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제이맥스 온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제이맥스 온라인은 2004년 8월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여 2008년 서비스가 종료된 온라인 리듬 게임이다. 화면 아래의 판정선으로 내려오는 악보에 맞춰 키를 눌러 노트를 받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비트매니아의 게임 방식을 계승했다. 게임은 5키 또는 7키를 사용하는 채널과 Easy, Normal, Hard, MX, SC 난이도를 제공하며, 프리 모드, 랭킹 모드, 코스 플레이, DJ 배틀 등의 모드를 지원했다. 2008년 2월 기준 210여 곡을 서비스했으며, Forte Escape, Croove, BEXTER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넷마블의 게임 - 건즈 온라인
벽 달리기와 공중 회피 같은 독특한 이동 시스템과 K-스타일 고급 전투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건즈 온라인은 퀘스트 모드와 대전 모드를 지원하며, 다양한 무기와 장비를 사용하는 온라인 액션 슈팅 게임이다. - 넷마블의 게임 - 마구마구
마구마구는 프로 야구 선수 카드를 활용해 팀을 구성하고 다른 이용자와 대전하는 온라인 야구 게임으로, 직관적인 조작과 액션, 실황 중계, 다양한 선수 카드와 게임 모드를 특징으로 한다. - 디제이맥스 - 박진배
박진배(ESTi)는 대한민국의 게임 음악 작곡가이자 에스티메이트의 대표 이사로서, SoundTeMP에서 데뷔하여 다수의 인기 게임 OST를 작곡하며 이름을 알렸고, 일본 시장을 겨냥한 BGM 작곡 및 아이돌 마스터 시리즈 작사, 그리고 에스티메이트를 통해 다양한 분야로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다. - 디제이맥스 - M2U
M2U는 다양한 게임(EZ2ON, O2JAM, DJMAX, Deemo, Cytus 시리즈 등)에 곡을 제공하고 NB 컴퍼니를 통해 앨범을 발매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리듬 게임 및 온라인 게임 음악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렉트로니카, 팝, 클래식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인다. - 온라인 게임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 온라인 게임 - 리프트 온라인
리프트 온라인은 텔라라라는 판타지 세계에서 멸망의 용에 맞서 싸우는 승천자가 되어, 두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균열 봉인, 던전 공략, 직업 및 영혼 조합을 통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특징으로 하는 MMORPG이다.
디제이맥스 온라인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2. 게임 방법
화면 아래 판정선으로 내려오는 악보에 맞춰 키를 눌러 '플레이큐'를 움직여 노트를 받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비트매니아의 게임 방법을 계승하고 있으나, 대한민국의 이용자들은 공통된 제작자 때문에 '이지투디제이(EZ2Dj)의 온라인 버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1]
2. 1. 판정 시스템
화면 아래 부분의 판정선으로 내려오는 악보에 맞춰 키를 눌러 '플레이큐'를 움직여 받아내는 게임이다. 판정은 100%, 90%, 80%...1%, BREAK, FAULT까지 있는데, 악보에 정확하게 맞춰 누를 수록 100%에 가까운 판정을 받는다. 악보를 놓치면 BREAK, MX 난이도 한정으로 악보가 나오지 않는 곳에서 누르면 FAULT 판정을 받는다.[1] 좋은 연주를 하면 오른쪽의 에너지 바가 올라가지만, BREAK와 FAULT가 나오면 에너지 바가 조금씩 깎인다. 에너지 바가 모두 깎이면 게임은 종료된다.[1] 게임이 끝나면 게임 중 얻은 판정의 평균을 낸 총 정확도가 표시된다.[1]2. 2. 에너지 바
좋은 연주를 하면 에너지 바가 올라가지만, BREAK, FAULT 판정을 받으면 에너지 바가 조금씩 깎인다.[1] 에너지 바가 모두 깎이면 게임이 종료된다.[1]3. 주요 특징
디제이맥스 온라인은 BREAK/FAULT와 Max 1~100%까지의 세분화된 판정을 통해 플레이어의 연주 정확도를 강조했고, 플레이 큐 시스템으로 '키충돌'이라고 하는 컴퓨터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했다.[1]
배틀 모드에서 라이브 배틀 이퀄라이저를 통해 참여 중인 플레이어의 현재 위치와 플레이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하여 기존의 온라인 리듬 게임이 가지고 있던 멀티플레이에서의 단점을 대부분 보완했으며, 아이템 배틀을 통해 연주 도중에 다른 플레이어의 연주를 방해할 수 있는 요소를 넣어 배틀의 재미를 더했다.[1]
4. 게임 모드
디제이맥스 온라인은 플레이어의 실력과 취향에 맞춰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여러 모드를 제공했다. 키 숫자에 따라 5개의 키를 사용하는 서울 채널과 7개의 키를 사용하는 도쿄 채널로 나뉘었으며, 난이도에 따라 Easy, Normal, Hard, MX, SC 등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혼자 연습할 수 있는 프리 모드, 3곡의 합산 점수로 랭킹에 도전하는 랭킹 모드, 정해진 곡을 순서대로 연주하는 코스 플레이, 최대 6명이 함께 대결하는 DJ 배틀 모드 등이 있었다.[1]
4. 1. 키 숫자에 따른 분류
서울채널은 5개의 키를 사용한다.[1]도쿄채널은 7개의 키를 사용한다.[1]
4. 2. 난이도에 따른 분류
Easy영어 : 초보자를 위한 난이도이다.Normal영어 : 일반적인 난이도이다.
Hard영어 : 숙련자를 위한 난이도이다.
MX영어 : MaXimum영어의 줄임말이다. 3개 이상의 키를 동시에 누르는 악보가 등장하며, 음이 없는 곳에서 키를 누르면 FAULT영어 판정이 나와 에너지 바가 깎인다.
SC영어 : Super Crazy영어의 줄임말이다. 가장 높은 난이도의 채보가 등장하며, 다른 난이도에 비해 판정 기준이 엄격하다. 곡에 따라서는 노트를 맞춰도 체력 게이지가 회복되지 않거나, 회복 게이지가 매우 빨리 줄어들고 적게 채워진다. 원래 SC영어는 Super Crazy영어의 줄임말이 아니라 SeCret영어의 줄임말이었으나, 이후 SC영어 난이도의 곡을 플레이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면서 Super Crazy영어의 줄임말로 의미가 변경되었다.[1]
4. 3. 플레이 방식에 따른 분류
- * 프리 모드: 혼자 연습할 수 있는 모드이다. BGA이 표시된다.
- * 랭킹 모드: 선택한 3곡의 합산 점수가 홈페이지의 랭킹 차트에 기록되는 모드이다. 프리 모드보다 판정이 더 엄격하다.
- * 코스 플레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곡을 연주하는 모드이다. 일반 플레이보다 경험치와 게임 머니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으며, 일정 확률로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 * DJ 배틀: 최대 6명까지 함께 대결하는 모드이다.
5. 수록곡
6. 역사
7. 주요 아티스트
- Forte Escape(이철희): 펜타비전의 사운드 실장이었으나, 현재는 퇴사하였다.
- Croove(류휘만): 펜타비전 제3사업부(구 사운드 개발실)를 이끄는 음악감독으로, Ez2DJ 때부터 화려한 게임음악 경력을 자랑한다.
- BEXTER(백승철)
- PlanetBoom(함경민): 윈터 그린(Winter Green)이라는 밴드의 기타리스트 출신 작곡가이다.
- Electronic Boutique(심재현)
- ND Lee(이창현): V.E.I.L의 드러머 겸 작곡가로서 많은 대중가요 작곡 경력과 히트곡을 작곡하였다. Ez2DJ The 1st TRACKS Speicial Edition부터 게임음악에 곡을 제공하였다.
- NieN(정구현)
- ESTi(박진배): 소프트맥스의 게임에 곡을 제공하면서부터 게임음악계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작곡가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활동하는 실력파 작곡가이며, 2008년 가을 무렵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었던 '빠삐놈 병神리믹스'를 만들어낸 장본인이다.
- Nauts(남구민)
- M2U(신동휘)
- 3rd Coast: 보컬 한소현, 래퍼 최지호, 프로듀서 권성민으로 구성된 3인조 그룹이다. R&B, 소울, 힙합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6년 일본에서 첫 앨범 《breath of soul》을 발매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2008년 3월에 앨범 《First Collection》으로 데뷔하였다.
- Ruby Tuesday: 이즈미 쓰네히로(和泉常寛|이즈미 쓰네히로일본어), 미야베 히카리(宮部ひかり|미야베 히카리일본어)로 구성된 음악 제작 그룹이다.
- makou: 일본인 곡 제공자로, 홋카이도의 음악 제작 회사인 ‘Studio RICCIO’에 소속되어 있다.
- Tsukasa: 일본인 곡 제공자이며, 코믹마켓을 비롯한 동인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작곡가이다.
- Dayz
- bermei.inazaw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