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잘라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잘라이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에 위치한 성으로, 과거 자라이족, 바나르족, 참족의 생활 터전이었다. 19세기 말부터 프랑스 식민 통치를 받았으며, 베트남 전쟁 당시 호치민 루트의 일부였다. 현재는 1개의 시, 2개의 시사, 14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9년 기준 약 151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주요 민족은 킨족, 자라이족, 바나르족이며,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잘라이성은 도로와 항공 교통이 발달했으며, 자연 관광과 소수 민족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잘라이성 - 이아드랑 전투
    이아드랑 전투는 1965년 베트남 전쟁 중 미군과 북베트남군 사이에 벌어진 격렬한 전투로, 미군의 공중 기동 전술을 시험하는 무대가 되었으며 미군은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었다.
  • 잘라이성 - 안케
    안케는 베트남 빈딘성에 위치한 직할시로, 과거 참족의 도시였으며 인도차이나 전쟁의 격전지였고, 현재는 6개의 방과 5개의 사로 구성되어 열대 몬순 기후의 영향으로 농업이 활발하다.
  •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 꼰뚬성
    꼰뚬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위치하며 바나족 등 다양한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여러 세력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치권을 유지해온 지역으로, 베트남 전쟁 격전지였으며 최근에는 토지 분쟁과 지진 발생 문제가 있는 산악 지형의 성이다.
  •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 닥락성
    닥락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위치하며 므농어에서 유래한 "락 호수"라는 의미를 가진 성으로, 다양한 소수민족이 거주하며 커피 생산으로 유명하고 락 호수와 주변 소수민족 마을은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다.
  • 잘라이성의 지리 - 안케
    안케는 베트남 빈딘성에 위치한 직할시로, 과거 참족의 도시였으며 인도차이나 전쟁의 격전지였고, 현재는 6개의 방과 5개의 사로 구성되어 열대 몬순 기후의 영향으로 농업이 활발하다.
  • 잘라이성의 지리 - 쁠래이꾸
    쁠래이꾸는 지아라이 성의 성도로, 고원 지대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이며, 교통의 중심지이자 호앙 아인 잘라이 FC 축구 클럽의 연고지이다.
잘라이성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일반 정보
민탄 사원
민탄 사원
비엔 호수
비엔 호수
유형
국가베트남
지역중부 고원 지방
성도플레이쿠
인구 (2023년)1,613,895명
면적15,510.13km²
민족 구성킨족, 자라이족, 바나족, , 포함 39개 민족
HDI (2020년)0.663 (56위)
GDP총액: 66조 1,580억 동 (28억 7,300만 달러)
행정
인민위원회 주석즈엉 반 짱
인민위원회 위원장팜 테 둥
지리
뜨능 호수
뜨능 호수
비엔 호수 - 플레이쿠, 잘라이, 베트남
비엔 호수 - 플레이쿠, 잘라이, 베트남
안케 고개, 잘라이-빈딘
안케 고개, 잘라이-빈딘
Đăk Pơ 현
Đăk Pơ 현
문화
플레이쿠의 한 기둥 사원
플레이쿠의 한 기둥 사원
제95 보병 연대 영웅 및 열사 기념 사원 (망 양 부대)
제95 보병 연대 영웅 및 열사 기념 사원 (망 양 부대)
기타 정보
시간대ICT (+7)
지역 번호269 (2017년 6월 17일부터), 59 (2017년 7월 16일까지)
ISO 3166-2VN-30
웹사이트잘라이 성 정부 웹사이트

2. 역사

잘라이성은 고대부터 자라이족, 바나르족, 참족 등이 거주해 온 지역이다.[7] 19세기 중반 프랑스 세력이 진출하기 시작하면서 선교 활동과 함께 점차 식민 통치 기구가 설치되었다. 프랑스는 분할 통치 정책을 통해 지역 내 갈등을 유발하기도 했다.

여러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쳐 1932년에는 쁠래이꾸성이 설립되었다. 1945년 8월 혁명 이후 잠시 '잘라이성'으로 불렸으나, 1946년 프랑스가 재점령하면서 다시 '쁠래이꾸성'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1954년까지 프랑스의 통치를 받았다. 잘라이성의 이름은 자라이족 언어의 고대 명칭 '야그라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고대 ~ 프랑스 식민지 이전

잘라이성은 과거 이 지역에 오랫동안 거주해 온 자라이족, 바나르족, 참족의 생활 터전이었다. 프랑스인들이 고원 지대에 도착하기 전, 이곳의 민족 집단들은 사회 계층으로 이행하는 원시 사회의 마지막 단계에 있었다.[7]

1840년대부터 프랑스 선교사들은 현재의 쯔빠흐현 하떠이사(Hà Tây)와 닥도아현 하동사(Hà Đông)의 바나르족 거주 지역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기 프랑스인들은 북중부 고원 지대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며, 특정 집단을 이용해 다른 집단을 견제하고 킨족과 소수 민족 간의 분열을 조장하는 분할 통치 정책을 통해 지배력을 강화하려 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프랑스는 점차 잘라이 지역에 통치 기구를 설치하였다.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변경 끝에, 1932년 5월 24일 인도차이나 총독령에 따라 중부 고원 지방의 행정 단위를 통합 및 분리하여 쁠래이꾸성이 설립되었다.

1945년 8월 혁명 이전까지 쁠래이꾸성은 쁠래이꾸 시진, 안케현, 쁠래이끌리현, 쯔띠현, 쩨오레오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45년 혁명 이후 혁명 정부는 이 지역을 '잘라이성'으로 명명했다. 그러나 1946년 6월 프랑스가 다시 점령하면서 '쁠래이꾸성'이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1954년까지 중앙 고원 지방 전체와 함께 쁠래이꾸성을 통치했다.

잘라이성의 이름 '잘라이'(또는 '자라이')는 베트남어에서 유래했으며, 자라이족 언어의 고대 명칭인 '야그라이'에서 따왔다. 이는 종종 "물의 용"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자라이족의 공식 명칭이기도 하다. 또한 수천 년 동안 자라이족 씨족에게 숭배받았던 포 클라우 야그라이의 칭호와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토착 자라이족의 전통에 따르면, 이들은 과거 크메르 제국에 대한 기습 공격을 기념하는 축제를 열기도 한다. 이 지역은 당시 승리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자 물류 집결지로 여겨졌다고 전해진다.

2. 2. 프랑스 식민 통치

잘라이성은 과거 이 지역에 오랫동안 살아온 자라이족, 바나르족, 참족의 생활 터전이었다. 프랑스인들이 고원 지방에 도착하기 전, 잘라이성의 여러 인종 집단은 사회 계층으로 이행하는 원시 사회의 마지막 단계에 있었다.[7]

1840년대부터 프랑스 선교사들은 쯔빠흐현의 하떠이사와 오늘날의 닥도아현 하동사에 있는 바나르족 거주 지역에서 전교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프랑스인들은 점차 북중부 고원 지대로 영향력을 확대했다. 동시에 프랑스는 특정 집단을 이용하여 다른 집단을 견제하고, 킨족을 비롯한 여러 민족들을 분열시켜 지배하려는 분열 정책을 펼치며 지역 사회에 새로운 갈등을 일으켰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프랑스는 점차 잘라이 땅에 식민 통치 기구를 설치하였다.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변경 끝에, 1932년 5월 24일 인도차이나 총독령에 따라 중부 고원 지방의 행정 단위를 통합, 분리하여 쁠래이꾸성이 설립되었다.

1945년 8월 혁명이 일어나기 전, 쁠래이꾸성은 쁠래이꾸 시진, 안케현, 쁠래이끌리현, 쯔띠현, 쩨오레오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45년 혁명 이후, 베트남 혁명 정부는 이 지역을 잘라이성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1946년 6월 프랑스는 잘라이성을 다시 점령하고 쁠래이꾸성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도록 강제했다. 특히 1946년부터 1954년까지 중앙 고원 지방 전체와 함께 쁠래이꾸성은 프랑스 정부의 통치 아래 있었다.

2. 3. 베트남 전쟁

프랑스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점차 잘라이 지역에 통치 기구를 설치했다. 1840년대부터 프랑스 선교사들은 쯔빠흐현과 오늘날의 닥도아현에 거주하는 바나르족을 대상으로 선교 활동을 시작하며 고원 지대로 영향력을 넓혔다.[7] 이 과정에서 프랑스는 특정 민족 집단을 이용해 다른 집단을 견제하고, 킨족과 소수 민족 간의 분열을 조장하는 분할 통치 정책을 시행하여 지역 사회에 갈등을 유발했다.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32년 5월 24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령에 따라 쁠래이꾸성이 설립되었다. 1945년 8월 혁명 이전까지 쁠래이꾸성은 쁠래이꾸 시진, 안케현, 쁠래이끌리현, 쯔띠현, 쩨오레오현으로 구성되었다.

1945년 혁명 이후 베트남 혁명 정부는 이 지역을 잘라이성으로 명명했으나, 1946년 6월 프랑스가 다시 점령하면서 쁠래이꾸성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46년부터 1954년까지 프랑스는 중앙 고원 지방 전체와 함께 쁠래이꾸성을 통치했으며, 이 시기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기간과 겹친다. 이후 잘라이성은 베트남 전쟁 시기 호찌민 루트의 주요 경로 중 하나가 되었다.

2. 4. 통일 이후

(작성할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통일 이후'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3. 지리

잘라이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북쪽에 위치한 산악 성으로, 평균 해발 고도는 700m에서 800m 사이이다.[8][5] 성의 면적은 15510.13km2이며, 2022년 기준 평균 인구는 1,590,980명이다.[5] 플레익 시가 이 성의 경제, 정치, 문화 및 사회 중심지이다.[5] 주변의 여러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9][5] 고원과 산악 지형이 특징적이다.[10]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한다.[10]

3. 1. 지형

잘라이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 북쪽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 고도는 700m에서 800m에 이르는 고원 지방이다.[8] 동쪽으로는 꽝응아이성, 빈딘성, 푸옌성과 접하고, 서쪽으로는 캄보디아의 라타나키리 주와 약 90km에 걸쳐 국경을 맞대고 있다. 남쪽으로는 닥락성, 북쪽으로는 꼰뚬성과 경계를 이룬다.[9]

지리적으로 잘라이성은 4000m가 넘는 거대한 고대 바위 토대의 일부인 꼰뚬 대괴(Kontum Massif)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전체적인 지형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점차 낮아지고, 동쪽에서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언덕, 고원, 계곡이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를 띤다. 잘라이성의 지형은 크게 구릉지, 고원지, 계곡 지형의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10] 특히 중부 고원의 꼰하눙 고원(vi)과 플래이꾸 고원(Cao nguyên Pleiku|플래이꾸 고원vi)은 잘라이성의 중요한 지형적 특징이다.

산악 지형은 주로 성의 북쪽에 분포하며 전체 면적의 약 2/5를 차지한다. 이 지역은 지형 기복이 뚜렷하며, 고지대와 평지, 계곡 등이 산과 함께 섞여 있다. 반면, 저지대는 주로 성의 동부에 위치하며 식량 생산에 주로 이용된다. 잘라이성의 토양은 7개의 주요 유형 아래 26개의 다른 유형으로 나뉠 만큼 다양하다.[11]

이 지역은 다양한 모암에서 형성된 토양과 함께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경제적 잠재력이 크다. 주요 광물로는 , 건축 자재, 보크사이트, 보석 등이 있다.[10]

3. 2. 기후

잘라이성은 풍부한 습도, 많은 비, 잦은 폭풍우가 특징인 해안의 열대 몬순 지역이다.[10] 이곳의 기후는 건기와 우기, 두 개의 뚜렷한 계절로 나뉜다.[10] 우기는 보통 5월에 시작하여 10월에 끝나며, 건기는 11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이어진다.[10] 연평균 기온은 22°C에서 25°C 사이이다.[10]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안남산맥 동쪽 지역은 연평균 1200mm에서 1750mm, 서쪽 지역은 연평균 2200mm에서 2500mm의 비가 내린다.[10] 잘라이성의 기후와 토양은 다양한 산업용 식물 재배와 농업, 임업 발전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10]

3. 3. 인접 지역

잘라이성은 베트남 중부 고원 북부에 위치하며, 다음과 같은 지역과 경계를 접하고 있다.[9][5]

4. 행정 구역

잘라이성은 1개의 시, 2개의 시사, 14개의 현으로 구성된 총 17개의 현급 행정 구역을 가지고 있다. 성도는 플레익 시이며, 이 도시는 성의 경제, 정치, 문화 및 사회 중심지 역할을 한다.[5]

이들 17개 현급 행정 구역은 다시 24개의 방(phường), 15개의 읍(thị trấn), 184개의 사(xã)로 세분된다.

4. 1. 시


  • 쁠래이꾸 시 (Pleiku|쁠레이꾸vi / 坡離俱|파리구중국어)
  • 면적: 266.62km2
  • 하위 행정 구역: 14 방, 9 사

4. 2. 시사


  • 안케 시사 ( An Khê|안케vie / 安溪 )
  • 아윤파 시사 ( Ayun Pa|아윤파vie )

4. 3. 현

잘라이성은 1개의 시, 2개의 시사, 14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14개 현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어면적 (km2)시진
쯔빠흐현Chư Păhvi988.66km2213
쯔쁘롱현Chư Prôngvi1687.5km2119
쯔쁘흐현Chư Pưhvi716.95km218
쯔세현Chư Sêvi642.96km2114
닥도아현Đắk Đoavi988.66km2116
닥뻐현Đắk Pơvi499.62km217
득꺼현Đức Cơ / 德基vi717km219
이어그라이현Ia Graivi1157.3km2112
이어빠현Ia Pavi870.9km209
끄방현K'Bangvi1845km2113
꽁쯔로현Kông Chrovi1442km2113
끄롱빠현Krông Pavi1623.6km2113
망양현Mang Yangvi1126.1km2111
푸티엔현Phú Thiện / 富善vi501.91km219


5. 인구 통계

잘라이성은 베트남의 민족 중 킨족 외에도 자라이족, 바나르족을 비롯한 여러 소수 민족이 함께 거주하는 다민족 지역이다.[12] 종교적으로도 카톨릭, 개신교, 불교를 중심으로 다양한 신앙이 공존하고 있다.[12]

5. 1. 인구 구성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잘라이성의 인구는 약 1,513,847명이며, 인구 밀도는 102명/km2이다. 인구 분포는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성도인 쁠래이꾸시는 전체 인구의 27.53%를 차지하며 인구 밀도가 1,662명/km2로 매우 높다. 안케시는 408명/km2, 나머지 현과 시진은 200명/km2 미만이다. 특히 끄방현은 45명/km2으로 성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도시 인구는 438,062명(28.9%), 농촌 인구는 1,075,785명(71.1%)이다. 남성은 758,759명, 여성은 755,258명이며, 인구 자연 증가율은 1.72%이다.[12]

잘라이성은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2009년 조사에서는 킨족, 자라이족, 바나르족, 따이족, 눙족, 므엉족, 타이족, 자오족 등이 주요 민족으로 파악되었다. 아래는 2019년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한 민족별 인구 구성이다.

민족인구 수
킨족814,056
자라이족459,738
바나족189,367
눙족12,420
따이족11,412
므엉족8,283
타이족5,440
야오족4,825
몽족3,386
쏘당족964
에데족904
참족759
화교515
산자이족388
크메르족326
흐레족278
토족204
산지우족133
지에-찌엥족70
크무족60
꼬족46
므농족45
응아이족32
꼬호족23
꼬뚜족21
라글라이족19
꼬라오족16
쩌로족13
스띠엥족12
브루-반키에우족12
자이족12
따오이족8
쯔루족6
쯛족6
캉족3
마족2
라후족2
파텡족2
하니족1
라찌족1
루족1
망족1
보이족1
외국인20
미확인11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잘라이성에는 10개의 종교가 있으며, 총 427,566명의 신자가 있다.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한 종교는 카톨릭(166,996명)이며, 그 다음은 개신교(142,220명), 불교(115,229명) 순이다. 그 외 까오다이교(2,971명), 바하이교(59명), 호아하오교(41명), 헤우응이어도(好義道, 23명), 민리도(明理道, 18명), 베트남 순수불교(5명), 이슬람교(4명) 등이 있다.

'잘라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의 주요 토착 민족인 자라이족( Người Gia Raivie )의 베트남어식 표기이며, 자라이족의 고대 명칭인 '야그라이'에서 유래했다. '야그라이'는 "물의 용"이라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수천 년간 자라이족 씨족에게 숭배받았던 포 클롱 가라이의 칭호이기도 하다. 자라이족 공동체는 전통적으로 크메르 제국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는 축제를 열기도 한다.

5. 2. 종교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잘라이성에는 10개의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이 총 427,566명 있다. 그 중 가장 신자 수가 많은 종교는 가톨릭교로 166,996명이며, 그 다음은 개신교 142,220명, 불교 115,229명 순이다. 그 외 까오다이교 2,971명, 바하이교 59명, 호아하오교 41명, 헤우응이어도(好義道) 23명, 민리도 18명, 베트남 순수불교 5명, 최소 4명의 이슬람교 신자가 있다.[12]

6. 교통

잘라이성의 교통은 도로와 항공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요 국도들이 인근 성 및 베트남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쁠래이꾸 공항을 통해 다낭, 하노이, 호찌민시, 하이퐁 등 주요 도시로 이동하는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

6. 1. 도로

안케 고개


잘라이성의 도로는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한 편이다. 주요 국도는 다음과 같다.

  • 14번 국도: 남북으로 이어지며, 남쪽으로는 닥락성, 북쪽으로는 꼰뚬성과 연결된다. 특히 호찌민시 등 베트남의 주요 경제 및 정치 중심지까지의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 19번 국도: 동쪽으로 빈딘성의 꾸이년시와 연결된다.
  • 25번 국도: 동쪽으로 푸옌성의 뚜이호아시와 연결된다.

6. 2. 항공

잘라이성에는 쁠래이꾸 공항이 있어 항공 교통이 편리하다. 이 공항은 쁠래이꾸와 베트남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며, 다낭, 하노이, 호찌민시, 하이퐁으로 가는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7. 관광

잘라이성은 높은 산과 원시림을 비롯한 다채로운 자연 경관과 자라이족, 바나르족 등 소수민족의 독특한 문화유산을 함께 경험할 수 있는 관광지이다. 자연 속에서의 다양한 활동과 더불어,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축제 등을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7. 1. 자연 관광

민타인사


잘라이성의 관광 잠재력은 높은 산들과 다양한 자연 및 인공 경관 덕분에 매우 풍부하다. 이곳의 원시림은 풍부한 동식물 생태계와 많은 급류, 하천, 호수로 유명하며, 쁠래이꾸시에 위치한 민타인사도 주요 볼거리 중 하나이다. 망양천국문, 함롱봉과 같은 여러 언덕과 산들도 있다. 인공적인 경관으로는 고무, 차, 커피 농장이 넓게 펼쳐져 있다. 관광객들은 숲길 탐방과 더불어 강에서 보트를 타거나 숲 속에서 코끼리를 타는 등의 활동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잘라이성은 자라이족과 바나르족을 중심으로 한 소수민족들의 오랜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이는 주로 공동 주택, 기둥 주택, 무덤과 같은 전통 건축물과 전통 축제, 의복, 악기 등을 통해 나타난다.

공, 단다, 끄니, 끌롱뿟, 궁, 쭝, 알랄과 같은 소수 민족들의 독특한 악기들과 물소 축제, 햅쌀 축제 등의 전통 축제도 경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이 지역의 특산품으로는 와인, 쌀 와인, 말린 포, 그리고 정교한 조각상 등이 유명하다.

7. 2. 문화 관광



잘라이성의 관광 잠재력은 높은 산과 다양한 자연 및 인공 경관 덕분에 매우 풍부하다. 이곳의 원시림은 풍성한 동식물계와 많은 급류, 하천, 호수로 유명하며, 쁠래이꾸시에 위치한 민타인사와 같은 명소도 있다. 망양천국문, 함롱봉 등 많은 구릉과 산들이 자연 경관을 이루고, 고무, 차, 커피로 이루어진 광대한 숲은 인공적인 풍경을 더한다. 이러한 자연 환경을 활용하여 강에서 보트를 타거나 숲을 통과하는 코끼리 타기 등의 관광 활동도 가능하다.

또한 잘라이성은 자라이족과 바나르족을 중심으로 한 소수민족들의 오랜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이들의 문화는 주로 공동 주택, 기둥 주택, 무덤과 같은 독특한 건축 양식과 전통 축제, 의복, 악기 등을 통해 표현된다.

소수 민족들의 대표적인 악기로는 공, 단다, 끄니, 끌롱뿟, 궁, 쭝, 알랄 등이 있으며, 버팔로 축제나 햅쌀 축제와 같은 전통적인 축제들이 열린다. 또한, 이 지방은 와인, 쌀과 찹쌀로 만든 와인, 말린 포, 그리고 정교한 조각상 등으로도 유명하다.

잘라이성의 이름 '자라이'는 베트남어의 킨족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자라이족 언어의 고대 명칭인 '야그라이'에서 따왔다. '야그라이'는 종종 "물의 용"으로 해석되는데, 이는 자라이족의 공식 명칭이기도 하다. 또한, 이는 수천 년 동안 자라이족 씨족에게 숭배받았던 포 클롱 가라이의 칭호와도 관련이 있다.

토착 전통에 따르면, 자라이족 공동체는 포 클롱 가라이가 크메르 제국을 예기치 않게 공격했던 것을 기리기 위해 종종 축제를 연다. 이 지역은 과거 영광스러운 승리를 위한 발판이자 물류 집결지로 여겨진다.

8. 스포츠

잘라이성을 연고지로 하는 대표적인 프로 축구 클럽으로 호앙아인 잘라이 FC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Biểu số 4.4: Hiện trạng sử dụng đất vùng Tây Nguyên năm 2022 https://monre.gov.vn[...] 2023-10-18
[2] 웹사이트 Tình hình kinh tế, xã hội Gia Lai năm 2018 https://web.archive.[...] 2020-05-10
[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by province(*) by Cities, provincies and Year https://www.gso.gov.[...] 2024-09-28
[4] 웹사이트 Tình hình kinh tế, xã hội Gia Lai năm 2018 https://gialai.gov.v[...] 2024-06-18
[5] 웹사이트 Dân số Gia Lai - Thông tin Dân số từ Tổng cục Thống kê https://danso.info/d[...] 2024-11-07
[6] URL https://danso.info/d[...]
[7] 뉴스 Vùng đất tỉnh Gia Lai ngày nay là địa bàn cư trú lâu đời của các dân tộc Jrai, Bahnar có tập quán sống thành từng làng, Theo Báo Gia Lai. http://baogialai.com[...]
[8] 뉴스 Vị trí địa lý - địa danh và địa giới hành chính tỉnh Gia Lai http://baogialai.com[...] 짤라이 온라인 2012-04-05
[9] 웹사이트 Gia Lai là một tỉnh miền núi nằm ở khu vực phía Bắc cao nguyên Trung Bộ http://www.chinhphu.[...]
[10] 웹사이트 Địa hình thấp dần từ Bắc xuống Nam và nghiêng từ Đông sang Tây http://www.chinhphu.[...]
[11] 웹사이트 Gia Lai nằm trên một phần của nền đá cổ rộng lớn, dày trên 4.000 m, thuộc Địa khối Kon Tum. http://www.gialai.go[...]
[12] 웹사이트 Tỷ lệ tăng tự nhiên dân số phân theo địa phương http://www.gso.gov.v[...] 베트남 통계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