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필기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필기체는 고대 로마 시대에 사용된 필기체로, 고 로마 필기체와 신 로마 필기체로 구분된다. 고 로마 필기체는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3세기까지 주로 사용되었으며, 상업, 교육,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이 필기체는 대문자 형태로, 현대인이 읽기 어려울 정도로 글자 형태가 변형되었으며, 플라우투스의 저작에서도 그 난해함이 언급되었다. 신 로마 필기체는 고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하여 서기 3세기부터 7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현대적인 소문자와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 필기체는 카롤링거 소문자체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현대 소문자의 원형으로 부활했다.
고 로마 필기체는 대문자 필기체라고도 불리며, 상인들이 장부를 쓰거나, 학교 학생들이 로마자를 배우거나, 로마 황제가 조칙을 쓰는 등 일상적인 손글씨로 사용되었다. 로마 대문자체라는 더 공식적인 글꼴도 있었지만, 필기체는 빠르고 비공식적인 문서 작성에 사용되었다. 기원전 1세기부터 서기 3세기에 걸쳐 가장 널리 사용되었으나, 그 이전에도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폼페이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비문은 이 필기체로 쓰여 있다.
신 로마 필기체는 소문자 필기체 또는 후기 로마 필기체로도 불리며, 고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하여 3세기부터 7세기경까지 사용되었다. 현대인이 보기에도 ''a'', ''b'', ''d'', ''e''와 같이 알기 쉬운 문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의 문자도 베이스라인 위에 크기나 위치가 크게 변하는 일 없이, 일정한 비율로 맞춰서 기록되어 있다.[10]
2. 고 로마 필기체
2. 1. 특징
고 로마 필기체는 원형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변화하여, 현대 필기체에 익숙한 현대인이 보더라도 읽기가 매우 힘들다. 많은 경우 합자를 사용하고 있어, 몇몇 문자는 서로 구별하기 어렵다. 'a'는 언셜체의 'a'와 유사하나, 왼쪽 획이 똑바로 서 있다. 'b'와 'd'는 구별하기 어렵고, 'e'는 's'와 마찬가지로 위쪽까지 닿게 쓰여졌으며, 'p'와 't'는 매우 비슷하며, 'v'는 기준선 위에 쓰여져 셰브론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9]
...uobis · ujdetur · p[atres] · c[onscripti] · decernámus · ut · etiam
prólátis · rebus ijs · júdicibus · necessitas · júdicandi
jmponátur quj · jntrá rerum · agendárum · dies
jncoháta · judicia · non · peregerint · nec
defuturas · ignoro · fraudes · monstróse · agentibus
multas · aduersus · quas · excogitáuimus · spero...
로마 필기체의 독특한 필기 스타일은 구어적인 맥락에서 문자의 디자인이 단순화되면서 나타났다. 로마 필기체의 발전 과정에서 서로 다른 문자를 새기는 데 필요한 획의 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로마 필기체는 필기구를 들지 않고 글을 쓸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문자의 획을 연결했다. 표준 문자의 각도는 현대적인 서예 도구로 곡선을 쉽게 그릴 수 있도록 로마 필기체에서 곡선으로 쓰였다. 로마 필기체의 곡선은 표준 라틴 서예의 곡선보다 작았는데, 이는 더 작은 곡선이 더 큰 곡선보다 그리기가 쉽기 때문일 것이다.[2]
2. 2. 플라우투스의 기록
기원전 2세기 초, 플라우투스는 자신의 저서 《프세우돌루스》에서 필기체의 읽기 어려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9]
Calidorus: Cape has tabellas, tute hinc narrato tibi quae me miseria et cura contabefacit.|칼리도루스: 이 편지를 손에 들어, 어떤 재난와 환란이 나를 괴롭히고 있는가를 말해주게.la
Pseudolus: Mos tibi geretur. Sed quid hoc, quaeso?|프세우돌루스: 그러지요. 그런데, 이게 무엇입니까?la
Calidorus: Quid est?|칼리도루스: 뭐가?la
Pseudolus: Ut opinor, quaerunt litterae hae sibi liberos: alia aliam scandit.|프세우돌루스: 제가 보기에는, 이 글자들은 아이들이 되고 싶어하는 것처럼 보이는군요. 한 글자가 다른 글자 위에 올라가 있소.la
Calidorus: Ludis iam ludo tuo?|칼리도루스: 그대의 여느때 처럼의 농담인가?la
Pseudolus: Has quidem pol credo nisi Sibylla legerit, interpretari alium posse neminem.|프세우돌루스: 진실로 폴리데우케스에게 맹세코, 시빌라라면 읽어도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을 거요.la
Calidorus: Cur inclementer dicis lepidis litteris lepidis tabellis lepida conscriptis manu?|칼리도루스: 이 우아한 손으로 써낸 우아한 글과 우아한 편지를 그대는 어째서 그리 심하게 말하는지?la
Pseudolus: An, opsecro Hercle, habent quas gallinae manus? Nam has quidem gallina scripsit.|프세우돌루스: 아니, 헤라클레스에게 맹세코, 어떤 암탉이 이런 손을 가졌을까, 물론 이 편지는 암탉이 쓴 것이겠죠.la
고대 로마 필기체는 원형을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변화되어, 현대의 필기체에 익숙한 사람도 읽기 매우 힘들다. 많은 합자를 사용하고 있어, 몇몇 문자는 서로 구별하기 어렵다. 'a'는 언셜체의 'a'와 비슷하지만, 왼쪽 획이 직선이다. 'b'와 'd'는 구별하기 어렵고, 'e'는 (''s''와 마찬가지로) 위까지 닿게 쓰여졌으며, 'p'와 't'는 매우 비슷하며, 'v'는 기준선 위에 쓰여져 셰브론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5]
3. 신 로마 필기체
이 글꼴을 일부 기본으로 한 '카롤링 소문자체'가 발명되어 9세기에 아헨 및 투르에서 발전하였고, 카롤루스 대제의 제국에서 필기체를 통일할 목적으로 보급되었다. 카롤링 소문자체는 그 후 흑자체로 발전하여 사용되지 않게 되었으나, 르네상스 시대에 다시 부활하여 현대 소문자의 원형이 되었다. 언셜체와 반언셜체도 신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된 것으로 보이며, ''a'', ''g'', ''r'', ''s''의 모양이 특히 매우 유사하다.[10]
Jan-Olaf Tjäder에 따르면, 신 로마 필기체는 언셜체 뿐만 아니라 중세에 사용된 모든 글꼴에 영향을 끼쳤다.[11][12] 게일 문자는 언셜체가 후대에까지 사용된 예이다.
3. 1. 특징
신 로마 필기체는 소문자 필기체 또는 후기 로마 필기체라고도 불리며, 고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하였다. 서기 3세기부터 7세기경까지 사용되었으며, 현대인이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문자를 사용한다.
''a'', ''b'', ''d'', ''e''는 현대인에게 친숙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 외의 문자도 베이스라인 위에서 크기와 위치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서로의 비율을 유지하며 쓰인다.[2]
이 서체를 부분적으로 바탕으로 "카롤링 소문자체"라는 서체가 발명되었고, 9세기에 아헨과 투르에서 발달하여, 카롤루스 대제의 제국에서 필기체를 통일할 목적으로 보급되었다.
카롤링거 소문자체는 이후, 읽기 어려운 흑자체로 발전하여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르네상스에서 부활하여 현대 소문자의 원형이 되었다.
언셜체와 반언셜체 역시 신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이며, ''a'', ''g'', ''r'', ''s''의 형태가 특히 매우 흡사하다.[10]
Jan-Olaf Tjäder에 따르면, 신 로마 필기체는 언셜체 뿐만 아니라 중세에 사용된 모든 서체에 영향을 미쳤다.[11][12] 게일 문자는 언셜체가 후세까지 사용된 예이다.
3. 2. 영향
신 로마 필기체는 소문자 필기체 또는 후기 로마 필기체라고도 불리며, 고대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했다. 서기 3세기부터 7세기경에 사용되었으며, 현대인이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문자를 사용한다. ''a'', ''b'', ''d'', ''e''는 현대인에게 친숙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 외의 문자도 베이스라인 위에서 크기와 위치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서로의 비율을 유지하며 쓰인다.[2]
이 서체를 부분적으로 바탕으로 "카롤링 소문자체"로 알려진 서체가 발명되었고, 9세기에 아헨과 투르에서 발달하여, 카롤루스 대제의 제국에서 필기체를 통일할 목적으로 보급되었다. 카롤링거 소문자체는 이후, 읽기 어려운 고딕 문자로 발전하여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르네상스에서 부활하여 현대의 소문자의 원형이 되었다.
언셜체와 반 언셜체 역시 신 로마 필기체에서 발전한 것으로 보이며, ''a'', ''g'', ''r'', ''s''의 형태가 특히 매우 흡사하다.[10] Jan-Olaf Tjäder에 따르면, 신 로마 필기체는 언셜체 뿐만 아니라 중세에 사용된 모든 서체에 영향을 미쳤다.[11][12] 게일 문자는 언셜체가 후세까지 사용된 예이다.[4]
참조
[1]
웹사이트
Scripts at Vindolanda
http://vindolanda.cs[...]
Oxford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Latin Paleoepigraphy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0
[3]
간행물
New Roman Cursive: (IVth–VIIth centurie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4-11
[4]
웹사이트
Scripts at Vindolanda: Historical context
http://vindolanda.cs[...]
Oxford
[5]
웹사이트
Vindolanda Tablets Online
http://vindolanda.cs[...]
[6]
웹사이트
Vindolanda Tablets Online: Historical context
http://vindolanda.cs[...]
[7]
문서
Jan-Olaf Tjäder
Lund
1955
[8]
웹사이트
Vindolanda Tablets Online
http://vindolanda.cs[...]
Oxford
[9]
웹사이트
Vindolanda Tablets Online
http://vindolanda.cs[...]
[10]
웹사이트
Vindolanda Tablets Online: Historical context
http://vindolanda.cs[...]
[11]
문서
Jan-Olaf Tjäder
Lund
1955
[12]
웹사이트
Vindolanda Tablets Online
http://vindolanda.cs[...]
Oxf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