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버트 L. 레이몬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L. 레이몬드는 밥 존스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1967년 개혁장로교단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커버넌트 신학교와 낙스 신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미국장로교와 정통장로교회에서 활동했다. 그는 삼위일체론, 특히 영원 생성설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저서 《최신 조직신학》을 포함한 여러 저서가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성직자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기독교 성직자 - 주교
    주교는 기독교에서 교구를 관리하는 최고위 사제로, 각종 성사를 집전하고 말씀을 전하며, 교파에 따라 명칭, 의미, 위상이 다르게 해석되는 직책이다.
  • 기독교 신학자 - 존 위클리프
    존 위클리프는 14세기 영국의 신학자이자 종교 개혁가로, 성경을 영어로 번역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하며 성경의 최고 권위를 주장하여 개신교 탄생에 영향을 미쳤으나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 기독교 신학자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1세기 개신교 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 21세기 개신교 신학자 - 팀 켈러
    팀 켈러는 미국의 목사이자 신학자, 기독교 변증가로서,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도시 중심 사역에 헌신했으며 복음 연합 공동 설립자로서 복음 중심 신앙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이유》, 《탕자의 하나님》 등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영향을 미쳤다.
로버트 L. 레이몬드
기본 정보
로버트 L. 레이몬드
로버트 L. 레이몬드
출생1932년 11월 10일
사망2013년 9월 16일 (향년 80세)
국적미국
직업신학자
분야조직신학
학력커버넌트 칼리지 (학사)
커버넌트 신학교 (신학사)
템플 대학교 (석사)
낙스 신학교 (박사)
종교개신교

2. 학력 및 이력

밥 존스 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7년 개혁장로교단(Reformed Presbyterian Church)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1]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커버넌트 신학교와 플로리다의 낙스 신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1] 1983년 미국장로교(PCA)로 교단을 옮겼다.[1] 2008년 정통장로교회(OPC)에서 설교 목사로 활동하였다.[1]

3. 주요 저서

레이몬드는 조직신학, 기독론, 변증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하였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영어 원제출판 연도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1998년
Paul Missionary Theologian2003년
Jesus, Divine Messiah2003년
John Calvin2004년
Contending for the Faith: Lines in the Sand That Strengthen the Church2005년
The God-Centered Preacher(출판 연도 미상)
'The Reformations Conflict with Rome: Why It Must Continue''(출판 연도 미상)
What is God?(출판 연도 미상)
The Lamb of God(출판 연도 미상)


3. 1. 번역된 저서


  • 《최신 조직신학》 (나용화, 손주철, 안명준, 조영천 공역, 기독교 문서선교회, 2010)
  • 《개혁주의 기독론》 (나용화 역, 기독교 문서선교회, 2017)
  • 《기독교 신론: 하나님의 완전성에 대한 탐구》 (조영천 옮김, 기독교 문서선교회, 2009)
  • 《개혁주의 변증학》 (이승구 옮김, 기독교 문서선교회, 2016)

4. 신학 사상 및 비판

레이몬드는 칼빈주의 전통에 서 있으면서도, 삼위일체론, 특히 영원 생성설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으로 논란이 되었다. 그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의 결정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존 칼빈의 신학을 재해석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려 했다. 이러한 주장은 로버트 레담과 같은 신학자들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6]

4. 1. 영원 생성설에 대한 비판

레이몬드는 그리스도의 영원한 출생과 성령의 영원한 발출을 부인한다. 그는 《최신 조직신학》 초판에서 제1차 니케아 공의회가 영원 생성설을 명확히 하는 데 지나쳤다고 주장하며, 이는 비성경적이고 깊이 고찰되지 않았다고 비판하였다.[5] 그는 존 칼빈이 니케아 신경의 강조점을 바꾸었다고 보았으며, 이후 개혁주의자들이 칼빈의 설명을 따랐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 니케아 신경을 따르지만 칼빈의 논술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로버트 레담을 비롯한 여러 신학자들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으며,[6] 레이몬드는 이후 수정본인 2판을 출간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Truth that Transforms and Dr. Reymond http://michaelmilton[...] 2013-09-23
[2] 웹사이트 Robert Reymond: Awake to Glory http://byfaithonline[...] 2013-09-23
[3] 간행물 In Memoriam: Robert L. Reymond New Horizons in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2013-12
[4] 서적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Thomas Nelson 1998
[5] 문서 Robert Reymond on the Eternal Generation of the Son https://torreygazett[...]
[6]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