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블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딥 블루는 세계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시간 제한 대국에서 이긴 최초의 컴퓨터이다. 1996년 카스파로프와의 첫 대결에서는 패했으나, 1997년 재대결에서 승리하여 정식 체스 토너먼트에서 세계 챔피언을 꺾었다. 딥 블루는 IBM의 슈퍼컴퓨터 프로젝트로, 방대한 병렬 처리 능력과 알파-베타 탐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체스 실력을 향상시켰다. 딥 블루의 승리는 인공지능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이후 컴퓨터 체스 소프트웨어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체스 - 딥 블루 대 가리 카스파로프
딥 블루 대 가리 카스파로프는 1996년과 1997년에 걸쳐 인공지능 딥 블루와 체스 세계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가 대결한 사건으로, 1997년 딥 블루가 승리하며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긴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다. - 컴퓨터 체스 - NNUE
- 체스의 역사 - 더 투르크
더 투르크는 볼프강 폰 켐펠렌이 제작한 체스 두는 기계로, 터번 쓴 인형이 체스를 두는 모습이었으나 실제로는 사람이 숨어 조종하는 속임수였으며 유럽 순회 공연과 문화 콘텐츠 소재, 유사품 등장, 독일어 관용구에 영향을 미쳤다. - 체스의 역사 -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체스 세계 챔피언을 가리는 대회이며, FIDE가 주관하여 2년 주기로 챔피언십 매치를 통해 타이틀을 방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체스 엔진 - 체스 타이탄스
체스 타이탄스는 윈도우 비스타 빌드 5219에서 공개된 3D 체스 게임으로, 다양한 테마와 입력 장치를 지원하며, 컴퓨터 대전과 2인용 대전을 제공하지만 네트워크 대전이나 고급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 체스 엔진 - 알파제로
알파제로는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으로, 강화 학습을 통해 체스, 쇼기, 바둑 등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실력을 보이며, 자기 대전을 통해 학습하고 딥 러닝을 이용한 강화 학습을 사용하여 인공지능 연구 및 뮤제로 개발에 기여했다.
딥 블루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개발 시기 | 1995년 (프로토타입) |
출시 시기 | 1996년 |
업그레이드 시기 | 1997년 |
목적 | 체스 게임 |
하드웨어 | |
아키텍처 (1995년) | IBM RS/6000 워크스테이션, 14개 주문형 VLSI 1세대 "체스 칩" |
아키텍처 (1996년) | IBM RS/6000 SP 슈퍼컴퓨터, 30개 PowerPC 604 120 MHz CPU, 480개 주문형 VLSI 2세대 "체스 칩" |
아키텍처 (1997년) | IBM RS/6000 SP 슈퍼컴퓨터, 30개 PowerPC 604e 200 MHz CPU, 480개 주문형 VLSI 2세대 "체스 칩" |
속도 | 11.38 GFLOPS (1997년) |
운영 체제 | IBM AIX |
공간 | 2개 캐비닛 |
기타 | |
이미지 | |
![]() |
2. 역사
딥 블루는 1996년 2월 10일 세계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를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대국에서 이긴 최초의 컴퓨터이다. 첫 대국에서는 딥 블루가 승리했지만, 나머지 다섯 대국에서 카스파로프가 3승 2무를 기록하며 최종적으로 4-2로 승리했다.
이후 IBM은 딥 블루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켰고, 1997년 5월 '디퍼 블루'(Deeper Blue)라는 비공식적인 별명을 가진 새로운 버전으로 카스파로프와 다시 맞붙었다. 6번의 대국 결과, 3.5-2.5로 딥 블루가 승리하며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체스 토너먼트에서 세계 챔피언을 꺾은 최초의 컴퓨터가 되었다.
딥 블루 프로젝트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쉬펑슝 교수가 시작한 칩테스트(ChipTest) 프로젝트에서 기원한다. 최초의 컴퓨터 깊은 생각(Deep Thought)은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나오는 컴퓨터의 이름을 따왔다. 1989년 쉬펑슝 교수는 IBM에 합류하여 머리 캠벨과 함께 병렬처리를 활용한 딥 블루 개발을 이어갔다.
딥 블루는 30개의 노드로 구성된 RS/6000 SP 기반 컴퓨터에 480개의 특수 설계된 VLSI 체스 칩을 탑재하여 엄청난 병렬처리 능력을 갖췄다. C로 작성된 체스 프로그램은 AIX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었으며, 초당 2억 가지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는 이전보다 두 배 향상된 속도였으며, 1997년 6월 딥 블루는 세계에서 259번째로 강력한 슈퍼컴퓨터로 기록되었다.
일반적으로 체스 프로 기사들은 10수 정도를 내다보지만, 딥 블루는 12수까지 예측할 수 있었다. 수천 개 이상의 대국을 분석하여 만든 예측 함수는 팔천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있었고, 초기에는 칠십만 개 이상의 대국 정보와 사천 개 정도의 위치 정보가 활용되었다. 미겔 일레스카스, 존 페도로비치, 닉 더퍼먼 등이 정보를 제공했고, 조엘 벤자민이 프로그램을 조정했다.
카스파로프는 딥 블루의 창의성을 언급하며 재경기를 원했으나 IBM이 거부하여 무산되었다. 2003년에는 딥 블루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Game Over: Kasparov and the Machine"이 제작되었는데, 딥 블루의 승리가 IBM의 마케팅 전략이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발자들은 게임 중 규칙을 변경할 수 있었고, 카스파로프의 경기 방식을 이해하도록 코드를 수정하여 실패 가능성을 줄였다고 한다.
현재 딥 블루를 구성했던 두 개의 랙 중 하나는 미국 국립 박물관에, 다른 하나는 1997년 컴퓨터 역사 박물관에 인수되어 전시되어 있다. 딥 블루 개발자 허 풍슝은 ''딥 블루 비하인드''라는 책을 출판했다.[14]
2. 1. 카네기 멜론 대학교 시절
딥 블루의 전신은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쉬펑슝(Feng-hsiung Hsu) 교수가 만든 칩테스트(ChipTest) 프로젝트였다. 이 프로젝트에서 최초로 만든 컴퓨터의 이름은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나오는 컴퓨터의 이름을 따서 깊은 생각(Deep Thought)이라고 지었다. 1989년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쉬펑슝과 머리 캠벨(Murray Campbell)은 IBM 연구소에 합류하여 세계 체스 챔피언을 물리칠 수 있는 기계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했다.[3]칩테스트는 1987년 북미 컴퓨터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쉬펑슝과 그의 팀은 1988년 후속 기계인 딥 쏘트(Deep Thought)를 개발했다.[2][39] IBM에서는 딥 쏘트 개발에 참여했던 토마스 아난타라만(Thomas Anantharaman)이 잠시 합류했지만 금융업계로 옮겨 프로그래머 아서 조셉 호언(Arthur Joseph Hoane)으로 교체되었다.[4][5] IBM 연구소의 오랜 직원인 제리 브로디(Jerry Brody)가 1990년에 팀에 합류했다.[6]
딥 쏘트가 1989년 카스파로프에게 2판을 내준 후, IBM은 체스 기계의 이름을 바꾸는 대회를 열었고, "딥 블루(Deep Blue)"라는 이름이 당선되었다.[7] 이 이름은 IBM의 별명인 "빅 블루(Big Blue)"를 연상시키는 이름이었다. 축소된 버전의 딥 블루가 그랜드마스터 조엘 벤자민(Joel Benjamin)과 대결한 후,[9] 허와 캠벨은 딥 블루의 개막집 개발에 도움이 될 전문가를 찾고 있었고, 벤자민을 고용하여 가리 카스파로프와의 대결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10]
2. 2. IBM으로의 합류
카네기 멜론 대학교 박사 과정 학생이던 쉬펑슝은 칩테스트라는 체스 슈퍼컴퓨터 개발을 시작했다. 1989년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쉬펑슝과 머리 캠벨은 IBM 연구소에 합류하여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길 수 있는 기계 제작 프로젝트를 이어갔다.[3] 토머스 아난타라만이라는 동료가 잠시 합류했다가 금융업계로 옮기면서 프로그래머 아서 조셉 호언으로 교체되었다.[4][5] 1990년에는 IBM 연구소의 제리 브로디가 팀에 합류했다.[6]2. 3. 딥 블루의 명명
딥 블루 프로젝트는 원래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쉬펑슝(Feng-hsiung Hsu) 교수가 만든 칩테스트(ChipTest) 프로젝트에서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최초로 만든 컴퓨터의 이름은 깊은 생각(Deep Thought)으로,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나오는 컴퓨터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쉬펑슝 교수는 1989년에 IBM에 합류하여 머리 캠벨과 함께 병렬처리를 이용한 딥 블루 개발에 참여했다.[2][39][3]1989년, 딥 쏘트가 카스파로프에게 2패를 당하자, IBM은 체스 기계의 이름을 바꾸기 위한 대회를 열었다. 이 대회에서 피터 피츠휴 브라운(Peter Fitzhugh Brown)이 제출한 "딥 블루(Deep Blue)"라는 이름이 선정되었는데,[7] 이는 IBM의 별명인 "빅 블루(Big Blue)"를 연상시키는 이름이었다.
2. 4. 초기 대결과 발전
딥 블루는 1996년 2월 10일, 세계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와의 첫 대국에서 승리하며 주목받았다.[2] 이는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대국에서 컴퓨터가 그랜드마스터를 이긴 최초의 사례였다. 하지만, 나머지 다섯 번의 대국에서 카스파로프가 3승 2무를 기록하며 최종적으로 4-2로 승리했다.[2]이후 IBM은 딥 블루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작업에 착수했다. 비공식적으로 '디퍼 블루(Deeper Blue)'라고 불린 이 새로운 버전은 1997년 5월에 다시 카스파로프와 맞붙었다. 6번의 대국 결과, 3.5-2.5로 딥 블루가 승리하며,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체스 토너먼트에서 세계 챔피언을 꺾은 최초의 컴퓨터가 되었다.[2]
딥 블루는 원래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쉬펑슝(Feng-hsiung Hsu) 교수가 시작한 칩테스트(ChipTest) 프로젝트에서 비롯되었다.[3] 1989년 IBM에 합류한 쉬 교수는 머리 캠벨과 함께 병렬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딥 블루를 개발했다.[3]
딥 블루는 30개의 노드로 구성된 RS/6000 SP 기반 컴퓨터에 480개의 특수 설계된 VLSI 체스 칩을 탑재했다. C로 작성된 체스 프로그램은 AIX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었으며, 초당 2억 가지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는 이전보다 두 배 향상된 속도였다. 1997년 6월, 딥 블루는 세계에서 259번째로 강력한 슈퍼컴퓨터로 기록되었다.
딥 블루의 개발에는 그랜드마스터 조엘 벤자민이 참여하여 프로그램 조정에 기여했다.[9] 미겔 일레스카스, 존 페도로비치, 닉 더퍼먼 등의 기보와 대국 정보가 딥 블루의 학습에 활용되었다.
3. 딥 블루 대 카스파로프
딥 블루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시작된 칩테스트(ChipTest) 프로젝트에서 유래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진 최초의 컴퓨터 이름은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나오는 컴퓨터의 이름을 따서 깊은 생각이라고 지어졌다. 1989년, 쉬펑슝 교수는 IBM에 합류하여 머리 캠벨과 함께 병렬처리를 연구하며 딥 블루를 개발했다.
딥 블루는 당시 세계 체스 챔피언이었던 가리 카스파로프를 이기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32개의 프로세서 노드를 가진 IBM RS/6000 SP를 기반으로 체스 전용 VLSI 프로세서 512개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프로그램은 C언어로 작성되었고, 운영체제는 AIX를 사용했다. 개발팀은 그랜드마스터인 조엘 벤자민을 포함하여 6명으로 구성되었다. 딥 블루는 초당 2억 수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상대방의 과거 기보를 바탕으로 한 평가 함수를 사용하여 가장 효과적인 수를 찾아냈다.
딥 블루는 카스파로프와 두 차례의 대결을 펼쳤다. 1996년 2월에 열린 첫 번째 대결에서는 카스파로프가 4-2로 승리했지만, 1997년 5월에 열린 두 번째 대결에서는 딥 블루가 3.5-2.5로 승리하여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체스 경기에서 세계 챔피언을 꺾은 최초의 컴퓨터가 되었다.
딥 블루의 표면적인 목표는 체스에서 인간 세계 챔피언을 이기는 것이었지만, 그 이면에는 더욱 지능적인 문제 해결 능력, 고속 계산 능력, 방대한 양의 데이터 마이닝 등 여러 분야에 기여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실제로 IBM은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기술을 자사 제품에 적용했다.
현재는 알고리즘의 개선과 퍼스널 컴퓨터의 계산 능력 향상으로 인해 일반 소비자용 체스 대국 소프트웨어가 인간 최고 수준의 플레이어에 필적하게 되었다. 딥 블루의 목표를 계승하여 세계 최강의 체스 컴퓨터를 만들려는 히드라(Hydra)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나, 2009년에 개발이 중단되었다.
3. 1. 1996년 첫 대결
1996년 2월 10일, 딥 블루는 가리 카스파로프와의 첫 번째 체스 대국에서 승리했다. 이는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대국에서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긴 최초의 컴퓨터였다.[15] 하지만 카스파로프는 나머지 다섯 대국에서 3승 2무를 기록, 최종 점수는 4-2로 승리했다. 마지막 대국은 2월 17일에 끝났다.3. 2. 1997년 재대결
딥 블루는 1997년 5월에 있었던 가리 카스파로프와의 재대결에서 3.5-2.5의 점수로 승리하여,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체스 토너먼트에서 세계 챔피언을 꺾은 최초의 컴퓨터가 되었다.[16] 1996년 첫 대결 이후 딥 블루는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는데, 비공식적으로 '디퍼 블루(Deeper Blue)'라고 불렸다.[17]딥 블루는 결정적인 6차전에서 카스파로프가 오프닝에서 실수를 범한 틈을 타 승리했다.[18] 두 번째 대결 첫 번째 게임의 44번째 수에서 딥 블루 코드에 버그가 발생하여, 딥 블루는 무작위로 선택된 수를 두었다.[22] 카스파로프는 이를 "뛰어난 지능"으로 잘못 해석하고 이후 게임에서 심리적으로 흔들렸다고 알려졌지만, 카스파로프는 이를 부인했다.[21][23]
패배 후 카스파로프는 딥 블루에게서 창의성이 보였다고 말하며, 인간 체스 선수가 개입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IBM은 게임 사이에만 인간의 개입이 있었다고 밝혔다.[24][25] 카스파로프는 재대결을 요구했지만, IBM은 딥 블루를 해체하고 재대결을 거부했다.[26] 개발자들은 대국 사이에 규칙을 수정하여 컴퓨터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27]
1997년 토너먼트의 상금은 1등 딥 블루 팀에게 700000USD, 2등 카스파로프에게 400000USD가 수여되었다.[28]
3. 3. 재대결 이후 논란
가리 카스파로프는 딥 블루에게 패배한 후 기계의 수에서 때때로 특이한 창의성을 보았다고 말하며, 두 번째 게임에서 인간 체스 선수가 기계를 대신해 개입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24] IBM은 게임 사이에만 인간의 개입이 있었다고 부인했다.[25] 카스파로프는 재대결을 요구했지만, IBM은 딥 블루를 해체하고 재대결을 거부했다.[26] 개발자들은 게임 사이에 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도록 규칙이 허용되었으며, 이 기회를 활용하여 대결 과정에서 드러난 컴퓨터의 약점을 보완했다고 밝혔다. 카스파로프는 기계의 로그 파일 출력을 요청했지만 IBM은 이를 거부했고, 나중에 회사는 인터넷에 로그를 공개했다.[27]2003년에는 딥 블루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Game Over: Kasparov and the Machine"이 나왔는데, 이 다큐멘터리는 딥 블루의 승리가 IBM의 마케팅 전략이었다는 내용을 다룬다.
4. 기술적 특징
딥 블루는 32개의 프로세서 노드를 가진 IBM의 RS/6000 SP를 기반으로, 체스 전용 VLSI 프로세서 512개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C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AIX 운영체제에서 실행되었다. 개발팀에는 그랜드마스터 조엘 벤자민이 포함되어 있었다.
딥 블루는 초당 2억 수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가리 카스파로프의 과거 기보를 바탕으로 한 평가 함수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수를 찾아냈다. 평가 함수는 수천 건의 마스터 게임을 분석하여 만들어졌으며, 8,000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특정 포지션에 최적화되어 있었다.
딥 블루는 부분적으로 자동화 기능을 활용했지만, 주로 수작업으로 매개변수를 할당하는 평가 레지스터와 평가 테이블을 사용했다.
평가 레지스터 | 평가 테이블 |
---|---|
| |
4. 1. 하드웨어
딥 블루는 30개의 노드로 구성된 RS/6000 SP 기반 컴퓨터에 특별히 설계된 480개의 VLSI 체스 칩을 탑재하였다. C로 작성된 체스 경기 프로그램은 AIX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었다. 1996년 버전보다 두 배 향상된 초당 2억 개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1997년 6월에는 세계에서 259번째로 강력한 슈퍼컴퓨터로 기록되었다.[53]딥 블루는 사용자 정의 VLSI 칩을 사용하여 병렬 처리하는 알파-베타 탐색 알고리즘[47]을 사용했다. 30개의 PowerPC 604e 프로세서와 480개의 사용자 정의 600 nm CMOS VLSI "체스 칩"을 갖춘 IBM RS/6000 SP 슈퍼컴퓨터의 대규모 병렬 시스템이었다. 체스 칩은 이동 생성기, 스마트 이동 스택, 평가 함수, 탐색 제어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49][50][51][52]
1997년, 딥 블루는 다시 업그레이드되어 TOP500 목록에 따르면 259번째로 강력한 슈퍼컴퓨터가 되었으며, 병렬 고성능 LINPACK 벤치마크에서 11.38 GFLOPS를 달성했다.[53] 32개의 프로세서 노드를 가진 IBM의 RS/6000 SP를 기반으로, 체스 전용 VLSI 프로세서 512개를 추가하여 만들어졌다.

4. 2. 소프트웨어
딥 블루의 체스 경기 프로그램은 C로 작성되었고 AIX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었다. 30개의 노드로 구성된 RS/6000 SP 기반 컴퓨터에 특별히 설계한 480개의 VLSI 체스 칩이 탑재되어, 초당 2억 가지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는 이전보다 두 배 향상된 속도였다.[44]딥 블루의 평가 함수는 수천 건의 마스터 게임을 분석하여 결정된 여러 변수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형태로 작성되었다. 이 함수는 8,000개의 부분으로 나뉘었고, 그중 많은 부분이 특수한 포지션을 위해 설계되었다. 오프닝 북은 4,000개가 넘는 포지션과 70만 건의 그랜드마스터 게임을 포함했고, 엔드게임 데이터베이스는 6피스 엔드게임과 모든 5피스 이하의 엔드게임을 포함했다. "확장된 북"이라는 추가 데이터베이스는 그랜드마스터가 플레이한 전체 게임을 요약했다. 이 시스템은 초당 2억 개의 체스 포지션을 검색하는 기능과 확장된 북의 요약 정보를 결합하여 오프닝 수를 선택한다.[44]
두 번째 대결 전에, 그랜드마스터 조엘 벤자민이 프로그램의 규칙을 미세 조정했다. 오프닝 라이브러리는 그랜드마스터 미구엘 이예스카스, 존 페도로위츠, 닉 드 퍼미안이 제공했다.[45]
딥 블루는 알고리즘의 개선 및 퍼스널 컴퓨터의 계산 능력 향상에 따라, 일반 소비자용 체스 대국 소프트웨어가 인간 최고 수준의 플레이어에 필적하게 되었다.
딥 블루는 부분적으로 자동화 기능을 활용하되, 주로 수작업으로 매개변수를 할당하는 다음과 같은 평가 레지스터와 평가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평가 레지스터 | 평가 테이블 |
---|---|
| |
5. 이후 행적
가리 카스파로프에게 딥 블루가 승리한 후, 이와 관련된 여러 사건이 있었다. 딥 블루 개발에 참여했던 쉬펑슝은 저서 ''딥 블루 비하인드: 세계 체스 챔피언을 물리친 컴퓨터 제작''(Behind Deep Blue: Building the Computer that Defeated the World Chess Champion)에서 IBM과 관계없이 카스파로프가 딥 블루와 재대결할 수 있었지만, 카스파로프가 거절했다고 밝혔다.[14]
카스파로프가 패배한 후, 오마르 셰드라는 인도계 미국인은 아리마(Arimaa)라는 새로운 게임을 만들었다. 이 게임은 표준 체스판에서 할 수 있지만, 인간은 규칙을 이해하기 쉽고 컴퓨터는 이해하기 어렵게 설계되었다.
딥 블루 개발팀의 주요 인물들의 이후 행적은 다음과 같다.
- 쉬펑슝(許峰雄): 딥 블루의 수석 설계자로, 이후 중국 베이징에서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아시아 수석 연구원이 되었다.[56][57] 그는 체스보다 복잡한 바둑에서도 딥 블루와 같은 인공지능이 인류를 이길 것이라고 예측했고, 이는 알파고(AlphaGo)를 통해 현실이 되었다.[60]
- 머리 캠벨(Murray Campbell): IBM 연구소(IBM Research)에서 딥 블루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했다.[3]
- 탐숭인(譚崇仁): 당시 IBM 개발팀 책임자로, 이후 홍콩대학교 전자상거래과학기술연구소 소장이 되었다.[54][55]
오늘날 딥 블루를 구성했던 두 개의 랙 중 하나는 미국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에, 다른 하나는 컴퓨터 역사 박물관(Computer History Museum)에 전시되어 있다.[12][13]
IBM은 딥 블루 연구를 통해 얻은 기술을 자사 제품에 적용했으며, 컴퓨터 올림피아드를 후원하고 인간 세계 선수권 대회의 스폰서를 맡는 등 체스계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59]
5. 1. 체스
가리 카스파로프는 처음에 딥 블루를 "외계인 상대"라고 불렀지만, 나중에는 "알람 시계만큼 똑똑하다"고 평가를 낮췄다.[29] 딥 블루와 대결했던 두 명의 그랜드마스터는 딥 블루를 "자신에게 다가오는 벽과 같다"고 표현했다.[30][31] 딥 블루 개발자인 쉬펑슝은 IBM과 무관하게 딥 블루 설계를 사용할 권리가 있었지만, 카스파로프의 재대결 제안을 독자적으로 거절했다.[32]딥 블루의 승리 이후, 인공지능(AI) 전문가 오마르 사이드는 인간에게는 매우 간단하지만 컴퓨터가 마스터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새로운 게임인 아리마를 디자인했다.[34][35] 그러나 2015년에는 컴퓨터가 강력한 아리마 플레이어를 물리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36]
딥 블루의 승리 이후, 컴퓨터 과학자들은 경쟁적인 커뮤니티를 가진 다른 복잡한 보드 게임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알파고 시리즈(알파고, 알파고 제로, 알파제로)는 2016년~2017년에 최고의 바둑 기사들을 물리쳤다.[37][38]
딥 블루 개발자인 캠벨과 같은 컴퓨터 과학자들은 체스 게임이 인공지능의 효과를 측정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고, IBM은 세계 체스 챔피언을 물리침으로써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보여주었다.[39] 딥 블루는 또한 IBM 왓슨이나 알파고의 경우처럼 게임을 인공지능을 보여주는 매체로 사용하는 인기에도 기여했다.[40]
5. 2. 컴퓨터 과학
딥 블루의 승리는 인공지능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딥 블루는 무차별 대입 방식을 사용하여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해 다음 수를 결정했다. 딥 블루는 30개의 노드로 구성된 RS/6000 SP 기반 컴퓨터에 특별히 설계한 480개의 VLSI 체스 칩을 탑재하여, 초당 2억 가지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다.[41] 이는 1997년 6월 기준으로 세계에서 259번째로 강력한 슈퍼컴퓨터에 해당했다.딥 블루는 체스 마스터와 컴퓨터 과학자들이 정의하고 미세 조정한 규칙과 변수에 의존하는 전문가 시스템이었다. 반면, 현대의 체스 엔진인 리라 체스 제로 등은 강화 학습 기반의 인공 신경망을 사용하여 자체적인 논리를 개발한다.[37]
딥 블루의 개발은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시작된 칩테스트(ChipTest) 프로젝트에서 비롯되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깊은 생각(Deep Thought)은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등장하는 컴퓨터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1989년, 딥 블루의 개발자인 쉬펑슝은 IBM에 합류하여 머리 캠벨과 함께 병렬처리를 활용한 딥 블루 개발에 착수했다.
딥 블루의 성공 이후, IBM 왓슨이나 알파고와 같이 게임을 통해 인공지능의 발전을 보여주는 프로젝트들이 등장했다.[40] 특히, 알파고는 2016년과 2017년에 최고의 바둑 기사들을 꺾으며 인공지능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37][38] 딥 블루의 수석 설계자였던 허펑슝은 체스보다 복잡한 바둑에서도 인공지능이 인간을 능가할 것이라고 예측했고, 이는 알파고를 통해 현실이 되었다.[60]
5. 3. 전시
오늘날 딥 블루를 구성했던 두 개의 랙 중 하나는 미국 국립 박물관(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전에는 정보화 시대(Information Age)에 관한 전시에서 전시되었다.[12] 다른 하나는 1997년 컴퓨터 역사 박물관(Computer History Museum)에 인수되어 혁명(Revolution) 전시회의 "인공 지능과 로봇 공학(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갤러리에 전시되어 있다.[13]6. 평가
딥 블루는 세계 체스 챔피언 그랜드마스터 가리 카스파로프를 상대로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대국에서 승리한 최초의 컴퓨터이다.[54][55] 1996년 2월 10일, 딥 블루는 카스파로프와의 첫 대국에서 승리했지만, 나머지 다섯 번의 대국에서 카스파로프가 3승 2무를 기록하며 최종 스코어 4-2로 카스파로프가 승리했다.
이후 딥 블루는 대대적인 성능 향상 작업을 거쳐 1997년 5월 다시 카스파로프와 대결을 펼쳤다. 성능이 향상된 컴퓨터는 비공식적으로 '디퍼 블루(Deeper Blue)'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6번의 대국 결과, 3.5-2.5로 딥 블루가 승리하며, 시간 제한이 있는 정식 체스 토너먼트에서 세계 챔피언을 꺾은 최초의 컴퓨터가 되었다.
딥 블루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쉬펑슝(Feng-hsiung Hsu) 교수가 만든 칩테스트(ChipTest)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최초의 컴퓨터 이름은 깊은 생각(Deep Thought)이었으며, 이는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등장하는 컴퓨터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쉬펑슝 교수는 1989년 IBM에 합류하여 머리 캠벨과 함께 병렬처리 기술을 활용해 딥 블루를 개발했다.
딥 블루는 방대한 병렬처리 능력을 기반으로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조사하여 다음 수를 결정했다. 30개의 노드로 구성된 RS/6000 SP 기반 컴퓨터에 480개의 특수 설계된 VLSI 체스 칩을 탑재했다. 체스 프로그램은 C로 작성되었고, AIX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었다. 초당 2억 가지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이전보다 두 배 향상된 속도였다. 1997년 6월, 딥 블루는 세계에서 259번째로 강력한 슈퍼컴퓨터로 기록되었다.
일반적으로 체스 프로 기사들은 10수 정도를 내다보는 반면, 카스파로프를 꺾은 디퍼 블루 시스템은 12수까지 예측할 수 있었다. 딥 블루의 예측 함수는 수천 개의 대국을 분석하여 얻은 컴퓨터의 판단을 통해 결정되었다.
카스파로프는 딥 블루의 창의성에 주목하며, 경기를 통해 기계가 학습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재경기를 원했으나 IBM의 거부로 무산되었다. 2003년에는 딥 블루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Game Over: Kasparov and the Machine"이 제작되었는데, 이 다큐멘터리는 딥 블루의 승리가 IBM의 마케팅 전략이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딥 블루 개발자들은 게임 도중 규칙을 변경할 수 있었으며, 카스파로프의 전략을 이해하도록 코드를 수정하여 실패 가능성을 줄였다고 한다.
6. 1. 긍정적 평가
딥 블루는 체스 경기에서 인간 세계 챔피언을 이기는 것을 표면적인 목표로 삼았지만, 그 이면에는 더욱 지능적인 문제 해결 능력, 고속 계산 능력, 방대한 양의 데이터 마이닝 등 여러 분야에 기여하려는 더 큰 목적이 있었다. 실제로 IBM은 딥 블루 연구를 통해 얻은 기술을 자사 제품 등에 적용하고 있다.[54]6. 2. 비판적 평가
딥 블루는 당시 세계 체스 챔피언이었던 가리 카스파로프에게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여러 비판적인 평가가 존재한다.딥 블루는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무차별 대입'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지능'을 가졌다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딥 블루가 인간처럼 사고하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방대한 계산 능력에 의존한 결과라는 비판이다.
또한, 딥 블루의 승리가 IBM의 과장된 홍보 및 마케팅 전략의 일환이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2003년에 제작된 다큐멘터리 "Game Over: Kasparov and the Machine"에서는 이러한 의혹을 다루기도 했다.
딥 블루의 개발과 승리는 당시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IT 산업 발전의 자극제가 되었지만, 동시에 기술 종속에 대한 우려를 낳기도 했다. 특히, 딥 블루와 같이 고도로 발전된 기술이 특정 기업에 의해 독점될 경우, 기술 격차가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을 중심으로 비판적인 시각을 형성했다.
7. 딥 블루가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딥 블루는 한국 사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원본 소스에 관련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Deep Thought (Chess)
https://www.game-ai-[...]
2022-01-11
[2]
논문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웹사이트
Deep Blue – Overview
https://web.archive.[...]
IBM Research
2008-08-19
[7]
논문
[8]
논문
[9]
웹사이트
Joel Benjamin playing a practice game with Deep Blue
https://www.computer[...]
Computer History Museum
2020-02-17
[10]
논문
[11]
웹사이트
8th World Computer Chess Championship
https://web.archive.[...]
2020-06-04
[12]
웹사이트
Deep Blue Supercomputer Tower
http://americanhisto[...]
2019-02-01
[13]
웹사이트
Deep Blue II
https://www.computer[...]
2020-06-08
[14]
논문
[15]
논문
[16]
뉴스
IBM's Deep Blue beats chess champion Garry Kasparov in 1997
http://www.nydailyne[...]
2015-05-10
[17]
웹사이트
IBM Research Game 2
http://www.research.[...]
IBM
[18]
간행물
Chess Bump: The triumphant teamwork of humans and computers
http://www.slate.com[...]
2007-05-11
[19]
논문
[20]
논문
[21]
학술지
Thinking Machines: The Searc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ttps://web.archive.[...]
2018-03-22
[22]
뉴스
Nate Silver's 'The Signal and the Noise'
https://www.washingt[...]
2021-08-18
[23]
서적
LC Catalog – Item Information (Full Record)
[24]
웹사이트
Deep Blue's cheating move
https://en.chessbase[...]
Chess News
2015-02-19
[25]
논문
[26]
논문
[27]
웹사이트
Deep Blue – Replay the Games
https://web.archive.[...]
2020-06-10
[28]
뉴스
How prizes pushed progress
https://www.nbcnews.[...]
2024-01-23
[29]
뉴스
On this day: Born April 13, 1963; Russian chess champion Garry Kasparov
https://www.reuters.[...]
2020-04-11
[30]
논문
[31]
논문
[32]
학술지
Owen Williams replies to Feng-hsiung Hsu
http://www.chess.co.[...]
2000-01-13
[33]
웹사이트
'Game Over' : Did IBM Cheat Kasparov?
https://web.archive.[...]
2005-06
[34]
논문
[35]
웹사이트
Deep Blue: Cultural Impacts
https://web.archive.[...]
IBM
2020-06-05
[36]
논문
[37]
논문
A general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that masters chess, shogi, and Go through self-play
http://discovery.ucl[...]
2022-01-04
[38]
웹사이트
Google's AlphaGo retires on top after humbling world No. 1
https://phys.org/new[...]
2022-01-04
[39]
뉴스
20 Years after Deep Blue: How AI Has Advanced Since Conquering Chess
https://www.scientif[...]
2017-06-02
[40]
논문
Shifting Perspectives on AI Evaluation: The Increasing Role of Ethics in Cooperation
[41]
뉴스
One Giant Step for a Chess-Playing Machine
https://www.nytimes.[...]
2022-01-04
[42]
뉴스
Das letzte Match Mensch gegen Maschine?
https://en.chessbase[...]
2021-08-18
[43]
뉴스
Chess champion loses to computer
http://news.bbc.co.u[...]
2008-05-04
[44]
논문
[45]
뉴스
What Deep Blue Learned in Chess School
https://www.nytimes.[...]
2017-07-04
[46]
웹사이트
Computer Defeats Kasparov, Stunning the Chess Experts
https://www.nytimes.[...]
2020-05-18
[47]
논문
[48]
웹사이트
20 Years after Deep Blue: How AI Has Advanced Since Conquering Chess
https://www.scientif[...]
2022-01-03
[49]
논문
IBM's Deep Blue Chess Grandmaster Chips
http://www.csis.pace[...]
2022-01-11
[50]
뉴스
IBM upgrades Deep Blue
https://www.cnet.com[...]
Clnet
1997-09-02
[51]
논문
[52]
서적
Behind Deep Blue: Building the Computer That Defeated the World Chess Champ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2-05-03
[53]
웹사이트
TOP500 List – June 1997 (201–300)
http://www.top500.or[...]
2020-06-10
[54]
뉴스
Deep Blue
https://www.ibm.com/[...]
IBM
2018-01-12
[55]
뉴스
人物专访:超级电脑“深蓝”研究主管谭崇仁
http://tech.sina.com[...]
中新社
2018-01-12
[56]
뉴스
IBM“深藍之父”加盟微軟亞洲研究院
http://www.people.co[...]
人民網
2018-01-07
[57]
뉴스
不要深藍,不要深綠,要多采多姿
https://www.cw.com.t[...]
天下杂志
2018-01-07
[58]
웹사이트
新たな科学技術の発見のためのエンジンとなったIBM Blue Gene - IBMの生んだチェス・チャンピオン「Deep Blue」の子孫として -
http://www-06.ibm.co[...]
[59]
웹사이트
Anand-Topalov - FIDE World Chess Championship 2010
http://www.anand-top[...]
[60]
웹사이트
"Cracking Go: Brute-force computation has eclipsed humans in chess, and it could soon do the same in this ancient Asian game," by Feng-hsiung Hsu, ''IEEE Spectrum,'' October 2007
http://www.spectrum.[...]
Spectrum.ieee.org
2018-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