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델라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델라강(Rhodellophyceae)은 단세포 구형의 홍조류로, 엽록체, 피코빌린 단백질, 카로테노이드, 다당류, 만니톨 등을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 바다와 기수역에 서식하며, 2분열에 의한 무성 생식을 한다. 2019년 기준 3목 3과 6속으로 분류되며, 글라우코스파에라속은 담수역에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델라강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로델라강 | |
학문적 분류 | 진핵생물 원시색소체생물 홍조식물문 |
학명 | Rhodellophyceae |
명명자 | Cavalier-Smith, 1988 |
하위 분류 |
2. 특징
로델라강 세포는 뚜렷한 활주 운동 능력을 보이며,[7][22] 2분열을 통한 무성 생식을 한다. 유성 생식은 알려져 있지 않다.[23]
2. 1. 세포 구조
로델라강에 속하는 종은 모두 단세포 구형이다.[4][5][6][7][8][9] 세포는 점질 다당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 세포는 보통 단핵성이다. 골지체 시스면은 소포체 또는 핵막에 면해 있다.[5][6][10][11][12][13][14][7][8] 골지낭이 밀착되어 겹쳐져 있는 경우가 많다.엽록체는 기본적으로 1세포에 1개(때로는 여러 개로 나뉜다), 세포 중앙에 위치하며(중심축성), 별 모양으로 때로는 깊게 분기되어 있다.[5][7][8][9] 글라우코스파에라속에서는 다수의 판상 엽록체가 세포 표면에 분포한다.[4][15] 보통 주변 틸라코이드를 가지지만, 때로는 이를 결여한다. 엽록체 표면에 색소 과립(plastoglobulus)의 집합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7][10][11][12][13][14][16] 대부분 피레노이드를 가지지만, 글라우코스파에라속은 이를 결여한다.[15] 로델라속에서는 핵이 피레노이드 내에 함입되어 있다.[10][12] 광합성 색소인 피코빌린 단백질의 조성에 다양성이 있어(B- 또는 C-피코에리트린, 또는 피코에리트린을 결여), 이에 따라 붉은색을 띠는 것부터 청록색을 띠는 것까지 있다.[14] 카로테노이드로 제아잔틴과 β-카로틴을 가진다.[17] 저장 다당류는 세미아밀로펙틴과 아밀로스이다.[18] 저분자 탄수화물로 만니톨을 가진다.[19][20][21]
세포는 명료한 활주 운동 능력을 보인다.[7][22] 2분열에 의한 무성 생식을 하며, 유성 생식은 알려지지 않았다.[23]
2. 2. 광합성 색소
엽록체는 기본적으로 1세포에 1개(때로는 여러 개로 나뉜다)이며, 세포 중앙에 위치하며(중심축성), 별 모양으로 때로는 깊게 분기되어 있다.[5][7][8][9] 보통 주변 틸라코이드를 가지지만, 때로는 이를 결여한다. 엽록체 표면에 색소 과립(plastoglobulus)의 집합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7][10][11][12][13][14][16] 대부분 피레노이드를 가지지만, 글라우코스파에라속은 이를 결여한다.[15] 로델라속 (la)에서는 핵이 피레노이드 내에 함입되어 있다.[10][12] 광합성 색소인 피코빌린 단백질의 조성에 다양성이 있어 (B- 또는 C-피코에리트린, 또는 피코에리트린을 결여), 이에 따라 붉은색을 띠는 것부터 청록색을 띠는 것까지 있다.[14] 카로테노이드로 제아잔틴과 β-카로틴을 가진다.[17]2. 3. 운동성
로델라강에 속하는 종들은 뚜렷한 활주 운동 능력을 보인다.[7][22] 무성 생식은 2분열로 이루어지며, 유성 생식은 알려져 있지 않다.[23]3. 생태
대부분 바다에서 기수역에 서식하지만[5][7][8][10], 글라우코스파이라속은 담수역에서 발견된다[4].
4. 계통 분류
로델라속은 처음에는 원시 홍조강(Bangiophyceae) 또는 원시 홍조 아강(Bangiophycidae)의 비단털목 비단털과에 분류되었다.[10] 글라우코스파에라속은 청록색 엽록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회색식물로 분류되었다.[4] 그 후, 분자 계통학적 연구 등을 바탕으로 이러한 조류는 독립적인 강을 구성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되었다.[25][26][27][28] 또한 선홍조강, 돌가사리강, 비단털강과 비교적 근연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함께 "원시 홍조 아문"(Proteorhodophytinala)에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29][30]
2019년 현재, 약 6종이 알려져 있으며, 3목 3과 6속으로 분류되어 있다.[24][31][32]
4. 1. 하위 분류
4. 2. 계통도
아래는 최근 제안된 홍조류의 계통 분류 중 하나이다.[35][36]
로델라속은 처음에는 원시 홍조강(Bangiophyceae) 또는 원시 홍조 아강(Bangiophycidae)의 비단털목 비단털과에 분류되었다.[10] 글라우코스파에라속은 청록색 엽록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회색식물로 분류되었다.[4] 그 후, 분자 계통학적 연구 등을 바탕으로 이러한 조류는 독립적인 강을 구성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되었다.[25][26][27][28] 또한 선홍조강, 돌가사리강, 비단털강과 비교적 근연 관계에 있는 것으로 시사되어, 함께 "원시 홍조 아문"에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29][30]
참조
[1]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08-30
[2]
서적
岩波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3]
간행물
紅藻
http://photosyn.jp/p[...]
日本光合成学会 (編) 光合成事典
[4]
논문
"''Glaucosphaera vacuolata'', a new member of the Glaucophyceae"
[5]
논문
"''Rhodella cyanea'' nov.sp., une nouvelle Rhodophyceaeunicellulaire"
[6]
논문
Ultrastructure of vegetative organization and cell division in the unicellular red alga ''Dixoniella grisea'' gen. nov.(Rhodophyta) and a consideration of the genus ''Rhodella''
[7]
논문
"''Neorhodella cyanea'', a new genus in the Rhodellophyceae (Rhodophyta)"
[8]
논문
"''Corynoplastis japonica'' gen. et sp. nov.and Dixoniellales ord. nov. (Rhodellophyceae, Rhodophyt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9]
논문
New unicellular red alga, ''Bulboplastis apyrenoidosa'' gen. et sp. nov.(Rhodellophyceae, Rhodophyta) from the mangroves of Japan: phylogenetic and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10]
논문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s on a new red algal unicell, ''Rhodella maculata'' gen. nov., sp. nov
[11]
논문
"''Rhodella reticulata'' sp. nov., a new coccoid Rhodophytan alga (Porphyridiales)"
[12]
논문
Ultrastructure of vegetative and dividing cells of the unicellular red algae ''Rhodella violacea'' and ''Rhodella maculata''
[13]
서적
Evolutionary Pathways and Enigmatic Alga: ''Cyanidium caldarium'' and Related Cells.
Kluwer Scientific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14]
논문
The generic delimitation of ''Rhodella'' (Porphyridiales, Rhodophyta) with emphasis on ultrastructure and molecular phylogeny
[15]
논문
Ultrastructure of vegetative organization and cell division in ''Glaucosphaera vacuolata'' Korshikov (Porphyridiales, Rhodophyta)
[16]
논문
Elektronmikroskopische Untersuchung zur Feinstructur von ''Porphyridium violaceum'' Kornmann mit Bemerkungen über seine taxonomische Stellung.
[17]
논문
Carotenogenesis diversification in phylogenetic lineages of Rhodophyta
[18]
논문
Variation in storage α-glucans of the Porphyridiales (Rhodophyta)
[19]
논문
Low molecular weight carbo- hydrate patterns in the Bangiophyceae (Rhodophyta)
[20]
논문
Low molecular weight carbohydrates of the Bangiophycidae (Rhodophyta)
[21]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22]
논문
Time-lapse videomicroscopy of cell (spore) movement in red algae
[23]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褐藻・紅藻類
内田老鶴圃
[24]
논문
On the genus ''Rhodella'', the emended orders Dixoniellales and Rhodellales with a new order Glaucosphaerales (Rhodellophyceae, Rhodophyta)
[25]
논문
Defining the major lineages of red algae (Rhodophyta)
[26]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27]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Springer, Netherlands
[28]
간행물
原始紅藻綱は6綱に分けられた
http://natural-histo[...]
生きもの好きの語る自然誌
2010
[29]
논문
The new red algal subphylum Proteorhodophytina comprises the largest and most divergent plastid genomes known
[30]
논문
Red algal phylogenomics provides a robust framework for inferring evolution of key metabolic pathways
[31]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2: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 Rhodophyta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Berlin
[32]
AlgaeBase
AlgaeBase
http://www.algaebase[...]
Nat. Univ. Ireland, Galway
2019
[33]
서적
Red Algae in the Genomic Age
http://books.google.[...]
Springer
2010-08-30
[34]
웹인용
Class: Rhodellophyceae
http://www.algaebase[...]
AlgaeBase
2019-07-10
[35]
간행물
Syllabus of plant families ‐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Part 2/2: Photoautotrophic eukaryotic algae ‐ Rhodophyta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Berlin
2017
[36]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Nat. Univ. Ireland, Galway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