckiella 심)[1]
- 위티니아(Uittienia 스테니스)[1]
- 제니아(Zenia 춘)[1]
3. 계통 분류
디알리움아과는 콩과에 속하는 아과로서, 콩목의 계통 분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9][4] 콩목은 원지과, 수리아나과, 키라야과, 콩과로 나뉘며, 콩과는 다시 박태기나무아과, 데타리움아과, 두파르퀘티아아과, 디알리움아과, 실거리나무아과, 콩아과로 분류된다.
3. 1. 콩목 내 계통 분류
다음은 콩목의 계통 분류이다.[9]{| class="wikitable"
|-
! 콩목
|-
|
{| class="wikitable"
|-
| 원지과
|-
| 수리아나과
|-
|
{| class="wikitable"
|-
| 키라야과
|-
| 콩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두파르퀘티아아과
|-
|
{| class="wikitable"
|-
| 디알리움아과
|-
|
|}
|}
|}
|}
|}
|}
디알리움아과는 다음과 같은 계통 발생 관계를 나타낸다.[4]
{| class="wikitable"
|-
! 콩목
|-
|
{| class="wikitable"
|-
| 외군
|-
! 디알리움아과
|-
|
{| class="wikitable"
|-
| ''Poeppigia''
|-
|
{| class="wikitable"
|-
|
Eligmocarpus |
Baudouinia |
|-
|
{| class="wikitable"
|-
|
Uittienia |
Zenia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Distemonanthus |
Apuleia |
|-
|
{| class="wikitable"
|-
|
Koompassia |
Martiodendron |
|-
|
{| class="wikitable"
|-
| ''Mendoravia''
|-
|
{| class="wikitable"
|-
| ''Storckiella''
|-
|
{| class="wikitable"
|-
| ''Kalappia''
|-
|
Petalostylis |
Labichea |
|}
|}
|}
|}
|}
|-
| ''Dialium'' (''Dicorynia'' and ''Androcalymma''를 포함)
|}
|}
|}
|}
|}
|}
|}
3. 2. 디알리움아과 내 계통 분류
다음은 콩목의 계통 분류이다.[9]{| class="wikitable"
|-
! 콩목
|-
|
{| class="wikitable"
|-
| 원지과
|-
| 수리아나과
|-
| 키라야과
|-
| 콩과
|}
|}
디알리움아과는 다음과 같은 계통 발생 관계를 나타낸다.[4] (참조 [2][5][6][7])
{| class="wikitable"
|-
! 콩목
|-
| 외군
|-
! 디알리움아과
|-
|
{| class="wikitable"
|-
| ''Poeppigia''
|-
|
Eligmocarpus |
Baudouinia |
|-
|
Uittienia |
Zenia |
|-
|
{| class="wikitable"
|-
|
Distemonanthus |
Apuleia |
|-
|
Koompassia |
Martiodendron |
|-
|
{| class="wikitable"
|-
|''Mendoravia''
|-
|
{| class="wikitable"
|-
|''Storckiella''
|-
|
{| class="wikitable"
|-
|''Kalappia''
|-
|
Petalostylis |
Labichea |
|}
|}
|}
|}
|-
| ''Dialium'' (including ''Dicorynia'' and ''Androcalymma'')
|}
|}
|}
참조
[1]
논문
A new subfamily classification of the Leguminosae based on a taxonomically comprehensive phylogeny
[2]
서적
Advances in Legume Systematics, Part 10: Higher Level Systematics
Royal Botanic Gardens, Kew
[3]
논문
Floral ontogeny in Dialiinae (Caesalpinioideae: Cassieae), a study in organ loss and instability
[4]
Ph.D
Systematics and floral evolution of the Dialiinae (Caesalpinioideae), a diverse lineage of tropical legumes
Papyrus: Institutional Repository, Université de Montréal
2014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Caesalpinioideae (Leguminosae) as Inferred from Chloroplast ''trnL'' Intron Sequences
http://www.bioone.or[...]
[6]
논문
Phylogenetic patterns and diversification in the caesalpinioid legumes
[7]
논문
Phylogeny reconstruction in the Caesalpinieae grade (Leguminosae) based on duplicated copies of the sucrose synthase gene and plastid markers
[8]
문서
Legume Phylogeny Working Group. Taxon 66(1): 69–70. 2017.
[9]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16-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