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인은 상업을 영위하는 사람으로, 물건의 매매를 통해 이윤을 얻는 것을 직업으로 한다. 도매상과 소매상으로 분류되며, 부동산 임대업, 금융업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함하기도 한다. 상법에서는 상행위를 업으로 하는 자를 상인으로 규정하며, 한국 상법은 상행위를 영업으로 하는 자뿐 아니라 상인적 방법으로 영업하는 자도 상인으로 인정하는 절충주의적 입장을 취한다. 상업은 인류 역사와 함께해 왔으며, 고대부터 중세, 근세,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상인은 사회적 지위와 윤리를 가지며, 공정한 경쟁과 투명한 거래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상인과 관련된 법률 및 제도가 존재하며,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법총칙 - 지배인
지배인은 상인이 영업을 위해 선임하는 대리인으로, 상법에 따라 대리권 범위와 법적 근거가 주어지며 영업에 관한 모든 행위를 대행하고 특정 분야에서는 업무를 총괄한다. - 상법총칙 - 상사유치권
상사유치권은 상법에 따라 발생하는 유치권으로, 상행위로 발생한 채권 변제를 위해 채무자 소유 물건을 유치하는 권리이며, 민사유치권보다 요건과 효력 범위가 넓고 일반상사유치권과 특별상사유치권으로 나뉜다. - 상인 - 임상옥
임상옥은 조선 후기 인삼 무역으로 거부가 된 상인으로, 이익보다 사람을 중시하는 상도 철학을 실천하며 사회에 공헌한 인물이며, 그의 삶은 드라마와 저서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 상인 - 우신잉
우신잉은 신광 그룹 창업주의 손녀이자 신광생명보험 임원을 지낸 대만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2022년 민중당 소속 입법위원을 거쳐 2024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부총통 후보로 출마했다. - 상법 - 제명
제명은 정치, 종교, 스포츠 등에서 구성원의 자격을 박탈하는 징계 수단으로, 일본 국회법, 정당의 당헌·당규, 스포츠 단체의 규정 등에 따라 절차가 진행되며, 셀프 제명은 탈당을 통해 의원직 유지를 시도하는 것이다. - 상법 - 주식
주식은 회사의 자본 단위로서 주주에게 경영 참여와 이익 배분 권리를 부여하며, 액면 유무, 종류, 명의, 발행 시점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고, 주주의 책임은 유한하며, 주가는 주식의 가치를 나타내고, 투자 이익은 배당과 매매 수익으로 구성되며, 관련 과정 및 권리가 법률 및 제도적으로 규율되는 금융 상품이다.
상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다른 사람이 생산한 상품을 거래하는 사업가 |
어원 | 영어 'merchant'에서 유래 |
상업 활동 | |
주요 활동 | 상품 구매 및 판매 유통 및 물류 관리 시장 조사 및 분석 고객 관리 |
역할 |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연결 고리 |
종류 | 도매상: 대량으로 상품을 구매하여 소매상에게 판매 소매상: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 수출입상: 국경을 넘어 상품을 거래 |
역사 | |
초기 상인 | 기원전 3000년경부터 존재 |
중요한 시기 | 중세 시대: 길드 형성 및 상업 발달 대항해 시대: 해외 무역 활발 산업 혁명: 대량 생산 및 유통 시스템 발전 |
법적 및 사회적 측면 | |
법적 지위 | 상법 및 관련 법규의 적용을 받음 |
경제적 역할 |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 수행 |
사회적 인식 | 시대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인식 |
관련 용어 | |
동의어 | 장사꾼 사업가 무역업자 |
관련 직업 | 무역업 유통업 판매업 |
2. 상인의 개념 및 유형
상인이란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사람」에는 법인도 포함)에서 물건의 매매를 통해 이윤을 얻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다. 광의로는 물건뿐만 아니라 서비스 등 무형의 것의 거래로 이윤을 얻는 사람도 포함하며, 부동산 임대업, 금융업, 보험업, 광고 홍보업 등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도 상인에 포함된다. 또한 상법이 정의하는 상인처럼 「자기 명의로 상행위를 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자」(고유의 상인) 및 의제 상인도 상인으로 여겨진다(법인도 포함).
영어 단어 "merchant"는 중세 영어 marchant|마chantenm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앵글로-노르만어 marchaunt|marchauntxno에서 유래했고, 이는 다시 속어 라틴어 mercatant|mercatantla 또는 mercatans|mercatansla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mercatarela("거래하다, 무역하다 또는 매매하다")의 현재 분사형에서 형성되었다.[1] 이 용어는 모든 유형의 재판매업자를 가리키지만, 특정한 수식어와 함께 사용되어 특정한 특성을 거래하는 사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peed merchant"(빠른 운전을 즐기는 사람), "noise merchant"(음악 공연자 그룹),[2] "dream merchant"(이상적인 비전 시나리오를 팔아넘기는 사람) 등이 있다.
2. 1. 상인의 유형
일반적으로 상인은 다음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도매상'''은 생산자와 소매상 사이의 유통 과정에서 활동하며, 일반적으로 대량의 상품을 취급한다.[3] 도매상은 최종 사용자에게 직접 판매하지 않는다. 일부 도매상은 상품 자체를 이동시키는 대신 상품 이동을 조직하는 역할만 한다.
- '''소매상''' 또는 '''소매업자'''는 최종 사용자 또는 소비자(기업 포함)에게 일반적으로 소량의 상품을 판매한다. 가게 주인이 소매상의 한 예이다.
'상인'이라는 용어는 "머천트 뱅커(merchant banker)", "상선(merchant navy)" 또는 "상업 서비스(merchant services)"와 같이 다양한 전문적인 맥락에서 자주 사용된다.
상인은 상업을 영위하는 사람이다. 즉, 기본적으로는 사람과 사람 사이(「사람」에는 법인도 포함)에 개입하여, 물건의 매매를 통해 이윤을 얻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며, 소매업자나 도매업자가 그 예이다.
2. 2. 한국 상법상 상인
상법은 상인을 실질적으로 특정 행위를 상행위로 정하고 이러한 상행위를 영업으로 하는 자로 보는 실질주의(상행위법주의, 객관주의, 상사법주의)와, 행위의 실질적인 내용을 구별하지 않고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상인적 방법으로 영업을 하는 자를 상인으로 보는 형식주의(상인법주의, 주관주의, 상업법주의), 그리고 이 둘을 절충하여 상행위를 영업으로 하는 자뿐만 아니라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상인적 방법으로 영업을 하는 자도 상인으로 인정하는 절충주의로 분류한다.[70]3. 상인의 역사
상인은 인류가 사업, 무역 또는 상업을 시작한 이래로 존재해 왔으며,[4][5][6][7][8][9] 많은 전근대 사회에서 상인 계급이 활동했다.
일반적으로 상업은 인류 문명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수렵, 농업, 수공업 다음에 잉여 생산물을 교환하여 이익을 얻는 형태로 발전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기록이 없어 그 기원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는 어렵고, 최초의 상업이 언제 성립했는지는 추측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한다. 상업의 형태는 물물교환에서 시작하여, 점차 매개물을 사용하는 화폐 경제로 발전했다.
상인 계급의 사회적 지위는 문화에 따라 다양했다. 높은 지위를 누리기도 했지만,[19] 중국, 그리스 및 로마 문화에서와 같이 낮은 지위를 받기도 했다.[20] 중세 서유럽에서는 상인의 활동을 고리대금업과 연관시킨 기독교 교회가 상인 계급을 비판하여 그들에 대한 태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22]
근대는 17세기와 18세기 유럽에서 소비자 문화가 부상하면서 시작된 시기로 이해된다.[44] 17세기에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소비자들이 필수품을 넘어선 상품을 구매하기 시작했다. 새롭게 등장한 중산층, 즉 부르주아는 사치품에 대한 수요를 자극했고, 쇼핑은 즐거운 오락이나 엔터테인먼트의 한 형태로 여겨지게 되었다.[45]
3. 1. 고대
고대 사회에서 상인은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 등 여러 문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4][5][6][7][8][9] 이들 문명에서 상인들은 상품을 교환하고 판매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종종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인정받았다.특히 페니키아인들은 뛰어난 항해술과 상업적 수완을 바탕으로 지중해 전역에서 활발한 해상 무역을 펼쳤다.[16] 이들은 "보라색 무역상"으로 불릴 정도로 보라색 염료 무역을 독점했으며,[15] 목재, 섬유, 유리, 농산물 등 다양한 상품을 거래했다. 페니키아인들은 상업 활동을 통해 문자를 널리 퍼뜨리는 등 문화 교류에도 기여했다.[17]

고대 로마에서는 상인들이 인도, 중국 등 먼 지역과 장거리 무역을 했다.[27] 로마 상인들은 향, 발삼, 몰약, 향신료, 비단 등 동방의 사치품을 수입했으며, 이는 로마 소비자들에게 사회적 위신을 상징하는 물품이었다.[29] 폼페이의 움브리키우스 스카우루스와 같이 가룸과 같은 특산품을 제조하고 거래하여 큰 부를 축적한 상인들도 있었다.[24]
고대에는 상업 활동이 주로 시장의 노점상, 상점 주인, 행상인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13] 고대 그리스에서는 아고라, 로마 제국에서는 포룸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시장이 열렸으며,[11] 이곳에서 상인들은 상품을 전시하고 판매했다.
3. 2.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는 상인들이 실크로드, 인도양 무역 등을 통해 번영하였다. 유럽에서는 길드가 상업 활동을 조직하고 통제하였다. 한자 동맹은 북유럽 무역을 장악하였다.[31] 고려 시대에는 개경을 중심으로 상업이 발달했으며, 벽란도는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다.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중국 원나라에서는 몽골인이 교역에 참여하지 않고, 특권 무슬림 상인(오르토크)이 제국 내 재정과 교역을 담당했다. 또한 몽골 제국은 금나라의 제도를 계승하여 지폐(교초)를 발행했다. 몽골 제국이 몰락하자 실크로드와 무슬림 상인의 활동권은 오스만 제국이 계승하여 그 막대한 수익을 독점했다.
13세기에 이슬람 상인들은 동아프리카, 페르시아 만에서 인도양, 동남아시아의 말라카 해협에 이르는 해상 무역로에서 활약했다. 말레이시아 반도에 건국된 말라카 왕국은 대표적인 이슬람 국가였으며 무역로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남중국해와의 중계 무역으로 번영했다.
일본에서는 유력 권문과 사찰의 잡색·신인·공어인이 그 권위를 배경으로 여러 지역과 교토를 오가며 교역을 하였다. 그들은 장원 제도의 붕괴로 권문과 사찰을 본소(명목상의 영주)로 받들고, 자신들은 봉사의 의무와 바꿔 여러 지역 통행의 자유, 관세 면제, 치외법권 등의 특권을 보장받은 집단인 “좌”를 조직했다. 금융은 신에게 바쳐진 상등미와 상등전을 자본으로 신인들에 의해 이루어졌고, 13세기 이후에는 이자를 받는 행위도 이루어졌다.[82]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활약한 대부업자는 토쿠라, 사케상이라고 불렸다. 사카이는 마을 사람들에 의해 자치가 이루어져 “동양의 베네치아”라고 불릴 정도로 번영을 누렸다. 무로마치 시대 일본 상인의 발명품으로 “미세다나(見世棚)”가 있으며, 15세기 당시 조선에서는 생선조차 땅바닥에 놓고 팔았기 때문에, 이 미세다나 상법은 당시 동아시아에서는 위생 면에서 획기적인 상법이었고, 일본어의 “미세(店)”의 어원이 되어 이후 일본에서는 가게를 “다나(棚)” “미세(見世)”라고 읽게 되었다.
3. 3. 근세
1300년부터 1800년대까지 유럽에서는 국제 무역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많은 특허 및 상인 회사들이 설립되었다.[36] 1407년에 설립된 런던 상인 모험가 회사(Company of Merchant Adventurers of London)는 대부분의 고급 직물 수입을 통제했고,[35] 한자 동맹(Hanseatic League)은 발트해의 대부분 무역을 통제했다. 1600년에는 상품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했지만, 아시아가 개방되고 신세계가 발견된 후에는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신세계 등 매우 먼 거리에서 상품이 수입되었다.[36]

13세기 동안 유럽 기업들은 정주 상인과 대리인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는 더 영구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상인들은 자금 조달, 조직 및 운송을 전문으로 했고, 대리인들은 해외에 거주하면서 본사를 대신하여 활동했다. 이러한 방식은 처음에는 이탈리아에서 레반트로 가는 노선에 나타났지만, 13세기 말까지 파리, 런던, 브뤼헤, 세비야, 바르셀로나, 몽펠리에에서 상인 식민지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발전은 복식부기, 상업 회계, 신용 한도 접근을 포함한 국제 금융, 해상 보험 및 상업 배달 서비스와 같은 혁신을 촉발했다. 이러한 발전은 때때로 "상업 혁명"으로 알려져 있다.[33]
13세기와 15세기 사이의 유럽 무역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유럽의 대항해시대가 변화의 주요 원동력이 되었음을 보여준다.[36]

일본은 근세에 걸쳐 상인들이 그 직업을 전문화, 분화시켜 갔다.[80] 전국 시대를 거치면서 자(座)는 해체되었지만, 현대에 이어지는 유통 형태인 도매상(問屋), 중개상(仲買), 소매상(小売)이 나타났고, 각각 주식 동업 조합(株仲間)을 결성했다.[80] 주식 동업 조합은 가입자 수를 제한하여 매매를 독점했고, 근세 초기에는 물자 공급 안정이라는 효과가 있었지만, 상품 경제의 발전과 함께 원활한 거래의 방해 요인이 되었다.[80]


에도 막부는 상인에 대해 비과세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막부가 상인으로부터 세수를 얻었고, 에도 시대를 통해 몇 차례 행해진 것이 고용금(御用金)이다. 다이묘 등 공권력과 결탁한 상인을 고용상인(御用商人)이라고 부른다. 또한 상인을 통제하는 직책인 상인사(商人司)가 각 번(藩)에 설치되었다.
; 근세 이후 일본의 주요 상인
- 사카타(酒田): 이케다 소자에몬(池田惣左衛門) - 아부미야(鐙屋)
- 아이즈(会津): 야나다 토우자에몬(簗田藤左衛門) - 야나다야(簗田屋)
- 나오에쓰(直江津): 쿠라타 고로자(蔵田五郎左) - 미쓰코시(에치고야)
- 고후(甲府): 고슈 재벌
- 오다와라(小田原): 우노 토우에몬(宇野藤右衛門) - 토라야(虎屋)
- 슨푸(駿府): 토모노 지로베에(友野二郎兵衛) - 토모노야(友野屋)
- 기요스(清洲): 이토 소쥬로(伊藤惣十郎) - 이토야(伊藤屋)
- 아즈치(安土): 니시카와 진에몬(西川仁右衛門) - 야마가타야(山形屋)
- 교토(京): 스미야 소안 - 스미야(角倉屋), 스미야 료이 - 스미야(角倉屋), 차야 시로지로 - 차야(茶屋), 차야 마타시로 - 차야(茶屋)
- 오사카(大坂): 스에요시 손자에몬 - 히라노야(平野屋), 요도야 조안 - 요도야(淀屋)
- 사카이(堺): 이마이 소쿠 - 나야(納屋), 이마이 소쿤 - 나야(納屋), 류소 스케에몬 - 나야(納屋), 쓰다 소키 - 텐노지야(天王寺屋), 쓰다 소타쓰 - 텐노지야(天王寺屋)
- 오미나토(大湊): 스미야 시로지로 - 스미야(角屋)
- 츠루가(敦賀): 미치카와 헤에사부로(道川兵衛三郎) - 가와후네야(川舟屋)
- 오바마(小浜): 쿠미야 겐시로(組屋源四郎) - 쿠미야(組屋), 쿠미야 소엔(組屋宗円) - 쿠미야(組屋)
- 기이(紀伊): 기이쿠니야 분자에몬 - 기이쿠니야(紀伊國屋)
- 히메지(姫路): 코노이케 나오후미 - 코노이케 재벌(코노이케야), 고니시 유키나가 - 고니시야(小西屋), 고니시 타카사 - 고니시야(小西屋)
- 오노미치(尾道): 시부야 요에몬(渋谷与右衛門) - 오오니시야(大西屋)
- 아카마가세키(赤間関): 호리타테 나오마사(掘立直正) - 시모노세키야(下関屋), 사코 토우타로(佐甲藤太郎) - 시모노세키야(下関屋)
- 우라토(浦戸): 하리마야 소토쿠 - 하리마야(播磨屋)
- 하카타(博多): 카미야 쇼사쿠 - 카미야(神屋), 카미야 소탄 - 카미야(神屋), 시마이 무네무로 - 하카타야(博多屋)
- 혼죠슈쿠(本庄宿): 토야야 한베에(戸谷半兵衛) - 나카야(中屋), 모리타 토요카(森田豊香) - 사케야(酒屋)
- 기타: 셰궈밍(謝国明), 스즈키 미치타네(鈴木道胤), 야나이 도톤(安井道頓), 오미 상인, 이세 상인
3. 4. 근대
산업 혁명 이후, 주식회사 형태의 기업이 등장하면서 경영 방식이 근대화되기 시작했다. 1868년에는 영국 노동조합 의회(TUC)가 결성되는 등 노사 교섭을 위한 단체들이 생겨났다. 주식회사는 주주총회, 직원 주식 보유 등의 요소를 통해 민주적인 요소를 더하고, 구시대적인 요소를 제거하며 경영 및 노동 환경을 현대화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에서는 상업을 장려하고, 정부와 기업 간의 유착, 즉 정경유착을 통해 경제 발전을 추구했다. 사카모토 료마의 가메야마 샤츄가 일본 주식회사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막스 베버는 저서 『세계 종교의 경제 윤리』에서 메이지 시대 일본 상인들이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그 원인을 봉건 시대의 책략에 있다고 보았다.[90]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관료를 그만두고 논어를 바탕으로 경제 활동을 하려 했을 때, 당시 사람들이 경제 활동에 윤리학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풍조를 엿볼 수 있다.[91] 니토베 이나조는 저서 『수양』에서 상도(商道)를 인도(人道)보다 낮은 단계로 인식하는 당시의 관점을 드러냈다.[92]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상인들이 한국 경제를 장악했고, 한국 상인들은 차별과 억압을 받았다.
1911년 청나라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나면서 중국 사회도 근대화되었고, 신안 상인 등이 사라졌다.
3. 5. 현대
현대에는 상업 활동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전자상거래와 같이 온라인을 통한 상품 판매 방식이 널리 확산되었으며, 플랫폼 기업과 같이 새로운 형태의 상업 주체들이 등장하고 있다.[4][5][6][7][8][9]대한민국의 경우, 경제 성장과 함께 상업이 빠르게 발전하였다. 특히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가 형성되면서, 대규모 유통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반면, 중소상인이나 자영업자들은 대기업과의 경쟁, 임대료 상승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소상인과 자영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4. 상인의 사회적 지위와 윤리
중세 영국과 유럽에서는 무역이 급속히 확장되면서 부유하고 강력한 상인 계급이 등장했다. 11세기부터 십자군 전쟁은 근동에 새로운 무역로를 개방하는 데 기여했고, 마르코 폴로는 13세기에 극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중세 상인들은 향신료, 포도주, 식량, 모피, 고급 직물(특히 비단), 유리, 보석류 등 먼 해안에서 수입한 이국적인 상품을 거래했다.[30]
중세 시대에 상인 길드가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1020년 헬더란트(현재 네덜란드) 티엘의 상인들이 결성한 단체가 최초의 상인 길드로 여겨진다. 12세기 초, 뤼베크와 함부르크에서 형성된 상인 길드 연합인 한자 동맹이 발트해 주변 무역을 지배했다.[31] 13세기와 14세기까지 상인 길드는 주요 시장 마을에 길드 홀을 세울 만큼 충분한 자원을 확보했다.[32]
13세기 유럽 기업들은 정주 상인과 대리인 시스템을 갖추면서 복식부기, 상업 회계, 신용 한도, 국제 금융, 해상 보험, 상업 배달 서비스와 같은 혁신을 촉발했다.[33]
18세기에는 새로운 유형의 제조업체-상인이 등장하고 현대적인 경영 관행이 두드러졌다. 영국의 산업가 조사이어 웨지우드(1730–1795)와 매슈 볼턴(1728–1809)은 현대 대량 마케팅 방법의 선구자로, 직접 우편, 여행 판매원, 카탈로그, 규모의 경제 달성, 계획된 노후화, 연예인 마케팅 등의 기법을 사용했다.[55][56][57][58]
19세기에는 Jardine Matheson & Co.와 뉴사우스웨일스의 상인들처럼 상인과 상인 회사가 중국과 태평양을 영국-미국 무역 이익에 개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세기 계획 경제에서는 계획가들이 상인을 대체했지만,[61] "산업가", "사업가", "기업가", 재벌 등으로 불리는 상인들은[62] 21세기에도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상인의 사회적 지위와 윤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무사나 병사가 군신을 섬기듯, 상인에게도 신앙 대상이 되는 상업신 문화가 존재한다. 일본 이나리신(稲荷神)은 곡물신(토지신)에서 상업신(천신)으로 변화했다.[101]
중국 도교에서 상업신(재신)은 생전에 재산을 모으거나 주군에게 간언하는 정직한 인물 등으로, “무재신(武財神)”과 “문재신(文財神)”으로 나뉜다.[102] 도교에서는 오로재신(五路財神)이 대표적인 상업신이다. (외국 상업신은 “Category:상업신” 참조)
불교에서는 가마쿠라 불교 일련종(법화종계)의 포교 대상이 하급 무사와 상공업자였기에 13세기 이후 상인에게 일련종이 보인다.[103] 장사 번창을 비는 불공권솔관음 신앙도 있었다.[104] 근세에는 마네키네코 전설이 생겨나 징크스로 믿어졌고, 이나리 신앙과도 관련이 있다.
4. 1. 사회적 지위
역사적으로 상인의 사회적 지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상인을 존경하고 높은 지위를 부여했지만, 다른 문화권에서는 상인을 천시하고 낮은 지위를 부여하기도 했다.조선 시대에는 사농공상의 신분 질서 속에서 상인은 가장 낮은 지위를 차지했다.[93] 상인은 무가의 계급과 달리 근무 기간에 따라 승진하는 체계였다.[95] 11~12세에 데치(꼬마)로 시작하여, 무급으로 잡일을 하며 상업의 기본을 배웠다.[94] 데치는 1년에 두 번 야부이리라는 휴일을 받았지만, 무급이었기 때문에 도망치는 경우도 있었다.
데치 5년 후에는 원복을 하고 젊은이가 되며, 다시 5년 후 데다이가 되어 급료를 받았다. 데다이를 10년 하면 고두(직책), 5년 후 구두(매입 책임자), 5년 후 반토가 되었다. 반토가 된 후 5년이 지나면 노렌와케(독립 개업)가 허락되었다.[95]
오복의 시라키야에서는 데치 4년 차에 꼬마두, 8년 차에 데다이, 10년 후 반토로 승진했다. 반토는 저택을 짓고 결혼이 허락되었으며, 데치 100명 중 1명만이 반토가 될 수 있었다.[96] 노렌와케는 뛰어난 상재를 가진 일부에게만 허용되었고, 30년의 세월이 필요했다.[97]
미쓰이가는 더 세분화된 승진 체계를 가졌다.[98] 에도 막부는 10년 이상의 고용을 금지했기에, 8~9년 차에 퇴사하여 본점에서 인사 후 복귀하거나, 이 시기에 그만두는 경우도 있었다.[99]
중세 유럽에서는 상공업자의 길드가 있었고, 상인 조합과 동직 조합으로 나뉘었다.[100] 수공업 직인은 도제 제도로, 친방, 직인, 도제로 구성되었고 친방만이 동직 조합을 구성했다.[100]
근세 에도 시대에는 이시다 바이간이 석문심학을 통해 상인을 포함한 서민 윤리를 설파하고, 무사와 상인이 동등하다고 주장하여 지위 향상에 힘썼다. 가이토쿠도에서는 야마가타 반토와 같은 무신론자도 나왔고, 도미나가 나카모토의 가산설과 같은 시장 변동과 유통 흐름 속에서 나온 주장도 있었다.[105] 모토오리 노리나가도 이세 상인 출신이었다. 교호 연간에는 상가에서 가훈이 만들어졌고, 오미 상인의 “삼방 요시”가 알려졌다.
중세 상인에게도 법은 있었지만, 현대적 의미의 법이 아닌 “방법”, “예법”에 가까웠다.[106] 이러한 예법은 기준을 제공하고, 사회생활을 질서정연하게 영위하기 위한 근거가 되었다.[107] 중세법은 보편성을 가지지 않더라도 지역적 수준에서 유용한 참조 기준으로 존립했다.[108] 상인 집단은 “예”와 “습”을 법으로 인용하고 주장을 뒷받침했지만, 집단 내에서도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했다.[109] 오미국 상인 집단은 “고법”에 따른 “옛날부터의 예”를 주장했지만, 다른 집단은 “고법”에서 벗어난 “신의”로 비난하는 등 대립이 발생했고, 실력 행사나 유력자의 조정으로 해결했다.[110] 이러한 반복을 통해 법을 갱신하고, 현장에 맞춰 법을 생성했다.[111] 중세에는 상인 신분 전체의 공통된 규칙은 없었고, 소집단 내의 예와 습을 법으로 하여 형성해 나갔다.
유럽에서도 중세 말에는 상인 사이에 교양 있는 사람이 나타났지만, 중세 전체의 교양・학문은 성직자의 독점물이었다.[112]
막스 베버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동독 동엘베 지방의 폴란드계 농업 노동자의 근로 의식을 조사한 결과, 근대 서구형 노동자와 달리 전통적인 생활 유지를 위해 필요 이상의 노동을 거절했다고 기술하고, 그 원인을 가톨릭의 종교 신앙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프로테스탄티즘, 특히 칼뱅주의의 세속적 금욕주의가 이를 타파하고,[113] 자본주의 정신이 형성되어 상업을 윤리적인 의무로 간주하게 되었다고 한다. 직업 윤리의 변혁과 확산은[114] 1588년의 알마다 해전으로 이어지고,[115] 근대 상업 윤리의 형성에도 이어졌다.[116]
4. 2. 상인의 윤리
상인은 이윤을 추구하는 동시에 사회적 책임도 다해야 한다. 공정한 경쟁, 투명한 거래, 소비자 보호 등 윤리적 가치를 준수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상도(商道)라는 개념이 강조되어 왔으며, 정직, 신용, 성실 등을 중요한 덕목으로 여겼다.5. 상인 관련 법률 및 제도
일본 전국 시대에 유력 다이묘들은 이세, 기이 출신 해적 상인들을 자신의 군대에 편입시켜 수군으로 조직했다.[136] 이들은 무력을 가진 회선(廻船)을 통해 유통에 관여했다. 가이후중(甲斐府中)의 사카다 씨 역시 상인 출신으로 다케다 씨에게 중용되었으며, 그 자손은 고후(甲府)의 마치토시요리가 되었는데, 이 가문도 본래 이세 상인이었다.[136]
히라카와 신의 연구에 따르면, 근세 일본 상인들은 무예를 익히고 있었다.[137] 2013년 미야기현 가미정에서 발견된 신음류생류 혈판장에는 1773년 제자 52명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었는데, 이들 모두 서민이었고 그 중 24명은 상인으로 추정되며, 산술 전수에 대한 기록도 있어 당시 상인들에게 무예와 산술이 중요한 소양이었음을 알 수 있다.[137] 막말 시대에는 상인들도 실전에 투입되었는데, 장주 정벌 당시 장주번 측은 상인들로 구성된 부대인 '시유대'를 결성하기도 했다.
일본에는 상인과 관련된 다양한 속담이 존재한다. "상인(あきんど)에 계도 없다"는 가문보다 실력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며, "상인(あきんど)의 빈 서약문"은 상인의 약속을 믿기 어렵다는 뜻이다. "상인(あきんど)은 손해를 보아도, 창고가 선다"는 상인이 결국에는 부를 축적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유럽에는 "해적은 상인의 시작"이라는 말이 있다.
상인들은 국제 무역에도 종사하며, 각야 시로지로의 손자처럼 외국인과 결혼하는 경우도 있었다. 17세기 초 남아메리카에는 일본 상인들이 정착하여 현지 여성과 결혼한 기록도 남아있다. 그러나 도쿠가와 막부의 쇄국 정책으로 인해 이들은 귀국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밀무역은 막말까지 계속되었는데, 가가번의 제니야 고헤이는 러시아와 밀무역을 하다 투옥되었고, 하마다번에서는 아이즈야 하치에몬의 제안으로 조선, 수마트라, 자바까지 밀무역을 한 다케시마 사건이 발생했다. 장주번, 사쓰마번, 사가번은 밀무역 수입으로 재정을 재건하고 군비를 확충했다.
전국 다이묘들은 영민이 가옥을 지으면 세금을 징수했지만, 에도 시대에는 상업에 대한 세금이 가벼워져 상업이 우대받는 사회가 되었다. 유교의 농본 사상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상인들이 번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13세기 이탈리아 상인 레오나르도 피보나치는 북아프리카에서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한 계산법을 접하고, 1202년 『산술의 서』를 출판하여 유럽에 전파했다. 이후 200년도 지나지 않아 대부분의 상인과 환전업자들이 펜과 종이를 사용한 계산 방법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5. 1. 상인 자격의 취득과 상실 (대한민국 상법)
대한민국 상법에서 자연인은 영업 의사를 가지고 영업 활동을 시작하면 상인 자격을 얻는다. 이때 영업 의사를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데, 이는 통설과 판례의 입장이다.[131] 즉, 점포 구입, 영업 양수, 상업 사용인 고용 등 준비 행위의 성질을 통해 영업 의사가 객관적으로 드러나면 상인 자격을 얻는 것으로 본다.[131] 이러한 준비 행위는 보조적 상행위로 간주되어 상법의 적용을 받는다.[131]회사는 설립 등기를 통해 상인 자격을 얻고, 청산 절차가 끝나면 상인 자격을 잃는다.[130] 회사가 상법상 상인으로 간주되더라도, 회사 대표이사 개인이 자동적으로 상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132] 대표이사의 개인적인 자금 조달이나 투자는 상행위로 볼 수 없다.[133] 또한, 상인이 개인 자격으로 투자하는 행위는 기존 영업을 위한 보조적 상행위로 볼 수 없다.[134]
5. 2. 소상인 (대한민국 상법)
小商人|こしょうにん|소상인일본어은 자본금 규모가 작은 상인을 의미하며, 대한민국 상법에서는 소상인에 대해 일부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135] 대한민국에서는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통해 소상인을 지원하고 있다.6. 판례
7. 참고: 예술 작품 속 상인
상인과 그들의 가족은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주제였다. 한스 홀바인은 1530년대 런던의 스틸야드에서 일하는 한자 동맹 상인들의 초상화 시리즈를 그렸는데, 여기에는 단치히의 게오르그 기제 등이 포함된다.[64][65] 렘브란트와 같은 유명 화가들도 상인들의 초상화를 그렸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MERCHANT
https://www.merriam-[...]
2024-07-04
[2]
웹사이트
merchant Etymology of merchant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4-07-04
[3]
서적
mer‧chant
http://www.ldoceonli[...]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2013
[4]
논문
Rise and Fall of Marketing in Mesopotamia: A Conundrum in the Cradle of Civilization
Association for Analysis and Research in Marketing
2005
[5]
논문
The Archaeology of Trading Systems, Part 1: Towards a New Trade Synthesis
[6]
논문
The Upper Paleolithic Revolution
[7]
논문
Trade and Weighing Systems in the Southern Aegean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Iron Age: How Changing Circuits Influenced Global Measures
Oxbow
2016
[8]
논문
Going to Market in Antiquity
Franz Steiner
2002
[9]
논문
Ancient and Medieval Marketing
Routledge
2016
[10]
서적
Stuttgarter Kolloquium zur Historischen Geographie des Altertums, 7, 1999: zu Wasser und zu Land : Verkehrswege in der antiken Welt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Verlag
2002
[11]
서적
The Forum Romanum
https://books.google[...]
James Parker & Company
2019-06-29
[12]
서적
Shopping Environments
Elsevier
2006
[13]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Marketing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1-03
[14]
논문
Guilds in Late Medieval Flanders: myths and realities of guild life in an export-oriented environment
2004
[15]
서적
History of Phoenicia
Library of Alexandria
1889
[16]
웹사이트
Trade in the Phoenician World
https://www.worldhis[...]
2016-04-01
[17]
서적
undefined
1996
[18]
웹사이트
Discovery of Egyptian Inscriptions Indicates an Earlier Date for Origin of the Alphabet
https://archive.nyti[...]
2024-07-04
[19]
논문
The Archaeology of Trading Systems, Part 1: Towards a New Trade Synthesis
[20]
서적
The Romans and Trad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1]
논문
Bazaar-Mosque Alliance: The Social Basis of Revolts and Revolutions
https://www.jstor.or[...]
1988
[22]
웹사이트
Decameron Web – Society
https://web.archive.[...]
2017-02-08
[23]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Classical Cities and the Pirenne Debate
1989
[24]
논문
A Personalized Floor Mosaic from Pompeii
https://www.jstor.or[...]
1984-10
[25]
논문
Going to Market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Franz Steiner
2002
[26]
논문
The World of the Golden Ass
1981
[27]
서적
The Roman Empire and the Silk Routes: The Ancient World Economy and the Empires of Parthia, Central Asia and Han China
Pen and Sword Books
2016
[28]
서적
The Roman Empire and the Indian Ocean: The Ancient World Economy and the Kingdoms of Africa, Arabia and India
Pen and Sword Books
2014
[29]
서적
The Roman Empire and the Indian Ocean: The Ancient World Economy and the Kingdoms of Africa, Arabia and India
Pen and Sword Books
2014
[30]
논문
Going to Market in Antiquity
Franz Steiner
2002
[31]
웹사이트
Merchant guild Medieval, Craftsmen, Guild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7-04
[32]
서적
Wage Labor and Guilds in Medieval Europ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1
[33]
논문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arkets: A Business History Perspective
2011
[34]
논문
Le prix du bien commun. Taxation des prix et approvisionnement urbain (Vicence, XVIe-XVIIe siècle)
Firenze University Press
2017
[35]
웹사이트
Merchant Adventurers
http://library.eb.co[...]
2013-07-22
[36]
서적
The Wheels of Commerce: Civilization and Capitalism, 15th to 18th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37]
간행물
Pochteca and mindalá: a comparison of long-distance traders in Ecuador and Mesoamerica
1978
[38]
서적
Conflict in the Early Americas: An Encyclopedia of the Spanish Empire's Aztec, Incan and Mayan Conquest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8-27
[39]
서적
Spirituality, Gender, and the Self in Renaissance Italy: Angela Merici and the Company of St. Ursula (1474–1540)
CUA Press
2007
[40]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Renaissance in Europ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
[41]
서적
Strangers to Themselves: The Byzantine Outsider: Papers from the Thirty-Second Spring Symposium of Byzantine Studies, University of Sussex, Brighton, March 1998
Routledge
2016
[42]
서적
Commemorating the Polish Renaissance Child: Funeral Monuments and their European Context
Routledge
2016
[43]
서적
Europe's Uncertain Path 1814-1914: State Formation and Civil Society
John Wiley & Sons
2012
[44]
서적
Encyclopedia of Consumer Cultur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21-08-16
[45]
서적
Consumers and Luxury: Consumer Culture in Europe, 1650–1850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9
[46]
서적
The European Nobility, 1400-18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47]
서적
Daniel Defoe
Tredition Classics
[48]
서적
The Life of Daniel Defoe: A Critical Biography
Blackwell
2005, 2015
[49]
서적
Daniel Defoe: His Lif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9
[50]
서적
Regional Routes, Regional Roots? Cross-Border. Patterns of Human Mobility in Eurasia
Hokkaido Slavic-Eurasian Research Center
2017
[51]
서적
Global Trade and Commercial Networks: Eighteenth-Century Diamond Merchants
Pickering and Chatto
2011
[52]
서적
The Birth of a Consumer Society: The Commercialization of Eighteenth Century England
1982
[53]
서적
Perceptions of Retailing in Early Modern England
Ashgate
2007
[54]
서적
The Birth of a Consumer Society: The Commercialization of Eighteenth Century England
1982
[55]
간행물
Historical research in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a review essay
2014
[56]
뉴스
Opinion {{!}} They Broke It
https://www.nytimes.[...]
2024-07-04
[57]
간행물
Dinnerware & Cost Accounting? The Story of Josiah Wedgwood: Potter and Cost Accountant
2005-05-01
[58]
서적
The Marketing Era: From Professional Practice to Global Provisioning
Routledge
2004
[59]
서적
The Birth of a Consumer Society: The Commercialization of Eighteenth Century England
1982
[60]
서적
Retailing: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Retailing
[61]
서적
Merchants and Society in Modern China: From Guild to Chamber of Commer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8-16
[62]
웹사이트
Graph of proportionate terminology usage
https://books.google[...]
[63]
서적
Painting & the Market in Early Modern Antwerp
Yale University Press
1998
[64]
서적
Commerce and Print in the Early Reformation
Brill
2007
[65]
간행물
Holbein's Portraits of the Steelyard Merchants: An Investigation
1980
[66]
웹사이트
Merchants in Motion
https://loesheerink.[...]
2022-02-18
[67]
Working Paper
The Persistence and Decline of Merchant Guilds: Re-thinking the Comparative Study of Commercial Institutions in Pre-modern Europe
Yale University
2008
[68]
서적
Wage Labor and Guilds in Medieval Europ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1
[69]
서적
廣漢和辞典
大修館書店
1981-11
[70]
서적
人間の経済1
[71]
서적
137億年の物語 宇宙が始まってから今日までの全歴史
文藝春秋
2014
[72]
서적
人間の経済1
[73]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ローマ帝国」
https://www2.nhk.or.[...]
2024-07-09
[74]
위키소스
後漢書/卷88 西域傳 第七十八 大秦国
[75]
웹사이트
https://www.y-histor[...]
[76]
웹사이트
セスタスが生きた古代ローマを読む。 第3回
https://cestvs-anime[...]
2021-04-30
[77]
서적
137億年の物語 宇宙が始まってから今日までの全歴史
文芸春秋
2014
[78]
서적
イスラーム商業史の研究
[79]
서적
イスラム経済論
書籍工房早山
2010
[80]
서적
(제목 불명)
2004
[81]
서적
中世イタリア商人の世界
[82]
서적
日本の歴史を読み直す(全)
[83]
서적
三田村鳶魚 江戸武家辞典
青蛙房
2007
[84]
서적
江戸武家辞典
[85]
서적
最高の戦略教科書 孫子
日本経済新聞出版社
2016
[86]
서적
最高の戦略教科書 孫子
[87]
서적
最高の戦略教科書 孫子
[88]
방송
ザ・今夜はヒストリー
2012-08-08
[89]
서적
本庄人物事典
2003
[90]
서적
(제목 불명)
[91]
서적
仏教と資本主義
新潮新書
2004
[92]
서적
(제목 불명)
[93]
서적
詳説日本史図録 第5版
山川出版社
2011
[94]
서적
(제목 불명)
[95]
서적
(제목 불명)
[96]
서적
(제목 불명)
[97]
서적
図説!江戸時代
三笠書房
2015
[98]
서적
日本人の給与明細 古典で読み解く物価事情
角川ソフィア文庫
2015
[99]
간행물
歴史道 vol2[完全保存版] 江戸の暮らしと仕事大図鑑
朝日新聞出版
2019
[100]
서적
封建制社会 新書西洋史3
講談社現代新書
1973
[101]
서적
よくわかる日本神道のすべて
日本文芸社
1997
[102]
서적
(제목 불명)
[103]
서적
詳説日本史図録
山川出版社
2011
[104]
서적
日本の仏様を知る事典 代表的な仏様の出自と御利益
日本文芸社
1997
[105]
서적
改革と維新
講談社現代新書
1976
[106]
서적
(미상)
[107]
서적
(미상)
[108]
서적
(미상)
[109]
서적
(미상)
[110]
서적
(미상)
[111]
서적
日本の歷史11 太平記の時代
講談社
[112]
서적
封建制社会
講談社現代新書
[113]
서적
(미상)
[114]
서적
(미상)
[115]
서적
(미상)
[116]
서적
近代化と人間の諸問題
中央大学出版部
[117]
서적
(미상)
[118]
서적
日本論の視座 列島の社会と国家
小学館
[119]
서적
(미상)
[120]
서적
(미상)
[121]
서적
(미상)
[122]
서적
(미상)
[123]
서적
(미상)
[124]
간행물
月刊歴史街道 平成20年6月号
PHP研究所
[125]
서적
角川古語辞典 改訂版
[126]
서적
絵が語る知らなかった江戸のくらし 農山漁民の巻
遊子館
[127]
서적
江戸時代 日本の歴史6
岩波ジュニア新書
[128]
서적
人口順100大姓 姓氏・家紋の辞典
オーエス出版社
[129]
서적
民俗の事典
岩崎美術社
[130]
판결문
2018-04-24
[131]
판결문
[132]
판결문
2018-04-24
[133]
판결문
2018-04-24
[134]
판결문
2018-04-24
[135]
글로벌2
소상인
[136]
판결문
[137]
판결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