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바로 살아라 (1997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똑바로 살아라 (1997년 영화)는 1997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코미디 영화이다. 장사기를 비롯한 사기꾼 일당이 고급 공무원들의 검은 돈을 노리는 내용을 다루며, 검찰의 수사 과정과 사회 부조리를 풍자한다. 박중훈, 오지명, 김갑수 등이 출연하였으며, 1997년 3월 개봉하여 흥행에 성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똑바로 살아라 (1997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제목 | 똑바로 살아라 |
원제 | Do The Right Thing |
장르 | 코미디 범죄 |
감독 | 유인식 |
제작 | 이우석 |
각본 | 계윤식 |
출연 | 박중훈 오지명 김갑수 명계남 |
음악 | 송병준 |
촬영 | 조동관 |
편집 | 박곡지 |
미술 | 조융삼 |
스튜디오 | 동아수출공사 |
개봉일 | 1997년 3월 15일 |
상영 시간 | 105분 |
언어 | 한국어 |
등급 | 19세 (청소년 관람불가) |
2. 줄거리
장사기와 그의 일당 마고봉, 김달세, 도준은 전문 사기꾼들이다. 이들은 101가지 사기 수법을 동원해 실명화되어 있지 않은 고급 공무원들의 빌딩이나 검은돈을 노린다. 컴퓨터 해커 김달세와 정보수집가 도준의 도움을 받아 사기 행각을 벌인다.
한편, 장사기의 사기 행각에 여러 명의 고위층이 걸려들자 검찰은 미모의 여경사를 급파해 장사기를 검거하려 한다. 평소 장사기에게 불만이 쌓여있던 마고봉은 검찰에게 장사기의 모든 비리를 고발하고, 장사기는 결국 철창 신세를 지게 된다.
3. 등장인물
3. 1. 중심 인물
3. 2. 조연 인물
이정희는 여검사 역을 맡았다. 정혜정은 은희 역을, 노현정은 마누라 역을 연기했다. 권용운은 검찰청 형사로 출연했다. 박용식, 노영국, 신혜수는 돈을 받지 않고 나온 사람들로 등장한다. 길달호는 푸줏간 주인, 노사강은 세금을 삥한 사장 역을 맡았다.
장인한은 송정남 역을, 나기수는 송정남의 아들 송영민 역을, 차영옥은 송정남의 며느리 역을 연기했다. 원성진은 꽁지머리 원장, 안진수는 변호사 역을 맡았다. 박용팔은 용팔이형으로 출연했다.
손종호는 매 맞는 놈, 허종웅은 어머니 용서를, 서미호는 레코드점 아가씨, 권성애는 피자 아줌마, 김미덕은 파출부, 장정아와 안순희는 양로원 아줌마들 역을 연기했다. 이철민은 바꿔치기, 임성준은 도장, 정성호는 문서, 안준모는 젊은 제록스, 송혜진은 여비서, 주상훈은 철가방, 현경석은 검찰 간부, 김용수는 운짱, 장희원은 채찍녀, 전진수는 채찍남 역을 맡았다.
홍석천, 박병호, 서원섭, 김철수, 도기석, 최우덕, 이광호, 장홍준, 김상엽은 똘마니 역으로 출연했다. 김동철, 배건식, 윤철희, 이태호, 선준영, 김영식, 이동준, 박종민, 송경의, 전흥식은 국세청 직원들 역을 맡았다. 강성진은 모텔 지배인, 이선영은 모텔 조바, 이범선은 호모들, 윤명석은 세탁소 주인, 임현지와 이난희는 국세청 여직원, 김숙현은 동사무소 여직원, 홍양희, 정선용, 조영심은 은행 여직원 역을 연기했다.
김건호, 김태구, 박만은 동사무소 무리들, 계혜경과 구재경은 여학생, 이창학은 밀주업자, 장형윤은 카페 아가씨, 남경우, 민경원, 조원형, 김지태는 수사관, 오복현은 사업가, 김정환은 공사장 인부, 오철원, 박훈, 안충신, 표민우, 신원상, 이민연, 김명훈, 안창수, 전상영, 김태현은 학원생 역을 맡았다. 조문식은 검찰청 검사로 출연했다.
4. 제작진
감독은 이상우이며, 각본은 계윤식이 썼다. 촬영은 조동관, 조명은 김일준, 음악은 송병준과 박지연이 담당했다. 주제가는 김태욱이 불렀다. 미술은 조융삼이, 편집은 박곡지가 맡았다. 제작은 이우석, 기획은 이호성이 담당했다.
5. 영화 속 사회 비판
5. 1. 권력층에 대한 풍자
5. 2. 검찰의 역할
6. 개봉 및 평가
1997년 3월 15일에 극장 개봉을 하였고, 개봉 당시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같은 해 5월 30일에는 SKC와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비디오로도 출시되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 당시 사회상을 반영한 코미디 영화로 주목받았다.
6. 1. 흥행
1997년 3월 15일에 극장 개봉을 하였고, 개봉 당시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같은 해 5월 30일에는 SKC와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비디오로도 출시되어 많은 사랑을 받았다.6. 2. 비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