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 알하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스 알하게는 지구에서 약 48.6 광년 떨어진 뱀주인자리에 있는 쌍성이다. 라스 알하게는 8.62년을 주기로 공전하는 두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겉보기 등급 2.08로 빛난다. 주성인 라스 알하게 A는 태양 질량의 약 2.4배이며, 빠른 자전으로 인해 적도가 극보다 부풀어 회전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다. 라스 알하게 B는 태양 질량의 85% 정도이며, 분광형은 K5V ~ K7V 사이의 오렌지색 왜성이다. 라스 알하게는 아랍어 "땅꾼의 머리"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공식적으로 "라스알하게"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형 거성 - 아셀라
아셀라는 궁수자리에 있는 겉보기 등급 +2.59의 쌍성계 별로, '겨드랑이'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찻주전자 별자리의 일부이고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 승인된 명칭이다. - A형 거성 - 황소자리 세타
황소자리 세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명명된 황소자리의 이중성계로, 밝은 주성분은 델타 방패자리형 변광성인 백색 A형 거성 Aa와 동반성 Ab로, 어두운 구성 요소는 주황색 K형 거성 Ba와 동반성 Bb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야 신화에서 "Chamukuy"로, 중국 천문학에서 필수육(畢宿六)으로 불린다. - 땅꾼자리 - 케플러 초신성
케플러 초신성은 1604년에 관측된 밝은 초신성으로, 여러 문명에서 기록되었으며, Ia형 초신성으로 추정되고 천문학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 땅꾼자리 - 바너드별
바너드별은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가 발견한 지구에서 비교적 가까운 적색 왜성이며, 가장 큰 고유 운동을 보이는 별 중 하나로, 외계 행성 바너드 별 b가 확인되었고 추가 행성 후보들이 거론되고 있다. - K형 주계열성 - 백조자리 61
백조자리 61은 11.36광년 거리에 있는, 큰 고유 운동과 시차 측정으로 유명한 '베셀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K형 주계열성 쌍성계이다. - K형 주계열성 - 허큘리스자리 14
허큘리스자리 14는 태양 질량의 약 98%를 가진 K0V형 적색 왜성으로, 최소 두 개의 행성(14 헤르쿨리스 b, 14 헤르쿨리스 c)을 거느리고 있으며, 세 번째 행성 후보도 존재하나 별의 자기 활동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14 헤르쿨리스 c에 대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영상 관측이 계획되어 있다.
| 라스 알하게 | |
|---|---|
| 개요 | |
![]() | |
| 별자리 | 뱀주인자리 |
| 명칭 | 라스 알하게 |
| 기타 명칭 | 뱀주인자리 55 BD +12° 3252 FK5 656 HD 159561 HIP 86032 HR 6556 SAO 102932 |
| 관측 정보 | |
| 겉보기 등급 | 2.07 |
| 시선 속도 | +12.6 km/s |
| 고유 운동 (적경) | 108.07 밀리초각/년 |
| 고유 운동 (적위) | -221.57 밀리초각/년 |
| 연주 시차 | 67.13 밀리초각 |
| 특징 | |
| 분광형 | A5IVnn / K5–7 V |
| B-V 색 지수 | +0.15 |
| U-B 색 지수 | +0.10 |
| 위치 및 속도 | |
| 시선 속도 | 11.70 km/s |
| 적색 편이 | 0.000039 |
| 항성 정보 (α Oph A) | |
| 질량 | 2.40 태양 질량 (+0.23, -0.37) |
| 반지름 (적도) | 2.858 태양 반지름 (± 0.015) |
| 반지름 (극) | 2.388 태양 반지름 (± 0.013) |
| 광도 | 31.3 태양 광도 (± 0.96) |
| 표면 온도 (적도) | 7569 K (± 124) |
| 표면 온도 (극) | 9384 K (± 154) |
| 표면 중력 | 3.91 |
| 자전 속도 | 239 km/s (± 12) |
| 자전 주기 | 0.61 일 |
| 나이 | 0.77 억 년 (± 0.03) |
| 항성 정보 (α Oph B) | |
| 질량 | 0.85 태양 질량 (+0.06, -0.04) |
| 스펙트럼형 | K5V-K7V |
| 궤도 요소 | |
| 공전 주기 | 3148.4 일 |
| 장반축 | 427 밀리초각 (+20, -13) |
| 이심률 | 0.92 (± 0.03) |
| 궤도 경사 | 125 도 (+6, -9) |
| 승교점 경도 | 232 도 (± 9) |
| 근일점 통과 시각 | 2452888 JD (± 53) |
| 근일점 인수 | 162 도 (± 14) |
| 명칭 유래 | |
| 어원 | 아랍어 "رأس الحواء" (Ra's al-Ḥawwā')에서 유래 |
| 의미 | 뱀을 다루는 사람의 머리 |
2. 특징
라스 알하게는 겉보기에는 하나의 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두 개의 별이 서로의 질량중심을 약 8.62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계이다. 두 별의 밝기를 합친 겉보기 등급은 +2.08이며, 지구로부터 약 48.6ly 떨어져 있어 비교적 가까운 별에 속한다. 이 항성계의 물리적 정보는 오랫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2011년 적응광학 기기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두 별의 질량과 궤도 요소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주성인 라스 알하게 A는 태양 질량의 약 2.4배, 동반성인 라스 알하게 B는 태양 질량의 약 0.85배로 추정된다. 주성 A는 분광형 A5 III으로 분류되며, 중심핵의 수소를 소진하고 주계열 단계를 벗어나 거성으로 진화하고 있는 상태이다. 표면 온도는 약 8,000,000으로 A형 항성 특유의 흰색 빛을 띤다. 반면, 동반성 B는 질량으로 미루어 보아 K5V에서 K7V 사이의 분광형을 가지는 오렌지색 왜성일 것으로 보인다.
주성 A는 적도 기준으로 초당 240km라는 매우 빠른 속도로 자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빠른 회전 때문에 별의 적도 부분이 극지방보다 더 부풀어 오른 회전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중력 암화 효과로 인해 극지방의 온도가 적도 지방보다 약 1,840,000 더 높다.
라스 알하게의 스펙트럼에서는 이온화된 칼슘(Ca II)의 흡수선이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항성 자체나 별 주위 환경의 특징이라기보다는 지구와 라스 알하게 사이에 존재하는 성간물질 때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2. 1. 라스 알하게 A
라스 알하게 A는 쌍성계인 라스 알하게의 주성이다.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2.4배로 추정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1.92배에서 4.8배까지 다양하게 제시되기도 한다.분광형은 A5 III으로 분류되며, 이는 중심핵의 수소를 소진하고 주계열 단계를 벗어나 거성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겉보기 등급은 동반성 B와 합쳐 +2.08이며, 지구로부터 약 48.6 광년 거리에 있다. A의 밝기는 태양 밝기의 약 25배이고, 표면 온도는 약 8,000 켈빈으로 A형 항성 특유의 흰색 빛을 띤다.
라스 알하게 A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별의 모양과 표면 온도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고)
라스 알하게의 스펙트럼에서는 이온화된 칼슘(Ca II)의 흡수선이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별 자체의 특징이라기보다는 지구와 별 사이에 있는 성간물질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2. 1. 1. 빠른 회전
라스 알하게 A는 적도 기준으로 초당 240km 속도로 매우 빠르게 회전한다. 이 속도는 항성이 파괴될 수 있는 한계 속도의 약 88.5%에 이른다. 이렇게 빠른 회전 때문에 라스 알하게 A의 적도는 극보다 약 20% 더 부풀어 있어 회전 타원체 모양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극 반지름은 태양반경의 2.388배로 계산되는 반면, 적도 반지름은 태양반경의 2.858배이다.
이처럼 찌그러진 모양과 빠른 회전은 별 표면의 물리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중력 암화 효과로 인해, 표면 중력이 더 강한 극 지역의 온도가 적도 지역보다 높다. A의 경우, 양극은 적도보다 약 1,840 켈빈(K) 더 뜨겁다. 계산된 극 온도는 9,384 켈빈(K)이고 적도 온도는 7,569 켈빈(K)이다.
라스 알하게 A의 자전축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시선 방향에 대해 약 87.7° ± 0.4° 기울어져 있다. 이는 우리가 라스 알하게 A의 적도를 거의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의미한다. 타원체 형태와 이러한 관측 각도 때문에, 우리가 보는 겉보기 볼로미터 광도는 태양광도의 25.6배이지만, 별의 실제 총 광도는 태양광도의 31.3배로 추정된다. 마찬가지로, 겉보기 유효온도는 8,047 켈빈(K)이지만, 별 전체의 에너지 출력을 고려한 실제 유효 온도는 8,336 켈빈(K)이다.
2. 2. 라스 알하게 B
라스 알하게 B는 라스 알하게 쌍성계를 이루는 두 별 중 질량이 작은 동반성이다. 질량은 태양 질량의 약 85%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 질량값을 바탕으로 추정한 분광형은 K5V에서 K7V 사이이며, 이는 라스 알하게 B가 중심핵에서 수소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주계열성 단계에 있는 오렌지색 왜성임을 의미한다. 라스 알하게 A와 B는 서로의 질량중심을 약 8.62년 주기로 공전하며, 2012년 4월 19일에 가장 가까워지는 근점을 통과했다. 이때 두 별 사이의 각거리는 50 밀리초각이었다.3. 이름과 어원
서구권에서 사용하는 이름 '''라스 알하게'''(Rasalhague)는 아랍어 رأس الحواء|라스 알-하와ar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뱀을 잡는 자의 머리"[9][10] 또는 "뱀주인의 머리"[9][10]를 의미한다. 이 별이 뱀주인자리에서 뱀을 손으로 잡은 남자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진다.[9][10]
아랍어 رَأْسُ الْحَوَّاءِ|라아스 알 하와ar의 각 단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رأس|라스ar: 머리[7][8]
- الـ|알ar: 정관사 (영어의 'the'에 해당)
- حَوَّاء|하와ar: 뱀을 잡는 사람, 뱀을 모으는 사람, 뱀을 기르는 사람, 뱀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9][10]
3. 1. 동아시아 별자리
동아시아권에서는 천시원의 후(候, 점쟁이)에 해당된다. 여러 별이 모여 이루어진 다른 별자리와는 달리 이 별은 후(候)의 유일한 구성원이다.[12] R. H. 앨런은 '후'를 로마자 '''How'''로 표기했으며 그 뜻을 '제후'라고 설명했다.3. 2. 명칭의 승인
알파 오피우키(Alpha Ophiuchi)는 이 별의 바이어 명명법을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한 것이다. 또한, 아랍어 رأس الحواء|raʼs al-ḥawwāʼara("뱀 사냥꾼의 머리")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이름인 라스알하게(Rasalhague)로도 알려져 있다.[2]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별들의 고유한 이름을 목록으로 만들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을 조직했다.[3] WGSN은 2016년 7월 첫 번째 회보[4]를 통해 승인된 이름 목록을 발표했으며, 같은 달 21일에 '라스알하게'(Rasalhague)를 뱀주인자리 알파(α)별 A의 고유 명칭으로 공식 승인하였다.[5]
참조
[1]
기타
[2]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3]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4]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5]
뉴스
Stars Pronunciation Guide
https://www.space.co[...]
2017-06-25
[6]
웹사이트
alf Oph
https://simbad.cds.u[...]
2023-12-23
[7]
웹사이트
The Living Arabic Project - رأس
https://www.livingar[...]
2024-01-25
[8]
웹사이트
معنى شرح تفسير كلمة (رأس)
https://www.almougem[...]
2024-01-25
[9]
웹사이트
معنى شرح تفسير كلمة (حواء)
https://www.almougem[...]
2024-01-25
[10]
웹사이트
قاموس نور - حواء
https://qamus.inoor.[...]
2024-01-25
[11]
논문
An Astrometric Study of the Binary Star α Ophiuchi
[12]
웹인용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25 日
http://aeea.nmns.edu[...]
2015-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