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데어는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닥락성 등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도안반푹에 의해 9개의 방언으로 분류된다. 주요 방언으로는 끄빠, 끄룽, 아드함, 끄뚤, 드라오 등이 있으며, 비흐어는 다른 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 라데어는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며, 어휘는 일상생활, 가족, 감정, 숫자 등을 표현하는 단어들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어군 - 아체어
    아체어는 인도네시아 아체주 해안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참어군 및 말레이어군 언어들과 관련이 있으며, 로마자를 사용하고 활격-불활격 정렬 체계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 베트남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베트남의 언어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라데어
개요
언어 이름라데어
다른 이름클레이 에데
사용 국가베트남
사용자라데족
추정 화자 수177,000명 (2007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말레이숨바와어군(?)
하위 어군참어군 고지대참어군
언어 코드
ISO 639-3rad
Glottolograde1240 (라데어)
ELP1468 (Bih)
문자 체계
문자로마자
추가 정보
베트남어 이름tiếng Ê-đê 혹은 tiếng Ê Đê
옴니글롯Rade (klei Êđê)

2. 방언

도안반푹(Đoàn Văn Phúcvi)은 라데어를 9개 방언으로 분류했으며[7], 대부분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닥락성에서 사용된다. 부온마투옷 지역에서는 Hmok 또는 Hmok Pai로 알려진 부계 라데어 하위 그룹이 발견된다.[5]

2. 1. 주요 방언

도안반푹(Đoàn Văn Phúcvi)은 라데어를 9개 방언으로 분류하였다.[7] 대부분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닥락성에서 쓰인다.

방언사용 지역
끄빠(Kpă)부온마투옷
끄룽(Krung)애아흘레오현, 끄롱낭현, 잘라이성 (일부 화자)
아드함(Adham)끄롱북현, 끄롱낭현, 애아흘레오현
끄뚤(Ktul)끄롱봉현, 끄롱빡현 남부
드라오(Drao) 혹은 꺼드라오(Kơdrao)므드락현 끄롱징(Krông Jing), 끄므따(Cư M'Ta), 애아뜨랑(Ea Trang) 마을
블로(Blô)므드락현 (소수)
에빤(Êpan)므드락현 (소수)
므드후르(Mdhur)므드락현, 애아까르현, 잘라이성, 푸옌성
비흐(Bih)끄롱아나현, 부온마투옷 남부



비흐어는 라데어의 방언이 아닌 다른 언어로 분류되기도 한다.[8] 응우옌땀은 2015년에 비흐족 400명 중 비흐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10명에 지나지 않다고 하였다.[9]

2. 2. 비흐 방언에 대한 추가 정보

비흐는 화자가 약 1,000명인 방언으로, 별개의 언어일 수도 있다.[3] 응우옌땀(Tam Nguyen, 2015)은 비흐족 인구 약 400명 중 비흐어를 사용하는 화자가 10명에 불과하다고 보고했다.[4]

3. 분류

도안반푹은 라데어 방언을 1구역과 2구역으로 분류하고, 끄빠 방언과 다른 8개 방언 간의 관계성을 퍼센티지로 나타냈으며, 이 중 비흐어가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7]

3. 1. 지역별 분류

도안반푹은 라데어 방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7]

  • 1 구역
  • 1.1 구역: 끄룽, 끄빠, 아드함
  • 1.2 구역: 드라오, 에빤, 끄뚤
  • 블로 (1.1 구역, 1.2 구역, 므드후르가 섞인 상태)
  • 2 구역
  • 므드후르
  • 비흐


도안반푹은 끄빠 방언과 다른 8개 방언 간 관계성을 퍼센티지로 나타내었고, 비흐어가 가장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7]

방언끄빠 방언과의 관계성
끄룽85.5%
아드함82%
끄뚤82%
므드후르80%
블로82%
에빤85%
드라오81%
비흐73%


3. 2. 방언 간 유사도

도안반푹은 끄빠 방언과 다른 8개 방언 간의 관계성을 퍼센티지로 나타냈으며, 비흐어가 가장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7]

끄빠 방언과의 유사도(%)
방언유사도
끄룽85.5%
아드함82%
끄뚤82%
므드후르80%
블로82%
에빤85%
드라오81%
비흐73%


4. 음운

라데어의 로마자 표기 문자는 ''이탤릭체''로 나타낸다.[1]

4. 1. 모음

라데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라데어 모음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ĭ ii /iː/ư̆ ɨư /ɨː/ŭ uu /uː/
중모음ê̆ eê /eː/ơ̆ əơ /əː/ô̆ oô /oː/
저모음ĕ ɛe /ɛː/ă aa /aː/ŏ ɔo /ɔː/



모음 /ɨ ɨː, ə əː/는 더 중설화된 후설모음 [ɯ̈ ɯ̈ː, ɤ̈ ɤ̈ː]로 나타날 수 있다.

4. 2. 자음

라데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무성음ptckʔ
유기음
유성음bdɟɡ
내파음ɓɗʄ
마찰음sh
접근음wlj
R음r



/w/는 더욱 양순음화되어 [β̞]로 나타날 수도 있다. 성문음 /wʔ, jʔ, jh/은 오직 단어의 끝에서만 나타난다.

5. 어휘

Khoa sangrad - 나이가 많고 권위가 있는 사람

Degarad - 기독교 개신교 신자 (에데족의 단어)

Ihrad - 너

Ungrad - 남편

Ñurad - 그녀/그

Diñurad - 그들

Dreirad - 우리

Khăprad - 사랑

Bi êmutrad - 싫어하다

idairad - 동생

amĭrad - 엄마/어머니

yahrad - 할머니

rad - 할아버지

Amarad - 아버지, 아빠

Jhatrad - 못생긴, 나쁜

Siamrad - 예쁜

Siam mniêrad - 아름다운 소녀

Jăkrad - 좋은

Breirad - 주다

Djŏrad - 진실

Naorad - 가다

Kâorad - 나/나를

anănrad - 이름

Čarrad - 국가

Čiăngrad - 원하다/좋아하다

Aê Diêrad - 하느님

Blŭrad - 말하다

Klei blŭrad - 언어

Burrad - 쌀죽

Êmŏngrad - 뚱뚱한

Êwangrad - 마른

rad - 검은

Hriê/hrêrad - ~에서 온

Mơ̆ngrad - ~에서

Sarad, duarad, tlâorad, părad, êmarad - 1, 2, 3, 4, 5

Nămrad, kjuhrad, sa-bănrad, dua-pănrad, pluhrad - 6, 7, 8, 9, 10

Čar Mi/čar amêrikrad - 미국

Čar Kŭrrad - 캄보디아

Anakrad - 사람

Hriămrad - 배우다

Roă/ruărad - 불쾌감/고통의 소리

Ƀuôn Ama Y'Thuôtrad - 반메투옷

Čihrad - 쓰다/적다

Klei Mirad - 영어

Klei Êđêrad - 라데어/에데어

loorad - 많은

klei Prăng-xêrad - 프랑스어

mlukrad - 미친

참조

[1] 웹사이트 Rade (klei Êđê) http://www.omniglot.[...]
[2] 서적 Từ vựng các phương ngữ Êđê / Lexique des dialectes Êđê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and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1998
[3] 학위논문 A Grammar of Bih University of Oregon 2013
[4] 콘퍼런스 Language Endangerment Factors: A Case Study with Bih 2015
[5] 서적 Non nước Việt Nam: sắc nét trung bộ Phương Đông Publishers 2005
[6] 웹인용 Rade (klei Êđê) http://www.omniglot.[...]
[7] 서적 Từ vựng các phương ngữ Êđê / Lexique des dialectes Êđê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and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1998
[8] 학위논문 A Grammar of Bih University of Oregon 2013
[9] 콘퍼런스 Language Endangerment Factors: A Case Study with Bih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