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신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 신종은 1607년에 태어나 1619년부터 1643년까지, 그리고 1649년부터 1662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베트남 레 왕조의 황제로 재위했다. 그는 레 경종의 장자였으며, 찐씨 가문이 실권을 장악한 상황에서 명목상의 황제 역할을 했다. 재위 기간 동안 찐씨 정권과 남쪽의 응우옌씨와의 군사적 충돌이 지속되었다. 레 신종은 여러 아들과 딸을 두었으며, 1662년에 사망하여 아들인 레 현종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세기 베트남의 군주 - 막당중
막당중은 레 왕조의 호위 무사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막 왕조를 건국하고 명나라로부터 통치를 인정받았으나, 후 레 왕조의 부흥 운동과 정치적 혼란 속에서 찬반이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베트남 막 왕조의 창업주이자 초대 황제이다. - 16세기 베트남의 군주 - 레 영종
권신 정검에 의해 옹립된 레 영종은 막 왕조와의 내전 중 정검과 그의 후계자 정통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유학자들을 등용하려 했으나 정통 제거 실패 후 암살당했다. - 베트남의 군주 - 민망 황제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즉위 후 국호를 변경하고 쇄국정책을 고수하며 중앙집권화를 강화했으나, 기독교 탄압과 반란 야기로 국제적 고립과 프랑스 식민지화의 길을 열었다는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베트남의 군주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레 신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 신종 |
한자 표기 | 黎神宗 |
본명 | 레 주이 끼 (Lê Duy Kỳ/黎維祺/여유기) |
별칭 | 태상황 |
묘호 | 신종(Thần Tông/神宗) |
시호 | 연황제(Uyên Hoàng đế/淵皇帝) |
능호 | 군옥릉(Quần Ngọc Lăng/群玉陵) |
출생일 | 1608년 1월 6일 |
사망일 | 1662년 11월 2일 |
출생지 | 동경, 대월 |
사망지 | 동경, 대월 |
매장지 | 군옥릉 (Quần Ngọc Lăng) |
아버지 | 레 경종 |
어머니 | 단자태후 |
배우자 | 찐티응옥죽 |
왕조 | 후 레 왕조 |
통치 정보 | |
즉위 (1차) | 1619년 7월 11일 |
퇴위 (1차) | 1643년 11월 11일 |
즉위 (2차) | 1649년 11월 4일 |
퇴위 (2차) | 1662년 11월 2일 |
재위 (1차) | 1619년 ~ 1643년 |
재위 (2차) | 1649년 ~ 1662년 |
재위 (태상황) | 1643년 ~ 1649년 |
선대 황제 (1차) | 레 경종 |
후대 황제 (1차) | 레 진종 |
선대 황제 (2차) | 레 진종 |
후대 황제 (2차) | 현종목황제 |
선대 태상황 | 레 영종 |
후대 태상황 | 레 희종 |
섭정 (1차) | 찐뚱 (1619–1623) 찐짱 (1623–1643) |
섭정 (2차) | 찐짱 (1649–1657) 찐딱 (1657–1662) |
연호 | |
1차 재위 기간 | 빈또 (永祚): 1619년–1629년 득롱 (德隆): 1629년–1635년 즈엉호아 (陽和): 1635년–1643년 |
2차 재위 기간 | 카인득 (慶德): 1649년–1653년 틴득 (盛德): 1653년–1658년 빈토 (永壽): 1658년–1662년 반카인 (萬慶): 1662년 |
2. 생애
레 신종(Lê Thần Tông)은 경종의 장자로, 출생 이름은 레 뒤이 키(Lê Duy Kỳ, 黎維祺)이다.[1] 1607년에 태어나 1619년부터 1643년까지, 그리고 1649년부터 1662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황제 자리에 있었으나, 실권은 정씨(Trịnh) 가문이 쥐고 있었다.[2]
2. 1. 1차 재위 (1619년 ~ 1643년)
경종의 장자로 태어났다.1619년, 찐뚱이 경종을 핍박하여 자살하게 하였고, 신종을 황제로 옹립하였다.[1]
1643년, 찐짱이 신종을 핍박하여 장자인 진종에게 선위하게 하였다.[1]
2. 2. 2차 재위 (1649년 ~ 1662년)
1649년, 진종이 사망하자 신종이 다시 왕위에 올랐다.[1]1662년, 신종이 사망하고 둘째 아들인 현종이 뒤를 이었다.[1] 이 시기 탕킨(Tonkin)은 남쪽의 응우옌씨(Nguyễn Lords)와 여전히 군사적 충돌을 벌이고 있었다.[2]
2. 3. 찐씨 정권과의 관계
레 경종(Lê Kính Tông)의 뒤를 이어 1619년부터 1643년까지 통치하였고, 레 진종(Lê Chân Tông)이 통치한 1643년부터 1649년까지 중단되었다가 1649년부터 1662년까지 다시 통치한 후 레 현종(Lê Huyền Tông)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1] 신종은 명목상의 황제였으며, 실권은 정 통(Trịnh Tùng)(1570년~1623년 통치), 정 장(Trịnh Tráng)(1623년~1657년 통치), 정 탁(Trịnh Tạc)(1657년~1682년 통치) 등 정씨(Trịnh)가 장악했다. 이 시기 탕킨(Tonkin)은 남쪽의 응우옌씨(Nguyễn Lords)와 여전히 군사적 충돌을 벌이고 있었다.[2]2. 4. 대외 관계
레 신종(본명 레 뒤이 키(黎維祺))은 명목상 황제였으며, 당시 탕킨(Tonkin)은 남쪽의 응우옌씨(Nguyễn Lords)와 군사적 충돌을 벌이고 있었다.[2]3. 가계
레 신종은 여러 비빈을 두었으며, 이들 사이에서 4명의 아들과 6명의 딸, 그리고 4명의 양자를 두었다.[3]
아들들은 모두 황제가 되었는데, 이는 베트남 역사에서 특이한 사례이다. 딸들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아 자세한 정보를 알기 어렵다. 양자 중 한 명인 각흑생(Các Hắc Sinh)은 빌렘 카렐 하르트싱크(Willem Carel Hartsinck)[3]라고도 불리며,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극동 대리인으로 활동한 네덜란드인이었다.
3. 1. 부인
3. 2. 자녀
레 신종은 4명의 아들과 6명의 딸, 그리고 4명의 양자를 두었다. 아들들은 모두 황제가 되었으며, 딸들에 대해서는 기록이 미비하여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없다. 양자 중 한 명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상인이었다.종류 | 이름 | 생모 | 비고 |
---|---|---|---|
아들 | 진종 레 주이 흐우(Lê Duy Hựu/黎維祐/여유우) | 명숙황태후 | 제18대 황제 |
아들 | 현종 레 주이 부(Lê Duy Vũ/黎維䄔/여유구) | 단순황태후 | 제20대 황제 |
아들 | 가종 레 주이 꼬이(Lê Duy Cối/黎維禬/여유회) | 소의 레 티 응옥호안 | 제21대 황제 |
아들 | 희종 레 주이 깝(Lê Duy Cáp/黎維祫/여유협) | 궁인 찐 티 응옥떤 | 제22대 황제 |
딸 | 6명 | 불명 | 기록 미상 |
양자 | 레씨옥연(Lê Thị Ngọc Duyên) | 불명 | |
양자 | 레뒤조(Lê Duy Tào) | 불명 | 둘째 왕세자 |
양자 | 레뒤량(Lê Duy Lương) | 불명 | 왕자 |
양자 | 각흑생(Các Hắc Sinh) (빌렘 카렐 하르트싱크(Willem Carel Hartsinck)[3]) | 불명 |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극동 대리인 |
3. 2. 1. 아들
- 진종 레 주이 흐우(Lê Duy Hựu/黎維祐/여유우) - 명숙황태후 소생.
- 현종 레 주이 부(Lê Duy Vũ/黎維䄔/여유구) - 단순황태후 소생.
- 가종 레 주이 꼬이(Lê Duy Cối/黎維禬/여유회) - 소의 레 티 응옥호안 소생.
- 희종 레 주이 깝(Lê Duy Cáp/黎維祫/여유협) - 궁인 찐 티 응옥떤 소생.
3. 2. 2. 딸
6명이 있었으나,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3. 2. 3. 양자
레 신종은 4명의 양자를 두었다. 레씨옥연(Lê Thị Ngọc Duyên), 둘째 왕세자 레뒤조(Lê Duy Tào), 왕자 레뒤량(Lê Duy Lương), 그리고 각흑생(Các Hắc Sinh)이다. 각흑생(1638-1689)은 빌렘 카렐 하르트싱크(Willem Carel Hartsinck)[3]라고도 불렸으며,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극동 대리인이었다.4. 연호
레 신종은 재위 기간 동안 두 번에 걸쳐 연호를 변경했다. 첫 번째 재위 기간(1619년 ~ 1643년)에는 영조(永祚), 덕륭(德隆), 양화(陽和) 연호를 사용하였고, 두 번째 재위 기간(1649년 ~ 1662년)에는 경덕(慶德), 성덕(盛德), 영수(永壽), 만경(萬慶) 연호를 사용했다. 각 연호별 사용 기간은 다음과 같다.
'''1차 재위(1619년 ~ 1643년)'''
'''2차 재위(1649년 ~ 1662년)'''
참조
[1]
서적
歷朝憲章類誌
[2]
서적
Modernity and Re-Enchantment: Religion in Post-Revolutionary Vietnam
2007
[3]
웹사이트
Portret van Willem Carel Hartsinck, Jacob Houbraken, 1796
http://www.biografis[...]
17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