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거북상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땅거북상과는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라시아, 인도네시아, 갈라파고스 제도, 세이셸, 일본,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는 거북 분류군이다. 현존하는 최대 종은 알다브라 코끼리거북이며, 최소 종은 얼룩무늬 납작거북이다. 늪거북과, 돌거북과, 큰머리거북과, 땅거북과 등이 현생 분류군에 속하며, 2021년 연구에 따르면 Testuguria와 Emysternia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숲, 초원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식성은 종에 따라 다르다. 서식지 파괴와 무분별한 포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땅거북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상위 분류 | 카메목 잠경아목 |
학명 | Testudinoidea |
명명자 | Fitzinger, 1826 |
하위 분류 | |
과 | 우투켈리스 누가메과 돌거북과 하이케미다에과 린돌메미다에과 오오아타마가메과 시노켈리다에과 리쿠가메과 |
기타 | |
![]() |
2. 분포
아프리카 대륙, 북아메리카 대륙, 남아메리카 대륙, 유라시아 대륙, 인도네시아, 에콰도르(갈라파고스 제도), 세이셸(알다브라 환초), 일본, 필리핀에 분포한다.
현존하는 최대 종은 알다브라 코끼리거북으로 최대 갑장은 138cm이다. 최소 종은 얼룩무늬 납작거북으로 최대 갑장은 9.8cm로 거북목 중에서도 최소 종이다. 멸종 종을 포함하는 경우, 메이올라니아가 최대 종으로, 전체 길이는 2m 이상이다.
땅거북상과는 잠경아목 내에서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는 상과이다.
이러한 분포는 쥐라기에 일어난 판게아 대륙의 분열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여겨진다.[3]
3. 형태
4. 분류
자라과는 과거 늪거북과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늪거북과보다는 육지거북과에 더 가깝다는 설이 유력하여 독립된 과로 분류된다. 큰머리거북과 또한 과거에는 땅거북상과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악어거북과에 더 가깝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핵 DNA 및 미토콘드리아 DNA 전체 염기서열 분석 결과, 다시 땅거북상과에 포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4. 1. 현생 분류군
2021년 연구에 따르면 이 분지군은 두 개의 현존하는 그룹으로 나뉜다. Testuguria에는 늪거북과와 땅거북과가 포함되고, Emysternia에는 미국늪거북과와 넓적등거북과가 포함된다.[2]
4. 2. 계통 분류 및 멸종 분류군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땅거북상과는 두 개의 현존하는 그룹으로 나뉜다. Testuguria에는 늪거북과와 땅거북과가 포함되고, Emysternia에는 미국늪거북과와 넓적등거북과가 포함된다. 멸종된 린홀름거북과는 이전에는 땅거북상과에 분류되었지만, 아직 이 과가 땅거북상과의 크라운 그룹 외부에 속하는지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없다.[2]
잠경아목 내의 상과에서는 최대의 구성 종을 포함한다.
자라과는 늪거북과에 포함되었지만, 늪거북과보다 육지거북과에 더 가깝다는 독립된 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큰머리거북과는 본 상과에 포함하는 설도 있었지만, 최근까지 두개골 및 미토콘드리아 DNA 일부 분석에 의한 분자계통학 연구에서 악어거북과에 가깝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핵 DNA의 분석 및 미토콘드리아 DNA의 전체 염기 서열 분석에 의한 분자계통학 연구에서는 본 상과에 포함된다고 여겨진다.
늪거북과
땅거북과
미국늪거북과
넓적등거북과
5. 생태
거북과(Testudinidae)는 숲, 초원 등에 서식하며 육상종으로만 구성된다. 자라과(Geoemydidae)와 늪거북과(Emydidae)는 담수역 또는 그 주변에 서식하는 반수생종 또는 반육생종이 많고, 호주땅거북과(Chelidae) 유일의 현생종인 오오아타마거북(Macrochelodina parkeri)은 계곡에 서식한다. 그러나 육상종이나 산란을 제외하고는 상륙하지 않는 완전 수생종도 있다.
식성 또한 폭넓어 완전한 동물성, 식물성, 잡식성의 종이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서식지에서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식용 및 애완용으로 무분별하게 포획되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2011
[2]
논문
A nomenclature for fossil and living turtles using phylogenetically defined clade names
2021-02-09
[3]
논문
DISTRIBUTION AND BIOGEOGRAPHY OF NON-MARINE CRETACEOUS TURTLE
2005
[4]
간행물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