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망 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제2대 황제로, 가륭제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국호를 베트남에서 다이남으로 변경하고, 청나라에 대한 소중화 사상을 드러냈다. 쇄국 정책을 펼치며 프랑스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캄보디아를 침략하는 등 대외적으로는 고립적인 정책을 취했다. 내정에서는 중앙 집권화를 추진하고 기독교를 탄압하여 반란을 야기했으며, 142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의 치세는 질병과 반란으로 불안정했으며, 아들 티에우찌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롱제의 황자 - 응우옌푹까인
응우옌 푹 까인은 응우옌 푹 아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프랑스에서 베르사유 조약 체결을 시도했으며, 황태자였으나 천연두로 사망하고 후손들은 정치적 박해를 받았다. - 베트남의 황태자 - 바오다이
바오다이는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자 베트남국의 국가주석으로, 프랑스의 보호 아래 즉위했으나 일본의 지원으로 독립을 선포하고 퇴위 후 다시 프랑스의 지원으로 국가주석이 되었지만 결국 망명하여 생을 마감하여 그의 통치 기간과 행적은 베트남 역사에서 논쟁적이다. - 베트남의 황태자 - 응우옌푹까인
응우옌 푹 까인은 응우옌 푹 아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프랑스에서 베르사유 조약 체결을 시도했으며, 황태자였으나 천연두로 사망하고 후손들은 정치적 박해를 받았다. - 19세기 베트남의 군주 - 티에우찌 황제
티에우찌 황제는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제3대 황제로, 민망 황제의 정책을 이어받아 서구 문물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으며 프랑스와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29명의 아들과 17명의 딸을 두었다. - 19세기 베트남의 군주 - 동카인 황제
동카인 황제는 1885년부터 1889년까지 재위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이며,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즉위하여 친프랑스 정책을 펼치다 24세에 사망했다.
민망 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명명제 |
로마자 표기 | Minh Mạng |
한자 표기 | 明命帝 |
풀네임 | 응우옌푹담 (阮福膽), 응우옌푹끼에우 (阮福晈) |
출생일 | 1791년 5월 25일 |
출생지 | 자딘, 베트남 |
사망일 | 1841년 1월 20일 |
사망지 | 후에 황성 |
매장지 | 1841년 8월 20일 - 효릉, 후에 황성 |
묘호 | 성조 (聖祖) |
시호 | 체천창운지효순덕문무명단창술대성후택풍공인황제(體天昌運至孝純德文武明斷創述大成厚澤豐功仁皇帝) |
재위 기간 | 1820년 2월 14일 – 1841년 1월 20일 |
시대 | 응우옌 왕조 |
연호 | 명명 (明命) |
연호 기간 | 1820년–1841년 |
종교 | 유교 |
통치 | |
즉위 | 1820년 2월 14일 |
이전 군주 | 자롱 |
다음 군주 | 티에우찌 |
재위 구분 | 베트남 황제 (1820년 2월 14일 – 1839년 2월 15일) |
재위 구분 2 | 대남 황제 (1839년 2월 15일 – 1841년 1월 20일) |
재위 구분 3 | 응우옌 왕조 황제 (1820년 2월 14일 – 1841년 1월 20일) |
국가 변경 | 1839년 2월 15일 베트남에서 대남으로 국호 변경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자롱 |
어머니 | 투언티엔 황후 |
기타 | |
![]() |
2. 생애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의 2대 황제이다. 본명은 Nguyễn Phúc Đảm|응우옌 푹 담vie으로, 제2차 떠이선-응우옌 전쟁 중반 자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훗날 가륭제가 되는 응우옌 푹 아인이며, 어머니는 순천 황후 Trần Thị Đang|쩐 티 당vie이다. 세 살 때 아버지의 첫 부인이자 정실 황후인 승천 황후에게 입양되어 길러졌다.[3]
1816년 가륭제는 여러 논란 속에서도[4] 넷째 아들인 담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황태자가 된 그는 청화궁으로 거처를 옮겨 국정 운영을 배우며 아버지를 보좌했다.[5]
가륭제가 사망하자 황위를 계승하였다. 즉위 초에는 아버지의 신임을 받았던 남부 총독 레 반 듀엣과 갈등을 겪기도 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국호를 비엣남에서 다이난으로 변경하고, 중국식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며 과거제에 전시를 도입하는 등 내정 개혁을 추진했다. 또한 1832년 참파를 완전히 병합하고 산악 소수민족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자 했다.
대외적으로는 쇄국 정책을 고수하며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 세력과의 교류를 거부했다. 캄보디아에 대한 군사 원정은 실패로 끝났으나 주변국에 위협을 주었다. 특히 기독교를 탄압하여 1836년에는 유럽 선교사들을 처형하는 등 강경책을 펼쳤다. 이러한 정책들은 국내외적으로 많은 반발을 샀으며, 훗날 프랑스의 침략과 베트남 식민지화의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2. 1. 쇄국 정책과 서구 열강과의 갈등
가륭제가 사망한 후 황제에 즉위하였다. 선대 황제인 가륭제가 정한 국호인 비엣남(越南, 월남)을 다이난(大南, 대남)으로 바꾸었다. 이는 중국 남쪽에 위치하여 중국에 종속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비엣남'이라는 국호 대신, 청나라를 종주국으로 인정하면서도 스스로를 중화 문명의 계승자로 여기는 소중화사상에 기반하여 독자적인 세계 질서를 구축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1][2]대외적으로는 폐쇄적인 쇄국 정책을 고수하며, 통상 확대를 요구하는 프랑스와의 관계 개선을 거부했다. 1826년에는 개국을 요구하며 찾아온 프랑스 군함 함장과의 만남을 거부했으며, 같은 해 응우옌 왕조 건국 공신인 프랑스인 쇼니(Jean-Baptiste de Chaigneau)의 조카가 영사 자격으로 방문했을 때도 접견을 거부했다. 이로 인해 베트남과 프랑스의 공식적인 관계는 한동안 단절되었다.[1][2]
군사적으로는 캄보디아에 대한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하지만 이 원정은 주변 세력들에게 충분한 위협을 주었으며, 산악 지대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1][2] 1832년에는 속국으로서 자치를 인정해주던 참파 왕국을 완전히 병합하였다.[1]
내정 면에서는 중국의 제도를 따라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베트남 전역에 성(省)과 현(縣)을 설치하는 성현제(省縣制)를 실시했다. 관리 임용 방식인 과거제에는 건국 초기부터 시행되던 것에 더해 황제가 직접 주관하는 시험인 전시(殿試)를 추가하였다.[1][2]
그러나 이러한 급진적인 중앙 집권화 정책과 기독교에 대한 강경한 탄압은 베트남 각지에서 반란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1836년에는 유럽에서 파견된 선교사 7명을 처형하고 수많은 베트남인 기독교 신자들을 탄압했다. 이로 인해 많은 기독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산악 지대로 숨어들었다.[1][2] 이러한 쇄국 정책과 기독교 탄압은 훗날 프랑스와 스페인 연합군의 침공을 유발하고, 결국 프랑스가 베트남의 이권을 장악하게 되는 결정적인 빌미를 제공했다. (→베트남-프랑스 관계)[1]
2. 2. 주변국과의 관계
가륭제 사후 황제에 즉위한 민망은 응우옌 왕조 건국 당시의 국호인 비엣남(越南, 월남)을 다이남(大南, 대남)으로 바꾸었다. 이는 중국 남쪽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며 중국에 대한 속국임을 연상시키는 '비엣남'이라는 국호 대신, 청나라를 종주국으로 인정하면서도 스스로를 중심으로 한 독자적인 소중화사상 기반의 세계 질서를 형성하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대외적으로는 쇄국적인 자세를 견지했으며, 점차 프랑스인에 대한 우대 조치도 인정하지 않게 되었다. 1826년에는 개국을 요구하는 프랑스 군함 함장과의 접견을 거부했고, 같은 해 건국 공신인 프랑스인 쇼니의 조카가 영사 자격으로 방문했을 때도 이를 거부하여 베트남과 프랑스의 공식 관계는 한동안 중단되었다.
주변국에 대해서는 캄보디아에 군사 원정을 실시했으나 실패로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주변 세력에게 충분한 위협을 주었다. 또한 산악 지대의 소수 민족에 대한 통제 강화를 도모했으며, 1832년에는 속국으로 자치를 인정해주던 참파를 완전히 병합하였다.
한편, 국내에서 진행된 중국식 중앙집권화 정책과 이에 따른 반발은 기독교 탄압의 한 원인이 되었다. 1836년에는 유럽에서 파견된 선교사 7명을 처형하고 다수의 기독교 신자들을 탄압했다. 이로 인해 많은 기독교 신자들이 산악 지대로 피신해야 했다. 이러한 기독교 탄압은 훗날 프랑스-에스파냐 연합군의 침공과 프랑스의 베트남 식민 지배를 불러오는 중요한 빌미가 되었다. (→베트남-프랑스 관계)
2. 3. 국내 정책
가륭제가 사망한 후 황제 자리에 올랐다. 응우옌 왕조 건국 당시의 국호인 越南|비엣남vie을 大南|다이난vie으로 바꾸었다. 이는 중국 남쪽이라는 의미를 담아 중국의 속국임을 연상시키는 '비엣남'이라는 이름 대신, 청나라를 종주국으로 인정하면서도 베트남 중심의 독자적인 세계 질서를 만들려는 소중화사상에 기반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내정에서는 중국식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여 전국에 성(省)과 현(縣)을 설치하는 제도를 시행했다. 관리 등용을 위해 기존의 과거제에 더해 황제가 직접 주관하는 전시(殿試)를 도입하였다. 1832년에는 이전까지 속국으로 자치를 인정했던 참파 왕국을 완전히 병합하여 직접 통치 아래 두었으며, 산악 지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에 대한 통제도 강화하고자 했다. 캄보디아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실시했으나 실패로 끝났지만, 주변 세력에게는 충분한 위협을 주었다.
이러한 중앙집권 강화 정책과 기독교 확산에 대한 경계심은 각지에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기독교 탄압으로 이어졌다. 1836년에는 유럽 출신 선교사 7명을 처형하고 수많은 베트남인 기독교 신자들을 박해했다. 이로 인해 많은 신자들이 탄압을 피해 산악 지대로 숨어들었다.
민망 황제의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과 기독교 탄압은 국내 반발을 심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훗날 프랑스가 베트남의 이권을 장악하고 식민 통치를 강화하는 씨앗이 되었다. (베트남-프랑스 관계 참조)
3. 통치 방식
민망(Minh Mạng)은 단호한 성격으로 유명했으며, 이는 그의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베트남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전통적인 방식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그의 전기 작가인 마르셀 골티에(Marcel Gaultier)에 따르면, 민망은 아버지 자륭(Gia Long)이 사망하기 전에 이미 국가 정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며 더 강력한 고립주의 정책과 서구인 배척을 제안했고, 자륭은 이를 암묵적으로 승인했다고 한다. 민망은 아버지보다 더 섬세하고 온화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는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강제 노역이 줄어들고 농민들의 사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다고 여겨진다.
그는 유럽 문화와 사상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동시에 이를 면밀히 연구했으며 학구적인 성격으로 알려져 있었다. 특히 서구의 기술, 즉 기계, 무기, 항해술에 관심을 보여 베트남에 도입하고자 노력했다. 천연두 예방 접종에 대해 듣고는 프랑스 외과 의사를 궁궐에 머물게 하여 왕족에게 예방 접종을 실시하기도 했다. 동양철학에 정통했으며 지적인 군주로 평가받았고, 시인으로서 글을 남기기도 했다. 그는 국가의 모든 사안을 세세하게 직접 챙기는 극소 관리(micromanagement) 방식으로 유명했으며, 이는 당시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주었다고 한다. 이러한 국정 운영에 대한 헌신적인 태도는 높이 평가받았다.
가륭제(嘉隆帝) 사후 황제에 즉위한 민망은 응우옌 왕조 건국 당시의 국호였던 ‘베트남(越南)’을 ‘다이남(大南, 대월남·다이베트)’으로 변경했다. 이는 중국 남쪽에 위치한다는 의미를 내포하며 중국의 속국임을 연상시키는 '베트남'이라는 국호 대신, 청나라를 종주국으로 인정하면서도 베트남 중심의 독자적인 질서를 구축하려는 소중화사상적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민망은 대외적으로 폐쇄적인 정책을 유지하며, 통상 확대를 원했던 프랑스와의 협상을 거부했다. 캄보디아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끝났지만, 이는 주변 여러 세력에게 충분한 위협이 되었다. 또한 산악 지대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자 했다. 내정적으로는 중국식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여 베트남 각지에 성현제(省県制)를 철저히 시행했다. 관리 등용 제도인 과거제에는 황제가 직접 주관하는 시험인 전시(殿試)를 추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급진적인 개혁과 중앙 집권화 정책은 각지에서 반란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특히 기독교에 대한 강경한 탄압은 심각한 갈등을 초래했다. 1836년에는 유럽에서 파견된 선교사 7명을 처형하고 수많은 기독교도를 탄압했으며, 이로 인해 많은 기독교도들이 박해를 피해 산악 지대로 피신해야 했다.
민망 사후 황위는 그의 아들인 티우찌(Thiệu Trị)에게 계승되었다. 티우찌는 아버지보다 더욱 엄격한 유교주의자이자 반서구주의자였다. 그의 통치 시기, 유럽 열강들은 베트남 내 가톨릭 사제들에 대한 처우 문제를 구실 삼아 총포 외교를 감행했고, 이는 점차적인 침략으로 이어져 결국 프랑스에 의한 베트남 식민지화라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망의 통치 기간 동안 베트남은 보다 효율적인 정부 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시암(태국)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저지했으며, 수도 후에의 황궁에 많은 국가적 기념물을 건설하는 등의 성과를 이루었다.
4. 국내 정책
민망 황제는 단호한 성격의 소유자로, 베트남의 문제를 다룸에 있어 전통을 중시하고 변화를 꺼리는 보수적인 정책 기조를 유지했다. 그의 전기 작가 마르셀 골티에(Marcel Gaultier)에 따르면, 민망 황제는 아버지 자륭 황제(Gia Long)가 사망하기 전부터 더 강력한 고립주의 정책과 서구인 배척을 주장했으며, 자륭 황제도 이를 암묵적으로 승인했다고 한다. 다만, 그는 아버지보다 농민들의 사정에 더 밝고 강제 노역을 줄이는 등 온화한 면모도 보였다고 평가된다.
유럽 문화와 사상에 기본적으로 반대했지만, 이를 면밀히 연구하는 학구적인 면모도 지녔다. 특히 서구의 기술, 즉 기계, 무기, 항해술에는 관심을 보여 베트남에 도입하고자 시도했다. 천연두 예방 접종의 효과를 듣고 프랑스 외과 의사를 궁궐에 머물게 하며 왕족에게 접종시킨 것은 이러한 태도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동양철학에 정통했으며 시를 짓기도 하는 등 지적인 군주로 평가받았다. 국가의 세세한 부분까지 직접 관리하는 극소 관리(micromanagement) 방식으로 국정을 운영했으며, 이러한 통치에 대한 헌신은 당시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정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암(현 태국)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저지했으며, 수도 후에의 황궁에 많은 국가 기념물을 건설하는 등 긍정적인 업적도 있었다.
그러나 강력한 중앙 집권화 정책(국호 변경, 성현제(省縣制) 실시, 과거제 개편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각지에서 반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또한 기독교에 대한 강경한 탄압 정책은 1836년 유럽 선교사 7명을 처형하는 등 많은 박해를 낳았고, 이는 훗날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 열강의 침략 빌미를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중앙 집권화 정책과 기독교 탄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중앙 집권화' 섹션 참조)
민망 황제 사후 아들 티우찌 황제가 왕위를 계승했는데, 그는 아버지보다 더 엄격한 유교주의자이자 고립주의자였다. 민망 황제 시기부터 강화된 대외 강경책과 기독교 탄압은 티우찌 황제 시기에도 이어졌고, 결국 유럽 열강의 총포 외교와 프랑스에 의한 베트남 식민지화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4. 1. 행정 개혁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행정 개혁'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4. 2. 중앙 집권화
가륭제 사후 황위에 오른 민망 황제는 강력한 중앙 집권화 정책을 추진했다. 우선 응우옌 왕조 건국 당시 국호였던 비엣남(越南)을 다이남(大南)으로 바꾸었다. 이는 청나라를 종주국으로 인정하면서도, 베트남 중심의 독자적인 질서를 구축하려는 소중화사상적 의지를 반영한 조치로 평가된다. 기존의 '베트남' 국호가 중국 남쪽의 속국이라는 인식을 줄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내정에서는 중국 제도를 참고하여 전국에 성(省)과 현(縣)을 설치하는 성현제(省縣制)를 실시하여 중앙 정부의 통치력을 강화했다. 관리 등용 제도인 과거제에는 황제가 직접 시험을 주관하는 전시(殿試)를 추가하여 황권을 강화하고 중앙 통제를 공고히 했다. 또한, 1832년에는 기존에 속국으로서 자치를 누리던 참파 왕국을 완전히 병합하여 직접 통치 하에 두었으며, 산악 지대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에 대한 통제도 강화하려 했다. 캄보디아에 대한 군사 원정은 실패했지만, 주변국에 응우옌 왕조의 군사력을 과시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대외적으로는 쇄국적인 자세를 견지하며 서구 열강과의 교류를 거부했다. 특히 프랑스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는데, 건국 초기에 프랑스인에게 부여했던 우대 조치를 폐지하고 1826년에는 통상을 요구하는 프랑스 군함 함장과의 접견을 거부했다. 같은 해, 건국 공신인 프랑스인 장바티스트 드 세뇨(Jean-Baptiste Chaigneau)의 조카가 영사 자격으로 방문했을 때도 만나지 않아 양국의 공식 관계는 단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중앙 집권화와 강압적인 통치 방식은 각지에서 반란을 초래했다. 또한, 서구 세력과의 연계를 의심하며 기독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여 1836년에는 유럽 출신 선교사 7명을 처형하고 수많은 베트남인 기독교 신자들을 박해했다. 이로 인해 많은 신자들이 탄압을 피해 산악 지대로 피신해야 했다. 결국 이러한 기독교 탄압은 훗날 프랑스가 스페인과 연합하여 베트남을 침공하고 식민 지배의 구실을 마련하는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베트남-프랑스 관계 참조)
5. 대외 정책
가륭제의 뒤를 이어 즉위한 민망 황제는 아버지의 대외 정책 기조를 계승하여 더욱 강화된 고립주의와 보수적인 유교 정책을 펼쳤다. 그는 응우옌 왕조 건국 당시의 국호인 비엣남(越南)을 다이남(大南)으로 변경하였는데, 이는 중국 중심의 질서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영향력을 구축하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대외적으로는 서구 열강과의 교류를 극도로 꺼리며 쇄국적인 태도를 견지했다. 특히 프랑스에 대해서는 기존의 우호적인 관계를 점차 청산하고 비우호적인 정책을 펼쳐, 여러 차례 프랑스의 통상 및 외교 요구를 거부하며 관계를 단절시켰다. 이러한 배타적인 정책은 프랑스뿐만 아니라 영국, 미국 등 다른 서구 국가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이들 국가와의 통상 및 외교 관계 수립 시도는 모두 무산되었다.[7][8] 민망 황제는 서구의 사상과 영향력 확대를 경계하며 모든 접촉을 피하려 했으나, 이는 결과적으로 베트남이 국제 사회의 변화와 기술 발전에서 뒤처지는 결과를 낳았다.
주변국에 대해서는 팽창 정책을 추진하였다. 캄보디아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려 했으며, 이 과정에서 시암(태국)과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또한 1832년에는 오랫동안 자치권을 누려온 참파 왕국을 완전히 병합하여 직접 통치하에 두었으며, 산악 지대의 소수 민족에 대한 통제 역시 강화하고자 하였다.
민망 황제의 강경한 기독교 탄압 정책[6] 역시 대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서구 열강, 특히 프랑스가 베트남 문제에 개입할 명분을 제공하게 되었다. 1839년 아편전쟁 발발 이후 국제 정세의 변화를 감지하고 유럽에 사절단을 보내 동맹을 모색하기도 했으나, 기독교 탄압 문제 등으로 인해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의 외면을 받고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민망 황제의 고립주의와 강경책은 베트남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훗날 프랑스의 침략과 식민지화의 빌미를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5. 1. 고립주의 외교 정책
가륭제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된 민망은 아버지의 고립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유교 정책을 계승하고 더욱 강화했다. 그는 응우옌 왕조 건국 당시의 국호인 비엣남(越南)을 다이남(大南)으로 변경했는데, 이는 중국 중심의 질서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권을 구축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대외적으로는 철저한 쇄국 정책을 유지했다. 특히 프랑스에 대해 점차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며 기존의 우대 조치를 폐지했다. 1822년 프랑스 프리깃함 'fr'가 다낭(Đà Nẵng, 당시 투란)에 방문했을 때, 민망은 침략을 예상한 듯 군대를 동원하여 맞이하며 경의를 표하려는 함장의 시도를 사실상 거부했다. 1825년에는 루이 18세가 파견한 앙리 바론 드 부갱빌(fr)의 사절단이 "평화와 상업 보호"를 명분으로 투란에 도착했으나 상륙조차 허용되지 않았고, 왕실 서한은 번역할 사람이 없다는 구실로 거절당했다. 이는 사절단이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가톨릭 선교사를 몰래 데려오려 했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다. 1826년에는 개국을 요구하는 프랑스 군함 함장과의 접견을 거부했으며, 같은 해 왕조 건국 공신인 프랑스인 쇼니(Chaigneau)의 조카 외젠 샤뉴(fr)가 영사 자격으로 방문했지만 이마저 거부하면서 베트남과 프랑스의 공식 관계는 한동안 단절되었다. 과거 자롱 황제를 도왔던 프랑스인 장-바티스트 샤뉴(fr)는 민망 즉위 후 점차 냉대를 받다가 1824년 베트남을 떠났고, 1825년 프랑스 영사로 임명되어 돌아왔으나 여전히 차가운 대우를 받았다. 이후 드 케르가리우(fr, 1827년), 라플라스(fr) 제독(1831년), 샤뉴(1829년) 등의 추가적인 프랑스 측 통상 교섭 시도도 모두 결실을 보지 못했다. 1837년과 1838년에는 프랑스 군함 'fr'과 'fr'가 선교 활동과 관련하여 베트남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투란에 상륙하려 했으나 적대적인 반응에 부딪혔다.
프랑스 외 다른 서구 열강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였다. 1804년 이미 민망의 아버지 자롱 황제는 통상 개방을 제안한 영국 사절단을 거부한 바 있다. 민망 치하에서는 1819년 미국 해군의 존 화이트(en) 중위가 사이공에 도착하여 미국인 최초로 베트남과 접촉했다. 민망은 대포, 총기 등 군수품 구매에는 관심을 보였으나 제한적인 조건이었기에 실제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7] 1821년에는 루이 18세의 무역 협정 제안을 거절하며 특정 국가에 특혜를 주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같은 해 영국 동인도 회사의 존 크로퍼드(en)가 접촉을 시도했지만 북부 항구에서만 상륙이 허용되었고 아무런 합의도 이루지 못했다.[8] 미국은 앤드루 잭슨 대통령 시절인 1832년 에드먼드 로버츠(en)와 1836년 조셉 벨레스티어(en) 영사를 파견하여 외교 관계 수립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민망 치하의 베트남은 미국이 외교 관계를 추구한 최초의 동아시아 국가였지만, 그의 강경한 고립 정책으로 인해 결실을 맺지 못했다.
민망의 이러한 고립주의는 유교적 정통성을 고수하며 모든 서구의 영향과 사상을 적대시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서구와의 접촉 자체를 꺼렸으며, 이는 베트남이 기술 발전에서 뒤처지고 외부 침략에 취약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특히 기독교에 대한 탄압은 더욱 강화되어, 1836년에는 유럽에서 파견된 선교사 7명을 처형하고 수많은 베트남인 신자들을 박해했다. 이로 인해 많은 기독교 신자들이 산악 지대로 피신해야 했으며, 이는 훗날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이 선교사 보호를 명분으로 베트남에 개입하는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주변국과의 관계에서는 캄보디아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1832년에는 속국으로 자치를 인정해주던 참파를 완전히 병합하여 중앙 집권화를 강화했다. 1824년에는 버마 국왕이 시암(태국)을 견제하기 위해 제안한 군사 동맹을 거절했다. 민망은 시암과의 전쟁이 캄보디아에 대한 베트남의 영향력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판단했으며, 당시 영국의 세력 확장(1819년 싱가포르 점령, 버마에서의 전쟁)을 경계하여 시암이 영국에 맞서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보았다.[9][10] 그러나 1831년부터 1834년까지 캄보디아의 지배권을 놓고 결국 시암과 전쟁(시암-베트남 전쟁)을 벌여 승리했다. 이 전쟁은 남부 베트남에서 일어난 레반코이의 난과 동시에 발생하여 응우옌 왕조에 큰 부담을 주었으나, 민망은 두 위협을 모두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
1839년 청나라에서 아편전쟁이 발발하자 위기감을 느낀 민망은 1840년 하급 관리와 통역으로 구성된 사절단을 유럽에 파견하여 동맹을 모색했다. 사절단은 파리에서 프랑스 총리 술트 원수(fr)와 상무부 장관을 만났으나, 파리 외방전교회와 교황청이 민망을 "종교의 적"으로 비난하며 프랑스 국왕 루이 필리프에게 접견 거부를 촉구함에 따라 국왕을 만나지는 못했다. 런던에서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돌아왔다. 결국 민망의 고립주의와 기독교 탄압 정책은 서구 열강과의 우호 관계 수립 기회를 놓치게 만들었고, 베트남의 국제적 고립을 심화시켜 훗날 프랑스의 침략과 식민지화의 길을 열어주는 결과를 초래했다.
5. 2. 선교사 정책
가륭제 사후 황제에 즉위한 민망 황제는 대외적으로 쇄국적인 자세를 취하며 프랑스인에 대한 우대 조치를 점차 폐지하였다. 1826년에는 개국을 요구하는 프랑스 군함 함장의 접견을 거부했고, 같은 해 건국 공신인 프랑스인 쇼니(Chaigneau)의 조카가 영사 자격으로 방문했을 때도 이를 거부하여 베트남과 프랑스의 공식 관계는 한동안 중단되었다.1825년 2월, 민망 황제는 선교사들의 베트남 입국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베트남 항구에 들어오는 프랑스 선박에 대한 수색을 강화하고, "유럽 종교의 지도자들이 몰래 들어와 백성들과 섞여 왕국에 어둠을 퍼뜨리는 일이 없도록" 모든 입항을 감시하라고 지시했다. 황제의 칙령에서 기독교는 "타락한 유럽의" 사상으로 묘사되었으며, "사람들의 마음을 타락시킨다"고 비난받았다.[6]
처음에 민망 황제는 가톨릭 사제와 선교사들을 백성들로부터 고립시켜 기독교 확산을 막으려 했다. 프랑스인 쇼니가 떠난 후 통역관이 없다는 명분으로 프랑스 성직자들을 수도 후에로 소환하여 고위 관직을 제안하며 전도 활동을 막으려 시도했다. 이 방법은 레제로(Regereau) 신부가 베트남에 들어와 선교 활동을 시작할 때까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 이후 선교사의 추가 입국을 금지하는 칙령이 내려지면서 성직자 체포가 시작되었다.
코친차이나의 총독이자 가륭제와 피뇨 드 베하인의 측근이었던 레 반 뒤엣의 강력한 중재로, 민망 황제는 사제들을 다낭에 모아 프랑스로 돌려보낸다는 조건 하에 석방하는 데 동의했다. 일부 사제들은 이 명령에 따랐지만, 다른 이들은 석방된 후에도 명령을 어기고 자신의 교구로 돌아가 설교를 계속했다.
결국 1833년부터 1838년 사이에 피에르 보리, 조제프 마르샹, 장 샤를 코르네를 포함한 유럽 출신 선교사 7명이 처형당했으며, 다수의 베트남 기독교 신자들도 함께 탄압받았다. 이로 인해 많은 기독교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산악 지대로 피신해야 했다. 이러한 기독교 탄압은 훗날 프랑스와 에스파냐 연합군의 침공과 프랑스의 베트남 이권 장악을 불러오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베트남-프랑스 관계)
5. 3. 정복과 소수 민족 정책
가륭제의 뒤를 이어 황제가 된 민망은 응우옌 왕조 건국 당시의 국호인 비엣남(越南)을 다이남(大南)으로 바꾸었다. 이는 중국 남쪽이라는 의미를 내포하여 중국의 속국임을 연상시키는 '베트남'이라는 국호 대신, 청나라를 종주국으로 인정하면서도 스스로를 중심으로 하는 소중화사상적 세계 질서를 구축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내부적으로는 질병, 재해, 억압, 빈곤 등으로 인해 그의 20년 통치 기간 동안 약 200건의 반란이 기록될[13] 정도로 불안정했으며, 특히 제1차 콜레라 유행은 막대한 인명 피해[11][12]를 야기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민망 황제는 유교적 통치 이념과 중국 고전 문화에 대한 존경심을 바탕으로 영토 확장과 민족 동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14][15]

주변국에 대해서는 팽창 정책을 펼쳤다. 자신의 측근인 비엔티안 왕국의 왕 차오 아누(Chao Anou)를 지원하여 시암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도록 했으나, 아누봉은 패배했고 결국 시암에 넘겨졌다.[16] 이 과정에서 민망의 속국이었던 무앙푸안의 지배자 차오 노이(Chao Noi)가 아누봉을 시암에 넘겼는데, 민망은 이를 배신으로 간주하여 차오 노이를 체포해 후에에서 처형했다. 이후 1832년 무앙푸안을 '쩐닌(Tran Ninh)' 현으로 만들어 베트남 영토에 직접 편입시켰다.[17]
1832년에는 속국으로 자치를 인정해주던 참파 왕국을 완전히 병합하여 수 세기에 걸친 참파-베트남 관계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후 참파인과 고지대 원주민들의 문화를 공격적으로 탄압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켈란탄에서 교육받은 참파의 무슬림 지도자 카팁 수마트(Katip Sumat)는 이에 반발하여 베트남에 대항하는 성전을 선포하기도 했다.[18][19][20][21] 베트남 당국은 참파 무슬림에게 돼지고기와 도마뱀 고기를, 힌두교도에게는 소고기를 강제로 먹이는 방식으로 그들을 처벌하고 베트남 문화에 동화시키려 했다.[22] 또한 산악 지대의 여러 소수 민족에 대한 통제 강화도 시도했다.
캄보디아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1820년 캄보디아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으며, 1834년 캄보디아를 '떠이 타인(Tây Thành) 주'로 만들어 베트남에 편입시켰다.[24] 이후 사망할 때까지 데이비드 P. 챈들러가 "캄보디아의 베트남화"라고 명명한 문화 동화 정책을 통해 캄보디아인들에게 베트남 문화를 강요하려 했다.[25] 시암의 기록에 따르면 프놈펜의 크메르 귀족들은 베트남식 복장을 하고 베트남 법을 따라야 했으며, "새로운 유온(베트남인)"이라고 불렸다. 캄보디아에서 일어난 반란은 잔혹하게 진압되었다. 역사가 더글러스 존슨은 1836년을 베트남 제국의 영토가 최대로 확장되고 대부분의 반란이 진압된 안정의 정점으로 평가하기도 했다.[26] 그러나 캄보디아와 톤킨 지역에서의 끊임없는 봉기와 시암과의 계속되는 전쟁은 민망 황제의 확장 정책에 부담을 주었고 관련된 모든 세력을 지치게 만들었다.
베트남 내 화교에 대한 정책도 시행되었다. 당시 베트남 도시 지역에는 사이공, 쩌롱, 하노이 등을 중심으로 화교들이 모여 살았는데, 이들은 '방(bang)' 또는 '꽁(congregations)'이라는 조직을 이루고 있었다. 화교는 크게 두 집단으로 나뉘었는데, 17세기에 베트남 남부로 이주하여 현지인과 동화되고 응우옌 왕조에 충성했던 명나라 유민 출신의 '밍후엉(Minh Hương)'과, 비교적 최근에 이주하여 곡물 무역 등을 장악했던 청나라 출신의 '타인년(Thanh nhân)'이 있었다. 1827년 민망 황제는 타인년에 대한 제한 조치를 발표하여 그들이 관직에 진출하거나 쌀 독점 및 대외 무역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들에게 남은 선택지는 밍후엉처럼 베트남 사회에 동화되는 것뿐이었다.[23]
이러한 중앙 집권화 강화와 팽창 정책, 소수 민족 및 기독교 탄압 정책(이 과정에서 1836년 유럽 선교사 7명이 처형되고 다수의 신자가 탄압받음[13])은 각지에서 반발과 반란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기독교 탄압은 훗날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과 이권 장악의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6. 반란
민망 황제는 백성의 어려움에 귀 기울이는 군주로 알려지기도 했으나,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여러 지역에서 빈번하게 반란이 일어나 민중의 고통이 컸음을 보여준다.
북부 지역에서는 옛 레 왕조의 후손들이 농민뿐만 아니라 가톨릭을 믿는 소수 민족에게까지 호소하며 반란을 일으키려 했다. 이들은 선교사들에게 문호를 개방하겠다고 약속하며 외국의 지원을 얻으려 시도하기도 했다.
남부에서는 레반주엣이 다스리던 시기에 누렸던 상대적인 정치적 자치권을 잃게 되면서 지역 지도자들의 불만이 커졌다. 특히 기독교의 강력한 보호자였던 주엣이 1832년 사망한 이후, 전통적으로 반란에 더 적극적이었던 가톨릭 신자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민망 황제가 이미 사망한 주엣을 기소하고 그의 무덤에 매질 100대를 명하는 모욕적인 조치를 취하자, 주엣을 존경하던 남부 사람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결국 1833년 7월, 주엣의 양자였던 레반코이가 이끄는 레반코이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의 주요 원인이 무덤 훼손 사건인지, 아니면 주엣 사후 남부의 자치권 상실인지에 대해서는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린다. 레반코이의 반란군은 한때 코친차이나 지역을 장악하고 시암(태국)의 지원을 받기도 했으나, 결국 황제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프랑스 선교사 조제프 마르샹[27]을 비롯한 많은 반란 가담자와 선교사들이 처형되면서 가톨릭 탄압이 더욱 심화되었다.
한편, 민망 황제는 비엣족이 아닌 소수 민족 집단에 대한 강압적인 문화 동화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1841년부터 1845년까지 베트남 남부에서 또 다른 민족 반란들이 연이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28]
6. 1. 레반코이 반란
민망 황제는 표면적으로 백성을 위하는 듯 보였으나, 실제 통치 기간에는 잦은 반란이 발생하여 민중의 어려움을 드러냈다. 북부에서는 옛 레 왕조의 후손들이 농민과 가톨릭 소수 민족을 규합하여 반란을 일으키려 했고, 선교사들에게 개방을 약속하며 외국의 지원을 얻으려 시도했다.남부에서는 레반주엣이 통치하던 시기에 누렸던 상대적인 정치적 자치권을 잃게 되면서 지역 지도자들의 불만이 커졌다. 특히 기독교의 강력한 보호자였던 주엣이 1832년 사망하자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전통적으로 베트남의 다른 지역 주민들보다 반란에 더 적극적이었던 가톨릭 신자들의 불만은 주엣의 사후 폭발했다. 민망 황제는 이미 사망한 주엣을 기소하고 그의 무덤에 매질 100대를 명하는 조치를 내렸는데, 이는 주엣을 존경하던 남부 사람들의 격렬한 분노를 샀다.
결국 1833년 7월, 주엣의 양자였던 레반코이가 주도하는 레반코이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의 주요 원인이 무덤 훼손 사건인지, 아니면 주엣 사후 남부의 자치권 상실인지에 대해서는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갈린다. 레반코이가 이끄는 반란군은 코친차이나 지역을 장악하고, 민망 황제를 경(Cảnh) 왕자의 아들로 교체하려 했다. 레반코이는 사이공 성채 안에 프랑스 선교사 조제프 마르샹[27]을 인질로 잡았는데, 이를 통해 가톨릭 신자들의 지지를 얻으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레반코이는 시암(태국)의 지원을 확보하여 한때 민망 황제를 수세에 몰아넣기도 했다.
그러나 시암 군대는 결국 패배했고, 황제군은 남부 지역을 되찾아 사이공을 포위했다. 레반코이는 포위 공격 중이던 1834년 12월에 사망했고, 9개월 뒤인 1835년 9월 사이공은 함락되었다. 반란 지도자들과 체포된 가담자들은 약 500명에서 2,000명으로 추산되며, 모두 처형당했다. 이 과정에서 선교사들도 체포되어 추방당하거나 처형되었다. 1833년 10월 가젤랭(Gagelin) 신부가 처형된 것을 시작으로, 1835년 9월에는 사이공 함락 당시 다른 지도자들과 함께 마르샹 신부가 처형되었다. 이후 1838년까지 다섯 명의 선교사가 추가로 처형되자, 선교사들은 본국에 보호를 요청하며 아시아에서의 무력 사용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한편, 민망 황제는 비엣족이 아닌 소수 민족에 대한 문화 동화 정책을 강하게 추진했는데, 이는 1841년부터 1845년까지 베트남 남부에서 또 다른 민족 반란들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28]
6. 2. 소수 민족 반란
민망 황제는 유교 통치와 중국 문화를 존중했지만, 국내적으로는 소수 민족에 대한 강압적인 동화 정책을 펼쳤다.[14][15] 이는 여러 소수 민족의 강력한 반발과 반란을 불러일으켰다.
대표적인 사례로 참파 왕국에 대한 최종 정복과 문화 탄압을 들 수 있다. 민망 황제는 수세기에 걸친 참파-베트남 전쟁 이후 참파를 완전히 병합하고, 참파인과 고지대 원주민들의 고유문화를 억압했다. 이에 무슬림 지도자 카팁 수마트(Katip Sumat)는 켈란탄에서 돌아와 베트남에 대항하는 성전을 선포했다.[18][19][20][21] 베트남 조정은 참파 무슬림에게 돼지고기를, 힌두교도에게는 소고기를 강제로 먹이는 등 모욕적인 방법으로 베트남 문화에 동화시키려 했다.[22]
캄보디아 역시 민망 황제의 팽창 정책과 동화 정책의 대상이 되었다. 1834년 캄보디아를 타이탄(Tây Thành)주로 베트남에 편입시킨 후,[24] 민망 황제는 사망할 때까지 캄보디아인들에게 베트남 문화를 강요하는 소위 "캄보디아의 베트남화" 정책을 추진했다.[25] 프놈펜의 크메르 귀족들은 베트남식 복장을 하고 베트남 법을 따라야 했으며, "새로운 유온(베트남인)"으로 불렸다. 이러한 강압 정책은 캄보디아인들의 격렬한 반발을 샀고, 끊임없는 봉기가 잔혹하게 진압되었다.[26]
북부 지역에서도 소수 민족의 불만이 고조되었다. 옛 레 왕조의 후손들은 민망 황제에 대항하는 반란을 선동하며 농민뿐 아니라 가톨릭을 믿는 소수 민족에게까지 지지를 호소했다. 그들은 선교사들에게 문호를 개방하겠다고 약속하며 외국의 지원을 얻으려 시도하기도 했다.
남부에서는 레 반 코이(Lê Văn Khôi)의 반란(1833-1835)이 일어났다. 이 반란의 직접적인 원인은 남부 총독이었던 레 반 주엣(Lê Văn Duyệt) 사후 그의 무덤이 훼손된 사건과 남부의 자치권 상실에 대한 불만이었지만, 가톨릭 신자들이 반란에 적극 가담하면서 종교 탄압에 대한 저항의 성격도 띠게 되었다. 코이의 반군은 프랑스 선교사 조제프 마르샹(Joseph Marchand)을 인질로 잡기도 했다.[27] 반란은 시암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결국 진압되었고, 수많은 반란 가담자와 프랑스 선교사들이 처형되었다.
이처럼 비엣족이 아닌 민족 집단에 대한 민망 황제의 강압적인 문화 동화 정책은 베트남 전역에서 광범위한 저항과 반란을 야기했으며, 특히 1841년부터 1845년까지 베트남 남부에서 일련의 대규모 민족 반란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28]
7. 가족
민망 황제는 많은 부인과 후궁을 두었으며, 43명의 부인을 통해 총 142명의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7. 1. 아내
민망(Minh Mạng)은 많은 부인과 후궁을 두었고, 43명의 부인 사이에서 142명의 자녀를 두었다고 전해진다.[29]품계 | 봉호 | 시호 | 성명 | 생존기간 | 부친 | 자녀 |
---|---|---|---|---|---|---|
일계 (一階) | Thần phivi / 宸妃중국어 | Thuận Đứcvi / 順德중국어 Tá Thiên Nhân hoàng hậuvi / 佐天仁皇后중국어 | 호티호아(Hồ Thị Hoa|호티호아vi / 胡氏華|호씨화중국어) | 1791년 11월 30일 ~ 1807년 6월 28일 | 복국공(福國公중국어) 호반보이(Hồ Văn Bôi|호반보이vi) | 티에우찌 황제 |
Hiền phivi / 賢妃중국어 | Tuệ Khiếtvi / 慧潔중국어 | 응오티찐(Ngô Thị Chính|응오티찐vi / 吳氏政|오씨정중국어) | 1792년 ~ 1843년 | 장기(掌奇중국어) 응오반서(Ngô Văn Sở|응오반서vi) | 아들 5명 딸 4명 | |
이계 (二階) | Gia phivi / 嘉妃중국어 | Đoan Lệvi / 端禮중국어 | Phạm Thị Tuyết|팜티뚜옛vi / 范氏雪|범씨설중국어 | ? ~ 1812년 | 광록시소경(光祿寺少卿중국어) Phạm Văn Chẩn|팜반쩐vi(范文軫중국어) | 응우옌푹미엔딘 |
삼계 (三階) | Trang tầnvi / 莊嬪중국어 | Uyển Thụcvi / 淵淑중국어 | Trần Thị Tuyến|쩐티뚜옌vi / 陳氏線|진씨선중국어 | 1791년 12월 16일 ~ 1852년 1월 4일 | 위위(衛尉중국어) Trần Công Nghị|쩐꽁응이vi(陳公議중국어) | 아들 2명 |
사계 (四階) | Thục tầnvi / 淑嬪중국어 | Đoan Liệtvi / 端烈중국어 | 응우옌티바오(Nguyễn Thị Bảo|응우옌티바오vi / 阮氏寶|완씨보중국어) | 1801년 9월 7일 ~ 1851년 9월 12일 | Nguyễn Khắc Thiệu|응우옌칵티에우vi(阮克紹중국어) | 아들 4명 딸 3명 |
Huệ tầnvi / 惠嬪중국어 | Uyển Thuậnvi / 淵順중국어 | Trần Thị Huân|쩐티후언vi / 陳氏勳|진씨훈중국어 | ? ~ ? | 위위(衛尉중국어) Trần Văn Hùng|쩐반훙vi(陳文雄중국어) | 아들 6명 딸 9명 | |
오계 (五階) | An tầnvi / 安嬪중국어 | Hoa Diễmvi / 華艷중국어 | Hồ Thị Tùy|호티뚜이vi / 胡氏隨|호씨수중국어 | 1795년 ~ 1839년 1월 23일 | 금의교위(錦衣校尉중국어) Hồ Văn Đàm|호반담vi(胡文瞻중국어) | 아들 3명 딸 1명 |
Hòa tầnvi / 和嬪중국어 | Tĩnh Nhãvi / 靜雅중국어 | Nguyễn Thị Khuê|응우옌티쿠에vi / 阮氏奎|완씨규중국어 | ? ~ ? | 장기(掌奇중국어) Nguyễn Văn Thanh|응우옌반타인vi(阮文聲중국어) | 아들 4명 딸 2명 | |
Lệ tầnvi / 麗嬪중국어 | Thục Tắcvi / 淑則중국어 | Nguyễn Thị Thúy Trúc|응우옌티투이쭉vi / 阮氏翠竹|완씨취죽중국어 | ? ~ ? | 부위위(副衛尉중국어) Nguyễn Gia Quý|응우옌자꾸이vi(阮嘉貴중국어) | 아들 6명 딸 2명 | |
육계 (六階) | Tiệp dưvi / 婕妤중국어 | Tịnh Nhuvi / 靜柔중국어 | 레티아이(Lê Thị Ái|레티아이vi / 黎氏愛|여씨애중국어) | 1799년 11월 17일 ~ 1863년 10월 8일 | ? | 아들 3명 딸 2명 |
- | Nguyễn Thị Viên|응우옌티비엔vi / 阮氏圓|완씨원중국어 | ? ~ ? | 군공(郡公중국어) Nguyễn Văn Khiêm|응우옌반키엠vi(阮文謙중국어) | 아들 2명 딸 3명 | ||
칠계 (七階) | Quý nhânvi / 貴人중국어 | - | Lương Thị Nguyện|르엉티응우옌vi / 梁氏願|양씨원중국어 | 1800년 10월 18일 ~ 1871년 12월 9일 | 금의교위(錦衣校尉중국어) Lương Đình Súy|르엉딘수이vi(梁廷帥중국어) | 아들 1명 딸 2명 |
- | Cái Thị Trinh|까이티찐vi / 蓋氏禎|개씨정중국어 | ? ~ ? | 금의교위(錦衣校尉중국어) Cái Văn Hợp|까이반캅vi(蓋文合중국어) | 아들 1명 딸 2명 | ||
Đoan Tịnhvi / 端靜중국어 | Nguyễn Thị Trường|응우옌티쯔엉vi / 阮氏長|완씨장중국어 | 1796년 ~ 1826년 11월 19일 | 금의교위(錦衣校尉중국어) Nguyễn Hữu Trạc|응우옌흐우짝vi(阮有濯중국어) | 아들 3명 딸 1명 | ||
- | Đỗ Thị Tùng|도티뚱vi / 杜氏松|두씨송중국어 | ? ~ ? | 금의교위(錦衣校尉중국어) Đỗ Văn Thạch|도반탁vi(杜文石중국어) | 아들 1명 | ||
- | Đỗ Thị Tâm|도티떰vi / 杜氏心|두씨심중국어 | 1804년 9월 27일 ~ 1863년 4월 12일 | ? | 아들 5명 딸 3명 | ||
- | Lê Thị Lộc|레티록vi / 黎氏祿|여씨록중국어 | ? ~ ? | ? | 아들 3명 딸 2명 | ||
- | Nguyễn Thị Hạnh|응우옌티하인vi / 阮氏幸|완씨행중국어 | ? ~ ? | ? | 아들 2명 딸 1명 | ||
팔계 (八階) | Mỹ nhânvi / 美人중국어 | - | Nguyễn Thị Bân|응우옌티번vi / 阮氏彬|완씨빈중국어 | ? ~ ? | ? | 아들 1명 딸 1명 |
- | Đoàn Thị Thụy|도안티투이vi / 段氏瑞|단씨서중국어 | ? ~ ? | 금의교위(錦衣校尉중국어) Đoàn Đức Nghị|도안득응이vi(段德議중국어) | 딸 1명 | ||
구계 (九階) | Tài nhânvi / 才人중국어 | - | Đinh Thị Nghĩa|딘티응이어vi / 丁氏義|정씨의중국어 | ? ~ ? | ? | 아들 1명 딸 1명 |
- | Trần Thị Tiền|쩐티띠엔vi / 陳氏錢|진씨전중국어 | ? ~ ? | ? | 아들 2명 딸 1명 | ||
- | Nguyễn Thị Tính|응우옌티띤vi / 阮氏姓|완씨성중국어 | ? ~ ? | 병부참지(兵部參知중국어) Nguyễn Công Tiệp|응우옌꽁띠엡vi(阮公捷중국어) | 아들 1명 | ||
- | Đỗ Thị Cương|도티끄엉vi / 杜氏岡|두씨강중국어 | ? ~ ? | ? | 아들 1명 딸 2명 | ||
- | Trần Thị Thanh|쩐티타인vi / 陳氏清|진씨청중국어 | ? ~ ? | ? | 아들 1명 | ||
- | Trần Thị Trúc|쩐티쭉vi / 陳氏竹|진씨죽중국어 | ? ~ ? | ? | 딸 2명 | ||
- | Trần Thị Sấm|쩐티섬vi / 陳氏讖|진씨참중국어 | ? ~ ? | ? | 딸 1명 | ||
- | Bùi Thị Sơn|부이티선vi / 裴氏山|배씨산중국어 | ? ~ ? | ? | 아들 1명 딸 2명 | ||
궁인 (宮人중국어) | - | Lý Thị Cầm|리티껌vi / 李氏琴|이씨금중국어 | ? ~ ? | ? | 딸 1명 | |
- | Cao Thị Diệu Thái|까오티지에우타이vi / 高氏妙態|고씨묘태중국어 | ? ~ ? | ? | 아들 1명 | ||
- | Đặng Thị Điệu|당티디에우vi / 鄧氏窕|등씨조중국어 | ? ~ ? | ? | 딸 1명 | ||
- | Lê Thị Định|레티딘vi / 黎氏訂|여씨정중국어 | ? ~ ? | ? | 딸 1명 | ||
- | Trần Thị Mỹ|쩐티미vi / 陳氏美|진씨미중국어 | ? ~ ? | ? | 딸 1명 | ||
- | Trần Thị Nhã|쩐티냐vi / 陳氏雅|진씨아중국어 | ? ~ ? | ? | 딸 1명 | ||
- | Trần Thị Nhạn|쩐티냔vi / 陳氏雁|진씨안중국어 | ? ~ ? | ? | 딸 1명 | ||
- | Hồ Thị Thái|호티타이vi / 胡氏彩|호씨채중국어 | ? ~ ? | ? | 아들 1명 | ||
- | Lê Thị Thông|레티통vi / 黎氏聰|여씨총중국어 | ? ~ ? | ? | 딸 1명 | ||
- | Nguyễn Thị Xuân|응우옌티쑤언vi / 阮氏椿|완씨춘중국어 | ? ~ ? | 자딘정대(嘉定正隊중국어) Nguyễn Văn Châu|응우옌반쩌우vi(阮文珠중국어) | 아들 1명 딸 1명 | ||
- | Phan Thị Viên|판티비엔vi / 潘氏員|반씨원중국어 | ? ~ ? | ? | 아들 1명 | ||
- | Trần Thị Nghiêm|쩐티응이엠vi / 陳氏嚴|진씨엄중국어 | ? ~ ? | ? | 아들 2명 딸 3명 | ||
궁아 (宮娥중국어) | - | Nguyễn Thị Vĩnh|응우옌티빈vi / 阮氏永|완씨영중국어 | ? ~ ? | ? | 아들 1명 | |
- | Nguyễn Thị Dược|응우옌티즈억vi / 阮氏藥|완씨약중국어 | ? ~ ? | ? | 아들 1명 | ||
- | Lê Thị Tường|레티뜨엉vi / 黎氏祥|여씨상중국어 | ? ~ ? | 질군공(質郡公중국어) Lê Chất|레쩟vi(黎質중국어) | 아들 1명 |
7. 2. 아들
민망(Minh Mạng)은 많은 부인과 후궁을 두었으며, 43명의 부인 사이에서 총 142명의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그의 아들 중 유명한 인물로는 미엔똥(Miên Tông, 티에우찌 황제), 미엔딘(Miên Định, 수춘왕), 미엔텀(Miên Thẩm, 종선왕), 미엔찐(Miên Trinh, 수리왕), 미엔브우(Miên Bửu, 양안군왕), 미엔럼(Miên Lâm, 회덕군왕), 미엔찌엔(Miên Triện, 홍화군왕), 미엔릭(Miên Lịch, 안성왕) 등이 있다.7. 3. 딸
민망 황제는 142명의 자녀를 두었으며[29], 그의 딸 중에서는 응우엣딩(Nguyệt Đình), 마이암(Mai Am), 후에포(Huệ Phố) 세 명이 유명한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응우옌 왕조(Nguyễn dynasty)에서는 황족 여자아이들의 이름을 세대에 따라 구분하여 불렀다. 사용된 칭호는 다음과 같다.
- 공주(Công-chúa)
- 공녀(Công-nữ)
- 공손녀(Công Tôn-nữ)
- 공증손녀(Công-tằng Tôn-nữ)
- 공현손녀(Công-huyền Tôn-nữ)
- 라이현손녀(Lai-huyền Tôn-nữ)
이후 모든 세대에 대해서는 '손녀(Tôn-nữ)'로 줄여서 사용하기도 했다.
8. 계승
민망 황제는 제2차 떠이선-응우옌 왕조 전쟁 중반 자딘에서 응우옌 푹 담(Nguyễn Phúc Đảm)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는 훗날 자륭제가 되는 응우옌 푹 아인(Nguyễn Phúc Ánh)의 넷째 아들이었으며, 어머니는 자륭제의 두 번째 부인이자 후에 순천황후로 알려진 쩐 티 당(Trần Thị Đang)이다. 세 살 때, 자륭제가 첫 번째 부인인 승천황후와 맺은 합의에 따라 승천 황후는 담을 데려와 친아들처럼 길렀다.[3]
1814년 승천 황후가 사망하자, 본래대로라면 그녀의 손자이자 황태자 까인(Cảnh)의 장남인 미 드엉(Mỹ Đường)이 장례를 주관해야 했다. 그러나 자륭제는 과거의 합의서를 근거로 승천 황후의 (양)아들인 푹 담(민망)이 장례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응우옌반타인과 같은 일부 관리들이 반대했지만, 자륭제는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4]
1816년, 자륭제는 푹 담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황태자가 된 담은 청화궁(Thanh Hòa)으로 거처를 옮겨 문서를 처리하고 국가 중대사를 논의하며 아버지를 보좌했다.[5]
자륭제의 죽음은 베트남에서 파리 외방전교회의 활동이 재개되는 시기와 맞물렸다. 파리 외방전교회는 1792년 자륭제와 떠이선 형제 간의 혼란스러운 권력 투쟁 속에서 문을 닫은 바 있었다. 민망 황제의 통치 초기에 가장 큰 도전은 아버지 자륭제의 가장 신임받는 부하였던 레반주옛에게서 비롯되었다. 레 반 주옛은 1801년 꾸이년에서 떠이선 왕조를 상대로 응우옌 군대를 승리로 이끈 인물로, 자륭제에 의해 남부 지역의 섭정으로 임명되어 외국과의 관계를 포함한 모든 통치권을 위임받은 상태였다.
8. 1. 계승시
민망(Minh Mạng) 황제는 많은 부인과 후궁을 두어 43명의 부인에게서 142명의 자녀를 얻었다고 전해진다.[29] 그의 아들 중에는 미엔통(Miên Tông)(훗날 티에우찌 황제), 미엔딩(Miên Định)(소선공), 미엔텀(Miên Thẩm)(동선공), 미엔트린(Miên Trinh)(취리공), 미엔버우(Miên Bửu)(상안공), 미엔람(Miên Lâm)(회덕공), 미엔트리엔(Miên Triện)(홍화공), 미엔리치(Miên Lịch)(연성공) 등이 있다. 그의 딸 중 응우엣딩(Nguyệt Đình), 마이암(Mai Am), 후에포(Huệ Phố)는 유명한 시인이었다.민망 황제의 아들들 역시 많은 자손을 남겼다. 예를 들어, 소선공 미엔딩은 아들 78명과 딸 66명을 포함하여 총 144명의 자녀를 두었고, 취리공 미엔트린은 아들 77명과 딸 37명을 두었다. 민망 황제의 뒤를 이은 티에우찌(Thiệu Trị) 황제 또한 29명의 왕자와 35명의 공주를 두었다.
이렇게 많은 자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피하고자, 민망 황제는 응우옌 왕조(Nguyễn dynasty)의 모든 자손(응우옌 푹(Nguyễn Phước) 또는 응우옌 푹(Nguyễn Phúc))의 이름을 황실 계승시(Đế Hệ Thi, 帝系詩)에 정해진 글자에 따라 짓도록 결정했다. 남자아이들의 이름에 사용될 시는 다음과 같다.
:* '''계승시 (Đế Hệ Thi)'''[30] (꾸억응어 표기)
:* ''미엔 흐엉 응 보 빈 (Miên Hường Ưng Bửu Vĩnh)''
:* ''바오 귀 딩 롱 장 (Bảo Quý Định Long Trường)''
:* ''히엔 낭 캄 케 뚜엣 (Hiền Năng Kham Kế Thuật)''
:* ''떼 토아이 꾸옥 자 즈엉 (Thế Thoại Quốc Gia Xương)''
:* '''제계시 (帝系詩)'''[30] (쯔놈 표기)
:* 綿 洪 膺 寶 永 (면 홍 응 보 영)
:* 保 貴 定 隆 長 (보 귀 정 륭 장)
:* 賢 能 堪 繼 述 (현 능 감 계 술)
:* 世 瑞 國 家 昌 (세 서 국 가 창)
참고로, 황제나 아버지의 이름 사용을 피하는 피휘 관습 때문에 일부 글자는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흐엉(Hường)'은 '홍(Hồng)'으로, '토아이(Thoại)'는 '뜨위(Thụy)'로 바뀌어 사용되었다.
각 이름 글자의 의미와 해당 글자를 사용한 황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30]
이름 (발음) | 한자 | 의미 | 계승자 예시 |
---|---|---|---|
미엔 (Miên) | 綿 (면) | 삶의 모든 규칙 존중 (Trường cửu, phước duyên trên hết) | 미엔통(Miên Tông), 티에우찌(Thiệu Trị) 황제 (1807–1847), 민망의 아들 |
흐엉 (Hường) (홍(Hồng)) | 洪 (홍) | 조화로운 가정 건설 (Oai hùng, đúc kết thế gia) | 홍넘(Hồng Nhậm), 뜨득(Tự Đức) 황제 (1829–1883), 티에우찌의 아들 |
응 (Ưng) | 膺 (응) | 번영하는 국가 건설 (Nên danh, xây dựng sơn hà) | 응티(Ưng Thị), 동카인(Đồng Khánh) 황제 (1864–1889), 뜨득의 양자 |
버우 (Bửu) | 寶 (보) | 백성에게 도움과 돌봄 제공 (Bối báu, lợi tha quần chúng) | 버우다오(Bửu Đảo), 카이딘(Khải Định) 황제 (1885–1925), 동카인의 아들 |
빈 (Vĩnh) | 永 (영) | 좋은 명성 유지 (Bền chí, hùng ca anh tụng) | 빈뜨위(Vĩnh Thụy), 바오다이(Bảo Đại) 황제 (1913–1997), 카이딘의 아들 |
바오 (Bảo) | 保 (보) | 용감함 (Ôm lòng, khí dũng bình sanh) | 응우옌푹바오언(Nguyễn Phước Bảo Ân) (1951–), 바오다이의 아들 |
귀 (Quý) | 貴 (귀) | 우아함 (Cao sang, vinh hạnh công thành) | 응우옌푹귀캉(Nguyễn Phước Quý Khang) (1977–), 바오언의 아들 |
딩 (Định) | 定 (정) | 결단력 있음 (Tiền quyết, thi hành oanh liệt) | 응우옌푹딩라이(Nguyễn Phước Định Lai), 응우옌푹딩루언(Nguyễn Phước Định Luân) (2012–), 귀캉의 쌍둥이 아들 |
롱 (Long) | 隆 (륭) | 왕족의 전형적 외모 (Vương tướng, rồng tiên nối nghiệp) | |
장 (Trường) | 長 (장) | 오래 지속됨 (Vĩnh cửu, nối tiếp giống nòi) | |
히엔 (Hiền) | 賢 (현) | 인간적임 (Tài đức, phúc ấm sáng soi) | |
낭 (Năng) | 能 (능) | 재능 있음 (Gương nơi khuôn phép bờ cõi) | |
캄 (Kham) | 堪 (감) | 근면하고 다재다능함 (Đảm đương, mọi cơ cấu giỏi) | |
케 (Kế) | 繼 (계) | 잘 조직됨 (Hoạch sách, mây khói cân phân) | |
뚜엣 (Thuật) | 述 (술) | 말이 정직함 (Biên chép, lời đúng ý dân) | |
떼 (Thế) | 世 (세) | 가족에게 충실함 (Mãi thọ, cận thân gia tộc) | |
토아이 (Thoại) (뜨위(Thụy)) | 瑞 (서) | 부유함 (Ngọc quý, tha hồ phước tộc) | |
꾸옥 (Quốc) | 國 (국) | 시민들에게 존경받음 (Dân phục, nằm gốc giang san) | |
자 (Gia) | 家 (가) | 잘 확립됨 (Muôn nhà, Nguyễn vẫn huy hoàng) | |
즈엉 (Xương) | 昌 (창) | 세상에 번영을 가져옴 (Phồn thịnh, bình an thiên hạ) |
여자아이들의 경우, 세대마다 다른 호칭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황제의 딸은 '공주(Công-chúa)', 손녀는 '공녀(Công-nữ)', 증손녀는 '공손녀(Công Tôn-nữ)', 고손녀는 '공증손녀(Công-tằng Tôn-nữ)', 현손녀는 '공현손녀(Công-huyền Tôn-nữ)', 내현손녀는 '라이현손녀(Lai-huyền Tôn-nữ)' 등으로 불렸으며, 그 이후 세대는 모두 '손녀(Tôn-nữ)'로 줄여서 사용했다.
참조
[1]
서적
Book of Documents
James Legge
[2]
서적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ệnh (1820–1841)
[3]
서적
Đại Nam liệt truyện
Thuận Hóa Publishing House
[4]
서적
Đại Nam thực lục
Publishing House of Education
[5]
서적
Đại Nam thực lục
Publishing House of Education
[6]
서적
Phan Châu Trinh and His Political Writings
[7]
학술지
A Voyage to Cochin China
1976-04-00
[8]
서적
Journal of an Embassy from the Governor-general of India to the Courts of Siam and Cochin China
https://books.google[...]
H. Colburn and R. Bentley
2012-02-02
[9]
서적
Paths to Conflagration: Fifty Years of Diplomacy and Warfare in Laos, Thailand, and Vietnam, 1778–1828
Cornell University Press
[10]
서적
Vietnam: A New History
Basic Books
[11]
서적
Migration and Change in the Way of Life: An Anthropological Introduction to the Vietnamese Community in Laos
Thế Giới Publishers
2008
[12]
서적
The Rational Peasant:the Political Economy of Rural Society in Vietnam
[13]
서적
Facing the Future, Reviving the Past: A Study of Social Change in a Northern Vietnamese Villag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999
[14]
학술지
The Cham and their literature
1985
[15]
서적
The Art of Not Being Governed: An Anarchist History of Upland Southeast Asia
Yale University Press
[16]
서적
Paths to Conflagration: Fifty Years of Diplomacy and Warfare in Laos, Thailand, and Vietnam, 1778–1828
Cornell University Press
[17]
서적
Laos: Keystone of Indochina
Routledge
[18]
서적
The Art of Champa
https://books.google[...]
Parkstone International
[19]
웹사이트
The Raja Praong Ritual: A Memory of the Sea in Cham–Malay Relations
http://chamunesco.co[...]
2015-06-25
[20]
간행물
Memory And Knowledge Of The Sea In South Asia
[21]
웹사이트
The Uprisings of Katip Sumat and Ja Thak Wa (1833–1835)
http://www.chamtoday[...]
2015-06-25
[22]
서적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ạng (1820–1841): Central Policies and Local Response
https://books.google[...]
SEAP Publications
[23]
서적
The Water Frontier
Singapore University Press
[24]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Taylor & Francis
[25]
서적
A History of Cambodia
Taylor & Francis
[26]
서적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The world of empires
Benn
[27]
웹사이트
Joseph Marchand: Biography (MEP)
http://archives.mepa[...]
[28]
서적
Southern Vietnam Under the Reign of Minh Mạng (1820–1841)
[29]
웹사이트
Tản Mạn về ông vua có nhiều con nhất trong lịch sử Việt Nam
http://chuatriyeusin[...]
2022-01-11
[30]
웹사이트
Đế hệ thi
http://vi.wikisour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