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데스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데스타(podestà)는 라틴어 'potestas'(권력)에서 유래한 용어로, 중세 이탈리아 도시에서 최고 행정관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12세기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권한을 대행하거나 도시 내부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임명되었으며, 처음에는 외국인이 임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파시스트 시대의 이탈리아에서는 지방 자치 단체의 행정 수장으로 임명되기도 했으며, 이탈리아 외 동프리슬란트 등 일부 지역에서도 유사한 제도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부수반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 정부수반 - 판관 (성경)
    판관은 히브리 성경의 판관기에 등장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지도자로서, 외세의 압제로부터 백성을 구원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며 가나안 정착 이후 왕정 체제 이전까지 이스라엘을 다스렸으며, 대사사와 소사사로 나뉜다.
  • 국가원수 - 총독
    총독은 역사적으로 특정 지역이나 식민지를 통치하는 직책을 의미하며, 시대와 국가에 따라 역할과 권한이 달랐고, 현재는 영연방 왕국 등에서 유지되고 있다.
  • 국가원수 - 국가주석
    국가주석은 국가의 수반 또는 국가원수로서 국가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중국, 라오스, 베트남 등의 국가에서 그 직책을 찾아볼 수 있다.
  • 네덜란드의 역사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02년 네덜란드 의회가 설립한 특허 회사로, 동인도와의 무역 독점, 요새 구축, 군대 유지 등의 권한을 가지며 17세기 세계 최대 무역 회사로 성장했으나, 18세기 후반 쇠퇴하여 1799년 해산되었고, 최초의 주식회사로 여겨지지만 식민주의 등의 문제로 비판받는다.
  • 네덜란드의 역사 - 바타비아 공화국
    바타비아 공화국은 프랑스 혁명 전쟁의 영향으로 네덜란드에 수립된 공화국으로, 프랑스의 지배와 나폴레옹의 간섭을 겪으며 1806년 멸망하고 네덜란드 왕국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다.
포데스타
지도
기본 정보
이탈리아어 명칭포데스타
이탈리아어 발음podeˈsta
다른 이탈리아어 명칭레토리
관련 이탈리아어 단어포데스테리아
설명
역할중세 이탈리아 일부 도시에서 시장에 해당하는 직책
대체 역할신다코
추가 정보
참고 문헌이탈리아어 백과사전

2. 어원

이 용어는 라틴어 potestasla('권력')에서 유래했다. 아랍어 용어 sulṭānar의 어원도 비슷하며, 원래는 '권력' 또는 '권위'를 의미했다. 이는 결국 권력을 쥐고 있는 사람의 칭호가 되었다.[2]

3. 역사

podestàit의 최초 기록은 1151년 볼로냐에서 발견되는데, 파엔차 출신의 귀도 디 라니에리 디 사소가 rettore e podestàit로 임명된 것을 여러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3] 레안드로 알베르티는 당시 시민들이 당파심, 우정, 질투, 증오 등으로 인해 잦은 다툼을 벌여 공화국에 큰 피해를 입혔기 때문에, 외국 태생의 인물을 최고 행정관으로 임명하여 민사 및 형사 사건, 전시와 평시 모두에 대한 모든 권한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한다. 이 최고 행정관을 집정관(praetor) 또는 podestàit라고 불렀다.[4]

로도위크 토푸트의 '' 초상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가 북부 이탈리아 도시들에 대한 황제의 권리를 주장하면서 Podestàit는 더 널리 임명되기 시작했다. 1158년 론칼리아 회의에서 프리드리히 1세는 여러 주요 도시에 "그곳에서 황제의 권력을 가진 것처럼" 황제의 podestàit를 임명했다.[5] podestàit의 임무는 황제의 권리를 시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독단적인 행동은 롬바르드 동맹 형성과 1167년 프리드리히 1세에 대한 반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황제의 시도는 단명했지만, podestàit는 곧 북부 이탈리아에서 중요하고 일반적인 존재가 되었고, 약 1200년경 대부분의 코뮌에 나타났다. 다만, 이전의 집정관(consul)과는 달리 시민이나 시민 대표에 의해 임명되었다. podestàit는 평화와 전쟁, 외교와 내정 모두에서 도시의 최고 권력을 행사했지만, 임기는 약 1년에 불과했다.[6]

이탈리아 시민 생활에서 흔히 나타나는 격렬한 갈등을 피하기 위해, 곧 이 직책을 외국인에게 맡기는 관습이 생겼다. 12세기와 13세기 동안 베네치아 사람들이 특히 이 목적으로 수요가 많았는데, 이는 그들이 다른 이탈리아인들보다 본토 문제에 대한 관심이 적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후 몇몇 경우에는 임기가 수년 또는 평생으로 연장되기도 했다.

파시스트 정권 시대에는 베니토 무솔리니의 주도로 1926년 2월, 선출된 시의회와 시장을 포함하여 코무니(지방 자치 단체)의 자치권과 기능을 폐지하는 법령이 발표되었다. 이에 따라 로마를 제외한 모든 코무니는 완전한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가진 권위주의적인 시장인 podestàit가 이끌게 되었다. podestàit는 왕실 특허장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5년 임기로 연임이 가능했지만 언제든지 즉시 해임될 수 있었다. 이 법령은 1927년 4월 21일부터 1945년까지 시행되었으며, 민주주의 복귀와 함께 이 시스템 전체가 폐지되었다.[9]

3. 1. 중세 이탈리아의 포데스타

podestàit라는 용어는 1151년 볼로냐에서 처음 기록되었는데, 파엔차 출신의 귀도 디 라니에리 디 사소가 rettore e podestàit로 임명되었다는 여러 문서가 있다.[3] 레안드로 알베르티는 당시 시민들이 당파심, 우정, 질투, 증오 등으로 인해 잦은 다툼을 벌여 공화국에 큰 피해를 입혔기 때문에, 외국 태생의 인물을 최고 행정관으로 임명하여 민사 및 형사 사건, 전시와 평시 모두에 대한 모든 권한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한다. 이 최고 행정관을 집정관(praetor) 또는 podestàit라고 불렀다.[4]

Podestàit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가 북부 이탈리아 도시들에 대한 황제의 권리를 주장하면서 널리 임명되기 시작했다. 1158년 론칼리아 회의에서 프리드리히 1세는 여러 주요 도시에 황제의 podestàit를 임명했고,[5] 이들의 임무는 황제의 권리를 시행하는 것이었다. 초기에는 이들의 독단적인 행동이 롬바르드 동맹의 형성과 1167년 프리드리히 1세에 대한 반란을 초래하기도 했다.

황제의 시도는 단명했지만, podestàit는 곧 북부 이탈리아에서 중요하고 일반적인 존재가 되었고, 1200년경 대부분의 코뮌에 나타났다. 다만, 이전의 집정관(consul)과는 달리 시민이나 시민 대표에 의해 임명되었다. podestàit는 평화와 전쟁, 외교와 내정 모두에서 도시의 최고 권력을 행사했지만, 임기는 약 1년에 불과했다.[6]

이탈리아 시민 생활의 격렬한 갈등을 피하기 위해, 곧 이 직책을 외국인에게 맡기는 관습이 생겼다. 특히 12세기와 13세기 동안 베네치아 사람들이 이 목적으로 수요가 많았는데, 이는 그들이 다른 이탈리아인들보다 본토 문제에 대한 관심이 적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몇몇 경우에는 임기가 수년 또는 평생으로 연장되기도 했다. 시에나의 Palazzo Pubblicoit는 podestàit와 코뮌의 불안한 관계를 보여주는데, 1297년부터 건설된 이 건물은 사법부의 수장인 podestàit를 위한 독립적인 숙소를 제공했지만, 의원들과 9인 위원회가 회의를 열었던 팔라초 푸블리코 내에 위치해 있었다.

12세기 후반과 13세기 전체에 걸쳐 대부분의 이탈리아 도시는 podestàit에 의해 통치되었다. 로마의 경우, 1205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시정부 형태를 바꾸면서 행정권이 단일 상원의원 또는 podestàit에게 주어졌고, 그는 교황에 의해 임명되었다. 1180년 이후 피렌체에서도 최고 권위가 집정관에서 podestàit로 이전되었고, 밀라노 등 다른 도시들도 이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제노바 공화국은 1191년 내란을 진압하기 위해 브레시아 시민인 첫 podestàit를 선출했다.[7]

1222년경에는 podestàit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인 Oculus pastoralisit가 익명의 저자에 의해 저술되었다.[8] 이 책은 직책, 봉급, 환영사, 고문 선택, 자금 관리, 공개 행사 연설 예시, 전쟁 및 도시 관리 훈련 등 초보자를 위한 내용을 담고 있다.

13세기 피렌체, 오르비에토(1251년) 등 일부 도시에서는 하층 계급의 이익을 위해 capitano del popoloit(인민의 대장)가 선출되기도 했다. 다른 방식으로 podestàit의 권력은 축소되었고, 점차 사법 기능에 국한되다가 16세기 초에 사라졌다.

3. 2. 피렌체와 시에나의 포데스타

Podestàit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가 북부 이탈리아 도시들에 대한 황제의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더 널리 임명되었다. 1158년 11월 론칼리아 회의에서 프리드리히는 여러 주요 도시에 황제의 podestàit를 임명했는데, 이들은 "그곳에서 황제의 권력을 가진 것처럼" 행동했다.[5] 프리드리히가 비준할 권리를 주장했던 선출된 집정관들은 직접 지명되기 시작했다. podestàit의 임무는 황제의 권리를 시행하는 것이었다.

12세기 후반과 13세기 전체에 걸쳐 피렌체는 podestàit에 의해 통치되었다. 1297년부터 건설된 시에나의 팔라초 푸블리코(italic=no|Palazzo Pubblicoit)의 건축 배치는 사법부의 수장이자 중립적인 귀족이었던 시에나의 podestàit와 코뮌의 불안정한 관계를 보여준다. 팔라초 푸블리코는 podestàit를 위한 독립적인 숙소를 제공했지만, 자체 내부 법정을 중심으로 의원들과 그들의 9인 위원회가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었던 곳에 위치해 있었다.

3. 3. 로마와 제노바의 포데스타

podestàit의 최초 기록은 1151년 볼로냐에서 발견되는데, 파엔차 출신의 귀도 디 라니에리 디 사소(Guido di Ranieri di Sasso)가 rettore e podestàit로 임명된 것을 여러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3] 레안드로 알베르티는 시민들이 당파심, 우정, 질투, 증오로 인해 잦은 다툼과 언쟁을 벌여 공화국에 큰 피해를 입히는 것을 보고, 많은 숙고 끝에 이러한 혼란을 막기 위해 외국 태생의 인물을 최고 행정관으로 임명하여 범죄 사건과 민사 사건, 전시와 평시 모두에서 도시에 대한 모든 권한을 부여했다고 설명한다. 이 최고 행정관은 집정관 또는 podestàit라고 불렸다.[4]

12세기 후반과 13세기 전체에 걸쳐 대부분의 이탈리아 도시는 podestàit에 의해 통치되었다. 그레고로비우스는 시민 폭력의 역사를 가진 로마의 경우, 1205년 교황 인노첸티우스 3세가 시정부의 형태를 바꾸었고, 그 이후로 행정권은 단일 상원의원 또는 podestàit의 손에 있었는데, 그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교황에 의해 임명되었다고 기록했다. 1180년 이후 피렌체에서 최고 권위는 집정관으로부터 podestàit로 이전되었고, 밀라노와 다른 도시들도 이 관리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제노바 공화국은 1191년 공화국의 수도 제노바를 황폐화시킨 내란을 진압하기 위해 브레시아 시민인 첫 podestàit를 선출했다.[7]

3. 4. 포데스타 안내서: Oculus pastoralis

Oculus pastoralisit (포데스타 안내서)는 1222년경 익명의 저자가 podestàit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저술한 안내서이다.[8] 공개적으로 출마하는 것은 부적절했기 때문에, 이 책은 podestàit 직책, 봉급, 퇴임하는 podestàit가 새로운 podestàit에게 하는 환영사, 고문 선택, 자금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5장에서는 저명한 시민의 사망 등 공개적인 행사에서 할 수 있는 연설 예시를 제공하며, 마지막 장에서는 전쟁과 도시 관리 훈련에 대해 간략히 언급한다.

3. 5. 카피타노 델 포폴로 (Capitano del Popolo)

podestàit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151년 볼로냐에서 발견되는데, 파엔차 출신의 귀도 디 라니에리 디 사소가 rettore e podestàit로 임명된 것을 여러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3] 레안드로 알베르티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시민들은 당파심, 우정, 질투, 증오로 인해 잦은 다툼과 언쟁을 벌여 공화국에 큰 피해를 입히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들은 많은 숙고 끝에 이러한 혼란을 막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그들은 외국 태생의 인물을 최고 행정관으로 임명하여 범죄 사건과 민사 사건 모두, 그리고 전시와 평시 모두에서 도시에 대한 모든 권력, 권한, 사법권을 부여하기 시작했는데, 그를 다른 사람들 위에 있는 집정관(praetor) 또는 도시에 대한 모든 권한과 권력을 가진 podestàit라고 불렀다.[4]

13세기 피렌체, 오르비에토(1251년) 및 일부 다른 도시에서는 하층 계급의 이익을 돌보기 위해 capitano del popoloit ()가 선출되었다. 오늘날까지도 산마리노의 작은 독립 공화국의 정부 수반은 여전히 "capitaniit"라고 불린다.

3. 6. 포데스타 제도의 쇠퇴

podestàit 제도는 롬바르드 동맹 형성과 1167년 프리드리히 1세에 대한 반란의 요인 중 하나였다. 프리드리히 1세는 북부 이탈리아 도시들에 대한 황제의 권리를 주장하며 여러 도시에 황제 podestàit를 임명했지만, 이들의 독단적인 행동은 큰 반발을 샀다.[5]

황제의 시도는 단명했지만, podestàit는 곧 북부 이탈리아에서 중요하고 일반적인 존재가 되었다. 약 1200년경 대부분의 코뮌에 나타났는데, 시민이나 시민 대표에 의해 임명되었다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었다. podestàit는 평화와 전쟁, 외교와 내정 모두에서 도시의 최고 권력을 행사했지만, 임기는 약 1년에 불과했다.[6]

이탈리아 시민 생활의 격렬한 갈등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을 임명하는 관습이 생겼고, 12세기와 13세기 동안 베네치아 사람들이 특히 이 목적으로 수요가 많았다. 이는 그들이 본토 문제에 대한 관심이 적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후 몇몇 경우에 임기는 수년 또는 평생으로 연장되기도 했다.

12세기 후반과 13세기 전체에 걸쳐 대부분의 이탈리아 도시는 podestàit에 의해 통치되었다. 로마에서는 1205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시정부 형태를 바꾸어, 행정권이 단일 상원의원 또는 podestàit에게 주어졌고, 그는 교황에 의해 임명되었다. 피렌체에서는 1180년 이후 최고 권위가 집정관에서 podestàit로 이전되었고, 밀라노 등 다른 도시들도 이 관리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제노바 공화국은 1191년 내란을 진압하기 위해 브레시아 시민인 첫 podestàit를 선출했다.[7]

13세기 피렌체, 오르비에토(1251년) 및 일부 다른 도시에서는 하층 계급의 이익을 위해 capitano del popoloit(인민의 대장)가 선출되기도 했다. 다른 방식으로 podestàit의 권력은 축소되었고, 점점 더 사법 기능에 국한되다가 16세기 초에 사라졌다.

3. 7. 파시스트 시대의 포데스타

파시스트 정권은 자체적인 podestà|포데스타it 직책을 만들었다. 1926년 2월, 무솔리니 상원은 선출된 시의회와 시장을 포함하여 코무니|코무니it(지방 자치 단체)의 자치권과 기능을 폐지하는 법령을 발표했다. 로마를 제외한 모든 코무니|코무니it는 완전한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가진 권위주의적인 시장인 podestà|포데스타it가 이끌게 되었다. podestà|포데스타it는 왕실 특허장(사실상 이탈리아 국가 파시스트당에 의해)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5년 임기로 연임이 가능했지만 언제든지 즉시 해임될 수 있었다. 로마에서는 지방 정부를 이끌 주지사가 임명되었다. 더 큰 코무네에서는 podestà|포데스타it를 내무부가 임명한 1~2명의 vice-podestà|부포데스타it가 보좌했고, 지방 현 또는 주요 도시에서는 내무부가 임명한 자문위원회(consulta municipale|컨설타 무니치팔레it)가 있었다.[9]

이 법령은 1927년 4월 21일부터 1945년까지 시행되었으며,[9] 민주주의 복귀와 함께 이 시스템 전체가 폐지되었다.

4. 포데스테리아 (Podesteria)

직역하면 이 파생어는 포데스타(podestà)의 직무 또는 그 임기를 의미하지만, 포데스타리아(podesteria)는 더 큰 국가 내에서 포데스타(podestà)가 관리하는 구역을 가리킬 수도 있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15세기에 주로 여러 이전의 공국과 자치 도시를 합병하여 포 강 유역에 점차적으로 세운 테라페르마 영토(Domini di Terraferma)에서 포데스타리아(podesteria)(베네치아어: podestarie)는 계층적 행정 조직의 중간 단계 중 하나였으며, 최상위("주") 단계는 테리토리오(territorio)(대략 현대의 행정 지역)였다.

다른 도갈 공화국인 제노바 공화국이 1273년 비잔티움 황제로부터 콘스탄티노플의 상업적 교외인 페라(Beyoğlu, Pera)와 갈라타에 대한 통치권을 부여받았을 때, 1453년 오스만 튀르크가 콘스탄티노플 전체를 정복할 때까지 공동 포데스타(podestà)에 의해 공동으로 통치되었다.

5. 이탈리아 외부의 포데스타 제도

Podestàit 제도는 이탈리아 밖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중세 북유럽의 도시들과 공화국들, 특히 이탈리아와 무역 관계를 맺었던 도시들에서 이 제도를 채택한 경우가 있었다. 선출된 관리들은 때때로 포데스타(podestà) 또는 포데스타트(podestat)라는 직함을 가졌다. 동프리지아에는 이탈리아 공화국과 이름과 기능이 동일한 포데스타가 있었다. 때로는 각 주에 하나씩 있었고, 때로는 연방 의회가 전국을 위한 포데스타-총독을 선출했는데, 임기는 제한된 기간 또는 종신이었다.[10]

5. 1. 프리슬란트의 포테스타트 (Potestaat)

중세 프리슬란트에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대표할 권한을 가진 지역 지도자 개념이 존재했다. ''프리지아 법전(Lex Frisionum)''에 따라 중요한 권리가 부여되거나 확인되었다. 후대의 전통에 따르면, 샤를마뉴는 프리지아인들에게 자유민 지위를 부여하고, 세 개의 프리슬란트 지역 중 두 지역(중부 프리슬란트)의 방어를 조직하고 이끌 지도자를 추장들 중에서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고 한다. 이 지역은 플리(Flie)에서 라우베르스(Lauwers)까지, 그리고 동프리슬란트에서는 라우베르스에서 베저(Weser)까지였다. 후에는 오스트프리슬란트 백국이 되었다.[10]

1228년 제6차 십자군 당시 그림에 묘사된 헨리 왕과 같이,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잘못 귀속된 특권들에 따르면, potestateit는 의회에서 선출되었으며 기사를 처치할 수 있어야 했다. 전설적인 역사적 기록들은 포테스타트를 바이킹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언급한다.[10]

플리(Vlie)와 라우베르스(Lauwers) 사이의 프리슬란트를 이끌도록 선출된 유일한 potestatesit는 주브 유빙가(Juw Juwinga) (1396년)과 주브 데카마(Juw Dekema) (1494년)이었으며, 둘 다 스히어링거스에 의해 선출되었다. 그러나 1399년, 베스터고와 오스터고 지역은 홀란드 백작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각각 포테스타트인 하링 하링크스마(Haring Harinxma)와 스요르트 위아르다(Sjoerd Wiarda)를 선출했다. 이 직함은 작센의 알브레히트가 1498년 세습 포테스타트(hereditary potestate)it로 임명되면서 프리슬란트 외부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프리지아인들은 얀코 도와마(Jancko Douwama)를 황제의 총독(stadtholder)으로 선출했다 (1522년).[10]

참조

[1] 서적 Il Vocabolario Treccani Istituto della Enciclopedia Italiana
[2] 간행물 Juvenal, Satire X, 99-101
[3] 간행물 Annali Bolognesi I, 225–231
[4] 서적 Bologna, Its History, Antiquities, and Art London
[5] 언어
[6] 서적 Glossarium mediæ et infimæ Latinitatis
[7] 서적 Storia di Genova Nuova Editrice Genovese
[8] 간행물 Oculus pastoralis, sive libellus erudiens futurum rectorem populorum
[9] 학술지 What is the Podestà? https://www.jstor.or[...] 1927-11-00
[10] 서적 Dutch Republic
[11] 간행물 Juvenal, Satire X, 99-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