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세기는 로마 제국의 변화, 기독교의 부상, 동아시아의 격변, 문화와 기술 발전이 두드러진 시기이다. 로마 제국은 콘스탄티누스 1세의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 박해를 종식하고, 수도를 비잔티움으로 옮겼으며,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아리우스파를 이단으로 규정했다. 아르메니아 왕국과 악숨 왕국이 기독교를 받아들였고, 테오도시우스 1세는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했다. 동로마와 서로마로 분열된 로마 제국은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쇠퇴했다.
동아시아에서는 고구려가 낙랑군을 멸망시키고 백제, 신라가 성장했으며, 중국에서는 오호 십육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고분 시대가 시작되었다. 문화적으로는 등자의 발명, 카마 수트라의 편찬, 기독교 성경의 필사, 불교의 전래, 산스크리트 문학의 발전 등이 이루어졌다. 주요 인물로는 콘스탄티누스 1세, 근초고왕, 사무드라굽타, 왕희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4세기 | |
---|---|
4세기 | |
기간 | 301년 ~ 400년 |
주요 사건 | |
정치 및 사회 |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가 확산됨. 콘스탄티누스 1세가 기독교를 공인하고, 로마 제국의 수도를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김. 훈족이 유럽으로 이동하기 시작. 서진 멸망, 오호십육국시대 시작. 백제 근초고왕이 마한을 정복하고 전성기를 맞이함. |
문화 및 예술 | 간다라 미술이 발전함. 크메르 문화가 시작됨. |
년대 및 세기 | |
300년대 | 300년대 |
310년대 | 310년대 |
320년대 | 320년대 |
330년대 | 330년대 |
340년대 | 340년대 |
350년대 | 350년대 |
360년대 | 360년대 |
370년대 | 370년대 |
380년대 | 380년대 |
390년대 | 390년대 |
관련 | |
세기 | 3세기 5세기 |
2. 로마 제국의 변화와 기독교의 부상
콘스탄티누스 1세는 313년 밀라노 칙령을 통해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를 종식시켰다. 324년에는 로마 제국의 수도를 비잔티움으로 옮겼다. 그는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아리우스 논쟁에 휩싸인 기독교를 진정시키려 했다. 이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는 이단으로 배척되었고, 니케아 신경을 채택했으며, 부활절 날짜를 정했다.
301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했고, 325년에서 328년 사이에는 악숨 왕국이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임종 직전인 337년에 세례를 받았다. 378년부터 395년까지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이교 숭배를 금지하고 기독교를 제국의 국교로 선포했다.
2. 1. 콘스탄티누스 1세와 기독교 공인
콘스탄티누스 1세는 313년 밀라노 칙령을 통해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를 종식시켰다. 324년에는 로마 제국의 수도를 비잔티움으로 옮겼다. 그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아리우스 논쟁에 휩싸인 기독교를 진정시키려 했다. 이 공의회에서 아리우스파는 이단으로 배척되었고, 니케아 신경이 채택되어 부활절 날짜가 정해졌다.301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했고, 325년에서 328년 사이에는 악숨 왕국이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임종 직전인 337년에 세례를 받았다. 378년부터 395년까지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이교 숭배를 금지하고 기독교를 제국의 국교로 선포했다.
2. 2. 제국의 분열과 쇠퇴
콘스탄티누스 1세 사후, 로마 제국은 395년에 동서로 분열되었다. 서로마 제국은 이후 쇠퇴의 길을 걸었다. 378년, 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발렌스 황제가 서고트족에게 패배하여 전사하는 등[2] 게르만족의 침입이 본격화되었다.[3]365년에는 규모 8 이상의 지진이 동부 지중해를 강타하여 크레타, 그리스, 리비아, 이집트, 키프로스, 시칠리아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다.[2]
3. 동아시아의 격변
- 313년: 고구려의 미천왕이 낙랑군을 멸망시키고 낙랑군과 대방군을 병합함.
- 346년: 한반도에서 퉁구스어족 혹은 부여어족으로 추정되는 만주의 부여의 한 파가 남하하여 마한을 통일하고, 백제를 건국하다.
- 356년: 신라에서 흘해 이사금이 사망하고 석씨 왕통이 단절, 내물 이사금이 즉위하여 김씨 왕통이 시작되다.
- * 신라는 진시황의 노역에서 도망쳐 온 진나라 사람을 기원으로 하는 진한 제국 중 하나로, 이 시기까지 한반도 남동부를 통일한 것으로 여겨진다.
- 357년 - 전연이 중원으로 진출하다. 이로 인해 고구려가 재기하다.
- 369년 ~ 371년: 백제의 근초고왕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전쟁을 일으켰다.
- 370년: 전진이 전연을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하다.
- 371년: 백제의 근초고왕이 평양을 공격하여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키다.
- 372년 - 전진의 부견으로부터 고구려의 소수림왕에게 불교가 전해지다.
- 376년: 인도의 굽타 왕조에서 찬드라굽타 2세가 즉위하다.
- 383년: 비수 전투에서 동진이 전진에 승리. 전진의 부견은 구심력을 잃고, 이후 화북은 분열됨.
- 384년: 동진으로부터 백제에 불교가 전래됨.
- 386년: 선비족의 탁발규(도무제)가 자립하여, 성락을 도읍으로 하는 북위를 건국.
- 391년: 왜 군이 바다를 건너 백제·신라를 격파하여 신민으로 삼다 (고구려 광개토왕비).
- 396년: 고구려의 담덕 (광개토경 호태왕)이 백제를 공격하여 그 북부를 영토로 삼고, 성 아래 맹세를 시키다 (광개토왕비).
- 399년: 백제가 3년 전의 맹세를 어기고 왜와 연합하여 신라를 침입했으므로, 신라는 고구려에 원조를 요청하다 (광개토왕비).
3. 1. 5호 16국 시대와 한반도
4세기 초, 고구려는 한나라의 군현인 낙랑군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했다. 369년에서 371년 사이에는 백제의 근초고왕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전쟁을 일으켰으며, 이 과정에서 고국원왕이 전사하기도 했다.한편, 백제는 근초고왕 때 전성기를 맞이하여 346년 마한을 통일하고, 371년에는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키는 등 활발한 정복 활동을 펼쳤다. 또한 왜국과 교류하며 칠지도를 하사하는 등 외교 관계를 강화했다.
신라는 내물 마립간 때 김씨 왕위 세습을 확립하고, 356년 석씨 왕통에서 김씨 왕통으로 교체되었다. 왜국이 임나를 건국하여 한반도 남부를 침략하였고, 신라는 고구려와 왜의 침입에 맞서 싸우며 성장 기반을 다졌다.
중국에서는 304년부터 439년까지 5호 16국 시대가 이어졌다. 이 시기, 흉노, 선비, 저, 갈, 강 등 다섯 유목 민족(5호)이 화북 지역에 여러 나라를 세우며 혼란이 계속되었다.
3. 2. 일본의 고분 시대
일본에서는 야마토 정권이 성장하며 고분 시대가 시작되었다.[12] 대규모 고분 축조와 철제 농기구 사용 등으로 보아, 농경 기술이 발달하고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역사 문헌에는 266년부터 413년까지 왜국에 관한 기술이 없어, 야마토 왕권의 성립 과정을 파악하기 어려워 일본에서는 "4세기의 공백"이라고도 불린다.[12]4. 문화와 기술의 발전
등자가 322년 이전에 중국에서 발명되었다.[5][6] 카마 수트라는 기원전 400년경부터 서기 300년경 사이로 추정된다.[7][8] 델리 철기둥은 세계 최초의 철기둥이다. 삼각 함수인 사인과 여현은 인도 천문학에서 유래했다.[9] 시나이 사본과 바티칸 사본 1209는 가장 오래된 기독교 성경이다.[10][11] 계단의 책, 시리아 종교 담론.
일본에서는 고분 시대 전기에 해당한다. 고분의 부장품으로 철제 농기구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철기 사용과 농경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중국과의 교역이 이루어졌다.
4. 1. 기독교 문화의 확산
301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세계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받아들였다.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밀라노 칙령을 통해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를 끝내면서, 기독교는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325년에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가 열렸다. 325년 ~ 328년에는 악숨 왕국이 기독교를 받아들였다.4세기에는 시나이 사본과 바티칸 사본 1209과 같은 초기 기독교 성경들이 필사되었다.[10][11] 이집트 나일강 유역에는 많은 기독교 수도사들이 은거하며 묵상과 수양을 하기도 했다.
4. 2. 동아시아의 불교 전래
310년 오호십육국 시대의 서역 출신 승려 불도징이 후조에서 불교를 포교하였다. 불도징은 석륵과 석호에게 군사로 기용되었다. 372년 전진의 부견으로부터 고구려의 소수림왕에게 불교가 전해졌다. 399년 동진의 승려 법현이 불전을 구하기 위해 인도로 떠났다.4. 3. 기타 문화 및 기술 발전
인도에서는 찬드라굽타 1세가 굽타 제국을 건국하고(320년경), 산스크리트 문학이 발전했다. 굽타 제국 시대의 극작가 Śūdraka영어는 희곡 『므리차카티카』를 썼고, 칼리다사는 서정시 『메가두타』와 희곡 『샤쿤탈라』를 썼다. 바차야나는 『카마 수트라』를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300년 ~ 400년경).[7][8] 델리 철기둥은 세계 최초의 철기둥이다. 사인과 여현은 인도 천문학에서 유래했다.[9]322년 이전에 중국에서 등자가 발명되었다.[5][6]
시나이 사본과 바티칸 사본 1209는 가장 오래된 기독교 성경이다.[10][11] 계단의 책은 시리아 종교 담론과 관련있다.
5. 주요 인물
- 근초고왕: 백제의 13대 왕으로 백제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고구려를 공격하고 왜와 교류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그는 친일 성향이 강했던 인물로 평가받기도 한다.
- 사무드라굽타: 굽타 제국의 황제로 남인도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 아르카디우스: 동로마 제국의 황제
-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비잔티움의 왕비
- 알라리쿠스 1세: 초대 서고트의 왕
- 콘스탄티누스 1세: 로마 제국의 황제
5. 1. 로마 제국
콘스탄티누스 1세는 로마 제국의 황제(재위 306년 - 337년)로,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했다. 율리아누스는 로마 제국의 황제(재위 361년 - 363년)로 이교를 옹호하여 "배교자"라고 불렸다. 발렌티니아누스 1세는 로마 제국 황제(재위 364년 - 375년)로 제국 북방의 방비 체제를 재구축했다. 발렌스는 로마 제국 황제(재위 364년 - 378년)로 하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고트족에게 패하여 전사했다.테오도시우스 1세는 로마 제국의 황제(재위 379년 - 395년)였다. 그의 사후 로마 제국은 동서로 분열되었으며, 아르카디우스는 동로마 제국의 첫 번째 황제(재위 395년 - 408년)가 되었고, 호노리우스는 서로마 제국의 첫 번째 황제(재위 395년 - 423년)가 되었다.
5. 2. 동아시아
303년에서 361년 사이에 태어난 동진의 정치가이자 서예가인 왕희지는 '서성'으로 불리며, 그의 대표작으로는 난정서가 있다. 325년에 태어나 375년에 사망한 왕맹은 오호십육국 시대 전진의 재상으로, 부견을 보좌하여 화북 통일에 기여했으나 동진과의 전면전에는 반대했다.백제의 근초고왕은 백제의 전성기를 이끈 왕으로, 고구려를 공격하고 왜와 교류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그는 친일 성향이 강했던 인물로 평가받기도 한다. 고구려의 소수림왕은 불교를 수용하고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했다. 신라의 내물왕은 김씨 왕위 세습을 확립하고 고구려와 왜의 침입에 맞서 싸우며 국가 발전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신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고구려에 대한 외교는 비판받기도 한다.
인도 굽타 제국의 황제 사무드라굽타는 남인도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5. 3. 기타
아리우스는 기독교 신학자이자 아리우스파의 창시자로, 니케아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암브로시우스는 밀라노의 주교로, 기독교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를 굴복시킨 일화로 유명하다.참조
[1]
서적
The Long Fourth Century 284–450: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Later Roman Empire
Cambridge
2008
[2]
간행물
The Maya: Glory and Ruin
https://web.archive.[...]
[3]
서적
History of the World
Penguin
1994
[4]
웹사이트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https://web.archive.[...]
ANU Press
2013-04-29
[5]
웹사이트
The stirrup and its effect on chinese military history
http://www.silk-road[...]
Silkroad Foundation
[6]
웹사이트
The invention and influences of stirrup
http://www.chinacult[...]
[7]
서적
Refractions of Desire, Feminist Perspectives in the Novels of Toni Morrison, Michèle Roberts, and Anita Desai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2006-12-07
[8]
서적
Kamasutra
http://archive.org/d[...]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Mathematics In Ancient and Medieval India
https://archive.org/[...]
Chaukhambha Orientalia
1979
[10]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An Introduction to the Critical Editions and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dern Textual Criticism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1]
웹사이트
Liste Handschriften
http://intf.uni-muen[...]
Institute for New Testament Textual Research
2013-03-16
[12]
웹사이트
발견!「空白の4世紀」の古墳から何が? {{!}} NHK {{!}} WEB特集
https://www3.nhk.or.[...]
2023-03-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용인 보라산서 백제 전기 석관묘 3기 확인…항아리 등 출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