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BAFTA)은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가 주최하는 영화 시상식으로, 1947년 영국 영화 아카데미로 시작하여 197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BAFTA는 영화,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업계의 회원들을 지원하며, 교육 행사와 시상식을 통해 움직이는 영상 예술 형식을 지원하고 있다. 시상식은 1956년 BBC에서 처음 방송되었으며, 2001년부터는 아카데미 시상식 전에 2월에 개최된다. 시상 부문은 작품상, 감독상, 연기상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역대 주요 수상작으로는 《황야의 빛》, 《햄릿》, 《글래디에이터》, 《슬럼독 밀리어네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영화상 - 엠파이어상
엠파이어상은 영국의 영화 잡지 《엠파이어》에서 주최하는 영화 시상식으로, 남녀 주연상, 작품상, 감독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하며 특히 영국 영화와 영화계 공헌자에게 수여하는 상이 존재한다. - 영국의 영화상 - 영국 독립 영화상
영국 독립 영화상은 독립 자금으로 제작된 영국 영화의 우수성을 기리고 새로운 재능을 발굴하며 영국 영화를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1998년에 설립된 영화상으로, 매년 12월 초에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 -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
영국 아카데미 텔레비전상은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에서 영국 텔레비전 방송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해 수여하는 상으로, 드라마, 코미디,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부문에서 뛰어난 프로그램과 연기자에게 수여되며 영국의 프라임타임 에미상으로 여겨진다. -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 - 영국 아카데미 게임상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에서 주관하는 영국 아카데미 게임상은 비디오 게임의 예술적, 기술적 성취를 기리는 시상식으로, 게임 산업의 변화와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여 심사 기준 및 형식을 변화시키며 한국 게임도 국제적인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 나라별 영화상 - AACTA 어워드
AACTA 어워드는 오스트레일리아 영화 및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가 주관하는 호주의 영화 및 텔레비전 시상식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을 진행하며 국내외 우수 스크린 콘텐츠를 기리는 시상식이지만, 시상 기준과 심사 과정에 대한 논란도 있다. - 나라별 영화상 - 대종상
대종상은 1962년 시작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영화 시상식이었으나,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논란과 주최측 파산으로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영어 이름 | British Academy Film Awards |
다른 영어 이름 | BAFTA Film Awards |
시상 대상 | 뛰어난 영화 |
국가 | 영국 |
주최 기관 |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 (BAFTA) |
웹사이트 | bafta.org |
첫 시상 | 1947년 |
현재 시상 | 제7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시상식 위치 | 런던 로열 앨버트 홀 |
기타 | |
로마자 표기 | Yeongguk Akademi Yeonghwasang |
2. 역사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BAFTA)는 1947년 데이비드 린, 알렉산더 코르다, 캐롤 리드, 찰스 로턴, 로저 만벨, 로렌스 올리비에, 에메릭 프레스버거, 마이클 파웰, 마이클 발콘 등 영국 영화계 주요 인물들에 의해 영국 영화 아카데미(The British Film Academy)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1][2] 1958년에는 텔레비전 프로듀서 및 감독 길드(The Guild of Television Producers and Directors)와 합병하여 영화 및 텔레비전 협회(The Society of Film and Television)를 구성했고, 1976년에 현재의 이름인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The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로 변경되었다.[3]
BAFTA는 "움직이는 영상의 예술 형식을 지원, 개발 및 홍보하고, 우수성을 확인하고 보상하며, 실무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대중에게 이익을 주는 것"을 자선 목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BAFTA는 고위 인사들이 참석하는 시상식 외에도 영화 상영 및 기념 행사를 포함한 연중 교육 행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BAFTA는 영화,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업계 약 6,000명의 회원의 지원을 받고 있다.
아카데미의 상은 1955년 텔레비전 프로듀서 길드의 의뢰에 따라 미국 조각가 미치 컨리프가 디자인한 극장 가면 형태이다.[4]
일본 영화로는 신도우 켄지 감독의 『원폭의 아이』, 고바야시 마사키 감독의 『얽히어』, 이치카와 곤 감독의 『도쿄 올림픽』,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카게무샤』, 『란』, 사카모토 류이치가 『전장의 메리 크리스마스』,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드라이브 마이 카』,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가 상을 받았다.
2013년부터는 EE가 후원을 맡아 EE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EE British Academy Film Awards)이 되었다.
2. 1. 설립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BAFTA)는 1947년 데이비드 린, 알렉산더 코르다, 캐롤 리드, 찰스 로턴, 로저 만벨, 로렌스 올리비에, 에메릭 프레스버거, 마이클 파웰, 마이클 발콘 등 영국 영화계 주요 인물들에 의해 영국 영화 아카데미(The British Film Academy)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1][2] 1958년에는 텔레비전 프로듀서 및 감독 길드(The Guild of Television Producers and Directors)와 합병하여 영화 및 텔레비전 협회(The Society of Film and Television)를 구성했고, 1976년에 현재의 이름인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The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로 변경되었다.[3]2. 2. 발전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BAFTA)는 1947년 데이비드 린, 알렉산더 코르다, 캐롤 리드, 찰스 로턴, 로저 만벨, 로렌스 올리비에, 에메릭 프레스버거, 마이클 파웰, 마이클 발콘 등 영국 영화계 주요 인물들에 의해 영국 영화 아카데미(The British Film Academy)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1][2] 1958년 텔레비전 프로듀서 및 감독 길드(The Guild of Television Producers and Directors)와 합병하여 영화 및 텔레비전 협회(The Society of Film and Television)를 구성했고, 1976년 현재의 이름인 영국 영화 텔레비전 예술 아카데미(The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로 변경되었다.[3]
BAFTA는 "움직이는 영상의 예술 형식을 지원, 개발 및 홍보하고, 우수성을 확인하고 보상하며, 실무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대중에게 이익을 주는 것"을 자선 목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BAFTA는 고위 인사들이 참석하는 시상식 외에도 영화 상영 및 기념 행사를 포함한 연중 교육 행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BAFTA는 영화, 텔레비전 및 비디오 게임 업계 약 6,000명의 회원의 지원을 받고 있다.
아카데미의 상은 1955년 텔레비전 프로듀서 길드의 의뢰에 따라 미국 조각가 미치 컨리프가 디자인한 극장 가면 형태이다.[4]
2. 3. 방송 및 후원
시상식은 같은 날 저녁 영국 텔레비전과 전 세계로 방송이 지연되었다. 최초 방송은 1956년 BBC에서 이루어졌으며, 비비안 리(로렌스 올리비에의 부인)가 진행을 맡았다.[5] 1970년부터는 컬러 방송으로 전환되었다. 미국에서는 BBC 아메리카에서 방송된다. 2023년 BAFTA 영화상은 시상식의 절정에서 주요 부문 시상을 생중계했다.[6]
2012년까지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업체인 오렌지가 시상식을 후원했다. 2013년부터는 오렌지의 모회사인 EE가 후원을 이어받아 EE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이 되었다.[10]
3. 시상 부문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은 다양한 부문에 걸쳐 시상하며, সময়ের 흐름에 따라 시상 부문은 변화해왔다. 현재 시상 부문, 폐지된 시상 부문, 특별상으로 구분된다.
일본 영화도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다. 신도 겐지 감독의 原爆の子,일본어와 고바야시 마사키 감독의 からみ合い일본어는 국제연합 평화상을, 이치카와 곤 감독의 東京オリンピック일본어은 다큐멘터리 영화상과 국제연합 평화상을 수상했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影武者일본어는 감독상과 의상 디자인상을, 乱일본어은 외국어 영화상과 분장상을 받았다. 사카모토 류이치는 戦場のメリークリスマス일본어로 작곡상을,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ドライブ・マイ・カー일본어는 비영어 작품상을,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君たちはどう生きるか일본어는 애니메이션 영화상을 수상했다.[11]
2013년부터는 EE (telecommunications company)가 후원을 맡아 EE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EE British Academy Film Awards)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1. 현재 시상 부문
시상 부문 | 최초 시상 연도 |
---|---|
작품상 | 1948년 |
영국 영화상 | 1948년 |
외국어 영화상 | 1948년 |
최우수 다큐멘터리상 | 1948년~1989년, 2012년~현재 |
단편영화상 | 1980년 |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상 | 1990년 |
애니메이션 영화상 | 2006년 |
남우주연상 | 1953년 |
여우주연상 | 1953년 |
감독상 | 1968년 |
남우조연상 | 1969년 |
여우조연상 | 1969년 |
촬영상 | 1969년 |
음향상 | 1969년 |
음악상 | 1969년 |
미술상 | 1969년 |
의상상 | 1969년 |
편집상 | 1978년 |
신인상 | 1981년 |
시각효과상 | 1983년 |
분장상 | 1983년 |
각본상 | 1984년 |
각색상 | 1984년 |
비영어권 영화상 | 1983년 |
영국 신인 감독/작가/제작자상 | 1998년 |
캐스팅상 | 2020년 |
라이징 스타상 | 2006년 |
비디오 게임상 |
3. 2. 폐지된 시상 부문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신인상 (1952년–1984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영국 각본상 (1955년–1968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각본상 (1969년–1983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영국 남우주연상 (1952년–1967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외국 남우주연상 (1952년–1967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영국 여우주연상 (1952년–1967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외국 여우주연상 (1952년–1967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주제가상 (1983년–1985년)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상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극영화상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최우수 전문 영화상
- BAFTA 존 그리어슨 상
- BAFTA 유엔상 (1949년–1976년)
- BAFTA Film Award for Newcomer to Leading Film Roles (1952년-1984년)
- 영국 각본상 (1954년-1967년)
- 각본상 (1968년-1982년)
- 영국 남우주연상 (1952년-1967년)
- 외국 남우주연상 (1952년-1967년)
- 영국 여우주연상 (1952년-1967년)
- 외국 여우주연상 (1952년-1967년)
3. 3. 특별상
4. 주요 기록
택시 드라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