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RIP)은 벨만-포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로, 1969년부터 ARPANET 등에서 사용되었다. RIP는 IPv4 환경에서 사용되는 RIPv1 및 RIPv2, IPv6 환경에서 사용되는 RIPng 세 가지 버전이 있다. RIP는 구현과 설정이 간단하지만, 홉 수 제한(최대 15홉)과 느린 수렴,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한 라우팅 테이블 전송 등의 단점을 가진다. 시스코 IOS, 주노스, 윈도우 서버 등 다양한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되며, 쿼가, BIRD 등 오픈 소스 라우팅 제품군에서도 구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우팅 프로토콜 - IS-IS
    IS-IS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라우팅을 제공하는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로, 빠른 컨버전스 속도와 확장성이 뛰어나 통신 사업자 및 데이터 센터에서 주로 사용되며 OSPF와 유사하지만 주소 체계 등에서 차이가 있다.
  • 라우팅 프로토콜 - 경계 경로 프로토콜
    경계 경로 프로토콜(BGP)은 자율 시스템 간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로서, 인터넷 핵심 라우팅 프로토콜이며, iBGP와 eBGP로 나뉘어 경로 선택, 속성, 메시지 형식을 통해 라우팅 정책을 제어하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유지한다.
  • 인터넷 표준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 인터넷 표준 - IPv6
    IPv6는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로, 128비트 주소 체계를 통해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IP 주소를 제공하며, 주소 자동 설정, 패킷 처리 효율성 향상, 보안 기능 강화 등의 특징을 갖는다.
  • 인터넷 프로토콜 - IPTV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간 방송, VOD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서비스이며, 고속통신망과의 통합, 양방향 서비스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망 사업자 제한 등의 제한 사항도 존재한다.
  • 인터넷 프로토콜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2. 역사

벨만-포드 알고리즘과 포드-풀커슨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은 1969년부터 ARPANET 및 CYCLADES와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구현되기 시작했다. RIP의 전신은 1970년대 중반 Xerox가 실험적인 네트워크를 라우팅하기 위해 개발한 게이트웨이 정보 프로토콜(GWINFO)이었다. Xerox Network Systems(XNS) 프로토콜 제품군의 일부로 GWINFO는 XNS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로 변환되었다. 이 XNS RIP는 다시 Novell의 IPX RIP, AppleTalk의 라우팅 테이블 유지 관리 프로토콜(RTMP) 및 IP RIP와 같은 초기 라우팅 프로토콜의 기반이 되었다.

1982년 버클리 소프트웨어 배포판의 UNIX 운영 체제는 RIP를 ''routed'' 데몬에 구현했다. 4.2BSD 릴리스는 널리 사용되었으며, RIP를 ''routed'' 또는 ''gated'' 데몬에 구현한 후속 UNIX 버전의 기반이 되었다. 궁극적으로 RIP는 1988년 찰스 헤드릭이 작성한 표준이 RIPv1(RFC 1058)으로 통과되기 전에 광범위하게 배포되었다.[3]

RIP는 자율 시스템(AS) 내에서 라우팅을 수행하는 Interior Gateway Protocol(IGP)의 통신 프로토콜이다. 또한, 거리 벡터 (DVA) 방식의 라우팅을 수행하는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는 경유할 가능성이 있는 라우터를 '''홉 수'''라는 값으로 수치화하고, Distance Vector Algorithm이라는 알고리즘으로 인접 호스트와의 경로를 동적으로 교환하여, 패킷이 목적 네트워크 주소에 도달하기까지의 최단 경로를 결정한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컴퓨터 성능의 한계와 OSPF 대응 라우터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RIP가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컴퓨터 성능 향상으로 OSPF가 널리 사용되면서 RIP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 1. RIP 버전

RIP에는 세 가지 버전이 있다. IPv4 환경에서 사용되는 RIPv1과 RIPv2, 그리고 IPv6 환경에서 사용되는 RIPng가 있다.

RIP는 벨만-포드 알고리즘과 포드-풀커슨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로, 1969년부터 ARPANET 등에서 구현되기 시작했다. RIP의 전신은 1970년대 중반 Xerox가 개발한 게이트웨이 정보 프로토콜(GWINFO)이며, 이는 Xerox Network Systems(XNS)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로 변환되었다. 이 XNS RIP는 Novell의 IPX RIP, AppleTalk의 라우팅 테이블 유지 관리 프로토콜(RTMP) 및 IP RIP와 같은 초기 라우팅 프로토콜의 기반이 되었다. 1982년 버클리 소프트웨어 배포판의 UNIX 운영 체제는 RIP를 ''routed'' 데몬에 구현했다.

RIPv1의 결함으로 인해 1993년 RIP 버전 2(RIPv2)가 개발되었고,[3] 1998년 인터넷 표준 56으로 선언되었다. RIPv2는 서브넷 정보를 전송하여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CIDR)을 지원하고,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전송한다. 또한 MD5 인증이 1997년에 도입되었다.

RIPng(RIP 차세대)는 IPv6를 지원하기 위한 RIPv2의 확장판이다. RIPng는 멀티캐스트 그룹 FF02::9|FF02::9영어를 사용하여 UDP 포트 521을 통해 업데이트를 전송한다.

RIP는 자율 시스템(AS) 내에서 라우팅을 수행하는 Interior Gateway Protocol(IGP)의 통신 프로토콜이며,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RIP는 홉 수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를 결정하며,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경로 정보를 관리한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RIP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2000년 이후 OSPF로 대체되면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007년 현재 주로 사용되는 것은 RIPv2이다.

2. 1. 1. RIP 버전 1 (RIPv1)

RIP의 원래 규격은 1988년에 RFC 1058로 표준화되었다.[3] RIPv1을 구현한 라우터는 시작 시점과 그 후 30초마다 모든 RIPv1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로 브로드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3] 인접 라우터는 자체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는 RIPv1 세그먼트로 응답한다. 요청 라우터는 도달 가능한 IP 네트워크 주소, 홉 수 및 다음 홉(RIPv1 응답이 전송된 라우터 인터페이스 IP 주소)으로 자체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3] RIPv1 라우터는 대부분의 경우 가장 낮은 홉 수를 가진 도달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하나의 항목만 갖게 된다.[3]

RIPv1 활성화 라우터는 30초마다 다른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요청할 뿐만 아니라, 인접 라우터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수신하고 자체 라우팅 테이블을 차례로 전송한다. 따라서 RIPv1 라우팅 테이블은 25~35초마다 업데이트된다.[3] RIPv1 프로토콜은 업데이트 시간에 작은 임의 시간 변수를 추가하여 LAN에서 라우팅 테이블이 동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4] 1994년 샐리 플로이드와 밴 제이컵슨은 업데이트 타이머를 약간 무작위화하지 않으면 타이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기화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RIPv1은 사일런트 모드로 구성할 수 있는데, 라우터가 인접 라우팅 테이블을 요청하고 처리하며, 도달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과 홉 수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지만, 자체 라우팅 테이블을 불필요하게 네트워크로 전송하지 않는다. 사일런트 모드는 일반적으로 호스트에 구현된다.[6]

RIPv1은 클래스 기반 라우팅을 사용한다. 주기적인 라우팅 업데이트는 서브넷 정보를 전달하지 않으며,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 (VLSM)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 제한으로 인해 동일한 네트워크 클래스 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서브넷을 가질 수 없다. 또한 라우터 인증을 지원하지 않아 RIP는 다양한 공격에 취약하다.

2. 1. 2. RIP 버전 2 (RIPv2)

RIP 버전 2(RIPv2)는 1993년에 개발되었고,[3] 1994년에 출판되었으며, 1998년에 인터넷 표준 56으로 선언되었다. 이 버전은 서브넷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CIDR)을 지원한다. 하위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홉 카운트 제한은 15로 유지되었다. RIPv2는 RIPv1 메시지의 모든 "반드시 0이어야 함(Must Be Zero)" 프로토콜 필드가 올바르게 지정된 경우 이전 사양과 완벽하게 상호 운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호환성 스위치" 기능을 통해 세분화된 상호 운용성 조절이 가능하다.

라우팅에 참여하지 않는 호스트에 불필요한 부하를 피하기 위해, RIPv2는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224.0.0.9로 모든 인접 라우터에 전송한다. 이는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는 RIPv1과는 대조적이다. 유니캐스트 주소 지정도 특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허용된다.

RIP에 대한 MD5 인증은 1997년에 도입되었다.

RIP 버전 2에는 경로 태그도 추가되었다. 이 기능을 통해 RIP 프로토콜에서 학습한 경로와 다른 프로토콜에서 학습한 경로를 구별할 수 있다.

RIP 버전 2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멀티캐스트 주소(224.0.0.9)에 의한 RIP 패킷 전송
  • 일반 텍스트에 의한 인증 기능 (이후 MD5 인증, SHA-1, SHA-2에 의한 인증이 지원되었다.)
  • 넷마스크(CIDR) 지원
  • 불연속 서브넷에도 대응 가능
  • 넥스트 홉(Next hop) 주소 지원 - 특정 송신처로의 경로 리다이렉션이 가능하다.

2. 1. 3. RIPng

RIPng(RIP 차세대)는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를 지원하기 위한 RIPv2의 확장판이다. RIPv2와 RIPng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 IPv6 네트워킹 지원.
  • RIPv2는 RIPv1 업데이트 인증을 지원하지만 RIPng는 지원하지 않는다. 당시 IPv6 라우터는 IPsec을 사용하여 인증하도록 되어 있었다.
  • RIPv2는 각 경로 항목에 다음 홉을 인코딩하지만, RIPng는 일련의 경로 항목에 대해 다음 홉을 특정 방식으로 인코딩해야 한다.


RIPng는 멀티캐스트 그룹 FF02::9|영어를 사용하여 UDP 포트 521을 통해 업데이트를 전송한다.

3. 동작 방식

RIP는 벨만-포드 알고리즘과 포드-풀커슨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RIP는 라우팅 메트릭으로 홉 수를 사용하는데, 목적지 IP 네트워크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라우터의 수를 계산한다. 홉 카운트 0은 라우터에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를 나타내며, 16 홉은 RIP 홉 제한에 따라 도달할 수 없는 네트워크를 나타낸다.[3]

RIPv1 라우터는 30초마다 다른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요청하고, 인접 라우터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수신하여 자체 라우팅 테이블을 전송한다. RIPv1 라우팅 테이블은 25~35초마다 업데이트된다.[3] RIPv1 프로토콜은 업데이트 시간에 작은 임의 시간 변수를 추가하여 LAN에서 라우팅 테이블이 동기화되는 것을 방지한다.[4] 1994년, 샐리 플로이드(Sally Floyd)와 반 제이콥슨(Van Jacobson)은 업데이트 타이머를 약간 무작위화하지 않으면 타이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기화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5]

RIPv1은 클래스 기반 라우팅을 사용하며, 주기적인 라우팅 업데이트는 서브넷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VLSM)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동일한 네트워크 클래스 내에 서로 다른 크기의 서브넷을 가질 수 없다. 또한 라우터 인증을 지원하지 않아 RIP는 다양한 공격에 취약하다. 이러한 결함으로 인해 RIP 버전 2(RIPv2)가 개발되었다. RIPv2는 서브넷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CIDR)을 지원하며, 하위 호환성을 위해 홉 카운트 제한은 15로 유지되었다.

RIPv2는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224.0.0.9로 모든 인접 라우터에 전송한다. 이는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는 RIPv1과는 대조적이다.

RIPng(RIP 차세대)는 IPv6를 지원하기 위한 RIPv2의 확장판이다. RIPng는 멀티캐스트 그룹 FF02::9를 사용하여 UDP 포트 521을 통해 업데이트를 전송한다.

RIP 메시지는 포트 520에서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를 사용하며, 라우터 간에 교환되는 모든 RIP 메시지는 UDP 데이터그램에 캡슐화된다.[3]

3. 1. RIP 메시지

RIP는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 두 가지 유형의 메시지를 사용한다.[3]

  • 요청 메시지: 인접 라우터에게 라우팅 테이블을 보내도록 요청한다.
  • 응답 메시지: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담고 있다.


RIPv1 라우터는 30초마다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보내고, 이웃 라우터는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가 담긴 응답 메시지로 응답한다.

3. 1. 1. 요청 메시지(Request Message)

RIP의 원래 규격은 1988년에 발표되었다.[3] RIPv1을 구현한 라우터는 시작 시점과 그 후 30초마다 모든 RIPv1 활성화 인터페이스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인접 라우터는 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체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는 RIPv1 세그먼트로 응답한다.[3] 요청 메시지는 인접한 RIPv1 지원 라우터에게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3. 1. 2. 응답 메시지(Response Message)

RIP는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 두 가지 유형의 메시지를 정의한다. 응답 메시지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전달한다.[3] 인접 라우터는 요청 메시지를 받으면 자체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는 RIPv1 세그먼트로 응답한다.[3]

3. 2. RIP 타이머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RIP)은 작동의 일부로 다음과 같은 타이머를 사용한다.[7]

타이머 종류설명기본값
업데이트 타이머불필요한 응답 메시지 간 간격을 제어하며, RIP 활성화 인터페이스로 브로드캐스트된다.30초
무효 타이머 (만료 타이머)라우팅 항목이 라우팅 테이블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지정한다. 만료 시 홉 카운트는 16으로 설정된다.180초
플러시 타이머경로가 무효화/도달 불가능으로 표시된 시점과 테이블에서 제거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제어한다. 무효 타이머보다 길게 설정된다.240초
홀드다운 타이머홉 카운트 변경 시 경로 항목별로 시작되며, 경로 안정화를 돕는다. 시스코 구현이며, RFC 1058에는 없다.180초


3. 2. 1. 업데이트 타이머(Update Timer)

RIP는 라우팅 정보를 30초마다 주기적으로 교환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 이 주기적인 업데이트에는 약간의 임의 시간 변수가 추가되어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테이블이 동시에 업데이트되는 현상을 방지한다.[4] 1994년, 샐리 플로이드(Sally Floyd)와 반 제이콥슨(Van Jacobson)은 이러한 무작위화가 없으면 타이머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기화된다는 것을 밝혀냈다.[5]

3. 2. 2. 무효 타이머(Invalid Timer)

무효 타이머는 라우팅 항목이 업데이트되지 않고 라우팅 테이블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시간을 지정하며, 만료 타이머라고도 한다.[7] 기본값은 180초이다. 타이머가 만료되면 라우팅 항목의 홉 카운트는 16으로 설정되어 대상에 도달할 수 없음을 표시한다.[7]

3. 2. 3. 플러시 타이머(Flush Timer)

플러시 타이머는 경로가 무효화되거나 도달할 수 없다고 표시된 시점과 라우팅 테이블에서 항목이 제거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제어한다.[7] 기본값은 240초이다.[7] 이는 무효 타이머보다 60초 더 긴 값으로, 라우터는 60초 동안 이 도달할 수 없는 경로에 대해 모든 이웃에게 알린다.[7] 이 타이머는 무효 타이머보다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7]

3. 2. 4. 홀드다운 타이머(Hold-down Timer)

홀드다운 타이머는 홉 카운트가 더 낮은 값에서 더 높은 값으로 변경될 때 경로 항목별로 시작된다. 이는 경로가 안정화되도록 한다. 이 시간 동안에는 해당 라우팅 항목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없다. 홀드다운 타이머는 RFC 1058의 일부가 아니며, 시스코의 구현이다. 이 타이머의 기본값은 180초이다.[7]

4. 장점 및 단점

RIP는 구현이 간단하고 계산 부하가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최대 홉 수를 15홉으로 제한하여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부적합하고, 망 구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 갱신(수렴) 시간이 느리며, 링크 다운 시 무한대 문제(Count-to-Infinity Problem)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8]

RIPv1은 클래스 기반 라우팅을 사용하므로 서브넷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VLSM)를 지원하지 않아, 같은 네트워크 클래스 안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서브넷을 가질 수 없었다. 또한 라우터 인증 기능이 없어 공격에 취약했다.[3]

RIPv2는 RIPv1의 결함을 보완하여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을 지원하고, MD5 인증을 도입해 보안을 강화했다.[3] 또한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라우팅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는 RIPv1에 비해 네트워크 부하를 감소시켰다.[3]

RIPng는 IPv6를 지원하는 RIPv2의 확장판이다.[3]

1990년대 중반까지는 컴퓨터 성능이 낮아 RIP가 널리 쓰였으나, 2000년대 이후 컴퓨터 성능이 향상되고 OSPF 대응 라우터 가격이 내려가면서 RIP는 점차 사용되지 않고 있다.

4. 1. 장점


  • 구현 및 설정이 간단하다.[3]
  • 거리 벡터 (DVA) 방식의 라우팅을 수행하는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계산 부하가 적어 저사양 라우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3]
  • 경로 계산 알고리즘이 매우 단순하여 라우터의 부하가 적다. 따라서 계산 성능이 낮은 라우터에도 구현이 가능하다.[3]
  • 사용법이 간단하여, 몇 가지 명령어를 익히는 것만으로도 쉽게 설정을 할 수 있다.

4. 2. 단점

RIP는 최대 홉 수를 15로 제한하기 때문에, 16 홉 이상 떨어진 네트워크에는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다.[3] 이러한 홉 수 제한은 라우팅 루프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네트워크 크기를 제한하는 단점이 된다.

RIP는 수렴(Convergence) 시간이 느리다. 즉,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변경된 후 모든 라우터가 최신 라우팅 정보를 갱신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또한, 링크 다운 시 무한대 문제(Count-to-Infinity Problem)가 발생할 수 있다.[8] 이는 특정 경로의 메트릭(홉 수)이 무한대로 증가하여 라우팅 루프를 유발하는 현상이다.

RIPv1은 클래스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이므로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VLSM) 및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을 지원하지 않는다.[3] 이는 네트워크 주소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만든다. RIPv2에서는 이 문제가 해결되었지만, 여전히 홉 수 제한과 느린 수렴 문제는 남아있다.

RIP는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RIPv1) 또는 멀티캐스트(RIPv2)를 사용한다.[3] 이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5. 구현

RIP는 다양한 운영 체제 및 네트워크 장비에서 지원된다. 다음은 RIP를 구현하는 주요 예시이다.

운영 체제/장비설명
시스코 IOS시스코 라우터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버전 1, 버전 2 및 RIPng 지원)
시스코 NX-OS시스코 넥서스 데이터 센터 스위치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RIPv2만 지원[9])
주노스주니퍼 라우터, 스위치 및 방화벽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RIPv1 및 RIPv2 지원)
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윈도우 서버의 기능으로, RIP 지원을 포함한다.
쿼가자유 소프트웨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우팅 제품군, GNU 제브라 기반
BIRD자유 소프트웨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우팅 제품군
제로쉘자유 소프트웨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우팅 제품군
FreeBSD[10], NetBSD[11]4.2BSD에 처음 도입된 RIP 구현, routed 데몬 유지
OpenBSD버전 4.1에서 ripd를 새로 구현했고,[12] 버전 4.4에서 routed 중단
넷기어 라우터일반적으로 RIPv2의 두 가지 구현 방식(RIP_2M, RIP_2B) 제공[13]
화웨이 HG633ADSL/VDSL 라우터는 LAN 및 WAN 측면에서 RIP v1 & v2를 사용하여 수동 및 능동 라우팅 지원


6. 관련 프로토콜

시스코의 독점 프로토콜인 IGRP(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는 RIP와 유사한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IGRP는 EIGRP(Enhanced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로 대체되었는데, EIGRP는 거리 벡터 모델을 사용하지만 IGRP와는 다른 복합 메트릭을 사용한다. IGRP와 EIGRP는 모두 각 경로에 대해 대역폭, 지연, 신뢰성, 부하, MTU의 5가지 변수를 사용하여 단일 복합 지표를 계산했다. 시스코 라우터에서는 기본적으로 대역폭과 지연만 이 계산에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Service Name and Transport Protocol Port Number Registry https://www.iana.org[...] The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 2022-02-25
[2] 서적 CCIE Professional Development: Routing TCP/IP Volume I, Second Edition ciscopress.com
[3] 서적 CCIE Professional Development: Routing TCP/IP Volume I, Second Edition ciscopress.com
[4] 서적 CCIE Professional Development: Routing TCP/IP Volume I, Second Edition ciscopress.com
[5] 논문 The Synchronization of Periodic Routing Messages http://www.icir.org/[...] 1994-04
[6] 서적 CCIE Professional Development: Routing TCP/IP Volume I, Second Edition ciscopress.com
[7] 웹사이트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 v1.03) http://www.routerall[...] routeralley.com. 2014-04-25
[8] 간행물 RFC 1058 Section 2.2 https://tools.ietf.o[...] The Internet Society 1988-06
[9] 웹사이트 Cisco Nexus 9000 Series NX-OS Unicast Routing Configuration Guide, Release 6.x - Configuring RIP [Cisco Nexus 9000 Series Switches] https://www.cisco.co[...]
[10] 웹사이트 routed, rdisc – network RIP and router discovery routing daemon http://www.freebsd.o[...]
[11] 웹사이트 routed, rdisc – network RIP and router discovery routing daemon http://netbsd.gw.com[...]
[12] 웹사이트 ripd –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daemon https://man.openbsd.[...]
[13] 웹사이트 How do I change the LAN TCP/IP settings on my Nighthawk router? http://kb.netgear.co[...]
[14] 웹인용 Service Name and Transport Protocol Port Number Registry https://www.iana.org[...]
[15] 웹인용 Port Numbers http://www.iana.org/[...] The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 2008-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