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바논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바논의 총리는 레바논 정부의 수반이자 각료회의 의장이며, 최고국방위원회 부의장이다. 1926년 대 레바논 헌법 공포와 함께 신설되었으며, 1943년 국민 협약에 따라 총리직은 항상 수니파 무슬림에게 배정된다. 타이프 협정 이후 총리는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며, 의회의 신임을 얻고 대통령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총리는 정부 수반, 각료회의 의장, 최고국방위원회 부의장 직을 당연직으로 겸임하며, 의회와 정부 구성을 위한 협상, 법령 부서, 각료회의 주재 등의 책무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총리 - 사드 하리리
    사드 하리리는 레바논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미래운동 당수를 계승하여 레바논 총리직을 여러 차례 역임하며 복잡한 국내외 정세에 직면했으나, 반정부 시위 여파와 여러 논란 속에 정계를 은퇴했다.
  • 레바논의 총리 - 하산 디아브
    하산 디아브는 공학 학위를 취득하고 베이루트 아메리카 대학교의 전기 공학 교수로 재직한 레바논의 정치인이자 학자이며, 교육부 장관과 총리를 역임했으나 2020년 베이루트 폭발 사고에 대한 대처 미흡으로 사임 후 기소되었다.
레바논의 총리
기본 정보
레바논 각료 평의회 의장 로고
레바논 각료 평의회 의장 로고
직책각료 평의회 의장
국가레바논
별칭각하
관저베이루트 그랑 세라이유
구성레바논 헌법, 1926년 5월 23일
초대오귀스트 아디브 파샤, 1926년 5월 31일
연봉212,844,000 레바논 파운드/연간 3,547 미국 달러
웹사이트레바논 정부 웹사이트
지명의회
임명권자대통령
부총리레바논 부총리
소속각료 평의회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의 레바논 방문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의 레바논 방문
현직
현직 총리나지브 미카티
취임일2021년 9월 10일

2. 역사

1926년 5월 23일, 대 레바논 국가 헌법이 공포되면서 총리직이 신설되었다. 1943년 여름 국민 협약이 체결되면서 총리직은 항상 수니파 무슬림에게 배정하기로 결정되었다. 1926년 총리직 신설부터 레바논 내전 종전까지, 헌법은 총리직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고, 총리직의 권한은 대부분 헌법적 절차보다는 비공식적인 수단을 통해 행사되었다. 내전 종식과 타이프 협정 비준 이후, 총리의 책임은 명문화되어 헌법에 명확히 열거되었다.[1]

1988년 레바논 내전 중에 아민 제마예르 대통령이 임기 만료 직전에 미셸 아운을 총리로 임명하면서 셀림 호스와의 사이에 총리직 갈등이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두 명의 총리가 존재하는 이중 정부 체제가 된 적이 있었다.

2. 1. 프랑스 위임통치 시기 (1926년 ~ 1943년)

1926년5월 23일, 대 레바논 국가 헌법이 공포되면서 총리직이 신설되었다. 1943년 여름 국민 협약이 체결되면서 총리직은 항상 수니파 무슬림에게 배정하기로 결정되었다. 1926년 총리직 신설부터 레바논 내전 종전까지, 헌법은 총리직의 역할과 의무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고, 총리직의 권한은 대부분 헌법적 절차보다는 비공식적인 수단을 통해 행사되었다.[1]

1926년 대 레바논 헌법은 프랑스 헌법을 거의 본떠서 만들어졌지만(대 레바논은 프랑스 위임 통치 하에 있었음), 레바논의 총리 직은 프랑스보다 레바논에서 현저하게 약했다. 왜냐하면 대통령이 (마음대로) 총리를 해임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었던 반면, 프랑스에서는 총리가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고, 불신임 투표를 통해서만 의회에 의해 해임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레바논의 총리가 프랑스 측 총리보다 대통령에게 훨씬 더 복종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했다.[1] 이러한 상황은 레바논을 의원 내각제 공화국으로 바꾼 타이프 협정 이후에 변화했다.[2]

이름취임일퇴임일정당
1:en:Auguste Adib Pacha1926년5월 31일1927년5월 5일 
2비샤라 알 후리1927년5월 5일1928년8월 10일 
3:en:Habib Pacha Es-Saad1928년8월 10일1929년5월 9일 
4비샤라 알 후리 (2번째)1929년5월 9일1929년10월 11일 
5에밀 에데1929년10월 11일1930년3월 25일 
6:en:Auguste Adib Pacha (2번째)1930년3월 25일1932년3월 9일 
7샤를 다바스1932년3월 9일1934년1월 29일 
대행:en:Abdullah Bayhum1934년1월 29일1936년1월 30일 
대행:en:Ayoub Tabet1936년1월 30일1937년1월 5일 
8:en:Khayreddin al-Ahdab1937년1월 5일1938년3월 18일 
9:en:Khaled Chehab1938년3월 18일1938년10월 24일 
10:en:Abdallah El-Yafi1938년10월 24일1939년9월 21일 
11:en:Abdullah Bayhum (2번째)1939년9월 21일1941년4월 4일 
12:en:Alfred Georges Naqqache1941년4월 7일1941년11월 26일 
13:en:Ahmed Daouk1941년12월 1일1942년7월 26일 
14:en:Sami as-Solh1942년7월 26일1943년3월 22일 
대행:en:Ayoub Tabet1943년3월 22일1943년7월 21일 
15:en:Petro Trad1943년8월 1일1943년9월 25일 


2. 2. 레바논 공화국 (1943년 ~ 현재)

1943년 국민 협약에 따라 레바논의 총리는 항상 수니파 무슬림에게 배정되었다. 레바논 내전 종전 이전까지 총리직의 권한과 의무는 헌법에 명확히 규정되지 않았고, 대부분 비공식적인 수단을 통해 행사되었다. 당시 레바논의 총리는 프랑스보다 약한 권한을 가졌는데, 이는 대통령만이 총리를 해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내전 종식과 타이프 협정 비준 이후, 총리의 책임은 헌법에 명확히 열거되었다. 타이프 협정으로 레바논은 의원 내각제 공화국으로 바뀌었으며, 현재 총리는 의회 의원 과반수의 지지를 받는 후보를 대통령이 임명한다. 총리는 의회의 신임을 얻고 대통령의 동의를 받을 수 있는 내각을 구성해야 하며, 의회의 신임을 잃을 경우에만 해임될 수 있다.

과거 두 차례, 대통령이 사임하거나 임기가 만료되기 직전에 국립 협약을 위반하고 마론파 기독교인을 총리로 임명한 사건이 있었다.

  • 1952년: 베샤라 엘 코리 대통령이 사임 직전 푸아드 체합을 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 체합은 13일 동안 총리직을, 4일 동안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 이후 할레드 체합이 총리직을 승계.
  • 1988년 (내전 중): 아민 제마예르 대통령이 임기 만료 15분 전 미셸 아운을 총리로 임명.


1943년부터 현재까지 레바논 공화국의 총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취임일퇴임일정당
16리야드 아스 술흐1943년 9월 25일1945년 1월 10일
17Abdul Hamid Karami|압둘 하미드 카라미영어1945년 1월 10일1945년 8월 20일
18Sami el-Solh|사미 아스 술흐영어 (2번째)1945년 8월 23일1946년 5월 22일
19Saadi al-Munla|사아디 알 문라영어1946년 5월 22일1946년 12월 14일
20리야드 아스 술흐 (2번째)1946년 12월 14일1951년 2월 14일
21Hussein Oweini|후세인 오웨이니영어1951년 2월 14일1951년 4월 7일
22Abdallah El-Yafi|압둘라 엘 야피영어 (2번째)1951년 4월 7일1952년 2월 11일
23사미 아스 술흐 (3번째)1952년 2월 11일1952년 9월 9일
24Nazim al-Akkari|나짐 알 아카리영어1952년 9월 10일1952년 9월 14일
25Saeb Salam|사에브 살람영어1952년 9월 14일1952년 9월 18일
26압둘라 엘 야피 (3번째)1952년 9월 24일1952년 9월 30일
27Khaled Chehab|할리드 셰합영어 (2번째)1952년 10월 1일1953년 5월 1일
28사에브 살람 (2번째)1953년 5월 1일1953년 8월 16일
29압둘라 엘 야피 (4번째)1953년 8월 16일1954년 9월 16일
30사미 아스 술흐 (4번째)1954년 9월 16일1955년 9월 19일
31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1955년 9월 19일1956년 3월 20일
32압둘라 엘 야피 (5번째)1956년 3월 20일1956년 11월 18일
33사미 아스 술흐 (5번째)1956년 11월 18일1958년 9월 20일
대행Khalil al-Hibri|할릴 알 히브리영어1958년 9월 20일1958년 9월 24일
34라시드 카라미 (2번째)1958년 9월 24일1960년 5월 14일
35Ahmad al-Daouk|아흐마드 다우크영어 (2번째)1960년 5월 14일1960년 8월 1일
36사에브 살람 (3번째)1960년 8월 2일1961년 10월 31일
37라시드 카라미 (3번째)1961년 10월 31일1964년 2월 20일
38후세인 오웨이니 (2번째)1964년 2월 20일1965년 7월 25일
39라시드 카라미 (4번째)1965년 7월 25일1966년 4월 9일
40압둘라 엘 야피 (6번째)1966년 4월 9일1966년 12월 2일
41라시드 카라미 (5번째)1966년 12월 7일1968년 2월 8일
42압둘라 엘 야피 (7번째)1968년 2월 8일1969년 1월 15일
43라시드 카라미 (6번째)1969년 1월 15일1970년 10월 13일
44사에브 살람 (4번째)1970년 10월 13일1973년 4월 25일
45Amin al-Hafez (Lebanon)|아민 알 하페즈영어1973년 4월 25일1973년 6월 21일
46Takieddin el-Solh|타키에딘 아스 술흐영어1973년 6월 21일1974년 10월 31일
47Rashid el-Solh|라시드 아스 술흐영어1974년 10월 31일1975년 5월 24일
48Nureddin Rifai|누레딘 리파이영어1975년 5월 24일1975년 6월 30일
49라시드 카라미 (7번째)1975년 7월 1일1976년 12월 8일
50Salim Al-Huss|살림 알 호스영어1976년 12월 8일1980년 7월 20일
51타키에딘 아스 술흐 (2번째)1980년 7월 20일1980년 10월 25일
52Shafik Wazzan|샤피크 와잔영어1980년 10월 25일1984년 4월 30일
53라시드 카라미 (8번째)1984년 4월 30일1987년 6월 1일
54살림 알 호스 (2번째)1987년 6월 2일1990년 10월 14일
미셸 아운1988년 9월 22일1990년 10월 13일(기독교 측의 대항 내각)


2. 2. 1. 레바논 내전과 총리직 갈등 (1975년 ~ 1990년)

레바논 내전 중이던 1988년, 임기를 마친 아민 제마예르 대통령은 당시 총리였던 셀림 호스를 해임하고, 임기 만료 15분 전에 육군 참모총장 미셸 아운을 총리로 임명했다.[4] 호스는 해임을 거부했고, 이로 인해 서베이루트에는 주로 민간인과 무슬림으로 구성된 정부가, 동베이루트에는 주로 군인과 기독교인으로 구성된 정부가 생기는 이중 정부 체제가 수립되었다.[4] 이는 1952년 베샤라 엘 코리 대통령이 사임 직전 푸아드 체합을 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한 이후 두 번째로 국립 협약을 위반하고 마론파 기독교인을 총리로 임명한 사례였다.

2. 2. 2. 타이프 협정 이후 (1989년 ~ 현재)

타이프 협정 이후 레바논의 총리는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며, 의회 의원 과반수의 지지를 받는 후보가 선택된다. 총리는 의회의 신임을 얻고 대통령의 동의를 받을 수 있는 내각을 구성해야 한다. 신임을 얻은 후, 총리는 의회의 신임을 잃을 경우에만 해임될 수 있다.[4] 이는 레바논을 의원 내각제 공화국으로 바꾼 타이프 협정에 따른 변화였다.


3. 권한과 역할

국무총리는 각료회의 의장이자 정부 수반이다. 또한 최고국방위원회 부의장이기도 하다.[3]

국무총리의 책무는 다음과 같다.[3]


  • 의회와 정부 구성을 위한 협상을 담당한다.
  • 대통령이 서명한 모든 법령에 부서한다. 단, 총리를 임명하거나 정부가 사임한 것으로 간주하는 법령은 제외한다.
  • 각료회의의 프로그램을 국회에 제출한다.
  • 대통령이 참석할 경우를 제외하고 각료회의 회의를 주재한다. 대통령이 참석할 경우 대통령이 주재한다.
  • 어떠한 이유로든 대통령직이 공석이 될 경우, "업무 수행"이라는 좁은 의미에서 대통령의 권한과 책임을 수행한다.


타이프 협정 비준 이후, 헌법은 대통령, 총리, 각료회의 등 3개의 "주요" 행정직에 대한 서문을 제시했다. 서문은 다음과 같다.

총리는 정부의 수반이다. 그는 정부를 대표하고, 정부의 이름으로 발언하며, 각료회의가 결정한 공공 정책을 집행할 책임을 진다.

또한, 총리는 다음의 직책을 당연직으로 겸임한다.

  • 최고국방위원회 부의장
  • 각료회의 의장
  • 정부 수반

4. 역대 총리 목록

이름취임일퇴임일정당
1Auguste Adib Pacha|오귀스트 아디브 파샤영어1926년5월 31일1927년5월 5일
2비샤라 알 후리1927년5월 5일1928년8월 10일
3Habib Pacha Es-Saad|하비브 파샤 에스사드영어1928년8월 10일1929년5월 9일
4비샤라 알 후리 (2번째)1929년5월 9일1929년10월 11일
5에밀 에데1929년10월 11일1930년3월 25일
6Auguste Adib Pacha|오귀스트 아디브 파샤영어 (2번째)1930년3월 25일1932년3월 9일
7샤를 다바스1932년3월 9일1934년1월 29일
대행Abdullah Bayhum|압둘라 베이훔영어1934년1월 29일1936년1월 30일
대행Ayoub Tabet|아윱 타베트영어1936년1월 30일1937년1월 5일
8Khayreddin al-Ahdab|카이레딘 알아흐다브영어1937년1월 5일1938년3월 18일
9Khaled Chehab|칼레드 셰하브영어1938년3월 18일1938년10월 24일
10Abdallah El-Yafi|압달라 엘야피영어1938년10월 24일1939년9월 21일
11Abdullah Bayhum|압둘라 베이훔영어 (2번째)1939년9월 21일1941년4월 4일
12Alfred Georges Naqqache|알프레드 조르주 나카셰영어1941년4월 7일1941년11월 26일
13Ahmed Daouk|아흐메드 다우크영어1941년12월 1일1942년7월 26일
14Sami as-Solh|사미 아스솔영어1942년7월 26일1943년3월 22일
대행Ayoub Tabet|아윱 타베트영어1943년3월 22일1943년7월 21일
15Petro Trad|페트로 트라드영어1943년8월 1일1943년9월 25일
16리야드 아스 술흐1943년 9월 25일1945년 1월 10일
17Abdul Hamid Karami|압둘 하미드 카라미영어1945년 1월 10일1945년 8월 20일
18Sami el-Solh|사미 엘솔영어 (2번째)1945년 8월 23일1946년 5월 22일
19Saadi al-Munla|사디 알문라영어1946년 5월 22일1946년 12월 14일
20리야드 아스 술흐 (2번째)1946년 12월 14일1951년 2월 14일
21Hussein Oweini|후세인 오웨이니영어1951년 2월 14일1951년 4월 7일
22Abdallah El-Yafi|압달라 엘야피영어 (2번째)1951년 4월 7일1952년 2월 11일
23Sami el-Solh|사미 엘솔영어 (3번째)1952년 2월 11일1952년 9월 9일
24Nazim al-Akkari|나짐 알 아카리영어1952년 9월 10일1952년 9월 14일
25Saeb Salam|사에브 살람영어1952년 9월 14일1952년 9월 18일
26Abdallah El-Yafi|압달라 엘야피영어 (3번째)1952년 9월 24일1952년 9월 30일
27Khaled Chehab|칼레드 셰하브영어 (2번째)1952년 10월 1일1953년 5월 1일
28Saeb Salam|사에브 살람영어 (2번째)1953년 5월 1일1953년 8월 16일
29Abdallah El-Yafi|압달라 엘야피영어 (4번째)1953년 8월 16일1954년 9월 16일
30Sami el-Solh|사미 엘솔영어 (4번째)1954년 9월 16일1955년 9월 19일
31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1955년 9월 19일1956년 3월 20일
32Abdallah El-Yafi|압달라 엘야피영어 (5번째)1956년 3월 20일1956년 11월 18일
33Sami el-Solh|사미 엘솔영어 (5번째)1956년 11월 18일1958년 9월 20일
대행Khalil al-Hibri|칼릴 알히브리영어1958년 9월 20일1958년 9월 24일
34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 (2번째)1958년 9월 24일1960년 5월 14일
35Ahmad al-Daouk|아흐마드 알 다우크영어 (2번째)1960년 5월 14일1960년 8월 1일
36Saeb Salam|사에브 살람영어 (3번째)1960년 8월 2일1961년 10월 31일
37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 (3번째)1961년 10월 31일1964년 2월 20일
38Hussein Oweini|후세인 오웨이니영어 (2번째)1964년 2월 20일1965년 7월 25일
39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 (4번째)1965년 7월 25일1966년 4월 9일
40Abdallah El-Yafi|압달라 엘야피영어 (6번째)1966년 4월 9일1966년 12월 2일
41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 (5번째)1966년 12월 7일1968년 2월 8일
42Abdallah El-Yafi|압달라 엘야피영어 (7번째)1968년 2월 8일1969년 1월 15일
43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 (6번째)1969년 1월 15일1970년 10월 13일
44Saeb Salam|사에브 살람영어 (4번째)1970년 10월 13일1973년 4월 25일
45Amin al-Hafez|아민 알하페즈영어1973년 4월 25일1973년 6월 21일
46Takieddin el-Solh|타키에딘 엘솔영어1973년 6월 21일1974년 10월 31일
47Rashid el-Solh|라시드 엘솔영어1974년 10월 31일1975년 5월 24일
48Nureddin Rifai|누레딘 리파이영어1975년 5월 24일1975년 6월 30일
49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 (7번째)1975년 7월 1일1976년 12월 8일
50Salim Al-Huss|살림 알호스영어1976년 12월 8일1980년 7월 20일
51Takieddin el-Solh|타키에딘 엘솔영어 (2번째)1980년 7월 20일1980년 10월 25일
52Shafik Wazzan|샤피크 와잔영어1980년 10월 25일1984년 4월 30일
53Rashid Karami|라시드 카라미영어 (8번째)1984년 4월 30일1987년 6월 1일
54Salim Al-Huss|살림 알호스영어 (2번째)1987년 6월 2일1990년 10월 14일
미셸 아운1988년 9월 22일1990년 10월 13일(기독교 측의 대항 내각)
55Salim Al-Huss|살림 알호스영어 (3번째)1990년 10월 14일1990년 12월 24일
56오마르 카라미1990년 12월 24일1992년 5월 13일
57Rashid el-Solh|라시드 엘솔영어 (2번째)1992년 5월 13일1992년 10월 31일
58라피크 하리리1992년 10월 31일1998년 12월 2일
59Salim Al-Huss|살림 알호스영어 (4번째)1998년 12월 2일2000년 10월 23일
60라피크 하리리 (2번째)2000년 10월 23일2004년 10월 21일
61오마르 카라미 (2번째)2004년 10월 21일2005년 4월 15일
62나지브 미카티2005년 4월 15일2005년 6월 30일
63푸아드 시니오라2005년 6월 30일2009년 11월 9일
64사드 하리리2009년 11월 9일2011년 6월 13일
65나지브 미카티 (2번째)2011년 6월 13일2014년 2월 15일
66탐맘 살람2014년 2월 15일2016년 12월 18일
67사드 하리리 (2번째)2016년 12월 18일2020년 1월 21일
68하산 디아브2020년 1월 21일2021년 9월 10일
69나지브 미카티 (3번째)2021년 9월 10일현직(2022년 5월 선거 이후 새 내각이 성립되지 않아, 이후 임시 총리[4][5][6])


참조

[1] 서적 معجم حكام لبنان والرؤساء 1842_2012 - عدنان محسن ضاهر و د.رياض غنام http://archive.org/d[...] 2017-05-24
[2] 웹사이트 Lebanese Politicians Reward Themselves - Al Akhbar English http://english.al-ak[...] 2017-10-19
[3] 웹사이트 Lebanon's Constitution of 1926 with Amendments through 2004 https://www.constitu[...]
[4] 웹사이트 レバノン共和国(Lebanese Republic)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4-10-03
[5] 웹사이트 Aoun leaves Lebanon presidential palace in style as term ends https://www.arabnews[...] arab news 2024-10-03
[6] 웹사이트 레바논暫定首相、即時停戦呼びかけ 「120万人が避難」 https://jp.reuters.c[...] REUTERS 2024-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