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날도 (오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날도는 1711년 런던에서 초연된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세리아이다. 토르콰토 타소의 서사시 "예루살렘 해방"을 바탕으로, 아론 힐이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자코모 로시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썼다. 헨델은 불과 2주 만에 작곡을 완료했으며, 이 작품은 런던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이탈리아 오페라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주요 아리아로는 알미레나의 "Lascia ch'io pianga"와 리날도의 "Cara sposa"가 있다. 1970년대 이후 정기적으로 재공연되며 현대 오페라 레퍼토리의 일부가 되었고,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로크 오페라 - 알치나
    알치나는 헨델이 작곡한 오페라로, 마법사 알치나의 이야기를 다루며, 1735년 런던에서 초연된 후 1928년 부활 공연을 통해 현대 오페라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 바로크 오페라 - 세르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한 3막 오페라 세리아 《세르세》는 크세르크세스 1세 이야기를 바탕으로 복잡한 사랑과 심리 변화를 그리며, 특히 첫 곡인 "Ombra mai fu" 아리아로 유명하다.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 알치나
    알치나는 헨델이 작곡한 오페라로, 마법사 알치나의 이야기를 다루며, 1735년 런던에서 초연된 후 1928년 부활 공연을 통해 현대 오페라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 세르세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한 3막 오페라 세리아 《세르세》는 크세르크세스 1세 이야기를 바탕으로 복잡한 사랑과 심리 변화를 그리며, 특히 첫 곡인 "Ombra mai fu" 아리아로 유명하다.
리날도 (오페라)
작품 정보
작품 제목리날도
원어 제목Rinaldo
작곡가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대본 작가자코모 로시
원작토르쿠아토 타소의 서사시 해방된 예루살렘
아론 힐의 대본
초연일1711년 2월 24일
초연 장소런던, 퀸즈 극장
언어이탈리아어
장르오페라
작품 구조3막
음악 형식오페라 세리아
무대아론 힐
존 제임스 하이드거
주요 등장인물
리날도기사, 메조소프라노 또는 카운터테너
알미레나고프레도의 딸, 소프라노
아르간테다마스쿠스의 이교도 왕, 베이스
고프레도십자군의 지도자, 알토
아르미다마녀, 소프라노
에우스타지오고프레도의 동생, 알토
마법사마법사, 베이스
음악
유명 아리아울게 하소서(Lascia ch'io pianga)
나를 찾아오라(Vieni, o cara)
외부 링크
음반 정보뉴욕타임즈 리뷰

2. 역사적 배경

오페라 《리날도》의 배경 시대는 1096년부터 1099년 사이의 제1차 십자군 전쟁 시기이다. 고프레도가 이끄는 십자군 군대가 사라센 왕 아르간테가 점령하고 있던 예루살렘 요새에 주둔하던 때를 배경으로 한다.

작곡가 헨델1703년부터 1706년까지 함부르크의 간제마르크트 오페라에서 요한 마테손과 라인하르트 카이저의 영향을 받으며 오페라 작곡을 시작했다.[2][3] 당시 독일에서는 오페라라는 장르가 명확히 정립되지 않았고, 함부르크에서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오페라 요소를 결합한 음악극을 "징슈필"(Singspiel, 노래극)이라 불렀다.[4] 헨델의 첫 독일 오페라 알미라는 1705년 초연되어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5]

1706년 가을, 헨델은 이탈리아로 건너가 피렌체, 로마, 나폴리, 베네치아 등지에 머물며 당대 주요 음악가인 아르칸젤로 코렐리, 알레산드로도메니코 스카를라티, 아고스티노 스테파니 등과 교류했다.[7] 이를 통해 헨델은 이탈리아 음악의 특징, 특히 유창한 이탈리아어 운율 처리, 유연한 레치타티보, 성악과 기악의 조화 등을 익혔다.[8] 그의 첫 이탈리아 오페라 로드리고는 아직 이탈리아 스타일을 완전히 소화하지 못해 성공하지 못했다.[7] 이후 로마에서는 교황령의 오페라 공연 금지령 때문에[9] 칸타타오라토리오 작곡에 매진하며 기량을 닦았다. 이때 외교관이자 대본 작가였던 빈첸초 그리마니 추기경을 만나[10] 두 번째 이탈리아 오페라 아그리피나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1709년 12월 26일 베네치아 산 조반니 그리소스토모 극장에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헨델은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11]

이러한 명성 덕분에 여러 곳에서 헨델을 영입하려 했고,[29] 특히 하노버 선제후이자 훗날 대영제국 조지 1세가 되는 게오르그 루트비히가 적극적이었다. 1710년 6월, 헨델은 그의 하노버 궁정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었으나, 상당한 활동의 자유를 보장받았다. 이 자유를 바탕으로 헨델은 1710년 말, 이전에 영국 귀족들로부터 받았을 초청에 응해 런던으로 향했다.[12] 당시 런던의 관객들은 다양한 파스티슈와 각색 작품을 통해 이탈리아 오페라에 익숙해져 있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이탈리아 오페라의 인기가 영국 고유 오페라를 억압하려는 의도적인 시도의 결과라고 보기도 한다.[13] 헨델의 음악은 영국에 비교적 덜 알려졌지만, 《아그리피나》의 성공으로 그의 명성은 이미 상당했다. 1711년 2월 6일에는 앤 여왕의 생일을 기념하여 작곡한 짧은 "이탈리아 대화"가 세인트 제임스 궁전에서 연주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15]

런던에서 헨델은 헤이마켓에 위치한 퀸스 극장(1714년 조지 1세 즉위 후 '킹스 극장'으로 개칭)으로부터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을 의뢰받았다.[14] 당시 극장 매니저 아론 힐은 런던 관객을 위한 최초의 이탈리아 오페라를 기획하고 있었으며,[15] 헨델에게 제1차 십자군 전쟁을 배경으로 한 작품의 작곡을 맡겼다. 이는 힐이 구상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이탈리아 시인 자코모 로시가 대본을 쓰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6][15] 힐은 화려한 무대 연출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고자 했다.[29]

2. 1. 원작과 대본

1710년 말 하노버 궁정의 카펠마이스터 직위를 얻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런던으로 왔다.[12] 런던에서 그는 헤이마켓에 있는 퀸스 극장(Queen's Theatre, 1714년 조지 1세 즉위 후 '킹스 극장'으로 변경)으로부터 이탈리아어 오페라 작곡 의뢰를 받았다.[14][15]

극장 매니저 아론 힐(Aaron Hill)은 런던 관객을 위해 특별히 작곡된 최초의 이탈리아 오페라를 무대에 올릴 계획이었다.[15] 그는 제1차 십자군 전쟁을 배경으로 한 16세기 이탈리아 시인 토르콰토 타소(Torquato Tasso)의 서사시 《해방된 예루살렘》(Gerusalemme liberataita)을 오페라 주제로 선택하고, 주인공의 이름을 따서 제목을 '리날도'로 정했다.[15] 힐은 직접 시나리오를 준비했고, 극장의 화려한 무대 장치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했다.[16][29]

힐은 이탈리아 출신의 시인이자 언어 교사인 자코모 로시(Giacomo Rossi)에게 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이탈리아어 대본 집필을 의뢰했다.[16] 헨델은 로시의 대본 집필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작곡을 진행하여 불과 2주 만에 오페라 전체를 완성했다고 전해진다. 다만 오페라 아리아 중 일부(약 15곡)는 이전에 작곡했던 다른 작품들에서 가져온 것이었다.[62][63]

오페라 《리날도》의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작곡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원작토르콰토 타소의 서사시 《해방된 예루살렘
시나리오아론 힐
대본자코모 로시
언어이탈리아어
구성3막
초연1711년 2월 14일, 런던 헤이마켓 여왕 극장



《리날도》는 1711년 2월 14일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해당 시즌 동안 총 15회 공연되었다.[62][63] 헨델은 시즌이 끝나는 1711년 6월까지 런던에 머물렀다.[64]

2. 2. 작곡 및 초연

헨델, 1710년경


1706년 가을, 헨델이탈리아로 건너가 피렌체, 로마, 나폴리, 베네치아 등지에 머물며 아르칸젤로 코렐리,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아고스티노 스테파니와 같은 당대 최고의 음악가들과 교류했다.[7] 이 시기 헨델은 이탈리아 오페라의 정수를 깊이 흡수했으며,[8] 특히 1709년 12월 26일 베네치아에서 초연된 그의 오페라 아그리피나는 큰 성공을 거두어 헨델에게 국제적인 명성을 안겨주었다.[11]

후에 대영제국 조지 1세가 된 하노버 선제후 게오르그 루트비히는 1710년 헨델을 하노버 궁정에 임명했다.


이러한 성공은 하노버 선제후 게오르그 루트비히(훗날 대영제국 조지 1세)의 주목을 끌었고, 헨델은 1710년 6월 그의 궁정 카펠마이스터로 임명되었다.[29][12] 하지만 헨델은 비교적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받는 조건으로[12] 같은 해 말 런던으로 향했다.[61] 당시 런던에서는 이탈리아 오페라가 점차 인기를 얻고 있었으며,[13] 헨델의 명성 역시 알려져 있었다.[15]

런던에서 헨델은 헤이마켓에 위치한 여왕 극장의 극장장 아론 힐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15][61] 힐은 런던 관객을 위해 특별히 작곡된 최초의 이탈리아 오페라를 무대에 올리고자 하는 야심 찬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15] 그는 토르콰토 타소가 쓴 제1차 십자군 전쟁을 다룬 서사시 『예루살렘 해방』을 소재로 직접 시나리오를 구상했으며,[15][16] 이를 바탕으로 이탈리아 출신 시인이자 언어 교사인 자코모 로시에게 이탈리아어 대본 집필을 의뢰했다.[16][62] 힐은 극장의 화려한 무대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각적인 즐거움을 극대화하고자 했다.[29]

헨델은 로시의 대본을 받아 놀랍게도 단 2주 만에 오페라 작곡을 완료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대본이 완성되는 속도보다도 빨랐다고 한다.[62] 다만, 오페라에 사용된 아리아 중 약 15곡은 헨델 자신이 이전에 작곡했던 작품들에서 가져와 편곡한 것이었다.[62][63]

오페라 리날도는 1711년 2월 24일, 런던 헤이마켓의 여왕 극장에서 초연되었다.[61] 초연은 즉각적인 대성공을 거두었으며, 해당 시즌 동안에만 총 15회나 공연되는 기염을 토했다.[62][63] 이 성공에 힘입어 헨델은 시즌이 종료되는 1711년 6월까지 런던에 머물렀다.[64] 리날도의 성공은 헨리 퍼셀 이후 다소 침체되어 있던 영국 음악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을 뿐만 아니라, 런던에서 이탈리아 오페라의 인기를 확고히 다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 3. 개작 및 재연

헨델의 다른 오페라 세리아 작품들처럼, 《리날도》는 초연 이후 거의 200년 동안 잊혔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여 정기적으로 재공연되었고, 오늘날에는 주요 오페라 극장의 공연 목록에 포함되는 작품이 되었다. 특히 아리아 〈날 울게 하소서〉는 오페라의 배경을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널리 알려지며 작품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

《리날도》는 전체 작품이 여러 차례 음반으로 녹음되었으며, 꾸준히 무대에 오르고 있다. 1984년에는 프랑크 고르사로가 연출하고 미국의 메조소프라노 마릴린 혼이 타이틀 롤을 맡은 프로덕션이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공연되었다. 이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역사상 처음으로 공연된 헨델의 오페라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크리스토퍼 호그우드가 고음악 아카데미를 지휘하고 카운터테너 데이비드 다니엘스와 메조소프라노 체칠리아 바르톨리가 참여한 음반도 주목할 만하다.

3. 등장인물

wikitext

역할, 음역, 참고, 초연 출연진
역할음역 (1711년 초연)[17]참고1711년 2월 24일 초연 출연진[18]
리날도 | 알토 카스트라토 | 십자군의 용사. 에스테 가문의 귀족. 소프라노 악보로 쓰였으나, 현재는 알토, 메조소프라노 또는 카운터테너가 부른다. 1731년 개정판에서는 세네지노가 불렀다.[66] | 니콜로 그리말디 ("니콜리니")[19]
고프레도 | 알토 (남장 역할) | 제1차 십자군의 지도자, 십자군 총사령관. 1731년 개정판에서는 테너. | 프란체스카 바니니-보스키[19]
소프라노 | 고프레도의 딸, 리날도의 연인. | 이사벨라 지라르도[19]
에우스타지오 | 알토 카스트라토 | 고프레도의 형제. 1717년 재공연 이전에 역할이 삭제되었으며, 현대 공연에서도 종종 생략된다.[23] | 발렌티노 우르바니 ("발렌티니")[19]
베이스 | 예루살렘사라센 왕. 1731년 개정판에서는 알토, 현재는 보통 베이스.[66] | 주세페 보스키[19]
아르미다 | 소프라노 | 다마스쿠스의 여왕, 마술사, 아르간테의 정부. 1731년 개정판에서는 알토, 현재는 보통 소프라노.[20] | 엘리사베타 필로티-스키아보네티[19]
알토 카스트라토 | 소스에 따라 마고라고도 불린다. 1731년 개정판부터 베이스. | 주세페 카사니[19]
테너 | 1731년 개정판에서는 베이스. | "로렌스"[19]
사이렌 (두 명) | 소프라노 | | 기록 없음[19]
소프라노 | 일부 공연에서는 여자의 대사를 인어가 부른다. | 기록 없음[19]
무대극 | |


4. 줄거리

오페라 《리날도》는 제1차 십자군 전쟁 시기인 1099년, 예루살렘 시내와 그 주변을 배경으로 한다. 고프레도가 이끄는 십자군이 사라센 왕 아르간테가 지키는 예루살렘을 포위한 상황이다.

십자군의 영웅 리날도는 고프레도의 딸 알미레나와 사랑하는 사이이며, 고프레도는 예루살렘 함락 후 둘의 결혼을 약속한다. 한편, 예루살렘의 왕 아르간테는 다마스쿠스의 여왕이자 강력한 마법사인 아르미다의 도움을 받으려 한다. 아르미다는 십자군의 핵심 전력인 리날도를 무력화시키면 승리할 수 있다고 보고, 마법을 이용해 알미레나를 납치한다.

리날도는 연인을 잃은 슬픔에 잠기지만, 고프레도와 그의 형제 에우스타지오는 기독교 마법사의 도움을 받아 알미레나를 구출하자고 제안한다. 리날도는 아르미다의 유혹과 방해를 뿌리치고, 마법사의 도움과 동료들의 활약으로 결국 알미레나를 구출한다. 이후 벌어진 전투에서 십자군은 승리하고 아르간테와 아르미다는 사로잡힌다.

결말에서 리날도와 알미레나는 결혼을 축복받고, 아르미다와 아르간테는 기독교로 개종할 것을 맹세하고 석방된다. 모두의 합창으로 오페라는 막을 내린다.

1711년 리브레토의 페이지; 왼쪽은 이탈리아어, 오른쪽은 영어 번역


이 오페라는 여러 차례 개정되었는데, 특히 1717년과 1731년에 상당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1731년 버전에서는 3막의 행진곡과 전투 장면이 삭제되었으며, 아르미다와 아르간테는 회개하지 않고 용이 끄는 마차를 타고 사라지는 것으로 결말이 다르다.[34]

4. 1. 1막

제1차 십자군 전쟁 당시 예루살렘 성벽 밖, 십자군 진영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기사 리날도는 십자군 사령관 고프레도에게 예루살렘사라센 왕 아르간테로부터 탈환하면 그의 딸 알미레나와의 결혼 약속을 지켜달라고 상기시킨다. 알미레나는 리날도에게 용감히 싸울 것을 촉구하며 사랑 때문에 전투에 소홀해지지 말라고 당부한다.

이때 전령이 아르간테의 등장을 알리고, 성문으로 나온 아르간테는 고프레도에게 3일간의 휴전을 요청한다. 고프레도는 이를 관대하게 수락한다. 홀로 남은 아르간테는 다마스쿠스의 여왕이자 강력한 마법사인 그의 연인 아르미다를 생각하며 그녀의 힘을 빌릴 것을 고려한다. 아르미다는 용이 이끄는 불타는 전차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온다. 그녀는 사라센의 유일한 승리 기회가 리날도를 십자군에서 떼어놓는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마법으로 그를 유인할 계획을 세운다.

장면은 분수와 새들이 있는 아름다운 정원으로 바뀐다. 리날도와 알미레나는 서로의 사랑을 노래하며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이중창: ''Scherzano sul tuo volto'') 그러나 갑자기 아르미다가 나타나 리날도의 품에서 알미레나를 빼앗으려 한다. 리날도는 검을 뽑아 저항하지만, 아르미다는 불을 뿜는 괴물들이 가득한 검은 구름을 불러 알미레나를 납치해 사라진다. 리날도는 사랑하는 연인을 잃은 슬픔에 잠겨 비탄의 아리아를 부른다. (아리아: ''Cara sposa, amante cara'')

곧이어 고프레도와 그의 형제 에우스타지오가 도착하여 무슨 일이 있었는지 듣고 리날도를 위로한다. 에우스타지오는 알미레나를 구출하기 위해 멀리 산속 동굴에 사는 기독교 마법사의 도움을 받자고 제안한다. 혼자 남은 리날도는 알미레나를 되찾기 위해 바람과 폭풍우에게 힘을 빌려달라고 격정적으로 노래하며 1막이 끝난다. (아리아: ''Venti, turbini, prestate'')

4. 2. 2막

'''1장: 광대하고 잔잔한 바다'''

리날도, 고프레도, 에우스타지오는 마법사를 찾아가는 여정에 대해 이야기하며 바닷가에 도착한다. 고프레도는 경고하지만, 아르미다가 보낸 사이렌 두 명이 나타나 리날도를 유혹한다. 사이렌들은 알미레나에게 데려다 주겠다고 약속하며 리날도를 배로 이끈다. 고프레도와 에우스타지오가 만류함에도 불구하고, 리날도는 알미레나를 만날 생각에 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배를 타고 사이렌과 함께 떠나버린다.

'''2장: 아르미다의 요술 정원'''

아르미다의 요술 정원에 갇힌 알미레나는 자신의 처지를 슬퍼하며 아리아 ''Lascia ch'io pianga''(날 울게 내버려 두오)를 부른다. 이때 사라센 왕 아르간테가 나타나 알미레나에게 열정적으로 사랑을 고백한다. 알미레나는 자유를 갈망할 뿐이라고 답하고, 그녀에게 마음을 빼앗긴 아르간테는 알미레나를 풀어주겠다고 약속한다.

한편, 리날도가 정원에 도착하여 아르미다에게 알미레나를 돌려달라고 요구한다. 그러나 아르미다는 오히려 리날도의 용맹함에 반해 그에게 자신을 가지라고 유혹한다. 리날도가 단호히 거절하자, 아르미다는 리날도가 사랑하는 알미레나의 모습으로 변신하여 그를 속이려 한다. 리날도는 잠시 속을 뻔하지만, 이내 속임수임을 깨닫고 분노하며 자리를 피한다. 혼자 남은 아르미다는 리날도를 향한 자신의 갈망과 거절당한 분노 사이에서 괴로워하며 아리아 ''Ah! Crudel''(아! 잔인한 이여)을 부른다.

이때 아르간테가 다시 나타나자, 아르미다는 그의 마음을 떠보기 위해 다시 알미레나의 모습으로 변신한다. 아르간테는 변신한 아르미다를 알아보지 못하고 사랑을 고백한다. 이에 분노한 아르미다는 본모습으로 돌아와 아르간테의 변심을 꾸짖고, 두 사람의 동맹은 깨진다. 아르미다는 아르간테에게 복수를 다짐하며 분노의 아리아 ''Vo' far guerra, e vincer voglio''(나는 싸워 이기리라)를 부르며 막이 내린다.

4. 3. 3막

은둔 마법사고프레도와 에우스타지오에게 리날도와 알미레나가 아르미다의 궁전에 갇혀 있다고 알려준다. 첫 구출 시도가 실패하자, 마법사는 그들에게 아르미다의 요술 궁전에 들어가 알미레나를 구할 수 있는 마술 지팡이를 준다.

아르미다의 정원에서, 아르미다가 알미레나를 단검으로 찌르려 할 때 리날도가 나타나 이를 막는다. 아르미다가 리날도에게 맞서지만, 고프레도와 에우스타지오가 마술 지팡이로 정원을 파괴하여 리날도를 구출하고 아르미다는 도망친다. 장소는 예루살렘 외곽의 평지로 바뀐다. 리날도는 동료들과 다시 합류한다. 아르미다가 다시 알미레나를 해치려 하지만 리날도가 이를 저지한다.

아르미다와 사라센 왕 아르간테는 잠시 서로 대립하다가 곧 화해하고, 기독교인들에게 복수할 것을 다짐하며 십자군과의 전투를 준비한다. 에우스타지오가 사라센 군대의 접근을 알리자 십자군 부대가 모여든다. 리날도는 십자군을 이끌고 전투에서 승리하며(전투 장면은 기악으로 묘사된다), 아르간테와 아르미다는 사로잡힌다.

고프레도는 리날도의 활약을 칭찬하며 알미레나와의 결혼을 축복한다. 리날도와 알미레나는 재결합한다. 아르미다는 자신의 마법 지팡이를 부러뜨리고, 아르간테와 함께 기독교로 개종할 것을 맹세한 뒤 석방된다. 모든 등장인물이 함께 부르는 합창으로 오페라가 마무리된다.

1731년 공연 버전에서는 3막의 행진곡과 전투 장면이 삭제되었으며, 아르미다와 아르간테는 회개하지 않고 용이 끄는 마차를 타고 사라지는 것으로 결말이 변경되었다.[34]

'''주요 아리아 및 악곡'''

곡명가수비고 (1717년 / 1731년 버전)
신포니아관현악
"가라, 용사들이여"마법사1717년 삭제; 1731년 수정 및 복원
"가슴에 슬픔이 솟구치네"고프레도1717년 삭제
"두 바람 사이의 불꽃이로다"리날도
행진곡 (이교도 행진곡)관현악1731년 삭제
"우리의 격노의 승리에"아르미다, 아르간테 (이중창)1731년 위치 변경, 고프레도와 알미레나가 노래
"아름다운 기쁨과 즐거움"알미레나
"시온의 높은 자리에서"에우스타지오1717년 고프레도가 노래; 1731년 아르간테가 노래
행진곡 (기독교 행진곡)관현악1731년 삭제
"이제 승리의 나팔이 울려 퍼지네"리날도1731년 삭제
전투곡 (전투)관현악1731년 삭제
"오직 검으로만"고프레도1731년 삭제
"덕의 승리뿐이로다"합창


5. 주요 아리아


  • `Cara sposa|카라 스포사it` (사랑하는 아내여): 주역 리날도아리아로, 헨델 작품 중 최고의 아리아 중 하나로 여겨진다.[67][68]
  • `Lascia ch'io pianga|라샤 키오 피앙가it` (나를 울게 하소서): 알미레나의 아리아로, 예루살렘마법사에게 붙잡힌 알미레나가 적군 왕 아르간테의 구애에도 불구하고 사랑하는 리날도에 대한 정절을 지키고자 부르는 노래이다. "잔인한 운명에 눈물 흘리게 내버려 두오"라는 내용이며, 독창곡으로도 자주 불린다. 이 곡은 헨델이 함부르크 시절 작곡한 오페라 알미라 제3막 3장의 사라반드 선율을 가져왔으며, 1707년 로마에서 작곡한 이탈리아어 오라토리오 Il trionfo del Tempo e del Disinganno|일 트리온포 델 템포 에 델 디싱간노it (시간과 깨달음의 승리) 중 아리아 Lascia la spina|라샤 라 스피나it를 개작한 것이다. 19세기 이탈리아 음악학자 알레산드로 파리조티가 편곡하여 1914년 리코르디 출판사에서 펴낸 Arie antiche|아리에 안티케it (고전 아리아집)에 수록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일본에서는 이탈리아 가곡집을 통해 소개되었고, 텔레비전 드라마 모란과 장미에서 오카모토 토모타카가 부른 버전이 주제가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탈리아어 원문한국어 번역
Lascia ch'io pianga나를 울게 하소서
mia cruda sorte,내 잔인한 운명에,
e che sospiri la libertà.자유를 갈망하며 한숨짓게 하소서.
Il duolo infranga queste ritorte슬픔이 이 속박을 부수리니,
de' miei martiri sol per pietà.오직 자비로써 나의 고통을.


6. 작품의 의의 및 영향

《리날도》는 헨델이 런던 관객에게 처음 선보인 오페라로,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7] 당시 런던은 헨리 퍼셀 이후 영국 고유의 음악이 다소 침체된 시기였고, 이탈리아 오페라가 점차 소개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탈리아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헨델이 발표한 《리날도》는 런던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영국에서 이탈리아 오페라의 유행을 주도하고 그 지위를 확고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작품은 헨델의 이탈리아 체류 시절 작곡했던 칸타타와 오페라 등에서 많은 음악을 가져와 사용했기 때문에, 음악학자 딘(Dean)과 너프(Knapp)는 이를 헨델 이탈리아 시기 최고작들의 "선집(anthology)"과 같다고 평가했다.[22] 이러한 음악 재활용과 헨델 생애 동안 이루어진 여러 차례의 수정은[40] 현대 공연 버전을 준비하는 데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하기도 한다.[40]

작품의 초기 성공에는 당대 최고의 카스트라토였던 니콜리니를 비롯한 뛰어난 기량의 가수들이 큰 기여를 했다.[17] 헨델은 초연 이후에도 여러 차례 수정을 가하며 고프레도(Goffredo) 역을 알토에서 테너로, 마법사(Magician) 역을 알토 카스트라토에서 베이스로, 아르미다(Armida) 역을 소프라노에서 콘트랄토로 변경하는 등[32] 배역의 성악 유형을 바꾸기도 했다.

음악적으로 《리날도》는 웅장함과 감성적인 표현, 혁신적인 악기 사용 등[47] 다양하고 뛰어난 음악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34] 비록 기존 곡의 차용과 촉박한 제작 기간에도 불구하고[47], 이 작품은 당시 런던에서 보기 드문 풍성한 오케스트레이션[48]을 선보이며 헨델의 대표적인 오페라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47]

6. 1. 한국적 관점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없습니다.)

6. 2. 음악적, 극적 특징

《리날도》는 헨델의 이탈리아 시절 음악적 성과를 집대성한 작품으로[22], 런던 데뷔작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전 작품들의 아리아와 기악곡을 상당수 재활용한 것이 특징인데[62][63], 이는 당시 오페라 작곡 관행을 보여준다.[22]
음악적 특징헨델은 이탈리아 체류 경험을 통해 익힌 유창한 선율 작법, 표현력 있는 레치타티보, 성악과 기악의 효과적인 사용 등을 《리날도》에서 유감없이 발휘했다.[8] 당시 런던에서는 보기 드문 풍성하고 화려한 오케스트라 편성을 사용했으며[48], 특히 4대의 트럼펫과 타악기까지 동원된 아리아 "Or la tromba"는[49] 헨델의 혁신적인 금관악기 사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47][48]

악기 편성[67][68]
목관악기금관악기타악기현악기통주저음
오보에 2, 리코더 3, 파곳트럼펫 4팀파니현악 5부쳄발로, 류트



마르코 리치(Marco Ricci)의 1709년 작품 "오페라 리허설(Rehearsal for an Opera)"의 세부 묘사. 리치는 퀸스 극장의 무대 미술가였으며, 이 가수는 극장의 주요 알토 카스트라토였던 니콜리니(Nicolini)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됨.


당대 최고의 카스트라토였던 니콜리니를 비롯한 주역 가수들의 기량을 뽐낼 수 있는 기교적이고 화려한 아리아가 많다.[17] 아르미다의 등장 아리아 "Furie terribili"는 강렬한 인상을 주며[34], 2막의 "Vo' far guerra"에 포함된 하프시코드 독주는 헨델 자신이 직접 즉흥 연주했던 것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47]

주요 아리아 중 하나인 Cara sposa (사랑하는 아내여)는 주인공 리날도가 부르는 곡으로, 헨델의 가장 뛰어난 아리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67][68] 또한 알미레나의 아리아 Lascia ch'io pianga (울게 하소서)는 오페라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명곡이다. 이 곡은 원래 헨델의 초기 오페라 《알미라》의 무곡과 오라토리오 《시간과 진리의 승리》의 아리아 "Lascia la spina"에서 유래한 선율을 사용했으며[49], 단순하면서도 깊은 슬픔과 감동을 자아낸다.[49] 알미레나가 적장 아르간테의 구애를 거절하며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고 리날도에 대한 사랑을 지키려는 마음을 노래한다.[67][68]
극적 특징극장 매니저였던 아론 힐은 제1차 십자군 전쟁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선택하고, 마법과 전투 장면 등 시각적인 볼거리를 극대화하고자 했다.[29] 이는 이탈리아 오페라의 음악적 기교와 영국 마스크의 화려한 무대 연출 전통을 결합하려는 시도였다.[29] 오페라는 사랑, 전투, 마법, 배신 등 극적인 요소들이 풍부하며, 정원, 마법 궁전, 전장 등 다채로운 배경을 넘나든다. 음악 역시 이러한 극적인 상황 변화를 효과적으로 묘사한다. 다만 일부 비평가들은 전쟁이나 화려한 장면 묘사는 성공적이지만, 마법 장면 묘사는 다소 미흡하다고 평가하기도 한다.[22]
종합 평가 및 영향《리날도》의 음악은 웅장함과 섬세함, 화려함과 비장미를 아우르며[47], 헨델의 오페라 중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의 성공은 런던에서 이탈리아 오페라의 유행을 확고히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67][68]

6. 3. 현대적 재해석

헨델의 다른 오페라 세리아 작품들처럼, 《리날도》는 거의 200년 동안 잊혔으나, 1970년대부터 다시 정기적으로 공연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일반적인 오페라 레퍼토리의 일부가 되었다. 특히 작품 속의 라르고 아리아 〈날 울게 하소서〉는 오페라의 배경을 잘 모르는 이들에게도 널리 알려지며 작품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현재 《리날도》는 정기적으로 상연되고 있으며, 여러 음반으로도 발매되었다.

1984년에는 프랑크 고르사로가 연출한 프로덕션이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하우스 무대에 올랐다. 이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역사상 처음으로 공연된 헨델의 오페라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공연에서는 미국의 메조소프라노 마릴린 혼이 주인공 리날도 역을 맡아 공연했다.

참조

[1] 뉴스 Review: Handel's ''Rinaldo'', with Period Brass in Good Repair https://www.nytimes.[...] 2023-11-03
[2] 서적 (Grout and Weigel, pp. 184–185)
[3] 서적 (Grout, p. 157)
[4] 서적 (Grout, pp. 112–114 and pp. 116–120)
[5] 서적 (Dean and Knapp, pp. 64–65)
[6] 서적 (Dean and Knapp, pp. 69–77)
[7] 서적 (Boyden et al., p. 56)
[8] 서적 (Dean and Knapp, p. 84)
[9] 서적 (Dean, p. 86)
[10] 서적 (Lang, p. 91)
[11] 서적 (Lang, p. 106)
[12] 서적 (Lang, p. 110)
[13] 서적 (Price, p. 121)
[14] 서적 (Lang, pp. 117–118)
[15] 사전 Handel, George Frideric: 4. Hanover, Düsseldorf and London http://www.oxfordmus[...] 2011-01-30
[16] 사전 Rossi, Giacomo http://www.oxfordmus[...] 2011-01-30
[17] 서적 (Dean and Knapp, p. 181)
[18] 그로브 Hill, Aaron 1992
[19] 서적 (Dean and Knapp, pp. 180–181)
[20] 서적 (Dean and Knapp, p. 168)
[21] 서적 (Price, p. 125)
[22] 서적 (Dean and Knapp, pp. 171–174)
[23] 서적 (Dean and Knapp, pp. 184–185)
[24] 서적 (Hogarth, p. 272)
[25] 웹사이트 Handel's ''Rinaldo'' – Character descriptions translated from the Italian version of the libretto http://www.aam.co.uk[...] Academy of Ancient Music 2008-11-08
[26] 서적 (Dean and Knapp, p. 156)
[27] 뉴스 Opera in English? No, Thanks https://timesmachine[...] 1975-09-26
[28] 서적 (Lang, pp. 120–121)
[29] 서적 (Dean and Knapp, pp. 182–183)
[30] 서적 (Lang, p. 120)
[31] 레코드 Nuova Era recording 6813/14 Nuova Era 1992
[32] 서적 (Dean and Knapp, pp. 186–191)
[33] 서적 (Steen, p. 47)
[34] 사전 Rinaldo http://www.oxfordmus[...] 2011-01-28
[35] 간행물 Arts Council of Great Britain, Annual Report 1965–66 Arts Council of Great Britain 1966
[36] 뉴스 'Rinaldo' Has Everything a Baroque Opera Needs http://select.nytime[...] 1972-03-29
[37] 뉴스 Festival Opera Gives Fine Account of Handel's ''Rinaldo'' https://news.google.[...] 1982-07-05
[38] 웹사이트 Metropolitan Opera database http://archives.meto[...] Metropolitan Opera 2011-01-28
[39] 뉴스 A Triumph for Handel https://www.nytimes.[...] 1984-01-20
[40] 간행물 Handel: ''Rinaldo'' http://www.gramophon[...] 1990-04-01
[41] 저널 Rinaldo 2000-01-01
[42] 웹사이트 'Rinaldo': Représentations http://operabaroque.[...] Opéra Baroque 2011-02-06
[43] 간행물 'Rinaldo': Göttingen Internationale Händel-Festspiele http://www.operanews[...] 2004-09-01
[44] 웹사이트 Handel with care: Zurich ''Rinaldo'' set in airport http://www.foxnews.c[...] 2008-06-20
[45] 뉴스 'Rinaldo', Glyndebourne opera, review https://www.telegrap[...] 2011-07-04
[46] 웹사이트 Prom 55 (2011): Handel – ''Rinaldo'' http://www.bbc.co.uk[...] BBC Proms 2011-08-25
[47] 서적 Rinaldo
[48] 서적 Rinaldo
[49] 서적 Rinaldo
[50] 서적 Rinaldo
[51] 서적 Rinaldo
[52] 서적 Rinaldo
[53] 저널 'Rinaldo' and 'Rinaldo' highlights
[54] 간행물 Handel:''Rinaldo'' http://www.gramophon[...] 1978-02-01
[55] 간행물 Handel: ''Rinaldo'' http://www.gramophon[...] 2000-01-01
[56] 간행물 Handel: ''Rinaldo'' http://www.gramophon[...] 2003-05-01
[57] 웹사이트 Handel: ''Rinaldo''. List of recordings http://www.prestocla[...] Presto Classical 2011-02-04
[58] 간행물 Handel: ''Rinaldo'' http://www.gramophon[...] 2003-05-01
[59] 간행물 Session Report: The Aradia Ensemble's ''Rinaldo'' http://www.gramophon[...] 2004-09-01
[60] 서적 Rinaldo
[61] 서적 Rinaldo
[62] 서적 Rinaldo
[63] 서적 Rinaldo
[64] 서적 Rinaldo
[65] 서적 Rinaldo
[66] 웹사이트 Rinaldo https://www.naxos.co[...] NAXOS
[67] 서적 Rinaldo
[68] 서적 Rinald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