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이 J. 글라우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이 J. 글라우버(Roy J. Glauber, 1925-2018)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양자 광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1963년 빛의 기본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광 검출 모델을 구축한 공로로 200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원자폭탄의 임계 질량 계산에 종사했으며,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말린크로트 교수로 재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 - 앨런 와이즈먼
    앨런 와이즈먼은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이며, 《뉴욕 타임스》 등에 기고하고 《세상 없이》 등의 저서를 출판했으며, 애리조나 대학교 명예 교수를 역임했다.
  •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 - 앤드루 카니
    앤드루 카니는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 광학자 - 피에르 아고스티니
    피에르 아고스티니는 아토초 과학 분야의 선구적인 프랑스 실험 물리학자로, 다광자 이온화 연구를 통해 임계이상 이온화를 최초로 관측하고 250아토초 펄스 열을 생성하는 데 성공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광학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맨해튼 계획 관련자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맨해튼 계획 관련자 - 펠릭스 블로흐
    펠릭스 블로흐는 고체 물리학과 핵자기 공명 분야에 기여하고, 블로흐 파를 이용한 고체 내 전자 이론을 정립했으며, 핵자기 공명 현상 연구를 통해 MR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여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로이 J. 글라우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2년의 글라우버
출생 이름Roy Jay Glauber
출생일1925년 9월 1일
출생지뉴욕 주 뉴욕 , 미국
사망일2018년 12월 26일
사망지뉴턴, 미국
국적미국
분야이론 물리학
배우자Cynthia Rich (1960년 결혼, 1975년 이혼)
자녀2명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학력 및 경력
출신 대학하버드 대학교 (AB, PhD)
박사 지도 교수줄리언 슈윙거
박사 학위 논문The relativistic theory of meson fields (중간자장의 상대론적 이론)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49년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직장하버드 대학교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애리조나 대학교
주요 업적양자 광학 창시
코히어런스 차수
광검출
글라우버 상태
글라우버 역학
글라우버-수다르샨 P 표현
지도 학생레오 카다노프
다니엘 클레이트먼
다니엘 월스
수상
수상 내역노벨 물리학상 (2005년)
하이네만 상 (1996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 (1997년)
훔볼트 상 (1989년)
라카 강연 (1988년)
막스 보른 상 (1985년)
앨버트 A. 마이컬슨 메달 (1985년)
구겐하임 펠로우십 (1957년)

2. 생애

글라우버는 필라델피아의 프랭클린 연구소에서 1985년 알버트 A. 마이켈슨 메달을[43], 미국 광학 협회에서 맥스 본 상을, 1996년 미국 물리학 협회에서 'Dannie Heineman Prize for Mathematical Physics'를, 그리고 200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 4월 22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Medalla de Oro del CSIC' ('CSIC's Gold Medal')를 받았다.[44] 그는 1951년에 리처드 파인만을 대신하여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임시 강사가 되었고,[19][20] 1967년에는 안식년 동안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의 객원 과학자로 활동했다.[18]

2010년 4월 15일, 알링턴 경찰은 글라우버의 자택에 침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을 체포하여 무단 침입죄로 유죄 판결을 내렸는데, 이때 도난당한 것은 글라우버의 노벨상 복제품뿐이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글라우버는 1925년 뉴욕에서 아슈케나짐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29] 1941년 브롱크스 과학 고등학교를 1기생으로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 진학했다.[30] 대학 재학 중 18세의 나이로 로스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의 최연소 과학자 중 한 명으로서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여 원자폭탄의 임계질량 계산을 담당했다.[8][30] 로스알라모스에서 2년간 근무한 후 하버드 대학교로 돌아와 1946년에 학사 학위를, 1949년에 줄리언 슈윙거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8][30]

2. 2. 학문적 경력

글라우버는 1925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브롱크스 과학 고등학교의 1941년 졸업생 중 한 명으로, 그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거쳤다. 2학년을 마친 후 맨해튼 프로젝트에 소집되었는데, 이때 그의 나이는 18세로 로스 앨러모스 연구소에서 가장 어린 나이였다. 그의 업무는 원자폭탄의 임계질량을 계산하는 것이었다.[43] 로스 앨러모스에서 2년을 보낸 후, 하버드로 돌아와 1946년에 학사 학위를, 1949년에 줄리언 슈윙거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30]

글라우버는 그의 연구로 큰 명예를 얻었는데, 필라델피아의 프랭클린 연구소에서 1985년 알버트 A. 마이켈슨 메달을[43], 미국 광학 협회에서 맥스 본 상을 수상하고, 1996년 미국 물리학 협회에서 'Dannie Heineman Prize for Mathematical Physics'를, 그리고 200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2008년 4월 22일, 글라우버 교수는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세레모니에서 'Medalla de Oro del CSIC' ('CSIC's Gold Medal')를 받았다.[44]

현재 매사추세츠주의 알링턴에서 살고 있으며,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의 말린크로트 교수로 재직중이다.

2. 3. 개인적인 삶

글라우버는 1925년 뉴욕에서 태어났다.[43] 1960년 신시아 리치(Cynthia Rich)와 결혼했으나 1975년에 이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아들 제프리(Jeffrey)와 딸 밸러리(Valerie)가 있었으며, 슬하에 5명의 손주를 두었다. 매사추세츠주 알링턴에 거주하다 2018년 12월 26일 매사추세츠주 뉴턴에서 사망했다.[39][40][41] 그는 트리니티 핵실험의 마지막 생존 증인 중 한 명이었다.[21] 유해는 뉴욕주 발할라에 위치한 켄시코 묘지에 안장되었다.[22][23][24]

3. 연구 업적

글라우버는 1950년대에 다중 산란 이론에 관한 초기 연구를 빅터 프랑코와 같은 제자들과 함께 진행했다.[9] 1963년에는 Photodetection|광 검출영어 모델을 구축하여 레이저 빛(코히어런트 상태)이나 전구 빛(흑체) 등 다양한 종류의 의 기본적인 특성을 설명했다. 또한 같은 해 이징 모형의 확률적 역학을 처음으로 정의하고 조사하여, 1차 상전이 역학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33]

3. 1. 양자 광학

글라우버의 최근 연구는 빛과 물질의 양자 전기역학적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인 양자 광학의 여러 문제들을 다루었다. 그는 또한 하드론 충돌 분석, 고에너지 반응에서 생성된 입자들의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을 포함한 고에너지 충돌 이론의 여러 주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9]

그의 연구의 구체적인 주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주제
갇힌 파동 묶음의 양자역학적 거동
갇힌 이온과의 빛의 상호작용
원자 계수 - 자유 원자 빔의 통계적 특성 및 그 측정
페르미온 통계를 다루는 대수적 방법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근처의 보존 원자의 결맞음 및 상관 관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는 광자 계수 이론과 양자원에 대한 반응
"원자 전자 전이"의 근본적인 본질
고에너지 충돌에서 다중으로 생성된 입자의 공명 수송
양성자-양성자 및 양성자-반양성자 산란의 다중 회절 모델



1963년 논문에서 글라우버는 Photodetection|광 검출영어 모델을 구축하여 레이저의 빛(코히어런트 상태 참조)이나 전구의 빛(흑체 참조) 등, 다양한 종류의 의 기본적인 특성을 설명했다. 글라우버의 이론은 양자 광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31][32]

3. 2. 통계 물리학

글라우버는 1963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징 모형의 확률적 역학을 처음으로 정의하고 조사하여, 1차 상전이 역학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33]

3. 3. 고에너지 충돌 이론

글라우버는 강입자 충돌 분석과 고에너지 반응에서 생성된 입자들의 통계학적 상호관계 등 고에너지 충돌 이론에 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하였다.[9]

그의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 고에너지 충돌에서 다중으로 생성된 입자의 공명 수송
  • 양성자-양성자 및 양성자-반양성자 산란의 다중 회절 모델

3. 4. 기타 연구

글라우버의 최근 연구는 빛과 물질의 양자 전기역학적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인 양자 광학의 여러 문제들을 다루었다. 그는 또한 하드론 충돌 분석, 고에너지 반응에서 생성된 입자들의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을 포함한 고에너지 충돌 이론의 여러 주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다.[9]

그의 구체적인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주제
갇힌 파동 묶음의 양자역학적 거동
갇힌 이온과의 빛의 상호작용
원자 계수 - 자유 원자 빔의 통계적 특성 및 그 측정
페르미온 통계를 다루는 대수적 방법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근처의 보존 원자의 결맞음 및 상관 관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되는 광자 계수 이론과 양자원에 대한 반응
"원자 전자 전이"의 근본적인 본질
고에너지 충돌에서 다중으로 생성된 입자의 공명 수송
양성자-양성자 및 양성자-반양성자 산란의 다중 회절 모델


4. 수상 및 영예

로이 J. 글라우버는 그의 연구로 많은 상과 영예를 얻었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상 이름수여 기관수상 연도
알버트 A. 마이켈슨 메달프랭클린 연구소1985년[43][10][35]
맥스 본 상미국 광학 협회1985년
대니 하이네만 수학 물리학상미국 물리학 협회1996년
노벨 물리학상스웨덴 왕립 과학원2005년
윌리스 램상2006년
CSIC 금메달스페인 국립 연구 위원회2008년[44][11][36]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왕립 학회1997년[12][37]



2005년 글라우버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후, 조지 수다르샨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물리학 교수는 그가 양자 광학에 관한 초기 논문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노벨상 위원회에서 간과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론가인 글라우버는 정밀 분광학 연구로 인정받은 물리학 실험가 존 L. 홀테오도어 W. 헨슈와 함께 상금의 절반을 받았다.[13][14][15]

5. 이그 노벨상

그는 노벨상을 수상하기 전부터 이그 노벨상 청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었다. 그는 수상식에서 전통적으로 치러지는 바닥쓸기 세레모니를 "Keeper of the Broom"으로서 행해왔다. 안타깝게도, 2005년에는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16][17]

하버드 대학교에서 열리는 이그 노벨상 시상식에서는 수상자에게 관객이 종이 비행기를 던지는 것이 관례인데, 글라우버는 오랫동안 그것을 청소하는 "빗자루 담당"을 맡았다. 2005년에는, 실제 노벨 물리학상 시상식에 참석했기 때문에, 이그 노벨상 시상식에는 불참했다. 글라우버가 이그 노벨상을 수상한 적은 없다.

6. 저서


  • R. J. Glauber영어, ''Quantum Theory of Optical Coherence. Selected Papers and Lectures'' (광학적 결맞음의 양자 이론. 선별된 논문 및 강의), Wiley-VCH, Weinheim, 2007. (1963년부터 1999년까지 글라우버가 저술한 논문 중 그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논문 모음)

참조

[1] MathGenealogy
[2] 논문 Daniel Frank Walls FRSNZ. 13 September 1942 — 12 May 1999 Royal Society publishing
[3] 논문 An interview with Nobel laureate Roy Glauber, Physics 2005
[4] 서적 Quantum Theory of Optical Coherence. Selected Papers and Lectures Wiley-VCH, Weinheim 2007
[5] 논문 Time-dependent statistics of the Ising model
[6] 웹사이트 Board http://armscontrolce[...] Center for Arms Control and Non-Proliferatio 2016-09-22
[7] 웹사이트 World Who's who in Science: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Notable Scientist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Marquis-Who's Who 1968-01-06
[8] 학위논문 The relativistic theory of meson fields Harvard University 1949
[9] 논문 High-Energy Deuteron Cross Sections https://journals.aps[...] 1966
[10] 웹사이트 Roy J. Glauber, Physics (1985) https://www.fi.edu/l[...] Franklin Institute 2014-01-15
[11] 웹사이트 Nota informativa acto de entrega de la medalla de Oro del CSIC al profesor Roy J. Glauber http://www.csic.es/d[...] 2008-04-23
[12] 웹사이트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13] 뉴스 Roy J. Glauber, 93, Dies; Nobel Laureate Explored Behavior of Light (Published 2019) https://www.nytimes.[...] 2019-01-08
[14] 웹사이트 Nobel Doubts https://www.insidehi[...] 2022-11-30
[1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5 https://www.nobelpri[...] 2022-11-30
[16] 웹사이트 Sad news: Roy Glauber, paper airplane sweeper and physicist of light, is gone https://improbable.c[...] 2018-12-28
[17] 웹사이트 Sad news: Roy Glauber, paper airplane sweeper and physicist of light, is gone https://improbable.c[...] 2018-12-28
[18] 웹사이트 Roy J. Glauber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The Nobel Prize 2019-07-12
[19]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05 https://www.nobelpri[...] 2022-08-11
[20] 웹사이트 Glauber, Roy J., 1925- https://history.aip.[...] 2022-08-11
[21] 웹사이트 Roy Glauber: The last witness to the Manhattan Project https://english.elpa[...] 2022-04-27
[22] 뉴스 Roy J. Glauber, 93, Dies; Nobel Laureate Explored Behavior of Light https://www.nytimes.[...] 2019-01-08
[23] 웹사이트 In Memoriam: Roy J. Glauber, 1925-2018 https://www.osa.org/[...] 2018-12-28
[24] 뉴스 Roy Glauber, Nobel-winning physicist who applied quantum mechanics to optics, dies at 93 https://www.washingt[...] 2018-12-30
[25] MathGenealogy
[26] 논문 Daniel Frank Walls FRSNZ. 13 September 1942 — 12 May 1999 Royal Society publishing
[27] 뉴스 R・グラウバー氏が死去 ノーベル賞の米物理学者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1-09
[28] 뉴스 Roy J. Glauber, 1925-2018 https://www.osa.org/[...] 2018-12-26
[29] 웹사이트 World Who's who in Science: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Notable Scientist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Marquis-Who's Who 1968-01-06
[30] 학위논문 The relativistic theory of meson fields Harvard University 1949
[31] 논문 An interview with Nobel laureate Roy Glauber, Physics 2005
[32] 서적 Quantum Theory of Optical Coherence. Selected Papers and Lectures Wiley-VCH, Weinheim 2007
[33] 논문 Time‐dependent statistics of the Ising model
[34] 웹사이트 Board http://armscontrolce[...] Center for Arms Control and Non-Proliferatio 2016-09-22
[35] 웹사이트 Franklin Laureate Database - Albert A. Michelson Medal Laureates http://www.fi.edu/wi[...] Franklin Institute 2011-06-16
[36] 웹사이트 Nota informativa acto de entrega de la medalla de Oro del CSIC al profesor Roy J. Glauber http://www.csic.es/d[...] 2008-04-23
[37] 웹사이트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2021-09-23
[38] 웹사이트 Roy J. Glauber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The Nobel Prize 2019-07-12
[39] 뉴스 Roy J. Glauber, 93, Dies; Nobel Laureate Explored Behavior of Light https://www.nytimes.[...] 2019-01-08
[40] 웹사이트 In Memoriam: Roy J. Glauber, 1925-2018 https://www.osa.org/[...] 2018-12-28
[41] 뉴스 Roy Glauber, Nobel-winning physicist who applied quantum mechanics to optics, dies at 93 https://www.washingt[...] 2018-12-30
[42] 문서 for his contribution to the quantum theory of optical coherence", with the other half shared by John L. Hall and Theodor W. Hänsch.
[43] 웹인용 Franklin Laureate Database - Albert A. Michelson Medal Laureates http://www.fi.edu/wi[...] Franklin Institute 2011-06-16
[44] 웹인용 Nota informativa acto de entrega de la medalla de Oro del CSIC al profesor Roy J. Glauber http://www.csic.es/d[...] 2008-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