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코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코더는 14세기부터 사용된 관악기로, 르네상스 시대에 인기를 얻었으나 바로크 시대 후반 플루트에 밀려 쇠퇴했다. 20세기 초 고음악 부흥 운동으로 복원되어 현대에도 연주되며,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바로크식과 저먼식 운지법이 있으며, 머리, 중간, 발 부분으로 구성된다. 재료는 나무, 플라스틱 등이 사용되며, 현대에는 다양한 디자인과 연주 기법이 개발되었다. 한국에서는 초등학교 음악 교육에 널리 사용되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리코더 전공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관악기 - 색소폰
    색소폰은 아돌프 삭스가 발명한 목관 악기로, 다양한 음역과 음색을 지니며 재즈와 클래식 등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고 알토, 테너, 바리톤, 소프라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목관악기 - 오보에
    오보에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로, 17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활용된다.
  • 공기울림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튜바
    튜바는 고대 로마 시대 관악기 명칭을 딴 저음 금관악기로, 19세기 초 빌헬름 비프레히트와 요한 고트프리트 모리츠가 개발하여 리하르트 바그너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에 채용되었으며, 피스톤이나 회전 밸브를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리코더
기본 정보
다양한 리코더 플루트 (밑에서 두 번째는 세 부분으로 분해됨)
다양한 리코더 (밑에서 두 번째는 세 부분으로 분해됨)
분류관악기
목관악기
기명악기
호른보스텔-작스 분류421.221.12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설명내부 덕트와 손가락 구멍이 있는 플루트
음색해당 없음
음량해당 없음
어택해당 없음
감쇠해당 없음
음역소프라노 리코더: 다5–라7(사7)
음높이해당 없음
관련 악기틴 휘슬
플라졸렛
차칸
3공 피리
연주자리코더 연주자
제작자해당 없음
다른 언어
영어Recorder
독일어Blockflöte
프랑스어flûte à bec
이탈리아어flauto dolce
중국어직적 (直笛, Zhí dí)

2. 역사

리코더와 유사한 악기는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다. 영국 리즈 박물관에 전시된 양의 뼈로 만든 관악기는 철기시대부터 리코더와 비슷한 악기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리코더는 다른 원시 관악기와 구별되는데, 그 기준은 여덟 개의 구멍(앞면에 일곱 개, 뒷면에 엄지손가락으로 막는 한 개)과 가장 넓은 형태의 입구멍 유무이다.[55] 14세기부터 이러한 악기들이 크게 발전했지만, 중세 벽화에 그려진 다양한 휘슬 그림 때문에 그 이전의 리코더 기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1940년 네덜란드 도르드레흐트의 한 외호에서 14세기 무렵의 리코더가 발견되었고, 독일 남부, 에슬링겐암네카어, 에스토니아 타르투, 그리스 로도스섬, 폴란드 엘블롱크 등에서도 비슷한 시기의 리코더들이 발견되었다. 초기 리코더는 한 손으로 연주하도록 제작되었으며, 구멍은 모두 일직선상에 있었으나 맨 끝 구멍은 짧은 새끼손가락을 위해 약간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16세기17세기르네상스 시대에 리코더는 예술 음악의 확산과 인쇄기의 발달로 인해 큰 인기를 얻었다. 헨리 8세는 리코더를 76개나 소장했고, 셰익스피어와 존 밀튼의 작품에도 리코더가 등장한다.[18] 르네상스 시대의 리코더는 주로 춤곡과 성악 반주에 사용되었으며, 앙상블과 같은 계통의 악기로만 연주하는 합주단(consorts)이 유행하면서 리코더의 크기와 음역도 다양해졌다.[19]

17세기부터 18세기바로크 시대에는 르네상스 시대와는 다른 구조의 리코더가 나타났다. 이 리코더는 이전보다 더 감미로운 소리를 낼 수 있었지만, 저음 음역은 제한되었다. 18세기에는 '플루트'(flauto)가 리코더를, 'Traverso'(바로크 플루트)가 플루트를 각각 나타냈다. 비발디, J. S. 바흐, 텔레만 등 많은 작곡가들이 리코더를 위한 곡을 썼으며, 특히 바흐는 칸타타와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2번, 4번에 알토 리코더를 사용했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리코더는 플루트와 클라리넷에 밀려 쇠퇴하였다. 고전주의 시대에는 소리의 크고 작음이 분명한 음악이 유행하면서, 소리의 변화가 적은 리코더는 선호되지 않았다.[1]

20세기에 들어 르네상스 음악을 다시 활성화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리코더가 다시 연주되기 시작했다. 아르놀드 돌메취와 독일 학자, 연주가들의 노력으로 리코더는 다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윤이상의 '중국의 그림'과 같이 현대음악 작품에도 리코더가 사용되고 있다.

2. 1. 고대 ~ 중세

리코더와 비슷한 악기는 오래전부터 있었다. 예를 들어 현재 영국 리즈 박물관에 전시된 양의 뼈로 만든 관악기는 철기시대 때부터 리코더와 비슷한 악기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리코더는 다른 원시 관악기와 구별되는데, 그 기준은 여덟 개의 구멍(앞면에 일곱 개, 뒷면에 엄지손가락으로 막는 한 개)과 가장 넓은 형태의 입구멍 유무이다.[55] 이러한 악기들은 14세기부터 크게 발전한다. 하지만 중세 벽화에 그려진 다양한 휘슬 그림 때문에 그 이전의 리코더 기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오늘날 아일랜드 전통 음악에 쓰이는 휘슬은 구멍이 6개이고, 가로로 부는 플루트도 처음에는 6개의 구멍으로 시작했다.

1940년 네덜란드 도르드레흐트의 한 외호에서 14세기 무렵의 리코더가 발견되었는데, 보존 상태는 양호했지만 연주는 불가능했다. 이 외에도 독일 남부, 에슬링겐암네카어, 에스토니아 타르투에서 14세기 리코더가 발견되었다. 그리스 로도스섬폴란드 엘블롱크에서는 14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리코더가 발견되었다.

초기 리코더는 한 손으로 연주하도록 제작되었으며, 구멍은 모두 일직선상에 있었으나 맨 끝 구멍은 짧은 새끼손가락을 위해 약간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이 마지막 구멍은 두 개가 뚫려 있었는데, 이후 오른손 연주 형식이 자리 잡으면서 두 번째 구멍은 사라졌다. 이는 프랑스어로 'flute à neuf trous'라고 불리는 형태로, 반음 연주를 위해 만들어진 것과는 다르다. 덕트 플루트와 리코더는 전 세계 거의 모든 음악 전통에서 발견된다.[54]

2. 2. 르네상스 시대

16세기17세기 무렵, 리코더는 예술 음악의 확산과 인쇄기의 발달로 인해 큰 인기를 얻었다. 헨리 8세는 리코더를 76개나 소장할 정도로 애호했으며, 셰익스피어와 존 밀튼 등 유명 작가들의 작품에도 리코더가 등장한다.[18]

르네상스 시대의 리코더는 주로 춤곡과 성악 반주에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가사가 없는 오선보로 만든 성악 작품도 있었는데, 이는 리코더를 포함한 악기를 위한 연주로 보인다. 샹송처럼 악기와 함께 연주할 수 있는 성악곡도 있었지만, 작곡가들은 점차 악기를 배제한 음악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성악과 리코더의 조합은 춤곡에서 주로 나타났다. 이 시기에는 앙상블과 같은 계통의 악기로만 연주하는 합주단(consorts)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영향으로 리코더를 포함한 악기들은 그 크기가 다양해지고 음역도 넓어졌다.[19]

르네상스 시대의 리코더는 바로크 시대의 리코더보다 크고 낮은 음역을 가졌으며, 더 많은 공기를 필요로 했지만 공명에 유리했다.

16세기의 리코더 앙상블은 5도 간격으로 조율되었으며, 현대 C, F 리코더 앙상블에서 볼 수 있듯이 옥타브로 조율되는 경우는 드물었다. 일반적으로 세 개 또는 네 개의 뚜렷한 크기만 동시에 사용되었다. 현대 용어를 사용하면, 이러한 리코더는 조옮김 악기로 취급되었다. 즉, 앙상블은 F3, C4, G4 악기로 구성된 앙상블과 동일하게 읽혔다. 이러한 파트는 ''chiavi naturali''를 사용하여 쓰여졌으며, 이를 통해 파트가 대략 하나의 음자리표 범위 내에 맞도록 하고, 당시의 리코더 범위 내에 맞도록 했다. (르네상스 구조 참조)[20]

미하엘 프레토리우스가 그의 저서 ''Syntagma Musicum''에서 설명했듯이, C3–G3–D4, G3–D4–A4 또는 B2–F3–C4와 같은 조옮김("레지스터")이 가능했으며, 모두 F3–C4–G4 악기로 읽혔다. 중간 크기를 두 배로 하여 4성부를 연주하거나, 예를 들어 F3–C4–C4–G4, 또는 위쪽 크기를 두 배로 하고 중간 크기를 세 배로 하여 6성부를 연주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F3–C4–C4–C4–G4–G4.[20]

이러한 리코더에 대한 현대 명명법은 절대 음높이가 다를 수 있지만, 악기의 절대 음높이가 아닌 앙상블의 다른 구성원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가장 낮은 음에서 가장 높은 음까지 악기는 "그레이트 베이스", "베이스", "바셋", "테너", "알토", "소프라노"라고 불린다. 잠재적인 크기는 다음과 같다: F2의 그레이트 베이스; B2 또는 C3의 베이스; F3 또는 G3의 바셋; B3, C4 또는 D4의 테너; F4, G4 또는 A4의 알토; C5 또는 D5의 소프라노.[21]

2. 3. 바로크 시대

17세기부터 18세기 초 바로크 시대에는 르네상스 시대와는 다른 구조의 리코더가 나타났다. 이 리코더는 이전보다 더 감미로운 소리를 낼 수 있었지만, 저음 음역은 제한되었다. 18세기에는 '플루트'(flauto)가 리코더를, 'Traverso'(바로크 플루트)가 플루트를 각각 나타냈다.

바로크 시대는 리코더의 황금기로, 비발디, J. S. 바흐, 텔레만 등 많은 작곡가들이 리코더를 위한 곡을 썼다. 바흐는 칸타타와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2번, 4번에 알토 리코더를 사용했고, 헨델과 텔레만도 리코더를 위한 곡을 많이 작곡했다.

알토 리코더


바로크 시대 이전에는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리코더로 구성된 사중주곡이 선호되었고 많은 작품이 남아있다. 바로크 시대에는 특히 알토 리코더가 대표적이었다. 그러나 리코더는 음량이 작고, 음의 강약 조절이 음높이에 영향을 주어 정교한 연주 기술이 필요했으며, 소리 내기는 쉽지만 음색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 때문에 18세기 후반부터는 표현력이 뛰어난 플라우토 트라베르소(바로크 플루트)에 점차 밀려났다.

2. 4. 리코더의 쇠퇴

18세기 이후, 리코더는 급격히 쇠퇴하였다.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가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에 사용한 뒤 거의 쓰이지 않았다. 바로크 시대 이전까지는 플루트보다 더 널리 쓰였지만, 그 이후에는 플루트와 클라리넷에 밀려났다. 특히 고전주의 시대(1750-1800)부터는 바로크 시대(1600-1750)와 달리 소리의 크고 작음이 분명한 음악이 유행하기 시작하면서, 플루트나 다른 목관악기에 비해 소리의 변화가 적은 리코더는 작곡가들이 이전만큼 선호하지 않게 되었다.[1]

음량이 작다는 점, 음의 강약이 음높이에 영향을 미쳐 정확한 음을 내기 어렵다는 점[4], 발음이 쉽지만 음색 표현이 어렵다는 점[4] 등으로, 바로크 시대 후반인 18세기 무렵부터는 점차 표현력이 뛰어난 플라우토 트라베르소(플루트)에게 주류 악기 자리를 빼앗겼고, 고전파 음악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잊혀졌다.[4]

2. 5. 현대

20세기를 전후하여 르네상스 음악을 다시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의 영향으로 리코더가 다시 연주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초기에는 이러한 움직임에만 제한되어 널리 연주되지는 않았고, 옛 악기 중 하나로만 여겨졌다. 심지어 이고리 스트라빈스키는 리코더를 단지 비슷하게 생겼다는 이유만으로 일종의 클라리넷으로 오해하기도 했다.[18]

리코더가 현대에 널리 알려지게 된 데에는 영국에서 활동한 프랑스인 아르놀드 돌메취와 독일의 학자 및 연주가들의 노력이 컸다. 그에 앞서 유럽에서는 브뤼셀 음악 학교(Brussels Conservatoire)와 ''Bogenhauser Künstlerkapelle''(보겐하우젠 아티스트 밴드)의 선구적인 활동이 있었다. 1890년부터 1939년까지 ''Bogenhauser Künstlerkapelle''는 고전 음악과 낭만주의 시대 음악 등 다양한 시대의 음악을 연주했다. 20세기에 리코더를 부흥시킨 거장들로는 린데, 플루티스트 구스타프 쉐크 등이 있다. 또한 현대음악 작품 중 대표작으로는 윤이상이 작곡한 리코더를 위한 '중국의 그림'이 있다.

이처럼 리코더는 한동안 잊혀졌지만, 20세기 초 고음악 부흥 운동 속에서 영국의 아놀드 돌메치가 복원했으며,[18] 프랑스 브뤼헨 등에 의해 과거의 연주법이 연구되었다. 취주악이나 고전파 음악 이후의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되는 일은 거의 없지만, 고음악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악기일 뿐만 아니라, 현대 음악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리코더의 종류

리코더는 그 역사가 오래된 만큼 음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크게 슈퍼 콘트라베이스 리코더, 콘트라베이스 리코더, 그레이트 베이스 리코더, 베이스 리코더, 테너 리코더, 알토 리코더, 소프라노 리코더, 소프라니노 리코더, 클라이네 소프라니노 리코더(케니 소프라니노 리코더 연주에선 쓰이지 않는다. 참고로 크기는 10cm)로 나뉜다. 각 종류마다 음역이 다르고 특색있는 음을 내기 때문에, 잘 조합하면 아름다운 합주를 만들 수 있다. 독주로 잘 쓰이는 리코더는 알토 리코더와 소프라노 리코더이다.

C 음으로 시작하는 리코더들(소프라노, 테너, 그레이트 베이스)로는 보통 3번째 옥타브의 G 음까지 낼 수 있다. 반면 F 음으로 시작하는 리코더들 (소프라니노, 알토, 베이스) 세 번째 옥타브의 높은 C 음까지 불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네 소프라니노 리코더는 특별히 C로 시작하지만 2번째 옥타브의 A까지밖에 소리를 내지 못한다. 오버 블로잉이나 아랫 관의 구멍을 임시로 막음 으로써 더 고 음역대의 소리를 낼 수 있다. 서서 연주하는 경우 임의로 허벅지를 들어 막는 것이라 빠른 패시지 에서는 더 높은 음역대의 활용을 기대 하긴 힘들다.[1]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소프라니노 리코더(약 23cm), 소프라노 리코더(약 30cm), 알토 리코더(약 42cm), 테너 리코더, 베이스 리코더, 그리고 그레이트 베이스 리코더(약 150cm)이다.


  • 소프라니노 리코더: 매우 높은 음역(피아노의 두 번째 트레블 옥타브의 F음에서 5번째 옥타브의 낮은 C음)을 가졌기 때문에 보통 오케스트라와 잘 조합되지 않는다. 소프라니노는 보통 리코더 오케스트라에서나 독주용으로 쓰인다.
  • 소프라노 리코더: 학교에서 교육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리코더이며 보통 오케스트라의 높은 음 파트를 맡고, 협주용과 독주용으로 쓰인다.
  • 알토 리코더: 음높이가 아주 높거나 아주 낮지도 않고 많은 바로크 리코더 곡들을 원키로 연주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 리코더 연주자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종류다. 이 리코더도 협주용과 독주용으로 쓰인다.
  • 테너 리코더: 소프라노 리코더에서 불 수 있는 모든 곡들을 불 수 있지만, 단지 1 옥타브 아래에서 연주한다. 이 역시 협주용과 독주용으로 쓰인다.
  • 베이스 리코더그레이트 베이스 리코더: 보통 바로크 합주단에서는 거의 안 쓰이며 대신 리코더 오케스트라에서 저음부로 쓰인다. 가끔 독주용으로 쓰지만 대부분은 합주곡의 저음부용이다.


왼쪽부터 소프라니노,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리코더


리코더는 음역에 따라 종류가 다르며, 크기가 커질수록 음역이 낮아진다.

리코더의 음역
C관음역F관음역
가클라인]] || 소프라니노 || --|]]
소프라노(디스칸트)]] || 알토(트레블) || --|]]
테너]] || 베이스 || --|]]
그레이트 베이스]] || 콘트라베이스 || --|]]
서브 콘트라베이스]] || 서브-서브 콘트라베이스 || --|]]



주로 C관과 F관이 사용되며, 그 음역은 오른쪽 표와 같다. 이 외에도 보이스 플루트(테너의 장2도 위의 D관)가 있으며, G관이나 B관 등도 존재한다. 테너 이상의 길이의 악기에는 일반적으로 손가락이 닿지 않는 음공을 막기 위한 키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너에서는 오른손 새끼손가락의 음공에 키가 달려 있는 경우가 많고(키가 없는 것도 일부 있다), 길어짐에 따라 키가 늘어나며, 콘트라베이스 이상이 되면 모든 음공에 키가 달려 있는 것이 보통이다.

어느 것이나 이조 악기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소프라노 이상은 1옥타브 낮게 기보된다. 베이스도 1옥타브 낮게 낮은음자리표로 기보되며, 그레이트 베이스의 경우에는 1옥타브 높게 높은음자리표로 기보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리코더 앙상블의 스코어를 읽을 때 등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4. 바로크식, 저먼식 리코더

리코더는 영국식(바로크식)과 독일식(저먼식)으로 나눌 수 있다. 영국식 리코더는 아래에서 네 번째 구멍(F음)이 작고, 독일식 리코더는 아래에서 세 번째 구멍(E음)이 작다. 영국식 리코더는 독일식 이전부터 쓰여오던 리코더의 '파' 음정 운지가 어렵지만 정확한 음을 낼 수 있다. 독일식은 영국식 리코더를 보급하려 '파' 음계를 쉽게 내도록 개조한 것으로, 처음 배우기는 쉽지만 몇몇 음에서 바로크식 리코더에 비해 정확성이 떨어진다. 특히 '올림 파' 음정을 내기가 힘들다.[1]

보통 플라스틱 리코더를 구별할 때는 영국식 리코더는 뒷면에 알파벳 'B'가, 독일식 리코더는 뒷면에 알파벳 'G'가 있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1] 음공을 여는 방식에는 주류로 바로크식과 저먼식(독일식)의 두 종류가 있는데, 둘 다 기존의 리코더와는 다르다. 저먼식은 20세기 초에 첫 1옥타브운지법이 다소 쉬워지도록 독일의 페터 할란에 의해 개발된 방식이다. 그러나 반음을 내는 것이 어렵고, 고음역이 안정적으로 발음되지 않아, 초등학교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소프라니노 리코더와 소프라노 리코더 외에는 저먼식 악기가 생산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기 때문에, 그 외의 리코더를 연주하려면 결국 바로크식 운지법을 익혀야 한다.[1]

5. 구조

일반적인 리코더는 머리 부분, 중간 부분, 발 부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1] 17세기 후반, 이음매를 가진 구조가 도입되어 음높이 조절이 가능해졌다.[2]

리코더의 머리 부분 단면. A는 블록 또는 피플, B는 윈드웨이, C는 에지 등으로 불린다. 그림의 왼쪽에서 불어넣어진 공기는 B를 통과하여 C 부근에서 흐름이 불안정해져 진동이 발생한다.


리코더 각 부분은 보관 및 휴대 시 분해하고, 연주 시 조립한다. 조립 시 중간 부분 조인트에 그리스를 소량 바르고 돌리면서 연결한다.[1]

머리 부분 내부는 원기둥 모양이지만, 중간 부분과 발 부분 내부는 취구에서 멀어질수록 가늘어지는 원뿔대 모양이다.

5. 1. 재료

리코더는 역사적으로 경목과 상아로 제작되었으며, 때로는 금속 톤 키가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플라스틱을 대량 생산에 사용하며, 일부 개인 제작자도 플라스틱을 사용한다.[26]

오늘날에는 다양한 종류의 경목이 리코더 몸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27][28][29][30][31][32] 리코더 제작에 사용되는 경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리코더 블록(block)은 주로 붉은 삼나무로 만든다. 붉은 삼나무는 썩는 데 강하고, 물을 잘 흡수하며, 젖었을 때 팽창이 적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합성 세라믹을 리코더 블록 제조에 사용하기도 한다.[33]

리코더 관은 메이플, 양배, 츠게 등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부터 자단, 흑단처럼 단단한 재질까지 다양한 목재를 사용한다. 모던 플루트와 달리 리코더 음질은 관 재질에 큰 영향을 받는다. 부드러운 소재는 앙상블용으로, 단단한 소재는 독주용으로 선호된다. 목재는 습도 변화로 갈라질 수 있으므로, 내부에 오일을 바르는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교육용 리코더는 주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물 세척이 가능하고 관리가 쉽다. 검은색 바탕에 흰색 포인트를 준 디자인은 흑단 재질 관에 상아 부품을 사용한 바로크 시대 후반 모델을 본뜬 것이다.

5. 2. 현대적 발전

일부 리코더는 음공 간격이 연주자의 손이 닿기에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손가락 패드로 덮기에 너무 커서, 이러한 경우 보다 인체 공학적으로 배치된 키를 사용하여 음공을 덮을 수 있다. 키는 또한 더 큰 음공이 있는 더 긴 악기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키는 알토보다 큰 리코더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테너보다 큰 악기는 연주자가 8개의 모든 구멍을 덮을 수 있도록 최소한 하나의 키가 필요하다. 키는 편안한 손 뻗기, 음향적으로 향상된 구멍 배치 및 크기를 위해 더 작은 리코더에도 사용되기도 한다.[34]

더 큰 리코더를 연주할 때,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키 또는 음공에 동시에 닿을 수 없고, 입으로 바람길에 닿을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연주자가 편안한 손 위치를 유지하면서 리코더에 불어넣을 수 있도록 보칼을 사용할 수 있다.[35] 또는, 일부 리코더는 연주자가 둘 다 편안하게 닿을 수 있도록 바람길을 키 또는 손가락 구멍에 더 가깝게 배치하는 굽은 보어를 가지고 있다. 단일 굴곡이 있는 악기는 "니크" 또는 굴곡형 넥 리코더라고 알려져 있다.[36]

최근에는 몇몇 새로운 디자인의 리코더가 생산되고 있다. 사각형 단면의 리코더는 회전 가공으로 제작된 리코더보다 저렴하고 대량으로 생산될 수 있다.[37][38] 또 다른 발전 분야는 더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와 더 강력한 낮은음을 가진 악기의 개발이다. 이러한 현대적인 디자인은 협주곡에서 더 잘 들리도록 해준다. 마지막으로, 반음 확장된 리코더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악기는 정확한 음정으로 완전한 3옥타브를 연주할 수 있다.[39]

독일식 운지법을 가진 리코더. 네 번째 지공이 다섯 번째 지공보다 크다는 것을 주목하라.

6. 운지법

리코더 운지법에는 바로크식과 저먼식(독일식) 두 종류가 있다. 바로크식 리코더는 아래에서 네 번째 구멍(F음)이 작고, 저먼식 리코더는 아래에서 세 번째 구멍(E음)이 작은 것이 특징이다. 보통 플라스틱 리코더는 뒷면에 알파벳 'B'(바로크식) 또는 'G'(저먼식)가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저먼식은 20세기 초 페터 할란이 개발한 방식으로, 첫 1옥타브 운지법이 다소 쉽다. 그러나 반음 연주가 어렵고 고음역이 불안정하여 초등학교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소프라니노와 소프라노 리코더 외에는 저먼식 악기가 생산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어, 다른 리코더를 연주하려면 결국 바로크식 운지법을 익혀야 한다.[40][41]

7. 음향학

리코더는 휘슬이나 오르간 플루트 파이프와 같은 방식으로 소리를 낸다. 일반적인 연주에서는 ''윈드웨이''에 바람을 불어넣으면, 좁은 통로를 통해 ''라비움''이라는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향해 공기 흐름이 유도된다. 공기 흐름은 라비움 위아래를 번갈아 이동하며 리코더 관 내부에서 정상파를 발생시키고, 윈도우에서 방출되는 소리를 만들어낸다. 튜브의 공명으로부터의 피드백은 소리의 음높이를 조절한다.[3]

모든 목관 악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리코더 내부의 공기 기둥은 마치 진동하는 현과 같이 작용하며, 여러 개의 배음 진동 모드를 갖는다. 인식되는 음높이는 공기 기둥에서 가장 낮고 일반적으로 가장 큰 진동 모드이다. 다른 음높이는 ''고조파'' 또는 ''배음''이다. 연주자는 일반적으로 공기 기둥의 노드 수를 기준으로 리코더의 음높이를 설명한다. 노드가 하나인 음은 ''제1 음역'', 노드가 두 개인 음은 ''제2 음역'' 등에 해당한다.

리코더 소리는 대부분 고차 배음이 부족하며, 짝수 배음이 거의 없는 반면 홀수 배음이 소리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3][4] 프레토리우스 이후의 작가들은 인간의 귀가 리코더의 옥타브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덕트형 휘슬의 음높이는 공기 흐름이 라비움에 부딪히는 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음높이는 일반적으로 기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 상승한다.[47] 기류 속도가 높아지면, 공기 기둥의 낮은 진동 모드가 불안정해져 음역이 변경되는 오버 블로잉 현상이 발생한다.

기류는 리코더 헤드의 표면 모양("보이싱")과 연주자가 윈드웨이에 공기를 불어넣는 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연주자는 횡격막과 성도를 사용하여 기류의 속도와 난류를 제어할 수 있다.

발음 원리는 같은 에어 리드 악기인 플루트오카리나와 큰 차이가 없으며, 가장자리 부근에서의 기류의 흐트러짐이 진동원이 되어 관 내부의 공기(기주)가 공명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음공을 개폐하면 기주의 실효 길이가 바뀌므로 공명 주파수가 변화하여 음고 (피치)를 바꿀 수 있다.

8. 연주 기법

일반적인 연주 자세에서 리코더는 양손으로 잡고 입술로 지지하며, 손가락 패드로 음공을 덮거나 키를 누른다. 아래쪽 손에는 네 손가락, 위쪽 손에는 검지, 중지, 약지와 엄지손가락을 사용한다. 현대 표준 관행에서는 오른손이 아래쪽 손이고 왼손은 위쪽 손이지만, 리코더가 현대에 부활하기 전에는 표준화되지 않았다.[48]

리코더는 입술로 지지되는데, 입술은 악기의 주둥이 주변을 느슨하게 밀봉하고, 아래쪽 손의 엄지손가락과, 손가락으로 누르는 음에 따라 다른 손가락과 위쪽 엄지손가락으로 지지된다. 더 큰 리코더는 엄지 받침대나 추가적인 지지를 위한 넥 스트랩을 가질 수 있으며, 연주자의 입에서 기도를 통해 공기를 전달하기 위해 보칼을 사용할 수 있다. 리코더는 일반적으로 수직과 수평 사이의 각도로 잡힌다.[48]

리코더를 연주하는 연주자


분지형 운지법은 열린 구멍 아래에 덮인 구멍이 있는 운지법, 즉 구멍을 여는 순서가 순차적이지 않은 운지법이다. 예를 들어, 운지법 0123 56 (F5)은 열린 구멍 4 아래에 구멍 5와 6이 덮여 있기 때문에 분지형 운지법이다.[48] 분지형 운지법은 미분음적인 음높이 변화를 생성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분지형 운지법은 비분지형 운지법과 다른 배음 프로파일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더 약한 소리를 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음색을 가지거나 약간 날카롭거나 플랫한 분지형 운지법은 소위 "대체 운지법"을 제공할 수 있다.[48]

구멍 부분 덮기는 모든 리코더 연주 기법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는 "새는 것", "음영 처리", "반 구멍 막기"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엄지 구멍의 경우 "쪼기"라고도 한다.[48] 엄지 구멍의 주요 기능은 옥타브 통풍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엄지 구멍을 새게 하면 공기 기둥의 첫 번째 진동 모드가 불안정해진다. 즉, 음역이 바뀐다. 대부분의 리코더에서는 가장 낮은 음보다 9도 이상 높은 모든 음을 연주하는 데 필요하다. 연주자는 이러한 음들이 안정적으로 튜닝되도록 엄지 위치를 조절해야 한다.[48]

엄지 구멍을 부분적으로 여는 것은 엄지를 구멍에서 미끄러뜨리거나 굴리거나, 첫 번째 마디에서 엄지를 구부려 수행할 수 있다. 덮인 구멍을 부분적으로 열기 위해, 연주자는 손가락을 구멍에서 미끄러뜨리거나, 구멍에서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굴리거나, 구멍에서 손가락을 부드럽게 들어 올리거나, 이러한 동작을 조합할 수 있다. 열린 구멍을 부분적으로 덮으려면 반대로 수행할 수 있다.[48] 일반적으로 덮인 손가락 구멍을 부분적으로 열면 소리 나는 음의 음높이가 높아지고, 열린 손가락 구멍을 부분적으로 덮으면 음높이가 낮아진다.[48]

대부분의 "바로크" 모델의 현대 리코더에서는 아랫손의 아래쪽 두 손가락이 실제로 각각 두 개의 구멍을 덮는다("이중 구멍"이라고 함).[48] 리코더 연주자는 이 두 개의 더 작은 구멍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덮음으로써 최저 음보다 반음 위, 최저 음보다 단 3도 위의 음을 낼 수 있다.[48]

연주자 반대편에 있는 관의 열린 끝 부분("벨")을 덮어 추가적인 음표나 효과를 낼 수 있다. 양손 모두 일반적으로 리코더를 잡거나 지공을 덮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벨을 덮는 것은 일반적으로 리코더의 끝을 다리나 무릎에 접촉시켜 이루어진다.[48] 벨을 덮는 주법은 리코더의 반음계 연주 가능 범위를 명목상의 지공 범위 위와 아래로 확장한다.

리코더 소리의 음높이와 음량은 바람길을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호흡 압력과 성도의 모양을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람길의 공기가 빠를수록 음높이가 높아진다.[48] 따라서 더 세게 불면 음이 날카롭게 들리고, 부드럽게 불면 음이 낮게 들린다. 리코더의 흡입 및 호기 기법은 리드 악기나 금관 악기와 달리 소리를 내는 데 공기 압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다른 많은 관악기와 다르다.[49] 따라서 리코더 연주자는 종종 매우 낮은 압력으로 길고 통제된 기류를 생성해야 한다.

혀를 사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멈추고 시작하는 것을 "설주법"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기능에서 혀는 음표의 시작(어택)과 끝 또는 음표의 길이(레가토, 스타카토)를 제어하는 두 가지 기본적인 기능을 한다. 설주법은 대략 자음과 유사하다. 일반적인 설주 패턴에는 "두 두 두 두"(싱글 통깅), "두 구 두 구"(더블 통깅), "두 g'll 두 g'll"(트리플 통깅)이 있다.

입과 목의 모양은 대략 모음과 유사하다. 성도의 모양은 리코더로 들어가는 공기의 속도와 난류에 영향을 미친다. 입과 성도의 모양은 설주에 사용되는 자음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연주자는 혀와 손가락을 조절하여 발음과 손가락 움직임을 일치시켜야 한다. 정상적인 연주에서는, 레가토 구절이나 어려운 손가락 전환에서도 발음은 적절한 손가락 운지에 맞춰야 하며, 손가락은 혀로 공기를 막아 만들어지는 음표 사이의 짧은 쉼(발음의 쉼) 동안 움직인다. 손가락과 호흡 모두 리코더의 음높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둘을 조절하는 것은 리코더를 정확한 음정으로, 다양한 다이내믹스와 음색으로 연주하는 데 필수적이다.

9. 한국에서의 리코더

대한민국에서는 초등학교 음악 시간에 주로 리코더를 사용하여 서양악기 연주를 배운다. 보통 초등학교 3~4학년 때 소프라노 리코더를 배우고, 중학교에 들어가면 알토 리코더를 배운다. 일부 학생들은 방과 후 활동이나 동아리 활동을 통해 테너나 베이스 리코더를 연주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리코더 보급을 쉽게 하기 위해 주로 독일식 소프라노 리코더를 사용한다. 그러나 전문적으로 리코더를 연주하는 경우에는 영국식 리코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1993년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기악과에 리코더과가 개설되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리코더 전공이 가능한 유일한 4년제 국립 특수 대학교는 한국예술종합학교이다.[114]

플라스틱 리코더(야마하)

10. 명칭

리코더와 유사한 형태의 악기는 철기시대부터 존재했지만, 리코더를 다른 원시 관악기와 구분하는 기준은 여덟 개의 구멍(앞면에 일곱 개, 뒷면에 엄지손가락으로 막는 구멍 하나)과 가장 넓은 형태의 입구멍이다. 이러한 형태의 악기는 14세기부터 크게 발전했다.[5]

14세기 경의 리코더는 네덜란드 도르드레흐트의 한 의 외호, 독일 남부, 에슬링겐암네카어, 에스토니아 타르투 등에서 발견되었다. 그리스 로도스섬폴란드 엘블롱크에서는 14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리코더가 발견되었다.[5]

초기의 리코더는 오른손이나 왼쪽 손만으로 연주하도록 만들어졌으며, 모든 구멍이 일직선 상에 있었지만 새끼손가락을 위해 맨 끝 구멍은 약간 기울어져 있었다. 이 마지막 구멍은 두 개가 뚫려 있었는데, 이후 오른손 연주 형식이 자리 잡으면서 두 번째 구멍은 사라졌다.

16세기17세기에 리코더는 예술 음악이 성직자나 귀족뿐 아니라 널리 퍼지고 인쇄술이 발달하면서 민중에게도 큰 인기를 끌었다. 헨리 8세는 76개의 리코더를 소유했으며, 셰익스피어와 존 밀튼의 작품에도 리코더가 등장한다. 르네상스 시대 리코더는 주로 춤곡에서 성악과 함께 쓰였으며, 앙상블과 같은 계통의 악기로만 연주하는 합주단(consorts)이 유행하면서 리코더의 크기와 음역도 다양해졌다.

"recorder"라는 단어는 1388년 더비 백작(후에 헨리 4세)의 가계부에 처음 등장했으며, i. fistula nomine Recordourla (Recordour라는 파이프 하나)라고 기록되어 있다.[5] 15세기에는 존 리드게이트의 '유리 사원'( 1430)과 '제후의 타락'( 1431–1438) 등 영어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6][7][8]

10. 1. 어원

"리코더"라는 악기 이름은 라틴어 recordārīla(마음에 떠올리다, 기억하다, 회상하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중세 프랑스어 동사 recorderfrm(1349년 이전; 기억하다, 암기하다, 반복하다, 이야기하다, 낭송하다, 음악을 연주하다)[9][10]와 그 파생어 recordeurfrm(이야기를 다시 하는 사람, 음유 시인)[11][12]에서 비롯되었다. "리코더"의 다양하고 겉보기에 관련 없어 보이는 의미들은 중세 시대 음유 시인의 역할, 즉 시를 암기하고 나중에 음악 반주와 함께 낭송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10]

"리코더"라는 이름을 악기 자체에 붙인 것은 영어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현상이다. 중세 프랑스어에는 악기를 지칭하는 recorderfrm와 같은 명사적 의미가 없었다.[13] 영어 동사 "record"(중세 프랑스어 recorderfrm에서 유래, 13세기 초)는 "암기하다, 기억 속에 새기다, 마음속으로 되새기다, 낭송하다"를 의미했지만, 16세기까지 "음악을 연주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지 않았다. 영어 리코더가 명명된 후 한참 지나서야 "조용히 곡을 연습하다" 또는 "노래하다"라는 두 가지 의미가 추가되었는데, 이 두 가지 의미는 거의 전적으로 새(특히 노래하는 새)를 지칭하는 것이었다.[9]

10. 2. "플루트"와 "리코더"

1673년 프랑스 전문가 그룹에 의해 영국에 바로크 리코더가 도입되면서 flute douce프랑스어(플루트 두스) 또는 flute프랑스어(플루트)라는 프랑스어 이름이 대중화되었다.[5] 1695년경까지 'recorder(리코더)'와 'flute(플루트)'라는 이름이 중복되어 사용되었지만, 1673년부터 1720년대 후반까지 영국에서 'flute(플루트)'는 항상 리코더를 의미했다.[5] 1720년대에 가로 플루트가 리코더의 인기를 넘어서자, 영어는 리코더를 "common flute(일반 플루트)", "common English-flute(일반 잉글리시 플루트)", "English flute(잉글리시 플루트)" 등으로 구분하고, 가로 악기를 "German flute(독일 플루트)" 또는 "flute(플루트)"로 구분하였다.[15]

10. 3. 다른 언어

18세기 중반까지 이탈리아어로 쓰인 악보에서는 리코더를 flautoit라고 불렀으며, 가로로 부는 악기는 flauto traversoit라고 불렀다.[5] 대부분의 유럽 언어에서 리코더를 처음 지칭하는 단어는 플루트라는 단어 자체였다. 1530년대부터 이러한 언어들은 이 특정한 플루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수식어를 추가하기 시작했다.[5]

11. 리코더 앙상블

리코더는 매우 사교적인 악기이다. 많은 리코더 연주자들이 대규모 그룹이나 1인 1파트 실내악 그룹에 참여하며, 이러한 그룹을 위한 다양한 음악이 존재하고, 현대 작품도 많다. 서로 다른 크기의 악기 그룹은 개별 악기의 제한된 음역을 보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파트로 구성된 4성부 편성이 리코더 연주에 흔히 사용되며, 각 악기에 여러 파트가 있고 더 낮거나 높은 악기를 위한 파트가 있는 더 복잡한 편성도 정기적으로 사용된다.[118]

참조

[1] 웹사이트 Duct flute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2-06
[2] 서적 The Recorder Toda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The Physicist's Guide to the Orchestra 2001-01
[4] 웹사이트 Recorder https://archive.toda[...]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2-06
[5] 문서 Recorder Oxford Music Online
[6] 서적 Lydgate's Temple of Glas Oxford University Press
[7] 문서 recorder
[8] 서적 Lydgate's Fall of Princes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0] 웹사이트 recorder1, verbe https://www.cnrtl.fr[...] Centre National de Ressources Textuelles et Lexicales 2016-02-05
[1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2] 웹사이트 recordeur http://www.cnrtl.fr/[...] Centre National de Ressources Textuelles et Lexicales 2016-02-05
[13] 웹사이트 Résultats de "recorder1" dans le Dictionnaire du Moyen Français http://www.cnrtl.fr/[...] Centre National de Ressources Textuelles et Lexicales 2016-02-05
[14] 서적 Origins: A Short Etymological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Routledge
[15] 웹사이트 Stanesby : Tenor Recorder ("The True Concert Flute") http://www.flute-a-b[...]
[16] 웹사이트 Catalogue of Recorder Repertoire: Advanced search http://www.blokfluit[...] 2016-02-04
[17] 서적 Woodwind Instruments and Their History
[18] 간행물 The Invention of the Recorder Peacock Press 2016-09
[19] 서적 Woodwind Instruments and Their History
[20] 웹사이트 Adrian Brown Recorders: Recorder Types https://web.archive.[...] 2016-02-09
[21] 웹사이트 Renaissance recorder database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Catalogue of Recorder Repertoire: Advanced search http://www.blokfluit[...] 2016-02-04
[23] 문서 Carl Dolmetsch and the Recorder Repertoire of the 20th Century Ashgate Publishing Ltd
[24] IMSLP
[25] IMSLP
[26] 웹사이트 Flutes and recorders - http://www.bernolin.[...] 2016-02-07
[27] 서적 The Amateur Wind Instrument Maker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8] 웹사이트 Wood types http://www.mollenhau[...] Conrad Mollenhauer GmbH 2014-11-09
[29] 웹사이트 The different woods https://web.archive.[...] Moeck 2014-11-09
[30] 웹사이트 The different woods https://www.vonhuene[...] von Huene Workshop 2014-11-09
[31] 웹사이트 The different woods https://web.archive.[...] Bill Lazar's Early Music 2014-11-09
[32] 웹사이트 The different woods http://www.aswltd.co[...] Antique Sound Workshop 2014-11-09
[33] 웹사이트 FAQs about Recorders#REDIRECT What is the Block of a Recorder Made Of? https://web.archive.[...] Conrad Mollenhauer GmbH 2016-02-06
[34] 웹사이트 The Von Huene Workshop and the Early Music Shop of New England#REDIRECT Ergonomic or "Comfort" http://www.vonhuene.[...] 2016-02-06
[35] 웹사이트 The Von Huene Workshop and the Early Music Shop of New England#REDIRECT Küng "Superio" Contrabass http://www.vonhuene.[...] 2016-02-06
[36] 웹사이트 The Von Huene Workshop and the Early Music Shop of New England#REDIRECT http://www.vonhuene.[...] 2016-02-06
[37] 웹사이트 Millennium Recorders https://www.dolmetsc[...]
[38] 웹사이트 Kunath Instrumentenbau#REDIRECT http://www.kunath.co[...] 2016-02-05
[39] 웹사이트 Modern Alto mit E-foot http://www.mollenhau[...] Conrad Mollenhauer GmbH 2012-10-18
[40] 서적 Recorder Technique
[41] 서적 The Recorder and Its Music Eulenburg
[42] 서적 'Playing Recorder Sonatas: Interpretation and technique'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Rec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Harpsichord Pitch and Transposition http://zhi.net/techn[...]
[45] 웹사이트 Ganassi – Renaissance recorders http://www.sorel-rec[...]
[46] 웹사이트 Stanesby – Baroque alto recorder in F, A:403 Hz http://www.sorel-rec[...]
[47] 웹사이트 Pipe sensitivity http://www.fonema.se[...] 2016-02-11
[48] 웹사이트 Recorder Fingerings http://www.dolmetsch[...] 2016-02-04
[49] 웹사이트 Breathing {{!}} Recorder Home Page http://www.recorderh[...] 2018-01-19
[50] 간행물 Baroque/English Recorder Fingering Chart https://www.dolmetsc[...] Dolmetsch
[53] 웹사이트 Recorder font by algomgom https://www.fontspac[...] 2012-02-20
[54] 서적 Origins and Development of Musical Instruments Scarecrow Press
[55] 학술지 When is a recorder not a recorder? http://www.fomrhi.or[...] Fellowship of Makers and Researchers of Historic Instruments 2008
[56] 웹사이트 A Memento: The Medieval Recorder http://www.recorderh[...]
[57] 학술지 Some Recent Archaeo-Organological Finds in Germany 1995-03
[58] 문서 Musica getutscht
[59] 웹사이트 Renaissance recorder makers http://www.adrianbro[...] 2016-02-10
[60] 문서 Opera Intitula Fontegara, Laquale isegna a sonare di flauto cho tutta l'arte opportuna a esso istrumento massime il diminuire ilquale sara utile ad ogni istrumeno di fiato et chorde et anchora a chi si dileta di canto
[61] 웹사이트 Recorder Home Page Databases http://www.recorderh[...] 2016-02-10
[62] 웹사이트 Recorder Home Page Databases http://www.recorderh[...] 2016-02-10
[63] 웹사이트 Recorder Home Page Databases http://www.recorderh[...] 2016-02-10
[64] 학술지 '"Musica getutscht: A treatise on musical instruments (1511)" by Sebastian Virdung. Trans. and ed. Beth Bullard' http://scholarship.c[...] 1994
[65] 학술지 Martin Agricola's Poetic Discussion of the Recorder and Other Woodwind Instruments 1980–1983
[66] 문서 Musica instrumentalis Deudsch (Agricola)
[67] 웹사이트 Ganassi, Silvestro di http://www.treccani.[...] 2016-02-12
[68] 학술지 Flötensignaturen auf alten Gemälden 1994
[69] 문서 Opera intitulata fontegara (Ganassi)
[70] 문서 Il Dolcimelo (Virgiliano)
[71] 웹사이트 dolciflauti » Double Recorder http://www.livirghi.[...] 2016-02-07
[72] 서적 Catalogus: A Corpus of Trecento Pictures with Musical Subject Matter Imago Musicae
[73] 간행물 A Double Recorder http://www.fomrhi.or[...] Fellowship of Makers and Researchers of Historical Instruments 2015-08-06
[74] 문서 The Ganassi recorder: separating fact from fiction 1984
[75] 문서 Pavans, Galliards, Almains and other short Aeirs, both grave and light, in five parts, for Viols, Violins, recorders or other Musicall Winde Instruments 1599
[76] 간행물 The Recorder Consort at the English Court 1540–1673: Part I https://web.archive.[...] 2016-02-14
[77] 문서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Recorder
[78] 문서 Oxford Companion to Music
[79] 문서 Hamlet
[80] 문서 Paradise Lost, Book I
[81] 웹사이트 Literary References http://www.recorderh[...] Recorder Home Page 2014-06-30
[82] 서적 From Renaissance To Baroque: Change in Instruments and Instrumental Music in the Seventeenth Century Ashgate Publishing, Ltd 2005
[83] 웹사이트 The Recorder Homepage http://www.recorderh[...] 2014-06-30
[84] 간행물 'Flautino' und 'Flasolet' bei Antonio Vivaldi 1998
[85] 간행물 Vivaldis Konzerte 'per Flautino' in ihrer wahren Gestalt: Ein letzter Leseversuch 1998
[86] 간행물 "Vivaldi's Music for Flute and Recorder" by Federico Sardelli http://scholarship.c[...] 2008
[87] 문서 Trio Sonata in F major, H.588 (Bach, Carl Philipp Emanuel)
[88] 웹사이트 Schultze, Johann Christian (c. 1740): Concert B flat-Major-EW986 https://web.archive.[...] 2016-02-12
[89] 문서 2012
[90] 문서 The Decline of the Recorder in the 18th Century 1967
[91] 서적 Musical Instruments: History, Technology, and Performance of Instruments of Western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92] 간행물 The English-Flageolet 1800–1900 2010
[93] 간행물 Bahn frei! Kreative Blockkonstruktionen im 19. Jahrhundert 2005
[94] 웹사이트 The French Flageolet: An Introduction http://www.flageolet[...] 2016-02-12
[95] 간행물 Blockflöten im 19. Jahrhundert: Fiktion oder Wirklichkeit? 2005-12
[96] 간행물 Was ist ein Csakan? Von der Waffe zum Musikinstrument 2009
[97] 웹사이트 Csakan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98] 웹사이트 Csakan https://web.archive.[...] 2016-02-14
[99] 웹사이트 J. Ziegler, Csakan, A flat http://www.wennerflo[...] 2016-02-14
[100] 간행물 Barockblockflöten 2.0: Indizien für die Verwendung von Barockblockflöten um 1800 2010
[101] 문서 The Recorder 1800–1905 2007
[102] 문서 Bahn frei! Kreative Blockkonstruktionen im 19 Jahrhundert 2005
[103] 웹사이트 Csakan https://web.archive.[...] 2016-02-10
[104] 서적 The Recorder Toda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105] 웹사이트 BBC Young Musician http://www.bbc.co.uk[...] 2014-11-25
[106] 웹사이트 Catalogue of Recorder Repertoire: Home http://www.blokfluit[...] 2016-02-12
[107] 웹사이트 The Recorder Home Page maintained by Nicholas S. Lander http://www.recorderh[...] 2007-08-18
[108] 뉴스 The Enduring Mystery of Jefferson Airplane's ''Surrealistic Pillow'' https://observer.com[...] The New York Observer 2017-02-01
[109] 웹사이트 The Recorder Home Page maintained by Nicholas S. Lander http://www.recorderh[...] 2007-08-18
[110] 웹사이트 Discogs.com's page on the album ''A Kiss in the Dreamhouse'' http://www.discogs.c[...]
[111] 웹사이트 Philippe Bolton, Recorder Maker#REDIRECT http://www.flute-a-b[...]
[112] 웹사이트 Philippe Bolton, Recorder Maker#REDIRECT http://www.flute-a-b[...]
[113] 웹사이트 Innovations http://www.recorderh[...]
[114] 웹사이트 Orff-Schulwerk Floetenbuch, Preface. Translated by I.M. Rushworth. http://www.vosa.org/[...] 2016-03-04
[115] 서적 Teaching Kids Recorder iUniverse 2005
[116] 간행물 The Recorder in Japan 1982-01
[117] 뉴스 Every Child Gets to Be a Musician Here https://www.japantim[...] 2001-12-14
[118] 웹사이트 Recorder flute definition of Recorder flute in the Free Online Encyclopedia http://encyclopedia2[...] Encyclopedia2.thefreedictionary.com 2013-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