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J. 플래허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J. 플래허티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선구자로, 1922년 영화 《북극의 나누크》를 통해 이름을 알렸다. 그는 탐험가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다양한 문화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아내 프랜시스 플래허티와 협력하여 영화 제작에 참여했다. 플래허티는 현지 문화를 존중하며 그들의 삶을 담아내는 방식을 통해, 《모아나》, 《아란의 남자》, 《더 랜드》, 《루이지애나 스토리》 등 여러 작품을 제작했다. 그의 작품들은 다큐멘터리와 픽션 영화의 요소를 결합하여 독창적인 시도를 보여주었으며, 다큐멘터리 영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립지리학회 석학회원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왕립지리학회 석학회원 -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19세기 아프리카 탐험에 기여한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빅토리아 폭포 발견, 아프리카 대륙 횡단, 노예 무역 근절 노력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강 수원지 탐색 중 헨리 모턴 스탠리를 만났고 잠비아에서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 무성 영화 감독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무성 영화 감독 - 해럴드 로이드
해럴드 로이드는 챙 넓은 모자와 둥근테 안경을 쓰고 소심하지만 기지 넘치는 도시 청년 연기로 유명한 미국의 무성 영화 시대 코미디 배우로, 사고로 인한 부상에도 불구하고 "할머니의 소년", "안전 제일!", "신입생" 등 수많은 히트작을 남겼다. -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는 80년 넘게 다양한 형식의 영화를 제작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은 포르투갈의 영화 감독으로, 특히 60세 이후 왕성한 활동과 함께 인간의 삶과 운명, 종교, 예술 등의 주제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인정받았다. -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 - 제임스 카메론
제임스 카메론은 캐나다 출신으로 *터미네이터*, *아바타* 등 흥행작들을 만든 할리우드 최고의 감독이자 제작자, 각본가이며, 혁신적인 3D 기술, 심해 탐험, 인공지능, 자연과의 갈등, 강인한 여성 캐릭터 등의 주제를 다루는 것으로 유명하다.
로버트 J. 플래허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로버트 조지프 플래허티 |
![]() | |
로마자 표기 | Robert Joseph Flaherty |
직업 | 영화 제작자 |
출생 | 1884년 2월 16일 |
출생지 | 미국 미시간주 아이언마운틴 |
사망 | 1951년 7월 23일 |
사망지 | 미국 버몬트주 더머스턴 |
배우자 | 프랜시스 존슨 허바드 플래허티 |
자녀 | 모니카 플래허티 프라세토, 3명 |
훈장 | 영국 왕립지리학회 회원 (FRGS) |
경력 | |
주요 작품 | 북극의 나누크 (1922) 모아나 (1926) 산업 브리튼 (1931) 아란의 사나이 (1934) 루이지애나 이야기 (1948) |
수상 |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국제상 (1948년 루이지애나 이야기) |
2. 초기 생애
플래허티는 아일랜드계 개신교도인 탐광업자 로버트 헨리 플래허티와 독일계 가톨릭 신자인 수잔 클로크너 사이에서 태어난 일곱 자녀 중 하나였다.[4]
플래허티는 ''북극의 나누크''(1922)를 시작으로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누이트족의 삶을 사실적으로 담아낸 이 작품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플래허티는 파라마운트 픽처스와 계약을 맺고 사모아에서 ''모아나''(1926)를 촬영했다. ''모아나''는 사모아 원주민의 삶을 담은 작품으로, 존 그리슨이 이 영화를 보고 "다큐멘터리"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면서 다큐멘터리 영화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아버지의 직업은 철광석 탐험가였는데, 이로 인해 그는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 대한 자연스러운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플래허티는 토론토에서 명성이 자자한 사진가였다. 그가 여행 중에 촬영한 아메리카 원주민과 야생 동물들의 초상 사진은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으며, 이는 그의 작품 ''북극의 나누크''를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이러한 사람들에 대한 열정과 관심으로 새로운 영화 장르를 창조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4]
1914년, 그는 약혼녀 프랜시스 존슨 허버드와 결혼했다. 허버드는 고학력 집안 출신으로, 그녀의 아버지는 저명한 지질학자였다. 브린모어 칼리지를 졸업한 허버드는 파리에서 음악과 시를 공부했으며, 지역 여성 참정권 단체의 비서이기도 했다. 결혼 후 프랜시스 플래허티는 로버트의 영화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랜시스는 때때로 영화 감독 역할을 맡았고, 남편의 영화 편집 및 배급을 도왔으며, 심지어 영국 정부와의 영화 계약을 성사시키기도 했다.[5]
1909년, 그는 미니 아오들라 프리먼의 할아버지인 이누이트인 조지 위탈툭에게 들은 이야기를 공유했다.[6] 플래허티는 철광석을 찾기 위해 허드슨 만을 방문했을 때 위탈툭을 만났다고 말했다. 그는 위탈툭에 대한 이야기에서 이누이트 지역의 상세 지도를 공개하고, 위탈툭이 그에게 말한 만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조지 위탈툭에 대한 그의 글은 그의 저서 ''나의 에스키모 친구들: "북극의 나누크"'에 실리게 되었다.[7]
3. 영화 경력
''모아나''가 개봉되기 전, 플래허티는 뉴욕시에서 개인 지원을 받아 ''도공''(1925)과 ''24달러 섬''(1927) 등 두 편의 단편 영화를 제작했다.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의 어빙 탈버그는 플래허티에게 W. S. 반 다이크와 함께 ''남태평양의 하얀 그림자''(1928) 촬영을 제안했지만, 협업은 순탄치 않았고 플래허티는 제작에서 물러났다. 폭스 필름 코퍼레이션으로 옮긴 그는 아메리카 원주민 다큐멘터리 ''아코마 스카이 시티''(1929)를 제작했으나, 제작 중단과 함께 스튜디오 금고 화재로 필름이 소실되었다. 이후 F. W. 무르나우와 남태평양 영화 ''타부''(1931)를 공동 제작하기로 했으나, 이 역시 무르나우의 작품으로 귀결되었다.
《타부》 이후 할리우드에서 실패한 것으로 여겨지던 플래허티는 런던의 존 그리슨의 도움으로 다큐멘터리 영화 《산업 영국》(1931)을 맡게 되었다. 그러나 플래허티의 제작 방식은 많은 양의 필름을 촬영하는 방식이었고, 비용 초과로 인해 그리슨은 플래허티를 프로젝트에서 해고했다. 이후 다른 사람들이 세 개의 짧은 영화로 편집했다.
이후 플래허티는 영국에서 ''아란의 남자''(1934)를 통해 다시 한번 주목받게 된다. 이 작품은 아일랜드 아란 제도의 혹독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아내어 큰 호평을 받았다.
플래허티는 바다에 관한 소설 《선장의 의자(The Captain's Chair)》를 썼고, 1938년 스크리브너에서 출판되었다. 이 소설은 같은 해 11월 BBC 텔레비전을 통해 데니스 존스턴에 의해 각색 및 연출되어 《그랜트 선장의 마지막 항해(The Last Voyage of Captain Grant)》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12][13]
플래허티의 영국 경력은 제작자 알렉산더 코르다가 그를 《코끼리 소년》(1937) 제작에서 해고하고 상업 영화로 재편집하면서 끝났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 플래허티는 ''더 랜드''(1942)와 ''루이지애나 스토리''(1948) 등의 작품을 통해 다큐멘터리 영화의 영역을 넓혀갔다.
플래허티는 아카데미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한 ''타이탄: 미켈란젤로 이야기''(1950)의 제작자 중 한 명이었다. 이 영화는 커트 오르텔 감독의 독일/스위스 영화 ''미켈란젤로: 타이탄의 생애''(1938)를 재편집한 것으로, 프레드릭 마치의 영어 내레이션과 음악을 추가했다.[15]
1950년대 초, 시네라마의 투자자이자 홍보가인 로웰 토마스는 플래허티에게 이 기술에 대한 지지를 얻고자 했다. 플래허티는 시네라마의 가능성에 흥분하여 프레드 월러가 발명한 카메라를 시험했으나, 촬영 직전 사망하면서 토마스는 다른 촬영팀을 고용하게 되었다.[16]
3. 1. 《북극의 나누크》 (1922)
1913년, 플래허티는 벨처 제도 탐사 중 상사 윌리엄 매켄지 경의 제안으로 영화 촬영 카메라를 가져갔다. 그는 Bell and Howell 수동식 카메라로 이누이트의 삶을 촬영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8] 3만 피트 분량의 필름을 가지고 토론토로 돌아왔으나, 질산염 필름이 담배로 인한 화재로 소실되었다.[8] 편집본은 여러 번 상영되었지만, 플래허티는 결과에 만족하지 못했다. 그는 "그것은 완전히 무능했고, 그저 이것저것의 장면일 뿐이었으며, 아무런 관계도, 이야기의 흐름이나 연속성도 전혀 없었고, 관객을 지루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확실히 나를 지루하게 했다."라고 회상했다.[8]
플래허티는 이누크 가족의 삶을 담는 새로운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하고, 1920년 프랑스 모피 무역 회사 레빌론 프레르의 자금 지원을 받아 ''북극의 나누크'' 촬영을 시작했다.[9] 1920년 8월 15일, 그는 퀘벡 포트 해리슨에 도착하여 두 대의 Akeley 영화 카메라와 현상, 인쇄, 영사 장비를 가져가서 촬영과 동시에 이누이트에게 영화를 보여주었다. 그는 레빌론 프레르 무역소에 부착된 오두막에서 생활했다.[10]
''나누크'' 제작 과정에서 플래허티는 현지인을 배우로 캐스팅하고, 일부 장면을 연출했다. 예를 들어, 알라칼리알락(나누크 역)과 그의 가족이 쉘터를 찾지 못하면 죽을 수도 있다는 결말 장면, 그리고 플래허티의 카메라가 좋은 샷을 얻을 수 있도록 측면을 잘라낸 반쪽 이글루가 미리 지어졌다. 플래허티는 이누이트가 당시 보편화된 소총 대신 전통적인 방식으로 사냥하도록 고집했고, 한때는 사냥꾼들의 도움 요청을 듣지 못하는 척하며 촬영을 계속하여 그들을 위험에 빠뜨리기도 했다.[10]
멜라니 맥그래스에 따르면, 플래허티는 ''나누크'' 촬영 기간 동안 나누크의 아내 역할을 한 젊은 이누크 여성과 관계를 맺었고, 그녀는 아들 조세피를 낳았다. 그러나 플래허티는 이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11]
''나누크''는 플래허티가 제작한, 자연과 인간의 투쟁을 다룬 일련의 영화 중 첫 번째 작품이었다. 이후 사모아를 배경으로 한 ''모아나: 골든 에이지의 로맨스''와 아일랜드 아란 제도를 배경으로 한 ''아란의 남자''가 제작되었다.
3. 2. 《모아나》 (1926)
1922년작 ''북극의 나누크''의 성공 이후, 플래허티는 파라마운트 픽처스와 계약을 맺고 사모아로 가서 ''모아나'' (1926년)를 촬영했다. 그는 아내와 가족과 함께 1년 이상 사바이이 섬의 사푸네에서 생활하며 영화를 제작했다. 플래허티의 제작 방식은 공동체와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에 익숙해진 후 영화를 촬영하는 것이었다. 섬 주민들의 삶에 갈등이 없다는 점에 우려한 그는 소년의 성인식을 중심으로 영화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플래허티는 1923년 4월부터 1924년 12월까지 사모아에 머물렀고, 영화는 1925년 12월에 완성되어 다음 달에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미국에서는 ''북극의 나누크''만큼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유럽에서는 매우 좋은 성적을 거두어 존 그리슨이 "다큐멘터리"라는 단어를 만들도록 영감을 주었다.
3. 3. 《아란의 남자》 (1934)
제작자 마이클 발콘은 플래허티에게 아일랜드 서부 해안의 고립된 아란 제도 주민들의 혹독한 전통 생활 방식을 그린 영화 ''아란의 남자''(1934) 연출을 맡겼다. 이 영화는 엄청난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수십 년 동안 일부에서는 ''북극의 나누크''보다 더 위대한 업적으로 여겨졌다.[1] ''북극의 나누크''와 마찬가지로, ''아란의 남자''는 극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인간의 노력을 보여주었다. 이 경우, 토양이 너무 얇아 주민들이 바다에서 해초를 가져와 경작지를 만드는 섬이었다.[1] 플래허티는 다시 현지인들을 다양한 허구의 역할에 캐스팅했고, 시대착오적인 행위를 극적으로 재현했다. 예를 들어, 섬 주민들이 수십 년 동안 하지 않았던 작살을 사용하여 작은 배에서 상어를 사냥하는 장면이 있었다.[1] 그는 또한 영화의 클라이맥스 시퀀스를 연출했는데, 여기서는 작은 배에 탄 세 남자가 위험할 정도로 높은 바위투성이의 바다를 헤쳐 해안으로 돌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한다.[1]
3. 4. 《더 랜드》 (1942)
파르 로렌츠는 미국 영화 서비스에서 플래허티를 고용하여 미국 농업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게 했는데, 이 프로젝트는 결국 ''더 랜드''가 되었다. 플래허티와 그의 아내는 약 16만 킬로미터를 이동하며 7,600미터 분량의 필름을 촬영했고, 미국의 농촌을 담은 인상적인 영상들을 담아냈다. 플래허티의 영상에서 제기된 주제 중에는 농경지 침식의 문제와 더스트 볼 (그리고 개선된 토양 보존 방식을 통한 효과적인 대응의 시작), 기계화와 농촌 실업, 그리고 대평원에서 캘리포니아로의 대규모 이주 등이 있었다. 후자의 맥락에서 플래허티는 미국 태생의 미국인과 멕시코 및 필리핀 출신 이주민 간의 농업 일자리 경쟁을 강조했다.[14]
이 영화는 일련의 난관에 직면했다. 제작이 시작된 후, 의회는 미국 영화 서비스를 폐지했고, 이 프로젝트는 미국 농무부(USDA)로 이관되었다.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할 시기가 다가오면서, USDA 관계자들 (및 영화 편집자 헬렌 반 동겐)은 플래허티의 영상을 급변하는 공식 메시지 (전쟁 전의 농촌 실업 문제에서 전시 노동력 부족으로의 우려 전환 포함)와 조화시키려 했다. 진주만 공격 이후, 관계자들은 이 영화가 국제적으로 미국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나치게 투영할 수 있다는 우려를 품게 되었고, 1942년 현대 미술관에서 권위 있는 시사회가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일반 공개를 위한 승인을 받지 못했다.[14]
3. 5. 《루이지애나 스토리》 (1948)
스탠다드 오일의 자금 지원을 받아 제작된 ''루이지애나 스토리(1948)''는 루이지애나 늪지대에 석유 시추 시설을 설치하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 영화는 시추 시설이 주변 환경과 평화롭게 공존하는 모습을 강조한다.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케이준 소년이다. 일부 비평가들은 유년 시절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시적으로 묘사하여 석유 탐사를 긍정적으로 보이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버질 톰슨이 영화 음악을 작곡했다.[14]
4. 유산
로버트 J. 플래허티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그는 다큐멘터리 주제와 픽션 영화와 같은 서사 및 시적인 처리를 결합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었다.[17]
자칭 탐험가였던 플래허티는 1914년 허드슨 만의 벨처 군도의 주요 섬을 (재)발견한 공로로 영국 왕립 지리학회에 헌액되었다.[17] 벨처 제도 중 하나인 플래허티 섬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7]
플래허티 세미나는 매년 6월 중순 콜게이트 대학교에서 뉴욕주 북부 시골에서 열리는 독립 영화 제작자와 영화 애호가를 위한 국제 포럼이다. 이 축제는 1955년 플래허티의 미망인에 의해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다.[18]
플래허티의 다큐멘터리 기여는 2010년 영국 대학교 영화 & 비디오 위원회 상을 수상하고 FOCAL International 상 후보에 오른 다큐멘터리 ''A Boatload of Wild Irishmen''[19]에서 면밀히 조사되었다. 영국 링컨 대학교의 브라이언 윈스턴 교수가 쓰고 맥 다라 오 쿠라히딘이 연출한 이 영화는 "통제된 현실"의 본질을 탐구하고 플래허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플래허티의 영화가 묘사된 원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며, 이 영화는 현재는 사라진 삶의 방식에 대한 귀중한 기록이 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20] 영화 제목은 플래허티가 ''아란의 남자''의 연출된 절정 시퀀스에서 "야생 아일랜드인들을 한 배 가득 익사시키려 한다"는 비난을 받았다는 그의 진술에서 유래했다.
1994년, 플래허티는 이누이트의 관점에서 ''북극의 나누크'' 제작을 극화한 캐나다 드라마 영화 ''카블루낙''에서 찰스 댄스가 연기했다.[21]
로버트 조셉 플래허티의 손자 며느리인 루이스 플래허티[22]는 캐나다 최초의 독립 이누이트 출판사인 이나비트 미디어의 공동 창립자이다. 그녀는 또한 작가, 교육자, 정치인이기도 하다.
BAFTA는 최고의 단편 다큐멘터리에 수여하는 로버트 J. 플래허티 상을 수여한다.[23] 아카데미상 오스카에서는 1950년 최우수 장편 다큐멘터리상으로 ''타이탄: 미켈란젤로 이야기''가 수상하였다. 1913년에는 왕립 지리학회 회원이었다.[24] 다큐멘터리 영화의 아버지로도 알려져 있다.
영상 작품에 다큐멘터리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은, 플래허티의 『모아나』를 소개하는 1926년 2월 8일자 뉴욕 선 신문 기사가 처음으로 여겨진다. 이 기사를 쓴 사람은 영국의 기록 영화 작가 존 그리슨이었다.
가족과 함께 현지에 정착하여 촬영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그 영향을 받은 일본의 오가와 신스케 감독은 플래허티의 아내인 프랜시스 플래허티의 저서 『어느 영화 제작자의 여행 로버트 플래허티 이야기』(みすず書房)를 번역했다.
5. 작품 목록
- 북극의 나누크 (Nanook of the North) (1922)
- 도예가(The Pottery Maker) (1925)
- 모아나 (Moana) (1926)
- 24달러 섬(The Twenty-four Dollar Island) (1927)
- 남태평양의 하얀 그림자 (White Shadows in the South Seas) (1928) White Shadows in the South Seas|남해의 백색 그림자영어 (감독, 도중 하차 및 크레딧 미기재)
- 타부 (Tabu) (1931) (F. W. 무르나우와 공동 제작, 원안, 각본, 촬영)
- 산업 영국(Industrial Britain) (1931) (공동 감독)
- The Glassmakers of England (1933)
- The English Potter (1933)
- Art of the English Craftsman (1933)
- 아란의 남자 (Man of Aran) (1934)
- 오이히 세안차이스(이야기의 밤)(Oidhche Sheanchais (A Night of Storytelling)) (1935)
- 코끼리 소년 (Elephant Boy) (1937) Elephant Boy|코라나그영어 (공동 감독)
- 대지(The Land) (1942) (미국 농무부 제작)
- ''Prelude to War'' (1943) (촬영, 크레딧 없음)
- 중국의 전투 ''The Battle of China'' (1944) (촬영)
- 루이지애나 스토리 (Louisiana Story) (1948)
- ''Passione secondo S. Matteo'' (1949) (편집)
- 타이탄: 미켈란젤로 이야기 (The Titan: Story of Michelangelo) (1950) (공동 감독)
- 하늘 도시 아코마 (1929; 미완성 영화)
참조
[1]
웹사이트
Mrs. Robert Flaherty, Widow Of Documentary Filmmaker
https://www.nytimes.[...]
1972-06-24
[2]
웹사이트
The Long Exile - Melanie McGrath - Books - Review
https://www.nytimes.[...]
2007-04-08
[3]
서적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http://www.dictionar[...]
[4]
서적
A new history of documentary film
Continuum
2012
[5]
서적
Robert and Frances Flaherty: a documentary life, 1883-1922
https://archive.org/[...]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5
[6]
웹사이트
Arctic Profiles - George Weetaltuk (ca. 1862-1956)
https://pubs.aina.uc[...]
2022-08-25
[7]
웹사이트
Map of Belcher Islands
http://www.wdl.org/e[...]
2013-06-03
[8]
서적
The World of Robert Flaherty
[9]
서적
The Innocent Eye
[10]
방송
Year of the Hunter
CBC
[11]
서적
The Long Exile: A Tale of Inuit Betrayal and Survival in the High Arctic
Fourth Estate
2006
[12]
웹사이트
BBC Programme Index
https://genome.ch.bb[...]
1938-11-09
[13]
웹사이트
The Last Voyage of Captain Grant
https://www.imdb.com[...]
1938-11-01
[14]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Films and Filmmakers
https://archive.org/[...]
St. James Press
2000
[15]
뉴스
THE SCREEN IN REVIEW; 'The Titan--Story of Michelangelo,' an Imaginative Cinema Presentation, Opens at Little Carnegie
http://movies.nytime[...]
1950-01-23
[16]
서적
Hollywood and the Movies of the Fifties
Alfred A. Knopf
2023
[17]
서적
A New History of Documentary Film
https://docplayer.ne[...]
Continuum
2012
[18]
웹사이트
The Flaherty
http://www.flahertys[...]
2022-08-03
[19]
웹사이트
A Boatload of Wild Irishmen
http://www.lincoln.a[...]
[20]
비디오
A Boatload of Wild Irishmen
http://www.blip.tv/f[...]
2011-04-23
[21]
뉴스
Kabloonak captures the North
Montreal Gazette
1994-09-16
[22]
웹사이트
Flaherty, Louise {{!}} Inuit Literatures ᐃᓄᐃᑦ ᐊᓪᓚᒍᓯᖏᑦ Littératures inuites
https://inuit.uqam.c[...]
2021-03-28
[23]
웹사이트
BAFTA's Robert J. Flaherty Award
http://www.bafta.org[...]
[24]
서적
Robert and Frances Flaherty: a documentary life, 1883-1922
https://archive.org/[...]
McGill-Queen's Press
[25]
비디오
The Land
Film Preservation Associates
[26]
서적
Nonfiction Film: A Cr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27]
서적
The History of British Film (Volume 5): The History of the British Film 1929 - 1939: Documentary and Educational Films of the 1930'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3-27
[28]
웹사이트
Map of Belcher Islands
http://www.wdl.org/e[...]
1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