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자는 인도 아대륙에서 유래하여 동남아시아까지 사용된 칭호로, 주로 왕 또는 통치자를 의미한다. 인도에서는 기원전 2000년경 아리아인의 족장에게서 유래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권한이 확대되어 마하라자, 마하라자디라자 등의 칭호로 파생되었다.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는 번왕의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라자가 통치하는 번왕국이 존재했다. 동남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의 퍼를리스 주 군주가 라자 칭호를 사용하며, 태국에서는 왕의 이름에 변형되어 사용되었다. 발리에서는 겔겔 왕조가 라자 칭호를 사용하며 통치했다. 라자다르마는 왕에게 적용되는 다르마로, 왕의 역할과 의무를 강조하며, 현대 인도에서도 이상적인 통치 개념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원수 - 포데스타
    포데스타는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도시 국가의 최고위 행정관을 지칭하는 용어로, 행정, 사법, 군사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했으며, 도시 내부 갈등 중재를 위해 외부 출신 인사가 임명되기도 했다.
  • 국가원수 - 총독
    총독은 역사적으로 특정 지역이나 식민지를 통치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이 달랐고, 현재는 영연방 왕국 등에서 유지되고 있다.
  • 지도자 칭호 - 카이저
    카이저는 로마 황제 칭호 카이사르에서 유래한 독일어 단어로 황제를 의미하며,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 독일 제국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에서는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일본 천황 지칭, 제왕절개의 어원으로도 쓰인다.
  • 지도자 칭호 - 정이대장군
    정이대장군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임명된 일본 열도 태평양 방면 군 통솔 직책으로, 무사 정권의 시작과 함께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일본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라자
지도
기본 정보
유형군주 또는 왕자 통치자
사용 지역인도 아대륙, 동남아시아
로마자 표기법rājan-
역사
어원산스크리트어 '라잔'(rājan-)에서 유래
리그베다'다샤라즈냐 유다'(daśarājñá yuddhá)에서 언급
같이 보기
관련 용어君主号
称号
藩王
琉球藩王
기타
주의Raja는 동음이의어가 존재함.

2. 인도

인도에서 '라자'라는 칭호는 다양한 의미와 변천사를 지닌다.

2. 1. 역사

라자라는 칭호는 기원전 2000년기 중반 무렵 인도아대륙에 유입된 아리아인들의 족장인 "라자얀(Rajan)"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지며, 더욱 오래 전 라틴어의 왕을 의미하는 렉스(Rex, 속격: Regis)와 어원이 같다는 설도 있다. 라자얀의 지위는 세습되는 경향이 강했지만, 부족 구성원들로부터 선출된 지도자의 성격도 지니고 있어, 그 권력은 사바(Sabha), 사미티(Samiti) 등으로 불리는 부족 회의의 제약을 받았다. 라자얀을 보좌하는 인물로는 군사적으로 보좌하는 세나니(Senani)와 종교적으로 보좌하는 프로히타(Purohita)가 있었다.[1]

아리아인 부족 내 구성원들은 원칙적으로 평등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라자얀을 중심으로 한 유력자 계층인 라자니야(Rajanya)와 일반 구성원인 비슈(Vis)의 구분이 명확해졌다. 라자얀을 보좌하는 사제직도 세습되는 경향이 있었고, 이 라자얀과 사제의 관계는 후에 인도 카스트 제도의 핵심을 이루는 크샤트리아(Kshatriya)와 브라만(Brahman) 관계의 원형이 되었다.[1]

후에 라자의 권한이 확대되면서 마하라자(Maharaja, maha=대, 大王 또는 황제의 뜻)가 새롭게 사용되었고, 라자는 귀족이나 유력자들에게 사용되는 등 일반적으로 그 위상이 낮아졌다. 그 후 마하라자디라자(Maharajadhiraja, maha + Raja + dhi + Raja, 王の(中の)大王 또는 황제의 의미)도 사용되면서 마하라자의 위상도 낮아졌다. 쿠샨 왕조에서는 페르시아 제국의 칭호인 샤한샤(Shahanshah)를 번역한 라자디라자(Rajadhiraja, 왕중의 왕)도 사용되었다.[1]

영국(영국 제국)의 식민 지배하에서는 라자는 번왕(藩王)의 칭호 중 하나였으며, 이 경우 지배하는 영역을 번왕국(藩王国)이라고 불렀다.[1]

2. 2.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

영국 식민 통치 아래에서 라자는 번왕(藩王)의 칭호 중 하나로 사용되었으며, 이들이 다스리는 영역을 번왕국(藩王國)이라고 불렀다.

2. 2. 1. 라자가 통치한 인도 번왕국 (예시)

영국령 인도 제국 시기, 영국 왕실로부터 총례를 받은 인도 번왕국(藩王國, 한왕국)의 통치자 중 일부는 '라자' 칭호를 사용했다. 13발 이상의 총례를 받은 국가 중에도 라자가 통치하는 경우가 있었다.

'''세습 총례 11발'''

국가
알리 라즈푸르
빌라스푸르
참바
파리드코트
자부아
만디
마니푸르
나르싱가르
푸두코타이
라즈가르
상글리
사일라나
삼타르
시타마우
수켓



'''세습 총례 9발 (개인 11발)'''

국가
다람푸르
보르



'''세습 총례 9발 (현지 11발)'''

국가
사반트와디



'''세습 총례 9발'''

국가
바라운다
자와르
초타 우데푸르[2][3]
킬치푸르
마이하르
무돌
나고드
산트
샤푸라



'''개인 총례 9발'''

국가
바샤르


3.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에서 '라자'라는 칭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이슬람교 전래 이전에는 라자가 왕이나 왕족에게 사용되었지만, 이슬람교 전래 후에는 아랍어 유래의 술탄이라는 말이 사용되면서 라자의 위상이 떨어졌다. 그러나 사라왁 왕국에서 '화이트 라자'(백인의 왕)라고 불린 것처럼 비(非)무슬림 왕에게는 계속 사용되었다. 일본의 정이대장군은 '일본의 라자'라고 불렸다.

태국에서는 왕에게 직접 '라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라트', '라차', '랏차' 등으로 변형되어 왕의 이름 일부로 사용되었다. 마하라자는 '마하라트'로, 라자디라자는 '라차티라트'로 불리며 일부 왕의 이름에 사용되었다.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서는 여러 왕조가 '라자' 칭호를 사용했다. 마자파히트가 발리를 정복한 이후 삼프랑간과 겔겔 왕조가 세워졌다.

3. 1. 말레이시아

이슬람교 전래 이전에는 라자(Raja)가 왕이나 왕족에게 사용되었지만, 이슬람교 전래 후 개종한 왕에게는 특히 아랍어 유래의 술탄이라는 말이 사용되었고, 라자의 위상은 떨어졌다. 그러나 사라왁 왕국에서 '화이트 라자'(백인의 왕)라고 불린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비(非)무슬림 왕에게는 이 단어가 계속 사용되었다.

현재도 말레이시아 퍼를리스 주의 군주인 자말라이르 가의 당주는 라자를 칭하고 있다. 사이드 시라주딘 사이드 푸트라 자말라이르는 제12대 말레이시아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3. 2. 태국

태국에서는 왕에게 직접 '라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라자'는 '라트(Rat)', '라차(Racha)', '랏차(Ratcha)' 등으로 변형되어 왕의 이름 일부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마하라자(Maharaja)는 '마하라트(Maharat)'로 불렸고, 역사적으로 위대한 업적을 달성한 왕에게 수여되었으며, 라자디라자(Rajadhiraja)는 '라차티라트(Rachathirat)'로 불리며 일부 왕의 이름에 사용되었다.

3. 3. 인도네시아 (발리)



발리 섬에서는 아궁 왕조, 멩위 출신 왕조 등 다양한 왕조가 '라자' 칭호를 사용했다.

3. 3. 1. 겔겔 왕조

마자파히트가 1343년 발리를 정복한 이후 삼프랑간과 겔겔 왕조가 발리 섬에 세워졌다.

연도이름비고
14세기 또는 c. 1471?스리 아지 크레슈나 케파키산삼프랑간에서 발리의 왕
마자파히트의 속국 1343-c. 1527
14세기 또는 c. 1502?달렘 삼프랑간스리 아지 크레슈나 케파키산의 아들
14세기 후반 또는 c. 1520?달렘 케투트달렘 삼프랑간의 형제, 겔겔에서 발리의 왕
16세기 중반달렘 바투렝공달렘 케투트의 아들
1558년 ~ 1578년 또는 1630년대달렘 베쿵달렘 바투렝공의 아들
1580년 ~ 1623년 또는 ? ~ 1650년달렘 세가닝달렘 베쿵의 아들
1623년 ~ 1642년 또는 1655년 ~ 1665년달렘 디 마데달렘 세가닝의 아들
1642년 ~ 1650년데와 파체칸달렘 디 마데의 아들, 직책 불확실
1651년 ~ 1655년경, 1673년 사망데와 차우달렘 디 마데의 삼촌, 직책 불확실
1665년경 ~ 1686년앙글루라 아궁찬탈자
1690년경 ~ 1722년구스티 아궁 삭티 (구스티 아궁 아놈)
1722년 ~ 1740년경구스티 아궁 마데 알랑카젠구스티 아궁 삭티의 아들
1740년대구스티 아궁 푸투 마윤구스티 아궁 마데 알랑카젠의 조카
1740년대 ~ 1770/80년대구스티 아궁 마데 뭉구구스티 아궁 푸투 마윤의 형제
1770/80년대 ~ 1793/94년구스티 아궁 푸투 아궁구스티 아궁 마데 뭉구의 아들
1770/80년대 ~ 1807년구스티 아유 오카 카바-카바섭정, 구스티 아궁 푸투 아궁의 어머니이자 할머니
1807년 ~ 1823년구스티 아궁 응우라 마데 아궁 1세구스티 아궁 푸투 아궁의 아들
1829년 ~ 1836년구스티 아궁 응우라 마데 아궁 2세 푸트라구스티 아궁 응우라 마데 아궁 1세의 아들
1836년 ~ 1850/55년구스티 아궁 케툿 베사키구스티 아궁 응우라 마데 아궁 2세 푸트라의 형제
네덜란드의 종주권 (1843년 ~ 1891년)
1836년 ~ 1857년구스티 아유 이스트리 비앙 아궁구스티 아궁 응우라 마데 아궁 푸트라의 미망인
1859년 ~ 1891년구스티 아궁 응우라 마데 아궁 3세구스티 아궁 푸투 마윤의 자손
클룽쿵, 바둥, 지아냐르, 타바난에 의해 멩위 멸망 (1891년)[4]


4. 라자다르마 (왕의 의무)

자무의 라자 드루브 데브가 말을 평가하는 모습, 나인숙 작. 말의 형태를 더 잘 감상하기 위해 흰 천 앞에서 말을 보여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라자다르마는 왕에게 요구되는 의무와 통치 방식에 대한 가르침이다. 이는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고 백성을 보호하며, 정의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1. 왕의 기능과 의무

라자다르마(Rajadharma)는 왕 또는 라자(raja)에게 적용되는 다르마(dharma)이다. 다르마는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고, 지지하며, 보존하는 것으로 진실에 기반한다.[5] 다르마는 세상의 질서와 균형을 이루는 데 중심적인 중요성을 가지며, 사람들에게 특정한 행동을 요구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왕은 라자로서 종교적 기능과 세속적 기능을 모두 수행했다.[6] 종교적 기능에는 신을 달래고, 위험을 제거하고, 다르마를 수호하는 등의 행위가 포함되었다. 세속적 기능에는 기근과 같은 시기에 번영을 돕고, 공정한 사법을 집행하고, 사람들과 그들의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 포함되었다.[6]

신민 보호는 왕의 가장 중요하고 우선적인 의무였다.[7] 이는 백성들 사이의 도둑과 같은 내부 침략을 처벌하고, 외국의 세력 공격과 같은 외부 침략에 대응함으로써 달성되었다.[7] 왕은 집행, 사법, 입법의 의무를 가지고 이를 수행해야 했다.[8] 왕이 다르마를 올바르게 수행하면 태양의 거처 혹은 천국에 도달하는 보상을 받지만,[8] 그렇지 못하면 지옥에 떨어지거나 신에게 벌을 받는다고 여겨졌다.[9] 찰스 드레크마이어(Charles Drekmeier) 학자는 "다르마는 왕보다 우월했고, 다르마를 보존하지 못한 것은 그에 따라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해야 했다"라고 말한다. 왕의 권력은 다르마에 종속되며, 다르마를 준수하지 않는 왕은 백성의 저항을 받을 수 있었다.[10]

왕의 집행 의무는 주로 처벌, 즉 ''다ṇḍa''를 집행하는 것이었다.[11] 예를 들어, 판사가 열정, 무지 또는 탐욕으로 잘못된 판결을 내리면 왕은 그를 가혹하게 처벌해야 한다.[12] 왕은 엄격한 처벌을 통해 다르마를 벗어난 브라만(brahmin)의 행동을 바로잡아야 한다.[13] 왕은 민사 분쟁에서 판결을 시행할 책임도 있었다.[14] 예를 들어, 채무자가 돈을 갚을 수 있지만 심술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왕은 그에게 돈을 갚게 하고 자신을 위해 5%를 가져가야 한다.[15]

왕의 사법적 의무는 왕국에서 발생하는 모든 분쟁과 당시의 관행과 다르마샤스트라 사이, 또는 다르마샤스트라와 속세 거래 사이에 발생하는 모든 갈등을 결정하는 것이었다.[16] 왕은 판결석에 앉으면 이기심을 버리고 모든 것에 대해 중립적이어야 했다.[17] 왕은 절도와 같은 사건을 심리하고 다르마를 사용하여 결정을 내렸다.[18] 그는 또한 증인들을 시험함으로써 증인들이 정직하고 진실됨을 확인할 책임이 있었다.[12] 왕이 이러한 재판을 다르마에 따라 진행한다면, 부, 명성, 존경, 그리고 천국에서의 영원한 자리 등으로 보상받을 것이다.[19] 왕은 사건을 결정할 판사를 임명할 의무가 있었다.[20]

왕은 또한 왕국을 위한 축제나 휴일을 선포하는 것과 같이 다른 법령을 제정할 때 사용되는 입법적 의무를 가지고 있었다.[21]

라자다르마는 왕을 무엇보다도 관리자로 묘사했다.[22] 왕이 처벌 또는 단다(danda)를 집행하는 주요 목적은 모든 신민이 자신의 특정 다르마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었다.[11] 왕의 전체 목적은 모든 것과 모든 사람이 번영하도록 만드는 것이었다.[24] 만약 그들이 번영하지 못한다면, 왕은 자신의 다르마를 이행하지 못한 것이다. 그는 정부의 과학에 명시된 대로 자신의 의무를 수행해야 했고, "자신의 뜻대로 행동해서는 안 되었다".[22]

4. 2. 현대 인도에서의 라자다르마

현대 인도에서는 힌두 사회 전반에 걸쳐 "라마라자야(Ramarajya)"라는 개념이 널리 퍼져 있다. 이는 힌두교의 황금 시대를 의미하며, 라마(Rama)는 힌두교 서사시 등에서 묘사된 것처럼 라자다르마를 철저히 준수한 완벽한 힌두 왕의 이상적인 모델로 여겨진다.[14] 데렛(Derrett)은 "모든 사람이 자신의 위치를 알고, 필요하다면 강제로라도 그 위치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이상적인 사회라고 묘사했다.[14]

참조

[1] 서적 Emperors Of The Peacock Throne: The Saga of the Great Moghuls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24-10-27
[2]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Statistical and Historical Annual of the States of the World for the Year 1939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12-23
[3] 서적 The Pioneer Mail and Indian Weekly News https://books.google[...] 1921
[4] 서적 Ancient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10-14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왕관 속의 보석 http://book.naver.co[...] 20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