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델린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델린다》는 1725년 런던에서 초연된 헨델의 오페라이다. 1920년 독일에서 현대적인 형태로 처음 공연되었으며, 이후 1960년대 바로크 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롬바르디아 왕국을 배경으로, 왕위 찬탈과 사랑, 배신, 그리고 회복을 다루는 내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에르 코르네유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작품 - 폴리우토
    폴리우토는 가에타노 도니체티가 피에르 코르네유의 비극을 바탕으로 작곡한 3막 오페라로, 로마 시대 아르메니아에서 기독교로 개종한 로마인 폴리우토의 갈등과 순교를 다룬다.
  • 바로크 오페라 - 알치나
    알치나는 헨델이 작곡한 오페라로, 마법사 알치나의 이야기를 다루며, 1735년 런던에서 초연된 후 1928년 부활 공연을 통해 현대 오페라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 바로크 오페라 - 세르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한 3막 오페라 세리아 《세르세》는 크세르크세스 1세 이야기를 바탕으로 복잡한 사랑과 심리 변화를 그리며, 특히 첫 곡인 "Ombra mai fu" 아리아로 유명하다.
로델린다
기본 정보
2006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로델린다 공연 장면
2006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로델린다 공연 장면
원어 제목Rodelinda, regina de' Longobardi
한국어 제목로델린다, 롬바르디아 여왕
작곡가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대본가니콜라 프란체스코 하임 (원작: 피에르 코르네유의 《페르트아리트》)
원작피에르 코르네유의 《페르트아리트》
장르오페라 세리아
악장3막
초연 날짜1725년 2월 13일
초연 장소런던, 헤이마켓 왕립 극장
등장인물
로델린다(소프라노)
베르타리도(카스트라토, 현재는 카운터테너 또는 메조소프라노)
그리말도(테너)
에두이제(메조소프라노)
운울포(알토)
가리발도(베이스)
음악
유명 아리아Mio caro bene
Ombre, piante, urne funeste
Ritorna, o caro e dolce mio tesoro
Vivi, tiranno

2. 역사

《로델린다》는 독일 출신의 작곡가 헨델이 작곡한 오페라이다. 헨델은 이탈리아에서 오페라 작곡으로 경력을 시작한 후 런던에 정착하여 활동했다. 1711년, 그는 오페라 《리날도》를 통해 런던에 이탈리아 오페라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리날도》는 큰 성공을 거두었고, 런던에는 스타급 가수들의 솔로 아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이탈리아 오페라 세리아 열풍을 불러일으켰다.[11]

1719년, 헨델은 런던에서 이탈리아 오페라를 제작하기 위해 왕실의 인가를 받은 단체인 '로열 음악 아카데미'(현재의 런던 음악원과는 관련 없음)의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 단체를 위해 오페라를 작곡하는 것 외에도 스타 가수 고용, 오케스트라와 음악가 감독, 이탈리아 오페라의 런던 공연 각색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11]

1724년에서 1725년 사이, 헨델은 로열 음악 아카데미를 위해 《줄리오 체자레》, 《타메를라노》, 《로델린다》 세 편의 뛰어난 오페라를 연이어 작곡했다. 세 작품 모두 세네시노와 프란체스카 쿠초니가 주연으로 출연했다.[12]

호러스 월폴은 《로델린다》에서 쿠초니의 연기에 대해 "그녀는 키가 작고 땅딸막하며, 밀가루 반죽 같은 못생긴 얼굴을 가졌지만 피부는 좋았다. 연기를 잘하지 못했고 옷도 못 입었으며 어리석고 괴상했다."라고 평했다. 그러나 그녀가 은색으로 장식된 갈색 실크 가운을 입고 등장했을 때, 젊은이들은 그것을 유행으로 받아들여 전국적인 유행이 되었다고 한다.[12]

18세기 음악학자 찰스 버니는 《로델린다》를 "헨델의 극적인 작품 중 최고로 꼽힐 자격이 있는 많은 수의 주요하고 즐거운 아리아를 포함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1막에서 베르타리도의 아리아 "Dove sei, amato bene"를 언급하며 "그의 모든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비통한 아리아 중 하나... 이 아리아는 새로운 독특한 변조와 멜로디의 전반적인 구성으로 인해 감동적이다"라고 극찬했다.[13] 이 아리아는 1910년에 W. G. 로더리가 쓴 "Art thou troubled?"라는 영어 가사로 번안되어 불리기도 했다.[14][15]

《로델린다》의 악기 편성은 리코더 2개, 플루트, 오보에 2개, 바순, 호른 2개, 현악기 및 콘티누오 (첼로, 류트, 하프시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대본은 안토니오 살비의 원작을 바탕으로 니콜라 프란체스코 하임이 작성했다.[20] 자코모 안토니오 페르티는 1710년에 살비의 대본을 바탕으로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텔레만의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오페라 『플라비우스 벨타리두스』도 같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헨델은 1725년 1월 20일에 곡을 완성했으며, 2월 13일에 헤이마켓 왕립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2. 1. 초연 및 초기 역사

《로델린다》는 1725년 2월 13일 런던 헤이마켓의 국왕 극장에서 초연되었다.[10] 타메를라노와 같은 성악가들이 출연했으며, 1725년 시즌 동안 13번, 같은 해 12월에 8번, 1731년에도 8번 상연되었다.[10][19] 각 재공연마다 변화와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었다.[10]

런던 킹스 극장, 로델린다가 초연된 곳


1735년과 1736년에는 함부르크의 괼젠마르크트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되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

초연 당시 주역을 맡은 쿠초니가 입고 있던 실크 가운을 보기 위해 사람들이 몰려들었을 정도로 성공을 거두었다.[21] 젊은 여성들은 이 옷을 유행으로 받아들였다.[22]

2. 2. 현대의 재조명

1920년 6월 26일, 독일 괴팅겐에서 오스카 하겐에 의해 현대적인 형태로 처음 공연되었다.(괴팅겐 헨델 페스티벌)[1] 1931년 미국에서 초연되었고, 1939년 런던에서 다시 공연되었다.[2] 1959년 6월, 헨델 오페라 협회는 조앤 서덜랜드와 재닛 베이커 등 유명 성악가들을 기용하고 찰스 파넘브의 지휘로 영어 버전 공연을 선보였다.[2]

2. 3. 한국에서의 수용

1960년대 이후 바로크 음악과 역사주의 연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헨델의 오페라 《로델린다》는 여러 축제와 오페라 하우스에서 공연되고 있다.[3] 특히 1998년 영국 글린드본 페스티벌,[4] 2004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뉴욕),[5] 2014년 잉글리시 국립 오페라에서의 공연이 주목할 만하다.[6]

3. 등장인물

역할, 음역, 초연 출연진[10]
역할음역1725년 2월 13일 초연 출연진
로델린다, 롱고바르디의 왕비소프라노프란체스카 쿠초니
베르타리도, 폐위된 롱고바르디의 왕알토 카스트라토세네시노 (프란체스코 베르나르디)
그리모알도, 베네벤토의 공작, 반란의 주모자테너프란체스코 보로시니
에두이제, 베르타리도의 여동생, 그리모알도와 약혼콘트랄토안나 빈첸차 도티
우눌포, 그리모발도의 참모알토 카스트라토안드레아 파치니
가리발도, 토리노의 공작, 그리모알도의 친구베이스주세페 마리아 보스키
플라비오, 로델린다와 베르타리도의 아들침묵



프란체스카 쿠초니는 초연에서 로델린다 역을 맡았다.

4. 줄거리

그리모알도는 롬바르디아의 왕 베르타리도를 전투에서 물리치고 밀라노의 왕위를 찬탈했다. 베르타리도는 도망쳤고, 그의 아내 로델린다와 아들 플라비오는 포로로 남겨졌다. 베르타리도는 왕위를 되찾기 위한 지원을 확보하지 못하자, 아내와 아들을 구출하기 위한 계략으로 망명 중에 죽었다는 소문을 퍼뜨렸다.[1]

4. 1. 1막

롬바르디아 왕국의 왕 베르타리도는 그리모알도에게 왕위를 빼앗긴 후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왕비 로델린다와 아들 플라비오는 그리모알도의 감시를 받고 있다. 그리모알도는 자신의 권력을 정당화하기 위해 로델린다와 결혼하려 하지만, 로델린다는 이를 거절한다.[1]

그리모알도는 가리발도의 꾐에 빠져 에두이제를 버리고 로델린다와 결혼하려 한다.[1]

베르타리도는 사실 죽지 않았다. 이를 아는 유일한 인물인 우누르포는 베르타리드에게 현재 상황을 전하고, 로델린다가 슬퍼하지만 도피 생활을 계속하기 위해 진실을 알리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1]

초연에서 베르타리도 역을 맡은 세네시노


로델린다는 남편 베르타리도의 죽음을 슬퍼하며 홀로 남겨진다. 이때 그리모알도가 나타나 오랫동안 숨겨왔던 그녀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며, 결혼을 통해 왕위를 돌려주겠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로델린다는 분노하며 이를 거절한다.[2] 에두이제가 그리모알도를 찾아오지만, 그리모알도는 이미 그녀를 거부한 상태였다. 그리모알도가 떠난 후, 가리발도는 에두이게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그녀는 그리모알도에게 복수하면 그의 사랑을 받아주겠다고 약속한다.[2] 혼자 남은 가리발도는 자신의 사랑이 거짓이며, 왕위를 차지하기 위한 계략의 일부임을 드러낸다.[2]

베르타리도는 자신의 기념비에 새겨진 글을 읽으며, 아내 로델린다를 그리워한다.[2] 우눌포와 함께 숨어있던 베르타리도는 로델린다와 플라비오가 자신의 기념비에 꽃을 놓는 모습을 몰래 지켜본다. 이때 가리발도가 나타나 로델린다에게 그리모알도와 결혼하지 않으면 아들의 목숨이 없을 것이라고 협박한다.[1][2] 로델린다는 어쩔 수 없이 결혼을 승낙하지만, 왕좌로 돌아가면 가리발도를 죽이겠다고 맹세한다. 이를 지켜보던 베르타리도는 아내의 결정에 절망한다.[1][2]

4. 2. 2막

가리발도는 에두이제가 여왕이 될 기회를 놓쳤다고 조롱한다. 에두이제는 로델린다가 남편을 배신하고 찬탈자와 결혼하려는 것에 대해 비꼬며 축하하고, 그리모알도에게 복수를 맹세한다. 에두이제가 떠나자 그리모알도가 들어오고, 로델린다는 그리모알도와 결혼하기 위한 조건으로 그녀의 눈앞에서 플라비오를 직접 죽이라고 요구한다. 그리모알도는 경악하며 거절한다. 로델린다가 떠난 후, 가리발도는 그리모알도에게 살인을 실행하라고 부추기지만, 그는 다시 거절한다. 그는 로델린다가 보여준 용기와 결단력이 그를 더욱 사랑하게 만들었지만, 그녀를 얻을 희망은 이제 없다고 말한다. 우눌포는 가리발도에게 어떻게 왕에게 그런 조언을 할 수 있는지 묻고, 가리발도는 권력 사용에 대한 자신의 폭압적인 관점을 설명한다. (아리아: "Tirannia gliel diede il regno").[1]

베르타리도는 변장을 하고 궁궐 경내로 들어오고, 그의 누이 에두이제가 그의 목소리를 알아본다. 우눌포는 로델린다가 정절을 지키고 있다는 소식을 전하고, 에두이제는 베르타리도가 아내와 아들을 구출하는 것을 돕기로 한다. 우눌포는 로델린다에게 남편이 살아있다는 소식을 전할 것을 약속한다. 베르타리도는 기뻐한다.[1]

가리발도는 그리모알도와의 관계를 끊은 에두이게에게 청혼하여 권력을 얻으려 한다.[2]

로델린다는 그리모알도와의 결혼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자신의 아들 플라비오를 눈앞에서 죽이라고 말한다. 그리모알도는 마음이 흔들려 실행할 수가 없다. 우눌포는 그리모알도에게 선행을 권하지만, 가리발도는 플라비오를 죽이라고 부추긴다.[2]

외국인으로 변장한 베르타리도는 슬픔의 노래를 부르는데, 그것을 듣고 있던 에두이게에게 정체가 드러난다. 우눌포도 나타나 로델린다가 정절하고 훌륭하다는 것을 전한다. 베르타리도는 자신이 살아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은 아직 이르다고 하며 로델린다를 만나 정절을 의심했던 것을 사과하지만, 그곳을 그리모알도에게 발각되어 붙잡힌다. 베르타리도와 로델린다는 슬픔의 이중창을 부른다.[2]

4. 3. 3막

우눌포와 에두이제는 베르타리도를 감옥에서 탈출시킬 계획을 세운다. 그들은 베르타리도에게 칼과 비밀 통로 열쇠를 밀반입한다. 베르타리도는 감옥에서 칼을 받고 나타난 인물을 찌르지만, 그 인물은 우눌포였다. 우눌포는 상처에도 불구하고 베르타리도를 비밀 통로로 인도한다. 에두이제와 로델린다는 빈 감옥과 피를 보고 베르타리도가 죽었다고 생각하며 슬퍼한다.[3]

한편 그리모알도는 죄책감에 시달리다 잠이 든다. 가리발도가 그리모알도를 배신하려 하지만, 베르타리도가 나타나 가리발도를 죽이고 그리모알도를 구한다. 그리모알도는 베르타리도에게 왕위를 돌려주고 에두이제와 다시 결합한다. 로델린다와 베르타리도는 재회하고, 모두 기뻐하는 합창으로 막을 내린다.[3]

5. 음악적 특징

18세기 음악학자 찰스 버니는 《로델린다》에 대해 "헨델의 극적인 작품 중 최고로 꼽힐 자격이 있는 많은 수의 주요하고 즐거운 아리아를 포함하고 있다"고 평했다. 특히 버니는 1막에서 베르타리도의 아리아 "Dove sei, amato bene"를 "그의 모든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비가(悲歌) 중 하나... 이 아리아는 새로운 독특한 변조와 멜로디의 전반적인 구성으로 인해 감동적이다"라고 말했다.[13] 이 아리아는 1910년에 W. G. 로더리가 쓴 관련 없는 텍스트인 "Art thou troubled?"로 영어 솔로곡으로 불리기도 한다.[14][15]

이 오페라는 2대의 리코더, 플루트, 2대의 오보에, 파곳, 2대의 호른, 현악기, 통주 저음(첼로, 류트, 하프시코드)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

[1] 뉴스 Handel Discovers Big Home at the Met https://www.nytimes.[...] 2017-06-02
[2] 서적 Grove Book of Opera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 웹사이트 Handel:A Biographical Introduction http://gfhandel.org/[...] 2016-12-28
[4] 뉴스 Rodelinda https://www.theguard[...] 2004-06-15
[5] 웹사이트 GP at The Met: Rodelinda https://www.pbs.org/[...] PBS 2012-04-03
[6] 뉴스 Rodelinda review – as restrained as it is over the top https://www.theguard[...] 2014-06-24
[7] 간행물 A Lively Story http://www.bolshoi.r[...] Bolshoi Theatre 2015-12-21
[8] 웹사이트 RODELINDA https://www.liceubar[...] 2018-11-28
[9] 웹사이트 Rodelinda https://www.operabal[...] 2020-01-15
[10] 웹사이트 G. F. Handel's Compositions http://gfhandel.org/[...] Handel Institute 2016-12-28
[11] 서적 Essays on Handel and Italian opera by Reinhard Strohm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013-02-02
[12] 웹사이트 Rodelinda https://handelhendri[...] 2016-12-28
[13] 서적 A General History of Music: from the Earliest Ages to the Present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89
[14] 웹사이트 Art thou troubled? Music will calm thee (Anonymous, set by Georg Friedrich Händel) (The LiederNet Archive: Texts and Translations to Lieder, mélodies, canzoni, and other classical vocal music) https://www.lieder.n[...] 2020-01-09
[15] Youtube Art Thou Troubled? (Dove sei?) https://www.boosey.c[...] Boosey & Hawkes
[16] 웹사이트 Recordings of Rodelinda http://www.operadis-[...] 2014-06-24
[17] 웹사이트 Recordings of Rodelinda http://www.prestocla[...] 2021-10-16
[18] 문서 渡部(1966) p.165
[19] 문서 外部リンクのHaendel.itの説明による
[20] 웹사이트 Rodelinda https://handelhendri[...] Handel & Hendrix in London
[21] 문서 渡部(1966) pp.77-78
[22] 문서 ホグウッド(1991) p.151
[23] 문서 ホグウッド(1991) p.4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