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교는 '감독하는 자'를 뜻하는 그리스어 '에피스코포스'를 번역한 말로, 기독교에서 지역 교회를 관리하는 최고위 성직자를 의미한다. 주교는 사제 서품, 성사 집전, 복음 선포 등의 권한을 가지며,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그 지위와 역할이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개신교에서는 감독이라는 용어로 사용되며, 일부 불교 및 신흥 종교에서도 지도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교 - 대주교
대주교는 기독교의 주교보다 높은 성직 계급으로, 4세기부터 칭호가 사용되기 시작하여 6세기경부터 현재와 유사한 의미로 쓰이며, 천주교, 성공회, 정교회 등 여러 교파에서 대교구장이나 관구장 주교를 맡는다. - 주교 - 총대주교
총대주교는 기독교 고위 성직자의 칭호로, 초대 교회의 5대 총대주교에서 시작되었으며,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각기 다른 의미와 역할을 가진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성직자
성직자는 종교 의식을 집행하고 가르침을 전달하는 사람으로, 각 종교마다 명칭, 역할, 자격 요건이 다르며, 역사적으로 종교적·정치적 권위를 가지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건강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사제
사제는 신과 신도 사이를 중재하고 종교 의식을 집행하는 종교 지도자로, 다양한 종교에서 예배 집전, 공동체 지도, 종교 건물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종교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복장을 갖는다. - 기독교 성직자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기독교 성직자 -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는 동티모르의 로마 가톨릭 주교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딜리 교구의 사도좌 서리주교로 활동하며 인도네시아 점령에 맞서 인권 옹호 활동을 펼친 공로로 1996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아동 성 학대 의혹으로 논란이 되었고 건강 문제로 2002년 주교직에서 은퇴 후 모잠비크에서 사제로 활동하고 있다.
주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종교 지도자 직위 |
종교 | 기독교 |
역할 | 교회 관리 및 감독 성례 집행 신자 지도 |
기독교 교파별 명칭 | |
로마 가톨릭교회 | 주교 |
동방 정교회 | 주교 |
성공회 | 주교 |
개신교 | 감독 (또는 목사) |
어원 | |
그리스어 | ἐπίσκοπος (에피스코포스) |
의미 | 감독자, 관리자 |
영어 | bishop (비숍) |
역사적 배경 | |
기원 | 사도 시대 교회에서 시작 |
초기 교회 | 지역 교회를 감독하는 역할 신앙의 가르침과 교리 수호 |
주요 역할 | |
사목 | 신자들을 돌보고 영적인 성장을 이끎 |
교육 | 신학교 설립 및 운영, 신학 교육 제공 |
행정 | 교구 또는 교단을 관리하고 운영 |
의례 | 미사, 세례, 견진성사, 서품식 등 성례 집행 |
임명 및 권한 | |
임명 | 각 교단별 규정에 따라 결정 (교황, 총대주교, 감독회 등) |
권한 | 교구 또는 교단을 대표하고 지도 |
가톨릭교회의 주교 | |
주교 서품 | 사제 서품을 받은 후 주교로 서품 |
교구장 주교 | 교구를 다스리는 권한 |
보좌 주교 | 교구장 주교를 보좌 |
추기경 | 교황 선출권을 가지는 고위 성직자 |
정교회의 주교 | |
주교 서품 | 수도자 출신으로 서품 |
교구장 주교 | 교구를 다스리는 권한 |
총대주교 | 특정 지역 교회를 관할하는 최고위 주교 |
성공회의 주교 | |
주교 서품 | 사제 서품을 받은 후 주교로 서품 |
교구장 주교 | 교구를 다스리는 권한 |
관구장 주교 | 관구를 다스리는 권한 |
개신교의 감독 | |
감독 (감독제 교회) | 교회를 관리하고 목회자를 감독 |
목사 (장로교회 등) | 교회 담임 목사가 감독 역할 수행 |
기타 | |
주교좌 | 주교가 관할하는 중심 교회 |
주교관 | 주교가 거주하는 집 또는 건물 |
2. 어원 및 역사
주교는 그리스어로 ‘감독하는 자’를 뜻하는 ''에피스코포스''(επισκοπο, episkopos)를 번역한 말이며, 한글 신약성서에서는 '감독자'(공동번역성서), ‘감독’(개역한글판)으로 번역되었다.[109] 영어 단어 "bishop"은 라틴어 episcopus|에피스코푸스la, 고대 영어 biscop|비스콥ang 및 중세 영어 bisshop|비숍enm를 거쳐 고대 그리스어 ἐπίσκοπος|epískopos|에피스코포스grc에서 유래했으며, "감독관" 또는 "감시자"를 의미한다.[1]
초기 예루살렘 교회의 조직은 유대교 회당과 유사했지만, 서품된 장로들의 공의회 또는 대학이 있었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등의 기록을 근거로, 2세기 중반에는 주교직을 중심으로 교회가 조직되기 시작했다.[94] 종교 개혁까지는 어느 교회에서든 주교직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는 것은 널리 인정되고 있다.[94][97][98][99]
3. 주교의 호칭
4. 주교의 지위 및 권한
주교는 지역교회, 즉 교구를 관리하는 최고위 성직자이다. 주교는 사제나 부제에게 서품을 주어 성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주교는 세례성사, 성체성사, 견진성사, 혼배성사를 집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성체성사, 혼배성사, 세례성사는 사제도 집전할 수 있지만, 견진성사는 원칙적으로 주교만이 집전할 수 있다. 이는 교회의 규모가 커져서 사제들이 견진성사를 주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로마 가톨릭 교회의 경우, 주교에게 위임받은 사제도 견진성사를 집전할 수 있으며, 이때 주교가 축성한 성유를 사용해야 한다.
주교는 강론으로 하느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관할하는 교구 내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복음을 선포한다.
5. 주교 서품 방식
로마 가톨릭에서는 지역 교구를 책임지는 주교는 공석인 지역 교회의 추천을 거쳐, 최종적으로 교황에 의해 임명된다. 주교 서품식은 주례 주교를 포함 3명의 주교 집전하에 진행되며 참석한 주교들의 안수를 통하여 대상자가 주교품에 올려진다. 지역 교회(교구)의 교구장으로 서품된 주교인 경우는 착좌식을 한다. (보좌 주교나 부주교장 주교로 서품된 경우는 착좌식이 없다.)[110] 성공회에서는 교구 의회에서 주교를 선출한다. 이때 후보자는 정하지 않으며, 교구장으로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인물이 성직자와 신자들에게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받을 때까지 투표하여 선출된 사제가 교구장으로 선출된다. 선거에서 피선된 성공회 사제는 주교 서품 예식을 통해 주교 서품을 받으며, 관구 법규(교회법)에 따라 65세까지 교구장으로 사목할 수 있다.
이들 모든 교회 공동체에서 주교들은 다른 주교들에 의해 안수를 통해 서품된다. 주교 서품은 안수와 기도를 중심으로 하는 의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가톨릭,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오리엔탈 정교회), 성공회, 구교회, 그리고 일부 루터교 주교들은 사도 시대 이후로 서품된 주교들의 연속적인 계열의 일부라고 주장하며, 이를 사도 계승이라고 한다.
스칸디나비아와 발트해 지역에서는 포르보 공동체에 참여하는 루터교 교회들(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의 교회들)뿐만 아니라 많은 비포르보 회원 루터교 교회들(케냐, 라트비아, 러시아의 교회들 포함)과 고백적 북유럽 루터교 교구 공동체도 원래 사도들로부터 이어지는 계보에서 그들의 주교들을 사도 계승으로 서품한다고 믿는다.[38][39][40] '''새로운 웨스트민스터 교회사 사전'''은 "스웨덴에서는 가톨릭 주교들이 직무에 남을 수 있었기 때문에 사도 계승이 보존되었지만, 그들은 의식의 변화를 승인해야 했습니다."라고 명시한다.[41]
6. 교파별 주교 제도
초기 기독교의 교회 조직, 특히 감독직(주교직)에 대해서는 초대 교회의 각 교파 및 사상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이는 신약 성서에 나타난 주교에 대한 묘사가 여러 갈래로 해석될 수 있고,[94] 성전·전승에 대한 입장 또한 교파와 사상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95]
그러나 1세기 감독직(주교직)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지만,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98년부터 117년 사이에 서거[96]) 등의 기록을 바탕으로, 2세기 중반에는 감독직(Επίσκοπος|에피스코포스el)을 중심으로 교회가 조직되기 시작했으며, 종교 개혁 이전까지는 모든 교회에서 감독직(주교직)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는 점은 (현대에 감독·주교직을 가진 교회들 사이에서는) 널리 인정된다.[94][97][98][99]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감독(주교), 장로(사제), 집사(부제)의 삼직(三職)이 이미 교회에 존재했다고 언급한다.[94]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는 주교들의 정치 권력 행사와 기존 교회 옹호 역할이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장로교는 유럽 대부분의 개혁주의 정치 체제였고, 잉글랜드 종교 개혁 이후 많은 지지를 받았다. 초기 교회에서 ''장로''(presbyter)와 episkopos|에피스코포스grc(감독)의 직책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청교도들은 장로교 제도가 교회의 유일한 통치 형태라고 주장했다. 앵글리칸 신학자 리처드 후커는 ''교회 정치 법칙에 관하여''에서 이러한 주장에 반박하며 장로교식 성직 서임의 유효성을 옹호했다.
프로테스탄트의 감독직 역할과 권한, 로마 교황의 성립 과정, 정교회의 총대주교·대주교·주교 등으로 세분화된 과정 등 역사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각 교파의 직책은 다른 교파의 상응하는 직책과 반드시 동등하거나 동의어는 아니다. 다음 표는 주요 교파별 주교 직책을 비교한 것이다.
주교(司教、監督) 직의 대조표 | ||||
---|---|---|---|---|
동방교회 | 서방교회 | 영어 | ||
정교회[100] | 가톨릭교회[100] | 성공회 | 프로테스탄트 | |
「파파」 | 교황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Pope |
총대주교 | 총대주교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Patriarch |
대표 주교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exarch |
style="text-align:center" | | 추기경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Cardinal |
수좌주교 | 수좌주교 | 수좌주교 | 총재감독, 총감독 등 | Primate Presiding Bishop |
대주교구장 | 수도대주교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Metropolitan bishop |
대주교 | 대주교 | 대주교 | 감독 | archbishop |
style="text-align:center" | | 속주교 | 보좌주교 | style="text-align:center" | | suffragan bishop |
style="text-align:center" | | 협력주교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coadjutor bishop |
style="text-align:center" | | 보좌주교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auxiliary bishop |
style="text-align:center" | | 명의주교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Titular bishop |
style="text-align:center" | | 명예주교 | style="text-align:center" | | style="text-align:center" | | bishop emeritus |
주교 | 주교 | 주교 | 감독 | bishop |
복음주의(루터교) 교회와 감리교회에서는 '감독'을 직책명 중 하나로 사용한다.[101] 이는 성경 그리스어 "ἐπίσκοπος|에피스코포스el", bishop영어 또는 superintendent의 번역어이며, 정교회·성공회·가톨릭교회의 주교에 해당한다. 여호와의 증인에서는 장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한국성서공회 역본, 대한성공회 역본, 새번역성경, 현대어성경 등에서는 성경에 나오는 "ἐπίσκοπος|에피스코포스el"를 "감독"으로 번역한다.[102] 다만, 대한성공회에서는 한국성서공회 역본을 사용하면서도 직책으로는 '주교'라는 번역어를 사용한다.
존 웨슬리는 그리스어 원어에 더 정확한 번역으로 비숍(bishop) 대신 슈퍼인텐던트(superintendent)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03]
에큐메니즘(Ökumene)에서의 감독(監督)에 대해 프로테스탄트(Protestant) 측에서 문제 제기를 하는 목소리도 있다.[104] 세계교회협의회(WCC)의 남인도교회는 사도계승에 따른 안수가 이루어졌지만, 루터교 신학자 C.F.비스로프는 이를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타협 강요라고 주장한다.[105]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당시 감독(Superintendents)이 있었으나, 이는 '개혁파 주교'가 아닌 일시적인 직무였다.[106][107]
일본 홀리니스 교회(1917-1936)에서는 감리교 감독제를 참고하여 감독 직책을 설치했고, 나카다 시게하루(中田重治)가 초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홀리니스 분열 사건 이후 나카다파가 창설한 기요메 교회(1936-1943)에서는 나카다가 명예직으로 종신 감독에 취임했다. 나카다 사후에는 감독직을 두지 않고, 모리 고로(森五郎)가 위원장이 되어 최고 책임자가 되었다. 한편, 홀리니스 화협 분리로 인해 쿠루타 아키쓰구(車田秋次)파가 창설한 일본 성교회에서는 감독이 부재하여 감독 대행으로 여러 위원들이 책임자가 되었다. 전후 1949년에 창설된 일본 홀리니스 교단에서는 창설자인 쿠루타 아키쓰구(車田秋次)가 최고 직책인 총리가 되었다. 하지만, 이후 위원제가 되어 위원장이 최고 책임자가 되었다.
6. 1. 로마 가톨릭교회
가톨릭교회의 주교는 교구라 불리는 지역 교회를 다스리는 사목자이다. 주교는 사도들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직책으로, 사제와 부제의 도움을 받아 교회를 이끈다.[35] 주교는 성품성사를 통해 완전한 성직을 받으며, 다른 주교, 사제, 부제를 서품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35]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주교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교구 사목: 주교는 자신이 다스리는 교구의 신자들을 가르치고, 성화하며, 다스리는 직무를 수행한다.
- 성사 집전: 주교는 견진성사의 정규 집전자이며,[36] 성체성사를 집전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37]
- 교회법 집행: 주교는 교구 내에서 교회법을 준수하고 시행하는 책임을 진다.
- 사제 양성: 주교는 교구 내에서 사제를 양성하고 관리하는 책임을 진다.



주교는 보통 카소크, 서플리스, 러프, 가슴 십자가 위에 망토를 걸친 모습으로 묘사된다.
6. 1. 1.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주교
대한민국에는 현재 41명의 로마 가톨릭 주교(추기경 1명, 대주교 6명 포함)와 1명의 자치수도원구 자치구장 서리인 아빠스(대수도원장)가 있다. 주교는 주교품을 받으면 주교직을 맡을 수 있으며, 대주교에서 주교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데는 새로운 서품이 필요 없다.가톨릭에서 주교직(주교, 대주교, 총대주교)과 명의주교직을 수행하는 이는 75세가 넘거나 그 이전에 건강상의 이유로 업무가 어려워지면 교황에게 은퇴를 신청할 수 있다. 교황이 이를 허락하면 주교직에서 은퇴하게 된다. 보통 주교라고 하면 교구장직을 맡은 주교(대주교)를 의미한다. 교구장이 아닌 주교는 실제로 교구에 대한 권한이 없으며, 교구장 주교가 위임한 일만 할 수 있다. 주교나 대주교가 대주교, 총대주교 등으로 이동하는 것은 직책 이동일 뿐, 승품이나 승임은 아니다.
명의주교는 재직 중인 주교에게 부여되는 직책이며, 명예주교는 은퇴한 주교에게 붙여지는 칭호이다.
현직 교구장 주교
관구 | 교구 | 이름 | 직책 |
---|---|---|---|
서울관구 | 수원교구 | 이용훈 (마티아) | 제4대 교구장 |
원주교구 | 조규만 (바실리오) | 제3대 교구장 | |
인천교구 | 정신철 (요한 세례자) | 제3대 교구장 | |
대전교구 | 김종수 (아우구스티노) | 제4대 교구장 | |
춘천교구 | 김주영 (시몬) | 제8대 교구장 | |
의정부교구 | 손희송(베네딕토) | 제3대 교구장 | |
대구관구 | 부산교구 | 손삼석 (요셉) | 제5대 교구장 |
안동교구 | 권혁주 (요한 크리소스토모) | 제3대 교구장 | |
청주교구 | 김종강 (시몬) | 제4대 교구장 | |
마산교구 | 이성효 (리노) | 제6대 교구장 | |
광주관구 | 전주교구 | 김선태 (사도요한) | 제8대 교구장 |
제주교구 | 문창우 (비오) | 제5대 교구장 | |
군종교구 | 서상범 (티토) | 제4대 교구장 |
현직 교구장 서리
교구 | 이름 | 직책 |
---|---|---|
덕원자치수도원구 | 박현동 (블라시오) 아빠스 | 자치구장 서리 |
마산교구 | 신은근 (바오로) 신부 | 교구장 서리 |
현직 교구 보좌주교(명의주교)
교구 | 이름 | 직책 |
---|---|---|
서울대교구 | 유경촌 (디모테오) | 보좌 (푸피 명의 주교) |
수원교구 | 문희종 (세례자 요한) | 보좌 겸 제2대리구장 (무티아 명의주교) |
대구대교구 | 장신호 (요한 보스코) | 보좌 (베스케라의 명의주교) |
서울대교구 | 구요비 (욥) | 보좌 (스파스페리아 명의 주교) |
대전교구 | 한정현(스데파노) | 보좌 (모조트코리의 명의주교) |
부산교구 | 신호철 (바오로) | 보좌 (벨레사사의 명의주교) |
서울대교구 | 이경상(바오로) | 보좌 (누미디아의 게르마니아 명의주교) |
은퇴주교(명예주교)
이름 | 직책 |
---|---|
두봉(레나도) 주교 (Rene Dupont) | 프랑스인, 전 안동교구 초대 교구장 |
김창렬 (바오로) | 전 제주교구 제3대 교구장 |
최덕기 (바오로) | 전 수원교구 제3대 교구장 |
이한택 (요셉) | 전 서울대교구 보좌 (전 티부자베툼 명의주교), 전 의정부교구 초대 교구장 |
김지석 (야고보) | 전 원주교구 제2대 교구장 |
안명옥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 전 마산교구 제4대 교구장 |
이병호 (빈첸시오) | 전 전주교구 제7대 교구장 |
황철수 (바오로) | 전 부산교구 제4대 교구장 |
김운회 (루카) | 전 춘천교구 제7대 교구장 겸 함흥교구장 서리 |
강우일 (베드로) | 전 제주교구 제4대 교구장 |
유수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 전 군종교구 제3대 교구장 |
배기현 (콘스탄틴) | 전 마산교구 제5대 교구장 |
이기헌 (베드로) | 전 의정부교구 제2대 교구장 |
6. 2. 성공회
성공회에서 주교는 잉글랜드 국교회 공동체, 독립 가톨릭 교회, 독립 성공회 교회 및 기타 소규모 교파의 지도자를 말한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 등의 기록에 따르면, 2세기 중반에는 주교직(Επίσκοπος|에피스코포스el)을 중심으로 교회가 조직되기 시작했으며, 종교 개혁 이전까지는 모든 교회에서 주교직이 중심이었다는 것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94][97][98][99]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감독(주교), 장로(사제), 집사(부제, 보제)의 삼직이 이미 교회에 있었다고 전한다.[94]6. 2. 1. 대한민국의 성공회 주교
- 선교사 주교 시대
- * 1대: 고요한(존 코프) 주교 (1890년 9월 29일 인천항으로 조선에 입국, 성공회 내동교회, 랜디스(남득시) 선교사가 의료선교를 한 성 루가병원(낙선시 병원), 서울 성 마태병원으로써 선교활동을 함.)
- * 2대: 단아덕 주교 (1905년 1월 25일 서품)
- * 3대: 조마가 주교 (1911년 7월 25일 서품) - 1915년 김희준(마가) 신부에게 대한성공회 첫 한국인 사제서품을 줌.
- * 4대: 구세실 주교 (1931년 6월 11일)
- * 5대: 김요한 주교 (1955년 12월 23일)
- 한국인 주교 시대
- * 1대: 이천환(바우로) 주교 (1965년 5월 27일) (한국인 초대 서울교구장)
- * 2대: 김성수(시몬) 주교 : 초대 관구장, (1984년 서품) - 현재 성공회 우리마을(원장: 원순철 신부)로써 발달장애인 직업자활시설을 운영함.
- * 3대: 정철범(마태) 주교 (3, 4대 관구장)
- * 4대: 박경조(프란시스) 주교 (2005년 서품)
- * 5대: 김근상(바우로) 주교 (7대 관구장)
- * 6대: 이경호(베드로) 주교 (2017년 서품)
6. 3. 개신교
개신교에서는 주교라는 말 대신 감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감리교회와 같이 감독이 목회하는 교회를 감독제교회라고 부른다. 개신교 신학자들은 안수를 통해 사도권이 전승된다는 사도전승 이론에 대해 성경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반대한다. 감독제교회는 보편교회의 제도를 따른다고 주장하며, 한국의 감리교회는 연회의 업무를 이끌고 목사 안수를 집행한다.하지만 감독제 교회를 따르지 않는 개혁교회 전통의 회중 중심 교회에서는 성경에 나오는 감독의 직분과 장로(presbuteros)의 직분이 다르지 않다고 본다. 즉, 장로와 감독은 같은 직분을 가리키는 다른 표현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오해를 피하고자 주교라는 명칭 대신 감독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만, 특정 장로에게 감독이라는 호칭을 부여하기도 한다.
한국의 감독제교회는 로마 가톨릭의 역사적 사도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사도권은 사도가 전한 복음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는 것이지, 사도 개인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감독은 교회의 대표자 역할과 목사 안수 권한을 가지며, 대개 임기가 정해져 있다.
- 기독교 대한 감리회
대한민국 개신교에서 기독교대한 감리회(감리교회)는 대표적인 감독제 교회이다. 감독은 지역 구역과 유사한 연회를 책임지며, 감독 및 감리사 선출, 목사 안수, 연회 내 교회와 목회자 관리, 목사 파송, 교회 교리 보호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감리교회는 감독 선거를 통해 선출된 12명의 감독 중 감독회장을 선임하여 교회를 대표한다.
감독(Bishop)은 평신도와 사목자가 모두 참여하는 회중회의(Synod Assemblies)에서 선출된다. 임기는 6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 미국, 연합 감리 교회(:en:United Methodist Church)
감리교는 감독제 교회를 기반으로 하므로, 감독 선거에서 선출된 감독이 교회를 이끈다. 미국 연합 감리 교회에서 감독은 교회 행정과 목회의 총책임자이다. 안수받은 장로목사 중에서 선출되며, 다른 감독의 안수를 통해 임명되는 종신직이다. 감독은 초대교회의 전통적인 삼직제(감독목사, 장로목사, 집사목사) 개념에 따라 감독직(Office of the Episcopacy) 구성원으로 있는 동안에는 장로목사회(Order of Elders)에 속한다. 연합 감리 교회 내에서 감독은 다른 감독에게 안수하거나 목사 안수를 줄 수 있다. 감독의 역할은 감독 및 목사 안수, 책임 지역 내 교회와 목회자에 대한 목회 책임, 교회 교리 보호 등이다.
- Christian Methodist Episcopal Church|기독교 감리감독교회영어
이 교회에서 감독은 교회 관리의 총 책임자이다. 남녀 모두 간접 투표로 선출될 수 있으며, 74세가 정년으로 의무적으로 은퇴해야 한다. 주된 책임은 지역 교회 사목자 선출, 성직 후보자 안수, 교회 교리 수호이다.
- 하느님의 오순절 교회(:en:Pentecostal Church of God)
2002년, 이 교회는 주교라는 명칭이 종교 지도자 역할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교회 총 책임자의 명칭을 주교로 변경했다. 그러나 이 교회의 주교는 사도전승에 따라 서품되지 않으며, 12사도와 연결되지 않는다. 주교라는 명칭은 일반(국제적) 및 지역 지도자들에게 사용된다.
- 기타
일부 침례교파에서 주교라는 직위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소규모 개신교 교파들과 독립 교회들은 주교라는 명칭을 사목자(pastor)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며, 남녀 모두 가능하다. 미국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들에서 특히 자주 사용되며, 장로교 제도를 따르는 스코틀랜드 교회(Church of Scotland)에서도 서품받은 사람을 주교라고 부른다.
잉글랜드 내전 시기 동안, 정치적 권력을 행사하고 기성 교회를 옹호하는 주교들의 역할은 격렬한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장로교는 유럽 대부분의 개혁주의 정치 체제였으며, 잉글랜드 종교 개혁 이후 많은 사람들에게 지지를 받았다. 초기 교회에서 ''장로''(presbyter)와 episkopos|에피스코포스grc(감독)의 직책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청교도들은 이것이 교회가 가져야 할 유일한 통치 형태라고 주장했다. 앵글리칸 신학자 리처드 후커는 ''교회 정치 법칙에 관하여''에서 이러한 주장에 반박하는 동시에 장로교식 성직 서임의 유효성(특히 칼뱅의 베자에 대한 성직 서임)을 옹호했다.
아프리카감리교회에서 "감독은 연합 조직의 최고 책임자입니다. 감독은 4년마다 개최되는 총회의 과반수 찬성으로 종신 선출됩니다."[57] 미국의

감리교회(세계에서 가장 큰 감리교 교파)에서 감독은 교회의 행정 및 사목 감독관으로 일한다. 감독은 지역(관할) 회의 대표들의 투표를 통해 임직된 장로(사제)들 중에서 종신으로 선출되며, 회의에 참석한 다른 감독들이 안수를 통해 성별(성임)한다. 감리교회에서 감독은 "장로의 직분"에 남아 있는 동시에 "감독 직무"에 성별된다. 감리교회 내에서는 감독만이 감독을 성별하고 성직자를 임직할 권한을 갖는다. 감독의 가장 중요한 직무 중에는 목회자를 임직하고 지역 교회에서 목사로 섬기도록 임명하는 것, 연례, 관할, 총회 회의에 참석하여 주재하는 것, 담당하는 성직자에게 사목 봉사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교회의 교리와 규율을 수호하는 것이 있다.
각 연례회에서 감리교 감독은 4년 임기를 맡으며, 은퇴하거나 새로운 회의에 임명되기 전에 최대 3번까지 임기를 수행할 수 있다. 감리교 감독은 남성 또는 여성이 될 수 있으며, 마조리 매튜스가 1980년에 감독으로 성별된 최초의 여성이다.

감리교회에서 감독 지도력의 공동체적 표현은 감독회로 알려져 있다. 감독회는 교회에 그리고 교회를 통해 세상에 이야기하며, 기독교 연합과 종교 간 관계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지도력을 제공한다.
존 웨슬리는 토마스 콕을 "총감독"으로 성별하고, 1784년 미국에서 감리교 감독 교회가 잉글랜드 교회와 별개의 교파가 된 곳에서 프랜시스 애즈버리도 성별하도록 지시했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에서 감독은 와드라 불리는 지역 교회의 지도자이다. 대부분의 LDS 신권 소유자와 마찬가지로 감독은 파트타임 평신도 성직자이며 다른 직업을 통해 생계를 유지한다. 감독의 임무는 주재하고, 지역 지도자들을 부르고, 특정 활동에 대한 회원들의 합당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감독은 자신의 교회의 영적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 파트타임 직책이기 때문에, 모든 능력 있는 회원들은 위임된 평신도 직책(예: 여성 및 청소년 지도자, 교사)을 맡아 와드 운영을 돕는 것이 기대된다. 이러한 직책들을 부름이라고 한다. 감독은 특히 청소년을 지도할 책임이 있다.[58] 감독이 자신의 와드에서 아론 신권의 회장이기 때문이다. 회원들은 감독에게 중대한 죄를 고백하도록 요청받지만, 가톨릭 교회와 달리 감독은 신성한 용서의 도구가 아니라 회개 과정의 안내자일 뿐이다. 감독은 또한 와드의 물질적 복지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따라서 십일조와 금식 헌금을 모아 필요한 곳에 재정적 지원을 분배한다.
아론의 직계 후손은 합당함이 인정되고 제일회장단에 의해 성임된 후 감독으로서의 "법적 권리"를 갖는다.[59] [60] 아론의 직계 후손이 없는 경우, 멜기세덱 신권의 최고 신권자가 감독으로 부름을 받는다.[60] 각 감독은 스테이크 회장단에 의해 와드 거주 회원 중에서 선택되며 제일회장단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감독은 두 명의 ''보좌''를 선택하여 ''감독단''을 구성한다. 감독으로 부름받은 신권 소유자는 이미 최고 신권자가 아닌 경우 지부 회장과 유사한 직책과는 달리 최고 신권자로 성임되어야 한다.[61]
후기 성도 감독은 다른 많은 교회의 성직자들처럼 특별한 의복이나 휘장을 착용하지 않지만, 특히 공식적인 직무를 수행할 때는 지역 문화에 따라 단정하고 보수적으로 복장하고 단정하게 하는 것이 기대된다. 감독(그리고 다른 신권 회원들)은 자신의 권위 계보를 조셉 스미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교회 교리에 따르면 조셉 스미스는 고대 사도 베드로, 야고보, 그리고 요한에 의해 현대 교회를 이끌도록 성임되었고,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교회를 이끌도록 성임되었다.[63]
세계적 차원에서 감리 감독은 교회의 광범위한 세계적 인도주의적 지원 및 사회 복지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전 세계 교회의 현세적 문제(건물, 부동산, 상업 회사 등)를 감독한다. 감리 감독은 두 명의 보좌를 두고 있다. 이 세 사람은 함께 감리 감독단을 구성한다.[64] 와드 감독단의 경우 보좌가 감독 직책을 맡지 않는 것과 달리, 감리 감독단의 세 사람은 모두 감독 직책을 맡고 있으므로, 보좌는 감리 감독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으로 "감독"이라고 불린다.[65]
감독직(주교직)을 포함하여 초기 교회의 교회 조직에 대해서는 초대 교회 각 교파 및 사상에 따라 견해가 다르다. 그 이유는 신약 성서에 나오는 주교에 대한 묘사가 해석이 분분하기 때문이며,[94] 성전·전승의 위치 또한 교파와 사상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95]
그러나 1세기의 감독직(주교직)에 대한 견해는 분분하지만,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98년부터 117년 사이에 서거[96]) 등의 기록을 근거로 하여, 2세기 중반에는 감독직(주교직)( Επίσκοπος|에피스코포스el )을 중심으로 교회가 조직되기 시작했으며, 종교 개혁까지는 어느 교회에서든 감독직(주교직)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는 것은 (현대에 감독·주교직을 가진 교회들 사이에서는) 널리 인정되고 있다.[94][97][98][99]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감독(주교), 장로(사제), 집사(부제, 보제)의 삼직이 이미 교회에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94]
복음주의(루터파) 교회와 감리교회의 직책명 중 하나에 감독이 있다.[101] 성경 그리스어 "ἐπίσκοπος|에피스코포스el", bishop영어 또는 superintendent의 번역어이다. 정교회·성공회의 주교, 가톨릭교회의 주교에 해당한다. 여호와의 증인에서는 장로와 동의어이다. 한국성서공회 역본이나 대한성공회 역본, 새번역성경, 현대어성경 등에서는 성경에 등장하는 그리스어 "ἐπίσκοπος|에피스코포스el"에 "감독"이라는 번역어를 사용하고 있다.[102]
그러나, 한국성서공회 역본을 사용하는 대한성공회에서는 직책으로는 주교라는 번역어를 사용하고 있다.
"ἐπίσκοπος|에피스코포스el"는 성경에서의 직책과 교회에서의 직책 모두 이 단어 하나로 표현하고 있다.
존 웨슬리는 그리스어의 보다 정확한 번역으로 비숍이 아닌, 슈퍼인텐던트(superintendent)라는 번역어를 사용했다.[103]
에큐메니즘(Ökumene)의 감독(監督)에 대해 프로테스탄트(Protestant) 측에서 문제 제기하는 목소리가 있다.[104]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 WCC)의 남인도교회(South India Church)는 사도계승(使徒継承)에 따른 안수(按手)가 이루어졌지만, 루터교(Lutheran Church) 신학자 C.F.비스로프(C.F. ヴィスロフ)는 이를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타협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105] 스코틀랜드 종교개혁(スコットランド宗教改革) 당시 감독(監督)인 Superintendents가 있었지만, 이는 "개혁파(改革派)의 주교(bishop)"가 아니라 일시적인 직무였다.[106][107]
일본 홀리니스 교회(1917-1936)에서는 감리교 감독제를 참고하여 감독 직책이 설치되었고, 나카다 시게하루(中田重治)가 초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홀리니스 분열 사건 이후 나카다파(中田派)가 창설한 기요메 교회(1936-1943)에서는 나카다가 명예직으로 종신 감독에 취임한다. 나카다의 사후에는 감독직을 두지 않고, 모리 고로(森五郎)가 위원장이 되어 최고 책임자가 되었다.
한편, 홀리니스 화협 분리로 인해 쿠루타 아키쓰구(車田秋次)파가 창설한 일본 성교회에서는 감독이 부재하여 감독 대행으로 여러 위원들이 책임자가 되었다.
전후, 1949년에 창설된 일본 홀리니스 교단에서는 창설자인 쿠루타 아키쓰구(車田秋次)가 최고 직책인 총리가 되었다. 하지만, 이후 위원제가 되어 위원장이 최고 책임자가 되었다.
7. 비기독교 종교에서의 용어 사용
비기독교 종교에서도 '주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불교에서는 미국 불교 교회(Buddhist Churches of America, BCA)의 지도자를 주교(Bishop)라고 부른다.[75][76][77] 이 직함은 일본어로는 sochō|소초일본어라고 하지만, 영어 직함을 더 선호한다.[77][78][79] BCA는 상가sa, 다나sa와 같은 불교 용어는 원래 언어로 유지했지만, sochō|소초일본어를 포함한 일부 단어는 영어로 번역했다.[80][81][82] 1899년부터 1944년까지 북미 불교 선교회(Buddhist Mission of North America)라는 이름을 사용했던 BCA는 1899년부터 1918년까지 지도자를 kantoku|칸토쿠일본어(감독)라고 불렀고, 1918년에 주교(sochō|소초일본어)로 승진시켰다.[83][84][85] 조지 J. 타나베에 따르면, 하와이 신불교(Honpa Hongwanji Mission of Hawaii)에서는 이미 "주교"라는 직함이 사용되기도 했다.[86]
일본의 동본원사 북미 지구, 하와이 본파 홍완지 선교회, Jodo Shinshu Buddhist Temples of Canada,[87] 로스앤젤레스와 하와이의 정토종 및 진언종 사찰,[88] 하와이 소토 선교회(소토젠 불교 기관),[89][90] 남미 소토젠 불교 공동체(Comunidade Budista Sōtō Zenshū da América do Sulpt) 등 다른 불교 단체에서도 주교 직함을 사용하거나 사용했었다.[91]
신토와 불교의 영향을 받은 일본의 신흥 종교인 텐리교에서도 북미 선교부 지도자를 주교(bishop)라고 부른다.[92][93]
7. 1. 불교
미국 불교 교회(Buddhist Churches of America, BCA)의 지도자는 주교(Bishop of the Buddhist Churches of America)이다.[75][76][77] BCA 주교의 일본어 직함은 sochō|소초일본어이다.[77][78][79] 하지만 영어 직함이 일본어 직함보다 더 선호된다. 많은 다른 불교 용어들과 관련하여 BCA는 상가sa 및 다나sa와 같은 용어들을 원래 언어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지만, sochō|소초일본어를 포함한 일부 단어들은 영어로 변경/번역했다.[80][81][82]1899년부터 1944년까지 BCA는 북미 불교 선교회(Buddhist Mission of North America)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북미 불교 선교회의 지도자는 1899년부터 1918년까지 kantoku|칸토쿠일본어(감독/이사)라고 불렸다. 1918년에 kantoku|칸토쿠일본어는 주교(sochō|소초일본어)로 승진했다.[83][84][85] 그러나 조지 J. 타나베(George J. Tanabe)에 따르면, 공식 직함이 ''kantoku''였을 때도 하와이 신불교(Honpa Hongwanji Mission of Hawaii)에서는 이미 "주교"라는 직함이 실제로 사용되었다.[86]
주교는 다른 일본 불교 단체에도 존재한다. 동본원사(Higashi Hongan-ji)의 북미 지구, 하와이 본파 홍완지 선교회, Jodo Shinshu Buddhist Temples of Canada,[87] 로스앤젤레스의 정토종 사찰,[88] 진언종 사찰 Koyasan Buddhist Temple,[88] 하와이의 소토 선교회(소토젠 불교 기관),[89][90] 그리고 남미 소토젠 불교 공동체(Comunidade Budista Sōtō Zenshū da América do Sulpt) 모두 주교 직함을 가진 지도자를 두거나 두었었다. 남미 소토젠 불교 공동체의 경우 일본어 직함은 sōkan|소칸일본어이지만, 지도자는 실제로 "주교"라고 불린다.[91]
7. 2. 텐리교
텐리교는 신토와 불교의 영향을 받은 일본의 신흥 종교이다.[92] 텐리교 북미 선교부의 지도자는 주교(bishop)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다.[92][93]참조
[1]
서적
Buddhism in America: the social organization of an ethnic religious institution
http://archive.org/d[...]
Greenwood Press
1977
[2]
서적
Buddhism in America: the social organization of an ethnic religious institution
http://archive.org/d[...]
Greenwood Press
1977
[3]
웹사이트
Elders
http://isvbible.com/[...]
2013-01-06
[4]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Fathers
http://www.ccel.org/[...]
2015-08-25
[5]
성경
[6]
성경
[7]
성경
[8]
성경
[9]
성경
[10]
성경
[11]
웹사이트
Bona, Algeria
http://www.wdl.org/e[...]
2013-09-25
[12]
성경
[13]
성경
[14]
학술지
Viktor I. (189 ?-199 ?) von Rom und die Entstehung des "monarchischen" Episkopats in Rom
2016-01-01
[15]
웹사이트
Apostolic Fathers with Justin Martyr and Irenaeus
https://www.ccel.org[...]
2019-03-30
[16]
문서
Clement, "Hom.", III, lxxii; cfr. ''Stromata'', VI, xiii, cvi; cf. "Const. Apost.", II, viii, 36
[17]
문서
"Didascalia Syr.", IV; III, 10, 11, 20; Cornelius, "Ad Fabianum" in Eusebius, ''Historia Ecclesiastica'', VI, xliii.
[18]
웹사이트
Why the New Rite of Episcopal Consecration is Valid
http://www.sspx.ca/A[...]
2006-01-01
[19]
웹사이트
Andorra – First and second Paréages (feudal charters)
http://www.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0-12-14
[20]
웹사이트
Apostolic See definition and meaning |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www.collinsdi[...]
[21]
서적
Keepers of the keys of heaven: a history of the papacy
Basic Books
2009
[22]
서적
Autoridade da Verdade – Momentos Obscuros do Magistério Eclesiástico
Edições Loyola
[23]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Vatican in the Modern World
https://www.ewtn.com[...]
[24]
뉴스
The World's Most Powerful People
https://www.forbes.c[...]
2014-11-01
[25]
뉴스
The World's Most Powerful People
https://www.forbes.c[...]
2013-01-01
[26]
학술지
Deus Vult: The Geopolitics of Catholic Church
2010-02-12
[27]
웹사이트
The Lord Bishop
http://www.tynwald.o[...]
Tynwald
2017-07-05
[28]
act
1858-07-23
[29]
웹사이트
Ukrainian schismatic synod allows "clergy" to run for political office, against Church canons
https://orthochristi[...]
[30]
웹사이트
Eastern Orthodoxy - The church of Russia (1448–1800)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1]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litics and Religion: 2-volume Set
http://worldcat.org/[...]
Routledge
2013-12-04
[32]
웹사이트
Church Vs State Issues Raised In Oz GG Appointment
https://www.scoop.co[...]
2001-04-30
[33]
웹사이트
A churchman cannot serve two masters
https://www.smh.com.[...]
2003-06-04
[34]
웹사이트
Canon 406
https://www.vatican.[...]
Holy See
2009-06-15
[35]
웹사이트
Ministry and Ministries
https://www.svenskak[...]
Evangelical Lutheran Church of Sweden
2022-02-04
[36]
서적
The National Church of Sweden
A. R. Mowbray & Company Limited
1911
[37]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313
https://www.vatican.[...]
2011-09-27
[38]
서적
Mission, Dialog und friedliche Koexistenz: Zusammenleben in einer multireligiösen und säkularen Gesellschaft : Situation, Initiativen und Perspektiven für die Zukunft
Peter Lang
[39]
웹사이트
Choose Life!
https://media.ctsfw.[...]
Concordia Theological Seminary
[40]
서적
Dictionary of Luther and the Lutheran Traditions
Baker Academic
2017
[41]
서적
The New Westminster Dictionary of Church History: The Early, Medieval, and Reformation Eras
http://www.abebook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8-08-13
[42]
웹사이트
Catholic News Service
http://www.catholicn[...]
2008-10-19
[43]
웹사이트
Catholic News Service
http://www.catholicn[...]
2008-10-19
[44]
서적
From Apostles to Bishops: The Development of the Episcopacy in the Early Church
Paulist Press
[45]
웹사이트
Roman Catholic – Lutheran Dialogue Group for Sweden and Finland, ''Justification in the Life of the Church'', section 297, page 101
http://sakasti.evl.f[...]
2023-06
[46]
간행물
The Tablet
1982-05-29
[47]
간행물
The Tablet
1982-05-29
[48]
웹사이트
Responsum ad Dubium Concerning the Teaching Contained in Ordinatio Sacerdotalis
http://www.ourladysw[...]
1995-10-25
[49]
뉴스
Churches' Goal Is Unity, Not Uniformity Spokesman for Vatican Declares
2003-05-27
[50]
뉴스
In Britain, pope will focus on common Christian mission, official says
https://www.catholic[...]
2010-09-09
[51]
웹사이트
http://www.vaticanne[...]
2017-12-14
[52]
학술지
The Dialogues of the Catholic Church with the Separated Eastern Churches
2010-03-01
[53]
서적
Growing Consensus II: Church Dialogues in the United States, 1992-2004
USCCB Publishing
2005
[54]
웹사이트
A Lutheran Proposal for a Revision of the Concordat of Agreement
http://www.elca.org/[...]
1999-08-19
[55]
웹사이트
The Historic Episcopate: An Episcopalian Viewpoint
http://www.elca.org/[...]
1999-03-01
[56]
웹사이트
The Function of Bishops in the Ancient Church
http://www.kencollin[...]
[57]
웹사이트
Bishops of the Church
http://www.ame-churc[...]
African Methodist Episcopal Church
2015-08-19
[58]
웹사이트
General Handbook, 6.1.2
https://www.churchof[...]
[59]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107:76
https://www.churchof[...]
[60]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68:20
https://www.churchof[...]
[61]
웹사이트
General Handbook, 6.2
https://www.churchof[...]
[62]
웹사이트
Ensign, 1990 October, What callings are open to single members of the Church?
https://www.churchof[...]
[63]
서적
Teachings of Presidents of the Church: Joseph Smith
https://www.churchof[...]
[64]
웹사이트
The Presiding Bishopric
https://www.churchof[...]
2012-07-27
[65]
웹사이트
Learn More About the Church's Presiding Bishopric
https://newsroom.chu[...]
2018-08-19
[66]
서적
COGIC Manual
Church of God in Christ Publishing House
[67]
웹사이트
Board of Bishops
http://www.cogic.org[...]
2017-09-04
[68]
웹사이트
The General Board
http://www.cogic.org[...]
2017-09-04
[69]
서적
Seventh-day Adventists Believe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988
[70]
뉴스
More Baptist pastors adopt bishop title
http://www.boston.co[...]
2010-07-19
[71]
서적
Book of Order (2009–2011)
http://www.presbycoa[...]
Presbyterian Church (USA) Office of the General Assembly
2014-09-07
[72]
웹사이트
"The Successor To Peter"
http://www.pcusa.org[...]
2000-01-01
[73]
웹사이트
How Are Congregations of Jehovah's Witnesses Organised?
http://www.jw.org/en[...]
2015-08-04
[74]
웹사이트
Global Missions in the Indiana-Kentucky Synod: Indonesia: the Huria Kristen Batak Protestan Church on the island of Sumatra
https://iksynod.org/[...]
2018-08-18
[75]
서적
Local Inter-Buddhist Associations in North America
Routledge
[76]
서적
Religious bodies, 1936
https://archive.org/[...]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77]
서적
The Legal Dimensions of the Formation of Shin Buddhist Temples in Los Angel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78]
서적
Sacred Places of San Francisco
Presidio Press
[79]
서적
Buddhist Modernism As Narrative: A Comparative Study of Jodo Shinshu and Zen
SUNY Press
[80]
서적
Buddhism in America : the social organization of an ethnic religious institution
Westport, Conn. : Greenwood Press
[81]
서적
Buddhism in Americ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82]
서적
Insight Meditation in the United States: 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3]
서적
Immigrants to the Pure Land: The Modernization, Acculturation, and Globalization of Shin Buddhism, 1898-1941
University of Hawaii Press
[84]
서적
Buddhism in Ame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85]
서적
Buddhism in America : the social organization of an ethnic religious institution
http://archive.org/d[...]
Westport, Conn. : Greenwood Press
[86]
서적
Grafting Identity: The Hawaiian Branches of the Bodhi Tre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7]
서적
Immigrants to the Pure Land: The Modernization, Acculturation, and Globalization of Shin Buddhism, 1898-1941
University of Hawaii Press
[88]
서적
Buddhism: A Modern Perspective
Penn State Press
[89]
서적
Grafting Identity: The Hawaiian Branches of the Bodhi Tree
University of Hawaii Press
[90]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sotomiss[...]
2021-07-12
[91]
서적
Being a Zen Buddhist Brazilian: Juggling Multiple Religious Identities in the Land of Catholic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92]
서적
Issei Buddhism in the America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93]
서적
The United States–Japanese War and Tenrikyo Ministers in Americ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94]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教文館
1973-09-30
[95]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教文館
1973-09-30
[9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Ignatius of Antioch
http://www.newadvent[...]
[97]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Orthodox Church: The Apostolic Church
http://orthodoxinfo.[...]
[9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ishop
http://www.newadvent[...]
[99]
웹사이트
Bishop. Lutheran Church - Missouri Synod - Christian Cyclopedia
http://cyclopedia.lc[...]
[100]
웹사이트
東方正教会&ローマ・カトリック 聖職者対照表
https://web.archive.[...]
[101]
웹사이트
『大研究』主要索引&英和対照表 増補版
http://yagitani.jpn.[...]
[102]
성경
フィリピの信徒への手紙1章1節、第一テモテ3:1-2、テトス1:7など
[103]
서적
戦う使徒ウェスレー
福音文書刊行会
[104]
서적
What is an Evangelical?
[105]
서적
現代神学小史
いのちのことば社
[106]
서적
現代の宗教改革
小峯書店
[107]
서적
キリストの教会
小峯書店
[108]
서적
中田重治伝
[109]
성경
사도행전 20, 28;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1, 1;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3, 2; 디도에게 보낸 편지 1, 7; 베드로의 첫째 편지 2, 25
[110]
뉴스
인터뷰- 대한성공회 차기 서울교구장 당선자 김근상 신부
http://www.newsnjo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