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해튼 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진행한 핵무기 개발 프로젝트이다. 1939년 시작되어 1946년 종료되었으며, 우라늄과 플루토늄을 이용한 핵폭탄 개발을 목표로 했다. 오크리지, 로스앨러모스, 헨포드 등 여러 지역에서 진행되었으며, 우라늄 농축, 플루토늄 생산, 핵무기 설계 및 제작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1945년 7월 트리니티 실험을 통해 핵무기 개발에 성공했고,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여 전쟁을 종식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의 군사사 - 블레츨리 파크
블레츨리 파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정부 암호 학교 본부로서 독일군 에니그마 암호 해독을 수행하며 연합군 승리에 기여했으나 오랫동안 비밀에 부쳐졌고, 현재는 암호 해독의 역사와 중요성을 기리는 박물관이자 여러 기관이 공유하는 캠퍼스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의 군사사 -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영국의 군사사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영국의 군사사는 1939년부터 1945년까지 영국이 겪은 다양한 전역, 작전, 군사적 변화를 다루며, 해상전과 공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미국의 지원과 영연방 국가들의 협력으로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 미국의 군사 계획 - 크로스로드 작전
크로스로드 작전은 미국이 1946년 비키니 환초에서 핵무기 영향을 평가하고 군사적 활용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핵실험으로, 핵무기 경쟁 심화와 냉전 시대 긴장 고조, 비키니 환초 주민들의 환경 오염 및 건강 문제 야기, 핵무기 사용 윤리 논쟁을 초래했다. - 미국의 군사 계획 - 프로젝트 A119
프로젝트 A119는 냉전 시대 미국 공군이 소련과의 우주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자 달 표면에서 핵폭발을 일으키려 했던 극비 계획이었으나, 인명 피해 및 여론 악화 우려로 1959년 취소되었고, 후에 알려지면서 윤리적 논란을 야기했다.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그라운드 제로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실버플레이트
실버플레이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핵무기 운반을 위해 B-29 폭격기를 개조한 프로젝트의 암호명이며,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 임무에 사용되었고, 냉전 시대에도 핵 공격 능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맨해튼 계획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맨해튼 계획 | |
![]() | |
활동 기간 | 1942년 ~ 1946년 |
국가 | [[파일:Flag of the United States (DoS ECA Color Standard).svg|25px]] 미국 [[파일:Flag_of_the_United_Kingdom_(1-2).svg|25px]] 영국 [[파일:Flag_of_Canada_(1957–1965).svg|25px]] 캐나다 |
소속 | 미국 육군 공병대 |
본부 | 오크리지, 미국 |
주요 전투 | 이탈리아 침공 프랑스 침공 독일 침공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일본 점령 |
기념일 | 1942년 8월 13일 |
해체일 | 1947년 8월 15일 |
주요 지휘관 | 제임스 C. 마셜 케네스 니콜스 |
![]() | |
![]() | |
추가 정보 | |
예산 | 1945년 기준 20억 달러 (현재 가치 }} 달러) |
인플레이션 조정 연도 | 2022년 |
관련 프로젝트 | |
영국 | 튜브 얼로이스 |
대체 물질 개발 | 대체 물질 개발 |
2. 기원
나치 독일이 먼저 핵무기를 보유할 것을 우려한 망명 유대인 물리학자 레오 칠라드 등은 1939년, 아인슈타인의 서명을 빌려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냈다. 이것이 미국 정부의 핵 개발 움직임을 촉발하는 최초의 계기가 되었다. 이 "제안"에서는 핵 연쇄 반응이 군사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언급되었고, 핵으로 인해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시사되었다. 이후 아인슈타인은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정부로부터 그의 정치적 태도를 경계받아 실제 계획이 시작된 사실조차 알지 못했다.[330]
1942년 7월,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한스 베테 등 여러 이론물리학자들과 회의를 열어 핵분열을 이용한 폭탄 제조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376] 그러나 1941년에 발견된 플루토늄과 순수한 우라늄-235의 물리적 성질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377]
1939년 8월, 실라르드 레오와 유진 위그너는 아인슈타인-실라르드 편지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 문서에는 "엄청난 파괴력을 지닌 새로운 유형의 폭탄"이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언급되어 있었다. 이 편지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서명을 받아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에게 전달되었다. 미국 정부는 이들의 제안을 받아들여 우라늄 광석을 비축하고 엔리코 페르미와 다른 과학자들이 핵 연쇄 반응 연구에 박차를 가하도록 요청하였다.
루즈벨트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의 라이먼 제임스 브리그에게 S-1 우라늄 위원회를 이끌라고 요청하였다. 위원회는 1939년 10월 21일 실라르드, 위그너, 에드워드 텔러 등을 면담하였다. 같은 해 11월, S-1 우라늄 협회는 루즈벨트에게 "우라늄은 우리가 그 동안 알고 있던 어떤 것 보다 더 파괴력이 큰 폭탄의 재료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358]
브리그는 우라늄, 특히 우라늄-235를 추출하고 플루토늄을 발견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167000USD의 예산으로 국가 방위 연구 위원회(National Defense Research Committee, NDRC영어)를 설립하여야 한다고 요청하였다.[360] 1941년 6월 28일, 루즈벨트는 행정명령 제8807호에 서명하였고, 그에 따라 과학 연구 개발 사무소(Office of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OSRD영어)가 만들어졌다.[359] 사무소의 소장은 버니바 부시가 맡았다. 사무소는 추가적으로 방대한 공학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었고, 국가 방위 연구 위원회는 과학 연구 개발 사무소의 부서로 흡수되어 S-1 우라늄 위원회가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위원회는 보안을 위해 우라늄이라는 말을 빼고 S-1 위원회라 불리게 되었다.[361]
1939년 6월 무렵 영국에서는 버밍엄 대학교의 오토 프리슈와 루돌프 파이얼스가 우라늄-235의 임계 질량을 조사하고 있었다.[362] 두 사람은 최소한 10kg의 우라늄이 있어야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고 계산하였다.[363] 1940년 3월 프리쉬와 파이에르스는 비망록에 영국의 원자 폭탄 제조 계획인 마우드 위원회(MAUD Committee영어)의 회의 초록을 기록하였다.[364] 마우드 위원회는 원자 폭탄의 개발을 만장일치로 의결하였다.[363]
3. 가능성
당시 회의에서는 다음과 같은 핵무기 제조 방법이 제시되었다.
초기에는 우라늄-235를 이용한 포신형 핵무기 개발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버클리의 과학자들은 우라늄-238을 플루토늄-239로 변환시킨 후 핵분열을 일으키는 방식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377] 1943년 12월까지 비축된 플루토늄의 양은 2mg에 불과했다.[378]
3. 1. 제안
1941년 12월 18일, 진주만 공격과 미국의 일본 및 독일에 대한 선전포고 직후, S-1 위원회 첫 회의가 긴박하게 열렸다.[368] 이 회의에서 우라늄-235 분리 기술 담당이 결정되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어니스트 로렌스는 전자기적 분리를, 컬럼비아 대학교의 에거 머프리와 제임스 웨이크필드 빔스는 기체확산법을, 필립 아벨슨은 열영동을 연구했다.[373] 머프리는 원심분리법도 연구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369][370]
핵반응 기술 연구는 해럴드 클레이턴 유리가 중수를, 아서 콤프턴이 흑연을 중성자 감속재로 사용한 원자로의 핵 연쇄 반응 제어 연구를 맡았다.[371] 1942년 3월 23일, S-1 위원회는 최종 권고안을 작성하고 다섯 가지 기술을 정리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1942년 6월 17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문서에 "OK FDR"이라고 서명해 승인했다.[372][373]
3. 2. 폭탄 디자인
1942년 7월,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한스 베테, 존 밴블렉, 에드워드 텔러 등 여러 이론물리학자들과 회의를 진행하여 핵분열을 이용한 폭탄 제조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376] 그러나 당시에는 1941년에 발견된 플루토늄과 순수한 우라늄-235의 물리적 성질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377]
당시 회의에서 제시된 핵무기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우라늄-235를 이용한 포신형 핵무기 개발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버클리의 과학자들은 우라늄-238을 플루토늄-239로 변환시킨 후 핵분열을 일으키는 방식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377] 하지만 1943년 12월까지도 비축된 플루토늄의 양은 2 밀리그램에 불과했다.[378]
4. 조직
나치 독일이 먼저 핵무기를 보유할 것을 우려한 망명 유대인 물리학자 레오 칠라드 등은 1939년 아인슈타인의 서명을 빌려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냈다. 이 편지는 미국 정부의 핵 개발 움직임을 촉발하는 최초의 계기가 되었다. 이 "제안"에서는 핵 연쇄 반응이 군사 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언급되었고, 핵으로 인해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시사되었다.[330] 루즈벨트는 S-1 우라늄 위원회를 설치하고, 칠라드가 제안한 문제를 검토하게 했다. 1939년 11월 1일, 위원회는 대통령에게 보고서를 작성하여 잠수함의 동력원으로 핵분열 반응 조사를 시작할 것을 보고했다. 하지만, "만약 그 (우라늄의) 반응이 폭발성이라면, 알려진 어떤 것과 비교해도 훨씬 더 큰 파괴력을 가진 폭탄이 될 것이다."[332]라고 덧붙였다.
1939년 6월, 영국에서는 오토 프리쉬와 루돌프 파이어스가 우라늄-235의 임계 질량에 관하여 획기적인 발견을 하였다. 두 사람의 계산에 따르면, 우라늄-235를 폭발시키는 데는 수 kg에서 10kg이면 충분하다고 추산되었다. 1940년 5월에는 MAUD 위원회라는 위원회가 조직되었다.[333] 위원회에서 작성한 조사 보고서는 1941년 10월 미국 정부에 전달되었다. 그에 따라 미국 물리학자들이 인지하지 못했던 우라늄 폭탄의 실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4. 1. 맨해튼 지구
유진 레이볼드 소장은 1942년 6월 미국 육군 공병대의 제임스 C. 마셜 대령을 맨해튼 계획의 군사 부문 수장으로 임명하였다. 마셜은 뉴욕 브로드웨이에 있는 타워 270에 본부 사무소를 설치하고, 미 육군 공병대의 북대서양 부분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386][387]마셜은 공병사령부 건설 부문 책임자인 토머스 M. 로빈스 소장, 그리고 그의 부관이었던 레슬리 그로브스와 협력하여 맨해튼 계획을 위한 조직을 구성하였다. 레이볼드, 서머벨, 스타일러는 계획의 공식 명칭을 "대체 자원 개발"로 정했지만, 그로브스는 그러한 이름이 적의 주의를 끌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공병사령부의 지구대는 통상 주둔지의 지명을 따랐기 때문에, 계획의 군사 부문은 이미 "맨해튼 지구"라고 불리고 있었다. 1942년 8월 13일, 레이볼드는 맨해튼 지구를 계획의 군사 부문에 대한 공식 이름으로 승인하였고, 이후 맨해튼은 계획의 공식 암호명이 되었다.[387]

마셜은 "나는 한 번도 원자 분열이란 것을 들어본 적이 없었다. 나는 그저 90억달러의 예산으로 최소한 4개의 플랜트를 건설하여야 한다는 말을 들었을 뿐이다."라고 회고했다.[388] 당시 TNT 공장 하나를 짓는 데에도 1.28억달러가 소요되었고,[389] 그로브스는 마치 10명에서 1,000명 정도의 손님을 모신 연회를 준비하라는 듯이 지시하였기 때문에 마셜은 심한 압박감을 느껴야 했다.[390]
버니바 부시는 마셜이 뉴욕 본부와 육군이 우선권에서 뒤로 밀리고, 테네시 지역 확보에 실패하는 등 계획을 빠르게 진척시키지 못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품게 되었다.[395] 부시는 보다 적극적인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하베이 번디와 마셜 장군, 섬머벨, 스타일러 등에게 계획 주관 기구를 상급 정책 위원회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였고, 이후 맨해튼 계획의 총괄은 스타일러가 맡게 되었다.[396]
이후 서머벨과 스타일러는 군사 정책 책임자로 그로브스를 선정하고 11월 17일 마셜 장군에게 이를 통지하였으며, 마셜 장군은 그로브스를 준장에 임명하였다.[397] 이후 과학자들은 맨해튼 계획의 총책인 그로브스를 "장군"이라고 불렀다.[398] 그로브스는 워싱턴 D.C. 해리 S. 트루먼 빌딩 5층에 본부를 두었다.[399]
4. 2. 군사정책위원회
바네바 부시, 제임스 코넌트, 헨리 스팀슨, 조지 마셜 등으로 구성된 최고 정책 그룹은 맨해튼 계획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였다.[16] 1942년 9월, 최고 정책 그룹에 책임을 지는 군사 정책 위원회가 설립되었다.[16] 이 위원회는 부시, 빌헬름 D. 스타이어 준장, 윌리엄 퍼넬로 구성되었다.[16]4. 3. 영국과의 협력
영국과 미국은 핵 정보를 교환했지만 초기에는 노력을 합치지 않았다. 1940년에서 1941년 사이 영국의 프로젝트(튜브 얼로이즈)는 규모가 더 크고 더 진보되어 있었다.[49] 영국 지도부는 1941년 8월 바네바 부시와 제임스 B. 코넌트가 양국의 원자력 노력을 합칠 것을 제안한 것에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전쟁 초기에 연구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룬 영국은 경제의 상당 부분을 전쟁에 쏟으면서 개발로 이어갈 자원이 없었다. 튜브 얼로이즈는 곧 미국과의 격차가 벌어졌다. 두 나라의 역할은 역전되었고, 1943년 1월 코넌트는 특정 분야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영국에 원자력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통보했다. 영국은 독자적인 핵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조사했지만, 유럽 전쟁에 영향을 미칠 만큼 시간 내에 준비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49]
1943년 3월까지 코넌트는 제임스 채드윅과 다른 한두 명의 영국 과학자들이 무기 설계 비밀을 누설할 위험에도 불구하고 로스앨러모스의 폭탄 설계 팀에 필요할 만큼 중요하다고 결정했다. 1943년 8월 윈스턴 처칠과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미국과 영국의 노력을 조정하기 위해 퀘벡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 따라 연합 정책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캐나다는 서명국이 아니었지만, 캐나다의 기여를 고려하여 연합 정책 위원회에 캐나다 대표가 참여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1944년 9월 말에 체결된 루스벨트와 처칠 간의 협정인 하이드 파크 각서는 퀘벡 협정을 전후 시대로 확대하고 "마침내 '폭탄'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신중한 고려 끝에 일본에 대해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본은 이 폭격이 항복할 때까지 반복될 것임을 경고받아야 한다"고 제안했다.[50]
퀘벡 협정 이후 협력이 재개되었을 때, 미국인의 발전과 지출은 영국인들을 놀라게 했다. 채드윅은 맨해튼 계획에 영국이 최대한 참여할 것을 촉구했고, 전쟁 중 독자적인 영국 프로젝트에 대한 희망을 포기했다. 처칠의 지원을 받아 그는 그로브스의 모든 지원 요청이 이행되도록 노력했다. 1943년 12월 미국에 도착한 영국 대표단에는 닐스 보어, 오토 프리쉬, 클라우스 푸흐스, 루돌프 파이얼스, 어니스트 티터턴이 포함되었다. 1944년 초 더 많은 과학자들이 도착했다. 기체 확산에 배정된 사람들은 1944년 가을까지 떠났지만, 버클리에서 어니스트 로렌스와 함께 마크 올리펀트 밑에서 일하는 35명은 기존 연구실 그룹에 배정되었고 대부분 전쟁이 끝날 때까지 남았다. 로스앨러모스에 파견된 19명도 주로 핵융합과 폭탄 조립과 관련된 기존 그룹에 합류했지만, 플루토늄 관련 그룹에는 합류하지 않았다. 퀘벡 협정은 미국과 영국의 상호 동의 없이 다른 국가에 대해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명시했다. 1945년 6월 윌슨은 일본의 핵폭격을 연합 정책 위원회의 결정으로 기록하는 데 동의했다.
연합 정책 위원회는 1944년 6월 그로브스를 위원장으로 하는 연합 개발 신탁을 설립하여 국제 시장에서 우라늄과 토륨 광석을 조달했다. 벨기에 콩고와 캐나다는 동유럽을 제외한 세계 우라늄의 대부분을 보유하고 있었고, 망명 벨기에 정부는 런던에 있었다. 영국은 제한적인 미국의 연구 없이는 대부분의 공급량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미국에 벨기에 광석의 대부분을 제공하는 데 동의했다. 1944년 신탁은 벨기에 콩고 광산을 운영하는 회사로부터 산화우라늄 광석을 구입했다. 미국 재무장관 헨리 모겐소 주니어에게 보고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일반적인 감사와 통제를 받지 않는 특별 계좌를 사용하여 신탁 자금을 보관했다. 1944년부터 1947년 신탁에서 사임할 때까지 그로브스는 총 37.5억달러를 예치했다.
그로브스는 나중에 영국 과학자들의 맨해튼 계획에 대한 직접적인 기여는 "도움이 되었지만 필수적이지는 않았지만", 영국(특히 처칠)의 추진력 없이는 "히로시마에 투하할 원자폭탄은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의 전시 참여는 1946년 맥마흔 법이 미국과의 핵 협력을 일시적으로 종식시켰을 때 독자적인 핵무기 프로그램의 성공에 매우 중요했다.
5. 계획이 진행된 곳
맨해튼 계획은 미국, 영국, 캐나다 전역의 30여 곳 이상에서 분산되어 진행되었다.[64] 특히 핵심적인 역할을 한 곳은 다음과 같다.
장소 | 위치 | 역할 | 비고 |
---|---|---|---|
오크리지 | 테네시주 | 우라늄 농축 | 1942년 9월, 350만달러를 들여 토지를 매입하여 건설. 1945년 5월 기준 8만 2천 명 고용. |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 뉴멕시코주 | 핵무기 설계 및 개발 | 1942년 11월, 44만달러에 토지를 매입하여 건설.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비롯한 저명한 과학자들이 참여. |
한포드 부지 | 워싱턴주 리치랜드 | 플루토늄 생산 | 1943년 2월, 500만달러를 투입하여 부지 매입 및 건설 시작. 1944년 7월 기준 약 5만 1천 명 거주. |
버클리 | 캘리포니아주 | 캘루트론 개발 | |
이뇨커른 | 캘리포니아주 | 프로젝트 캐멀 | |
트레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
웬도버 | 유타주 | ||
몬티첼로, 유타주 | 유타주 | ||
우라반, 콜로라도주 | 콜로라도주 | ||
에임스 | 아이오와주 | 에임스 프로젝트 | |
세인트루이스 | 미주리주 | ||
시카고 | 일리노이주 | ||
다나 | 인디애나주 | ||
데이턴 | 오하이오주 | ||
실라카우가 | 앨라배마주 | ||
모간타운, 서버지니아주 | 서버지니아주 | P-9 프로젝트 | |
척 리버 연구소 | 몬트리올 연구소 | ||
로체스터, 뉴욕주 | 뉴욕주 | ||
워싱턴 D.C. | 워싱턴 D.C. |
5. 1. 오크리지

그로브스는 맨해튼 계획의 책임자가 된 직후 테네시주로 가서 공장 건설 후보지를 검토하였고, 마음에 들어 하였다.[406][407] 1942년 9월 29일, 로버트 페터슨 전시 국무 차관은 350만 달러를 들여 23,000 헥타르의 부지를 마련하는 입안을 승인하였다. 이후 12,000 헥타르가 추가되었고, 10월 7일 1천여 세대에 해당 지역에서 이주하라는 명령이 발표되었다.[408] 지역 주민들은 이러한 명령에 항의하였으나 1943년 의회는 해당 지역 사용을 의결하였다.[409]
1943년 초, 예전에 킹스턴 폭탄 사격장이었던 곳이 클린턴 공장으로 바뀌었다.[414] 인근의 스키드모어 지역에 13,000 명이 거주할 수 있는 주거지역이 세워졌다. 근처에 블랙오크리지 산이 있었기 때문에 새롭게 생긴 마을의 이름을 오크리지라고 정했다.[415] 1943년 8월 육군은 맨해튼 공병 지구대의 본부를 오크리지로 옮겼지만 지구대의 이름을 바꾸지는 않았다.[416] 오크리지의 인구는 1945년 5월 75,000명에 달했다. 당시 클린턴 공장의 고용인구는 82,000명이었다.[417] 현재 부지에는 미국 국립 연구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오크리지 국립연구소가 위치하고 있다.
5. 2. 로스앨러모스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맨해튼 계획에서 자신이 맡은 분야를 추진하기 위한 장소로 뉴멕시코주의 알부퀘크를 추천하였다. 1942년 10월, 맨해튼 계획을 위해 일하던 존 H. 두들리 소령은 뉴멕시코 주를 둘러보고 헤이메즈 스프링을 적합지로 추천하였다.[418] 11월 16일, 오펜하이머, 그로브스, 두들리 등은 현장을 답사하였다. 오펜하이머는 두들리가 추천한 곳이 낭떠러지로 둘러싸여 있어 연구원들이 폐쇄공포를 느낄 것 같다고 우려하였다. 현장 답사를 마친 일행은 인근의 로스앨러모스 사립학교로 이동하였다. 오펜하이머는 로스앨러모스에서 보이는 산그레 데 크리스토 산의 풍경이 마음에 들었고 그곳에서 작업을 진행하길 희망하였다.[419][420] 공학자들은 로스앨러모스의 도로 사정이 좋지 않다는 점을 우려하였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여겼고, 결국 로스앨러모스를 선정하였다.[421]
1942년 11월 25일,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부지 확보를 위해 22,000 헥타르가 44만 달러에 매입되었고, 이후 3,600 헥타르가 추가되었다. 부지 마련 비용은 미국 연방 정부가 부담하였다.[422] 연구소는 1942년 12월 착공되어 1943년 5월 완공되었으며, 건축에 30만 달러가 소요되었다.[423] 로스앨러모스 연구소는 비밀 유지를 위해 Y 구역 또는 더 힐(The Hill영어)이라 불렸다.[424]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계획에 참여하는 과학자들의 리더로 선출되었다. 오펜하이머의 제안에 따라 1942년 11월 뉴멕시코주 로스앨러모스(사이트 Y, 후일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에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오펜하이머를 소장으로, 닐스 보어, 엔리코 페르미, 존 폰 노이만(폭축 렌즈 계산 담당), 오토 프리쉬, 에밀리오 세그레, 한스 베테, 에드워드 텔러, 스타니스와프 울람 등 저명한 과학자들과 리처드 파인만 등 젊은 연구자들, 하버드 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등 명문대 학생들이 모였다. 당시에는 컴퓨터가 실용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계산만을 담당하는 수학에 뛰어난 고등학생들도 합류하였다.
5. 3. 핸포드
핸포드는 플루토늄 생산 시설이 위치한 곳이다. 1942년 12월, 심각한 원자력 사고 발생 시 주요 인구 밀집 지역인 녹스빌과 너무 가깝다는 우려로 인해 오크리지 대신 핸포드가 플루토늄 생산 단지로 선정되었다. 그로브스는 1942년 11월 듀폰을 플루토늄 생산 단지 건설 주계약업체로 영입했다. 듀폰 사장 월터 S. 카펜터 주니어는 이익을 원치 않았고, 법적 이유로 1달러의 명목 요금에 합의했다.[84]
듀폰은 오크리지에 있는 기존 우라늄 생산 시설과 멀리 떨어진 곳에 부지를 조성할 것을 권장했다.[85] 1942년 12월, 그로브스는 프랭클린 마티아스 대령과 듀폰 엔지니어들을 파견하여 잠재적 부지를 탐색하게 했다. 마티아스는 핸포드 부지(Washington주 리치랜드)가 "거의 모든 면에서 이상적"이라고 보고했다. 그곳은 고립되어 있었고, 원자로 냉각에 필요한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컬럼비아 강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그로브스는 1월에 현장을 방문하여 핸포드 엔지니어링 공장(HEW), 암호명 "사이트 W"를 설립했다.[86]
패터슨 차관은 2월 9일 승인을 내리고, 부지 매입에 500만달러를 배정했다. 연방 정부는 인근 정착촌의 약 1,500명의 주민과 그 지역을 이용하는 워너펌 부족 등 다른 부족들을 이주시켰다. 이미 파종된 농작물에 대한 보상금을 둘러싸고 농부들과 분쟁이 발생했다. 일정이 허락하는 경우, 육군은 수확을 허용했지만,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었다.[86] 토지 매입 과정은 지연되어 1946년 12월 맨해튼 프로젝트가 종료되기 전까지 완료되지 않았다.[87]
분쟁으로 인해 작업이 지연되지는 않았다. 1943년 4월, 추산 2만 5천 명의 노동자(그중 절반은 현장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됨)를 위한 시설 건설이 시작되었다. 1944년 7월까지 약 1,200개의 건물이 건설되었고, 건설 캠프에는 거의 5만 1천 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지역 엔지니어인 마티아스는 현장 전체를 통제했다.[88] 건설 캠프는 최고조에 달했을 때 워싱턴주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였다.[89] 핸포드는 시카고보다 많은 900대가 넘는 버스를 운영했다.[90] 로스앨러모스와 오크리지와 마찬가지로 리치랜드는 출입이 제한된 출입 통제 지역이었지만, 전형적인 전시 미국 붐타운과 더 비슷했다. 군사적 프로필은 낮았고, 높은 담장이나 경비견과 같은 물리적 보안 요소는 덜 눈에 띄었다.[91]

오크리지의 원자로는 신속한 건설을 위해 공랭식 설계가 선택되었지만, 훨씬 더 큰 생산용 원자로에는 비실용적이었다. 야금연구소와 듀폰의 초기 설계는 냉각제로 헬륨을 사용했지만, 수냉식 원자로가 더 간단하고 저렴하며 건설 속도가 빠르다는 결론을 내렸다.[152] 이 설계는 1943년 10월 4일까지 나오지 않았다. 그동안 마티아스는 숙소 건설, 도로 개선, 철도 분기선 건설, 전력, 상수도 및 전화선 개선 등을 통해 핸포드 부지 개선에 집중했다.[153]
우라늄 슬러그의 캔닝(canning) 과정은 핸포드에서 1944년 3월에 시작되었다. 슬러그는 먼지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산세 처리를 하고, 용융 청동, 주석 및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에 담근 후 유압 프레스를 사용하여 캔닝하고, 아르곤 분위기에서 아크 용접을 사용하여 뚜껑을 덮었다. 마지막으로 구멍이나 결함이 있는 용접을 감지하기 위해 검사를 했다. 초기에는 대부분의 캔닝된 슬러그가 검사에 실패하여 하루에 몇 개만 생산되었다. 그러나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여 1944년 6월에는 생산량이 증가하여 1944년 8월에 B 원자로를 예정대로 가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캔닝된 슬러그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154]
계획된 6기의 250MW 원자로 중 첫 번째인 B 원자로의 공사는 1943년 10월 10일에 시작되었다.[155] 원자로 단지는 A부터 F까지의 문자로 지정되었으며, B, D, F 부지가 먼저 개발되었는데, 이는 원자로 간의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들은 맨해튼 계획 기간 동안 건설된 유일한 원자로였다.[156] 원자로 자체 건설은 1944년 2월에 시작되었다.[157] 콤프턴, 마티아스, 듀폰의 크로퍼드 그리뉴얼트, 레오나 우즈 및 페르미(페르미가 최초의 슬러그를 삽입했다)가 지켜보는 가운데, 1944년 9월 13일부터 원자로 가동이 시작되었다. 다음 며칠 동안 838개의 관이 장착되었고 원자로는 임계 상태에 도달했다. 9월 27일 자정 직후, 운영자들은 생산을 시작하기 위해 제어봉을 빼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모든 것이 순조로워 보였지만, 03:00경 출력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06:30에는 원자로가 완전히 정지했다. 누출이나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냉각수를 조사했다. 다음 날 원자로가 다시 가동되었지만, 다시 한번 정지했다.[158][159]
페르미는 우젠슝에게 연락했고, 그녀는 문제의 원인이 반감기가 9.2시간인 제논-135의 중성자 독 때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160] 페르미, 우즈, 도널드 J. 휴즈 및 존 아치볼드 휠러는 제논-135의 핵 단면적을 계산했는데, 그 결과 우라늄의 30,00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61] 듀폰의 엔지니어 조지 그레이브스는 원자로에 1,500개의 관이 원으로 배열된 야금연구소의 원래 설계를 변경하여 모서리에 504개의 관을 추가했다. 과학자들은 원래 이를 과잉 설계로 시간과 돈 낭비로 간주했지만, 페르미는 2,004개의 관을 모두 장착하면 원자로가 필요한 출력 수준에 도달하고 플루토늄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162] D 원자로는 1944년 12월 17일에, F 원자로는 1945년 2월 25일에 가동을 시작했다.[163]
6. 우라늄 핵폭탄의 제조
자연 상태의 우라늄은 99.3%의 우라늄-238과 0.7%의 우라늄-235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분열을 일으키는 것은 우라늄-235이다. 이 두 동위 원소는 원자량이 매우 비슷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분리할 수 없다. 우라늄-235를 분리하기 위해 전자기적 분리, 기체 확산, 열영동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으며[112], 대부분의 분리 작업은 오크리지에서 진행되었다.[434] 1943년 2월, 레슬리 그로브스는 농축률을 높이기 위해 한 설비에서 작업한 결과물을 다른 설비에서 재처리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435]
- 전자기적 분리: 어니스트 로렌스가 개발한 캘루트론(calutron영어)을 이용, 자기장에서 질량에 따라 입자가 다르게 움직이는 원리를 이용해 동위원소를 분리했다. Y-12로 불린 전자기적 동위원소 분리 설비는 1943년 2월 완공되어, 1944년 3월 농축우라늄을 생산하여 로스앨러모스로 수송했다.
- 기체 확산: 그레이엄의 법칙에 따라 기체의 확산 속도가 분자 질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는 점을 이용, 반투과성 막을 통해 가벼운 우라늄-235를 분리하는 방식이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K-25 공장이 건설되어 1945년 2월부터 가동되었다.
- 열영동: 체프먼-엔스코그 이론에 기반, 혼합 기체가 온도 차이에 의해 분리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미해군연구소에서 연구되었고, S-50 플랜트가 건설되어 1944년 9월부터 가동되었다. S-50 플랜트에서 생산된 농축 우라늄은 K-25 플랜트와 Y-12 설비를 거쳐 최종 농축률 89%에 도달했다.
1945년 7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는 89%의 우라늄-235로 구성된 농축우라늄 50kg을 모아 포신형 핵무기인 리틀보이를 제조했다.[468] 리틀보이는 별도의 실험 없이 히로시마에 투하되었다.
6. 1. 광석 확보



맨해튼 계획의 핵심 원료는 우라늄이었다. 1940년에는 콜로라도주, 캐나다 북부, 체코슬로바키아, 벨기에령 콩고 네 곳에 주요 우라늄 매장지가 알려져 있었다.[425] 1942년 11월 체코슬로바키아의 집결지가 독일 측에 점령당하였으나, 계획에 사용될 우라늄은 이미 안전하게 운반된 후였다.[426]
미국 국무부의 니콜스는 벨기에령 콩고에 산화우라늄 1200 t을 주문하여 스태튼섬의 창고에 보관하였고, 온타리오주의 포트 호프 광산을 운영하던 엘도라도 광업에 100 t을 주문하였다. 캐나다 정부는 회사의 주식을 매입하여 계획이 지속되도록 지원하였다.[427]
우라늄 광석은 벨기에령 콩고의 신코로베 광산에 풍부하게 존재하였으나 광산이 운영되지 않고 있었다.[428] 그 이유는 30% 지분을 갖고 있던 영국 투자자 때문이었고, 영국측 계획 참여자였던 존 앤더슨 자작과 존 위넌트 대사가 이 문제를 해결하여, 맨해튼 계획은 1944년 5월 1720 LT의 우라늄 광석을 공급받을 수 있었다.[429] 한편 미국측 맨해튼 계획 책임자였던 그로브스는 영국과 캐나다의 광석 소유권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별도로 콜로라도주 우라반에 있던 US 바나디움 코퍼레이션에 800 LT의 우라늄을 주문하였다.[430]
우라늄 광석은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멀린크로트 인코퍼레이티드 사에서 정제되었다. 정제 방법으로는 질산을 이용하여 질산우라늄을 생성하는 방법과 삼산화우라늄에 열을 가하여 이산화우라늄으로 변환하는 액체 치환 추출법 등이 쓰였다.[431] 1942년 7월 멀린크로트는 매일 1톤 가량의 정제 우라늄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우라늄을 농축하기 위해서는 순수 우라늄 금속이 필요하기 때문에 멀린크로트의 생산물을 재처리하여야 하였다. 처음에는 웨스팅하우스 전기 회사가 수산화 공정을 통해 이러한 재처리 작업을 하였으나, 처리 속도가 너무 느렸다.[432] 1943년, 프랭크 스패딩이 책임자로 있던 아이오와 주립 대학의 재료공학 연구소는 에임스 공정을 개발하여 우라늄 정제 속도를 높일 수 있었다.[433]
6. 2. 동위 원소 분리
자연 상태의 우라늄은 99.3%의 우라늄-238과 0.7%의 우라늄-235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분열을 일으키는 것은 우라늄-235이다. 이 두 동위 원소는 원자량이 매우 비슷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분리할 수 없다. 우라늄-235를 분리하기 위해 전자기적 분리, 기체 확산, 열영동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112] 대부분의 분리 작업은 오크리지에서 진행되었다.[434]
1943년 2월, 레슬리 그로브스는 농축률을 높이기 위해 한 설비에서 작업한 결과물을 다른 설비에서 재처리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435]
6. 2. 1. 전자기적 분리
자연 상태의 우라늄은 99.3%의 '우라늄-238'과 0.7%의 '우라늄-235'로 존재하는데, 이 두 동위 원소는 원자량이 매우 비슷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분리할 수 없다.[434] 전자기적 방법을 사용한 동위원소 분리 기술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방사선 연구소에 있던 어니스트 로렌스가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입자가속기를 의미하는 캘루트론(calutron, '''CAL'''ifornia '''U'''niversity cyclo'''TRON'''영어)으로 불렸다.[441] 전자기적 공정은 자기장에 놓인 입자가 질량에 따라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442]이 공정은 과학적으로도 정밀하지 않았고 산업적으로 보아 효율이 좋지도 않았다.[443] 기체 확산 분리 설비나 핵 반응에 비해 생산량도 턱없이 적은데도 설비의 설치와 운영에 들어가는 인력과 자원은 더 많이 소비하였다. 그러나, 전자기적 동위원소 분리는 기술적으로 증명되어 있었고 위험요소가 적다는 이유로 추진되었다. 전자기적 동위원소 분리 설비가 실제로 운영되는 동안 농축 우라늄 생산량은 크게 증가하였다.[441]
전자기적 동위원소 분리 설비에는 약 5천 톤의 구리와 6천 톤의 은이 필요하였다. 1942년 8월 3일, 맨해튼 계획의 니콜스는 미국 재무성의 차관이었던 다니엘 벨에게 6천 톤의 은을 달라고 얘기하였다. 이 이야기를 들은 벨은 "이보게 젊은이, 자넨 은을 톤 단위로 생각할 수 있을 지 몰라도, 난 평생 동안 은을 샐 때는 트로이 온스를 단위로 했다고!"라고 대답했다고 한다.[444][445] 전자기적 동위원소 분리 설비에 실제 사용된 은은 14,700 톤에 달했다.[446]
1,000 트로이 온스(약 31Kg) 단위로 되어 있는 원통형 은막대가 뉴저지주 배이웨이에 있는 펠프스 다지 코퍼레이션으로 옮겨져 두께 15.9 mm, 폭 76 mm, 길이 12 m의 실타래 모양으로 바뀐 뒤,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있는 앨리스 칼머로 옮겨져 입자가속기에 사용될 코어로 제작되었다. 전쟁 후, 가속기를 해체하여 다시 은을 회수하였는데 손실은 불과 1/3,600,000 정도였다.[446][447] 은이 미국 재무성에 최종 반환 된 것은 1970년 5월이었다.[448]
전자기적 동위원소 분리 설비는 Y-12로 불렸으며 1943년 2월 완공되었다.[449] Y-12는 8월에 시운전을 시작하였으나 첫 번째 제작된 가속기 트랙 자이언트 알파에 껴있던 이물질 때문에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였다. 12월이 되자 사용 중단을 결정하였고 새로운 트랙을 만들기로 하였다.[443] 새로 제작된 알파 역시 1944년 1월까지 작동되지 않았다. 그 사이 처음부터 제대로 작동하던 베타 트랙과 세 번째로 만든 알파 트랙으로 우라늄을 농축하였다. 네 번째로 제작된 알파 트랙 II는 1944년 7월에서 8월 사이에 완성되었다.[450]
Y-12의 운영은 테네시 이스트먼사가 맡았으며 매달 기본 운영비 22500USD에 7개의 기존 가속기 트랙 운전비 7500USD와 추가 가속기 트랙 운전비 4000USD를 청구하였다.[452] 테네시 이스트먼은 고등학교 졸업 여성들을 모집하여 조정 교육을 시킨 뒤 가속기 운전에 투입하였다. 로렌스는 가속기 운전을 "촌스런" 어린 여성에게 맡긴다는 것에 반대하였으나, 운전 상황을 살펴본 뒤 생산율이 다른 설비에 비해 뒤쳐지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고용된 여성들은 로렌스가 말한 것처럼 "이유를 알 지 못한 채 기차에 몸을 실은 병사들 같이" 설비를 조정하는 단순 업무를 해 나갔다.[453]
1944년 3월 Y-12는 몇 백 그램의 농축우라늄을 생산하여 로스앨러모스로 수송했는데, 우라늄-235의 함량은 13%에서 15%에 불과하였다. 로스 알모스는 이것을 전체 5,825개의 우라늄 부품 가운데 한 개에만 썼다. 나머지 부분에는 낮은 농축율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다. 1945년 1월까지 Y-12에서 나온 농축 우라늄-235는 전체 생산량의 10% 정도였다. 2월에 알파 트랙이 다시 만들어지자 여기서 만들어진 농축 우라늄-235를 K-25 설비로 다시 보내 농축률을 높이기로 하였다. 4월부터는 베타 트랙과 K-25 설비를 직접 연결하여 농축 우라늄-235를 재처리하도록 하였다.[454]
6. 2. 2. 기체 확산
그레이엄의 법칙에 따르면 기체의 확산 속도는 그 분자 질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반투과성 막과 두 가지 기체의 혼합물이 들어 있는 용기에서는 더 가벼운 분자가 더 무거운 분자보다 더 빠르게 용기 밖으로 빠져나간다. 이러한 용기를 펌프와 막의 연속적인 계단(cascade)으로 형성하여 각 단계마다 약간 더 풍부한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하는 방식이 기체 확산 방식이다. 이 과정에 대한 연구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해롤드 유리(Harold Urey영어), 칼 P. 코헨(Karl P. Cohen), 존 R. 더닝(John R. Dunning)을 포함한 그룹에 의해 수행되었다.[132]1942년 11월, 군사 정책 위원회는 600단계의 기체 확산 공장 건설을 승인했다.[133] 12월 14일, M. W. 켈로그(M. W. Kellogg)는 K-25라는 코드명으로 지정된 공장 건설 제안을 수락했고, 이 프로젝트를 위해 켈렉스(Kellex)라는 별도의 법인이 설립되었다.[134] 이 과정은 엄청난 기술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고도로 부식성이 강한 기체인 육불화우라늄을 사용해야 했고, 모터와 펌프는 진공 상태를 유지해야 했으며 불활성 기체로 밀봉되어야 했다. 가장 큰 문제는 강하고, 다공성이며, 부식에 강해야 하는 장벽의 설계였다. 에드워드 애들러(Edward Adler)와 에드워드 노리스(Edward Norris)는 전기도금된 니켈로 메쉬 장벽을 만들었으나, 컬럼비아 대학교의 6단계 파일럿 플랜트 시험에서 시제품은 너무 취약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벨 연구소(Bell Telephone Laboratories)와 베이클라이트(Bakelite) 사가 켈렉스(Kellex)와 함께 분말 니켈로 만든 경쟁적인 장벽을 개발했고, 1944년 1월, 그로브스(Groves)는 켈렉스 장벽을 생산에 투입하도록 명령했다.[135][136]
K-25에 대한 켈렉스의 설계는 54개의 인접한 건물을 포함하는 4층 높이의 약 0.80km 길이의 U자형 구조물을 요구했다. 이들은 6단계의 셀이 포함된 9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 측량팀은 1943년 5월 부지의 표시를 하면서 건설을 시작했다. 본관 공사는 1943년 10월에 시작되었고, 6단계 파일럿 플랜트는 1944년 4월 17일에 가동 준비를 마쳤다. 1945년 그로브스는 상층부 단계를 취소하고, 켈렉스에게 540단계의 측면 공급 장치(side feed unit)를 설계 및 건설하도록 지시했는데, 이것이 K-27로 알려지게 되었다. 켈렉스는 1945년 9월 11일에 마지막 장치를 운영 계약자인 유니온 카바이드(Union Carbide) 앤 카본(Union Carbide and Carbon)에 이관했다. 전후에 완공된 K-27 공장을 포함한 총 비용은 4.8억달러였다.[137]
생산 공장은 1945년 2월에 가동을 시작했고, 계단식 장치가 하나씩 온라인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었다. 1945년 4월까지 K-25는 1.1%의 농축도에 도달했고, S-50 열확산 공장의 생산량이 원료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다음 달에 생산된 일부 제품은 거의 7%의 농축도에 도달했다. 8월에는 마지막 2,892단계가 가동을 시작했다. K-25와 K-27은 전후 초기 기간에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다른 생산 공장을 능가하고 새로운 세대의 공장을 위한 원형이 되었다.[138]
6. 2. 3. 열영동
열영동 동위원소 분리공정은 시드니 채프먼과 데이비드 엔스코그의 체프먼-엔스코그 이론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 이론은 혼합 기체가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구역에 놓일 때 무거운 기체는 차가운 쪽으로 가벼운 기체는 더운 쪽으로 몰린다는 것을 설명한다. 더운 기체는 상승하고 차가운 기체는 하강하게 되어 두 기체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 이론에 따른 기체의 분리는 1938년 독일에서 H. 클루시스와 G. 디켈이 최초로 시연하였다.[462] 열확산 분리공정은 미국 해군에서 먼저 개발하였으나 맨해튼 계획에서 사용되어, 기술자 사이뿐만 아니라 육군과 해군 사이의 협력을 통해 진행되었다.[463]미해군연구소는 필립 아벨슨의 지휘아래 연구를 지속하였지만 1944년 4월 이전에는 맨해튼 계획과 큰 교류가 없었다. 오펜하이머는 해군의 열영동 분리공정에 대한 소식을 듣고 Y-12 플랜트에 이 기술을 도입하자고 그로브스에게 제안하였다. 위원회의 검토결과 열영동 분리공정은 플랜트 건설에 250만달러가 소요되고 주당 50 kg의 우라늄을 정제하여 그 가운데 0.9%에 해당하는 농축 우라늄-235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로브스는 1944년 1월 24일 플랜트 건설을 승인하였다.[464]
S-50 플랜트는 니켈로 된 15m의 실린더 21기로 된 분리 공정 설비로, 인근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690 kPa 285°C의 고온고압 환경을 만들고 하부에는 물을 채워 68°C가 되도록 하였다.[465] 1944년 7월 9일 착공하여 9월에 가동을 시작하였다. 초기 가동 기간이었던 10월에는 10.5 kg의 우라늄에서 겨우 0.852%의 우라늄-235를 분리했지만, 1945년 6월에는 약 농축 5,770 kg의 우라늄-235를 생산하였다.[466]
S-50 플랜트는 우라늄 농축의 첫 단계로 생산물에 함유된 우라늄-235는 0.71~0.89% 정도였다. 이것을 기체확산 분리공정인 K-25 플랜트에 다시 공급하여 농축률을 23%까지 끌어올린 다음, 다시 전자기 분리공정인 Y-12 설비에 투입하여 최종 생산물을 만들어 내었다.[467] 최종적으로 농축된 우라늄-235의 농축율은 89% 정도였다.[468]
6. 3. 포신형 무기 디자인
1945년 7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는 89%의 우라늄-235로 구성된 농축우라늄 50kg을 모았다.[468] 이 농축우라늄은 포신형 핵무기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포신형 핵무기는 두 부분의 우라늄-235 덩어리로 구성되는데, 한 쪽은 뇌관 역할을 하는 발사체이고 다른 한 쪽은 대규모 핵분열을 일으키기 위한 탄두이다. 뇌관이 발사되어 탄두와 충돌하면 폴로리움-베릴리움 변형 중성자 기폭제가 중성자를 방사하여 우라늄-235의 핵분열을 유도한다.[469] 임계 질량 조정은 얼마나 많은 핵분열 물질이 폭탄 내에 모였을 때 핵 연쇄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농축 우라늄 덩어리의 질량이 임계 질량에서 단 1%만 초과하여도 폭탄이 되기에 충분하며, 임계 질량 이하라면 핵 분열은 느리게 진행된다.[470][471]
포신형 핵무기 부품은 로스알라모스에서 파슨스 오 구역(Parsons' O Division영어)으로 운반된 후 폭탄 제조에 사용되었다. 1945년 2월 완성된 핵폭탄에는 리틀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472] 리틀보이에 장착된 농축우라늄은 50%에서 89%의 우라늄-235로 구성되어 있었고, 우라늄-235의 평균 농도는 85%였다. 리틀보이는 실제 사용되기 전에 별도의 실험을 거치지 않았다.[468] 폭탄 개발자들은 별도의 실험이 없더라도 리틀보이가 정확히 작동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473]
리틀보이에 장착된 농축 우라늄은 총 64kg이었고, 이 중 60%에 이르는 38.5kg이 타겟용으로, 나머지 22.5kg은 뇌관용으로 쓰였다.[474]
7. 플루토늄 핵폭탄의 제조
맨해튼 계획은 플루토늄을 이용한 핵무기 개발도 추진했다. 플루토늄은 자연 상태에서 매우 드물게 발견되므로, 대부분 핵 분열 과정에서 인공적으로 생성된 것을 농축한다. 핵 연쇄 반응에서 우라늄-238이 중성자와 결합하면 우라늄-239가 되고, 이는 매우 불안정하여 원자핵 변환을 통해 넵투늄-239로 변환된다. 넵투늄-239에 다시 중성자가 결합하면 플루토늄-239가 된다.[475] 그러나 이 변환 비율은 매우 낮아 핵폭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루토늄을 농축해야 한다.[475]
7. 1. X-10 흑연 반응로

1943년 3월, 듀폰은 오크리지에 112acre의 플루토늄 플랜트를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이 설비는 핸포드에 대규모 반응로를 짓기 이전에 시험용으로 설치한 것이었으며, 플루토늄 농축을 위한 공랭식 X-10 흑연 반응로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후 헨포드에 수랭식 반응로가 설치되자 오크리지의 X-10 반응로는 시험용으로만 사용되었다.[476] X-10 흑연 반응로는 7.3m 길이의 흑연 막대 여러 개를 반응로에 삽입하여 핵 연쇄 반응을 조절하였는데, 사용된 흑연은 약 1360777.50kg 가량이었다.[476]
흑연 반응로를 이용한 플루토늄 농축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우라늄-238 원료 봉을 자체 핵 붕괴나 부식 없이 반응로에 장착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멀린크로트는 합금으로 된 피막을 연료봉에 씌우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처음에는 그라셀리 케미컬 컴퍼니가 양철을 열처리하여 씌우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러는 동안 알코어 사는 깡통과 같은 용기에 우라늄을 집어넣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방법으로 개발된 용기는 표준 진공 시험에서 97%가 합격하였으나 고열 환경에서는 50%만이 합격하였다. 어찌 되었든, 1943년 6월 알코어의 방식으로 연료봉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1943년 10월 메알러지컬 연구소가 제네럴 일렉트릭의 도움을 받아 연료봉 용기의 용접 기술을 개발하였다.[477]
페르미와 캄프턴이 지켜보는 가운데 1943년 11월 4일 X-10 흑연 반응로에 약 27215.55kg의 우라늄이 처음으로 삽입되었다. 일주일 뒤 반응로에 삽입된 우라늄은 약 32658.66kg으로 늘었고, 500 킬로와트의 전기를 생산하면서 500mg의 플루토늄을 생산하였다.[478] 1944년 7월 X-10 흑연 반응로는 연구 활동을 마치고 가동을 중단하였다. 당시 발전량은 4,000 킬로와트였다.[479]
7. 2. 헨포드 반응로
1943년 10월 10일, 250MW급 원자로 6기 중 첫 번째인 B 원자로의 공사가 시작되었다.[155] 원자로 단지에는 A부터 F까지의 문자가 지정되었고, 이 중 B, D, F 부지가 원자로 간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해 먼저 개발되었다. 이들은 맨해튼 계획 기간 동안 건설된 유일한 원자로였다.[156] 높이 약 36.58m의 건물을 짓는 데 약 약 353802.15kg의 강철, 17400cuyd의 콘크리트, 50,000개의 콘크리트 블록, 71,000개의 콘크리트 벽돌이 사용되었다.
원자로 자체 건설은 1944년 2월에 시작되었다.[157] 1944년 9월 13일, 콤프턴, 마티아스, 듀폰의 크로퍼드 그리뉴얼트, 레오나 우즈, 엔리코 페르미(최초의 슬러그 삽입)가 지켜보는 가운데 원자로 가동이 시작되었다.[158] 이후 며칠간 838개의 관이 장착되어 원자로가 임계점에 도달했다. 9월 27일 자정 직후, 운전자들은 생산을 시작하기 위해 제어봉을 제거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모든 것이 잘 진행되는 듯했지만, 03:00경 출력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06:30에는 원자로가 완전히 정지했다. 냉각수를 조사하여 누출이나 오염 여부를 확인했다. 다음 날 원자로가 다시 가동되었지만 다시 정지했다.[158][159]
페르미는 우젠슝에게 연락했고, 그녀는 반감기가 9.2시간인 제논-135가 중성자 독이라는 문제의 원인을 확인했다.[160] 페르미, 우즈, 도널드 J. 휴즈, 존 아치볼드 휠러는 제논-135의 핵 단면적을 계산했는데, 이는 우라늄의 30,000배였다.[161] 듀폰 엔지니어 조지 그레이브스는 1,500개의 튜브가 원형으로 배열된 야금 연구소의 원래 설계에서 벗어나 모서리에 504개의 튜브를 추가했다. 과학자들은 처음에 이것을 과도한 엔지니어링과 시간 및 돈 낭비로 간주했지만, 페르미는 2,004개의 튜브를 모두 장착하면 원자로가 필요한 출력 수준에 도달하고 플루토늄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162] 1944년 12월 17일에 D 원자로가 가동되었고, 1945년 2월 25일에는 F 원자로가 가동되었다.[163]
7. 3. 분리 과정
화학자들은 아직 화학적 성질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플루토늄과 우라늄을 분리하는 문제를 해결하여야 했다. 1942년 금속학 연구소에서 찰스 M. 쿠퍼가 이끌던 연구팀은 플루오르화 란탄 공정을 개발하여 시험 분리 공장에 사용했다. 시보그와 스탠리 G. 톰슨은 인산 비스무트 공정을 개발했다.[491] 인산 비스무트 공정은 4가 또는 6가를 띄는 인산 비스무트 염에 플루토늄을 끼워 넣는 것이었다.[492]인산 비스무트 공정이 더 성과가 좋았기 때문에 본격적인 분리 공정을 진행하는 플랜트는 이 방식으로 건설되었다.[493] X-10 플랜트가 건설되는 동안에는 시범 플랜트를 가동하여 플루토늄을 분리하였다.[479] Greenewalt는 란탄 플루오르화물의 부식성 때문에 인산 비스무트 공정을 선호했고, 이 공정이 핸포드 분리 공장에 선택되었다.[165] X-10이 플루토늄 생산을 시작하자 시험 분리 공장은 시험대에 올랐다. 첫 번째 배치는 40%의 효율로 처리되었지만, 그 후 몇 달 동안 90%까지 향상되었다.[151]
7. 4. 무기 설계
1943년, 플루토늄 핵폭탄 개발의 핵심 과제는 틴 맨이라 불린 포신형 폭탄 개발이었다. 초기 실험 단계에서 사이클로트론을 이용하여 순도 높은 고농축 플루토늄-239를 확보하였으나 그 양은 매우 적었다. 로스앨러모스는 1944년 4월 클린턴의 X-10 반응로에서 생성된 플루토늄을 인수하였다. 그러나, 플루토늄을 반응로에서 꺼낸 뒤에 일어나는 자연발생적인 핵분열 과정으로 인해 인수받은 플루토늄-239의 상당량이 며칠 사이에 플루토늄-240으로 변환되었다.[495] 이 때문에 반응로에서 생성된 플루토늄은 포신형 무기 형태로 제작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플루토늄-240은 핵 연쇄 반응 속도가 너무 빨라 핵폭탄 폭발 시점에 임계 질량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497]포신형 폭탄의 대안으로 세스 네더메이어가 제안한 내폭형 핵폭탄을 개발하게 되었다. 내폭형 핵폭탄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어 둔 플루토늄을 일시에 결합시켜 임계 질량을 넘게 하여 폭발을 일으키는 방식이다. 이 방법으로 핵 연쇄 반응을 이끌어 내려면 매우 짧은 시간 안에 모든 조각들이 한 덩이로 결합해야 한다.[498]
1944년 7월, J.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플루토늄 핵폭탄 개발은 포신형으로는 불가능하며, 내폭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고 결론지었다. 이후, 로스앨러모스의 연구진은 오펜하이머의 결정에 따라 1944년 8월부터 팻 맨이라는 암호명이 붙은 내폭형 폭탄 개발에 집중했다.[500] 팻 맨 개발을 위해 두 팀의 연구진이 편성되었다. 폭발 연구를 담당한 X (e'''X'''plosive영어를 뜻함) 분과는 조지 키스티아코브스키가 이끌었고, 기계 부품 연구를 담당한 G ('''G'''adget영어를 뜻함) 분과는 로버트 베이커가 이끌었다.[501][502] 새로운 폭탄 설계는 존 폰 노이만과 이론 연구팀인 T ('''T'''heoretical영어을 뜻함) 분과에서 진행했으며, 특히 루돌프 피얼스는 폭발 렌즈를 도입하여 결합되는 플루토늄의 모양과 폭발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503]
렌즈를 정확한 모양대로 만들어 폭발 속도를 늦추는 것은 매우 어려웠고 시험 결과도 좋지 않았다.[503] 폭발 속도를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실험이 진행되었는데, 빠른 폭발을 유도하는 데에는 컴포지션 B가 사용되었고, 느린 폭발 유도에는 발라톨이 사용되었다.[504] 최종적으로 제작된 폭발 렌즈는 20개의 육각형과 12개의 오각형으로 된 축구공 형태였고, 무게는 약 36kg이었다. 뇌관이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모든 플루토늄 부품에 폭발 렌즈를 두 개씩 설치하였다.[505] 기폭장치로는 폭결 전선 뇌관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고, 제작은 레이테온 사가 맡았다.[506] 한편, 충격파 연구를 위해 짧은 반감기를 갖는 방사성 동위원소인 란탄-140을 이용한 라라 실험이 진행되었다.[507]
7. 5. 트리니티 실험
내폭형 폭탄은 복잡한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핵분열 물질이 실제 폭발을 일으키는지 실험할 필요가 있었다. 그로브스는 임계 직전까지 핵분열을 통제하는 불완전 핵폭발 시험을 구상하였지만, 오펜하이머는 총체적인 핵 실험을 선택하였다. 핵 실험의 작전명은 트리니티로 정했다.[508]1944년 3월, 하버드의 물리학 교수 케네스 베인브리지가 내폭형 핵폭탄의 실험을 기획하였다. 베인브리지는 실험 장소로 앨러머고르도 폭격연습장을 선정하였다.[509]

1945년 7월 13일, “가제트”로 불린 실험용 폭탄이 30m 높이의 철탑에 설치되었다.[510] 7월 16일 오전 5시 30분, 바네바 부시, 제임스 코넌트, 토머스 파렐, 엔리코 페르미, 그로브스, 어니스트 로런스, 오펜하이머, 리처드 톨먼 등 맨해튼 계획의 주요 인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최초의 핵폭발이 일어났다. 20킬로톤의 TNT와 맞먹는 수준의 폭발이 일어나 직경 76m의 크레이터를 만들었고, 충격파는 반경 160km에 달했다. 크레이터 안에는 고열로 인해 지표가 유리질로 변형되었다. 이 유리질은 트리니타이트라 불리게 되었다.[511][512]
1945년 7월 16일, 미국의 뉴멕시코주 소코로 남동쪽 48km 지점에 있는 앨러머고르도 사막의 화이트샌즈 미사일 사격장에서 인류 최초의 핵실험인 트리니티가 실시되었다. 폭발 실험에 사용된 인류 최초의 원자폭탄은 가젯이라는 코드네임이 붙여졌으며, 폭축렌즈를 사용한 내폭(인플로전) 방식의 시험을 목적으로 했다. 8월 9일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 팻맨이 유사한 구조였지만, 팻맨처럼 공중에서 투하하는 것이 아니라 철탑 위에 설치된 상태로 폭발시켰다.
8. 정보전
맨해튼 계획은 추축국의 핵 개발 가속화나 은밀한 작전을 막기 위해 엄격한 보안 속에 진행되었다. 언론 보도를 통제하기 위해 검열국은 언론사에 자발적 행동 강령 준수를 요청했다. 1943년 6월, 신문과 방송사에는 "원자 분쇄, 원자력, 원자핵분열, 원자 분열 또는 이와 동등한 용어. 라듐이나 방사성 물질, 중수, 고전압 방전 장비, 사이클로트론의 군사적 용도"에 대한 논의를 피하도록 요청했다.[233][234]
검열국의 수장 바이런 프라이스는 맨해튼 계획을 "전쟁 중 가장 잘 지켜진 비밀"로 칭했다. 1945년 ''라이프''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 투하 이전에 "전국에서 맨해튼 계획의 완전한 의미를 아는 사람은 아마도 수십 명에 불과했고, 원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조차 아는 사람은 천 명 정도였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 잡지는 10만 명이 넘는 다른 프로젝트 직원들은 "어둠 속에서 두더지처럼 일했다"고 적었다. 비밀 누설은 10년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226][227][228]
맨해튼 계획 이전에도 원자력 정보는 자발적으로 검열되었다. 1939년 유럽 전쟁 발발 후 미국 과학자들은 군사 연구 발표를 피했고, 1940년 과학 저널들은 미국국립과학원에 논문 검토를 요청했다. 그러나 소련은 이러한 침묵을 간파했다. 1942년 4월 핵물리학자 게오르기 플료로프는 요셉 스탈린에게 미국 저널에서 원자핵분열 관련 기사가 사라진 것에 대해 편지를 썼고, 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자체 원자 폭탄 계획 수립으로 이어졌다.[231]
8. 1. 보안
맨해튼 계획은 추축국, 특히 나치 독일에 정보가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매우 엄격하게 기밀을 유지하며 진행되었다. 나치 독일 역시 핵무기 개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520] 장비 고장이 발생하면 방해 공작에 의한 것은 아닌지 조사했고, 작업 인원의 실수나 부주의에 의한 문제도 주축국의 방해 공작이 아니라고 확신할 수 없었다.[521] 1945년 3월 10일에는 일본의 화염 열기구 공격으로 전력선이 끊어져 헨포드의 반응로 가동이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522]관련 인원이 매우 많아 보안 유지는 어려웠다. 계획의 보안 유지를 위해 방첩대가 운용되었다.[523] 1943년, 소련이 맨해튼 계획의 기술을 빼내려 한다는 것이 확실해졌다. 버클리 대학교 방사선연구소에서 하콘 체발리에가 소련에 정보를 전달했다는 것을 보리스 T. 패쉬 소령이 적발하였다.[524] 소련에 가장 큰 정보를 넘긴 첩보원은 영국 측 요원으로 로스앨러모스에서 핵심 분야에 근무하던 클라우스 퍼치스였다.[525] 그의 간첩 행위는 1950년에 폭로되었고, 이는 미국, 영국, 캐나다 사이의 핵 협력에 장애 요인이 되었다.[526] 이 외에도 해리 골드, 데이비드 그린글래스, 에델 로젠버그와 줄리어스 로젠버그 등이 첩보원으로 밝혀졌다.[527] 그러나, 조지 코발과 같은 첩보원들은 전후에도 오랫동안 발각되지 않기도 하였다.[528] 소련은 이렇게 모아진 정보들을 바탕으로 소비에트 핵폭탄 계획을 앞당길 수 있었다.[529]

맨해튼 계획은 루스벨트의 "절대 비밀" 지시에 따라 운영되었으며, 계획 자체를 비밀로 유지해야 했다. 이는 관련된 수많은 사람들, 시설의 규모, 그리고 맨해튼 계획 이전에 존재했던 핵분열에 대한 지식과 추측을 고려할 때 어려운 과제였다.[224] 그로브스는 구획화(필요에 따른 정보 접근 정책)를 극단적으로 적용했다.
이는 과학은 그러한 요구 사항 하에서는 성공적으로 작동할 수 없다고 주장한 많은 과학자들의 일반적인 규범과 상충했다. 맨해튼 계획 관계자들은 "비밀을 알지 못하는" 기자, 국회의원, 연방 관리들, 지역 현장 인근 주민들, 토지 소유권 분쟁을 심판하는 판사들, 그리고 다른 추측, 캐묻기, 유출의 원천들과 함께 스파이 행위와 사보타주에 대한 우려와 어려움을 겪었다. 그로브스는 잠재적인 보안 위반을 조사하기 위해 FBI와 그의 독립적인 G-2 정보 부대에 의존했다. 전쟁 중 1,500건이 넘는 "소문 유포" 사건이 조사되었다. 해리 트루먼조차도 부통령 재임 중에는 이 프로젝트에 대해 알려지지 않았으며, 루스벨트 사후에야 그 사실을 알게 되었다.[224]
신문에 보도되지 않도록 하는 데 상대적으로 성공했기 때문에, 검열국의 수장인 바이런 프라이스는 맨해튼 계획을 "전쟁 중 가장 잘 지켜진 비밀"로 지정했다. 1945년 ''라이프''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 투하 이전에 "전국에서 맨해튼 계획의 완전한 의미를 아는 사람은 아마도 수십 명에 불과했고, 원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조차 아는 사람은 천 명 정도였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 잡지는 10만 명이 넘는 다른 프로젝트 직원들이 "어둠 속에서 두더지처럼 일했다"고 적었다. 프로젝트의 비밀을 누설하는 것은 10년의 징역 또는 벌금으로 처벌될 수 있다는 경고를 받았으며, 그들은 "두꺼운 콘크리트 벽 뒤에서 신비로운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다이얼과 스위치를 감시했지만" 자신의 직무의 목적을 알지 못했다.[226][227][228]
1945년 12월 미국 육군은 맨해튼 계획을 둘러싼 보안 장치를 평가하는 비밀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다른 어떤 중요한 전쟁 개발보다도 훨씬 더 철저하게 경비되었다." 주변 보안 인프라는 너무 방대하고 철저해서 1943년 프로젝트 초기에 조사관들은 잠재적인 보안 위험에 대해 40만 명의 잠재적 직원과 600개의 회사를 조사했다.[229]

원자력 정보의 자발적 검열은 맨해튼 계획 이전부터 시작되었다. 1939년 유럽 전쟁이 시작된 후 미국 과학자들은 군사 관련 연구 발표를 피하기 시작했고, 1940년에는 과학 저널들이 미국국립과학원에 논문 검토를 요청하기 시작했다. 1940년 9월 7일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에 원자핵분열에 관한 기사를 쓴 ''뉴욕 타임스''의 윌리엄 L. 로런스는 나중에 1943년 정부 관리들이 전국 도서관에 해당 호를 회수하도록 요청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230] 그러나 소련은 이러한 침묵을 눈치챘다. 1942년 4월 핵물리학자 게오르기 플료로프는 요셉 스탈린에게 미국 저널에 실린 원자핵분열 관련 기사의 부재에 대해 편지를 썼고, 이는 소비에트 연방이 자체 원자 폭탄 계획을 수립하는 결과로 이어졌다.[231]
맨해튼 계획은 엄격한 보안 하에 진행되었는데, 그 이유는 계획이 발각될 경우 특히 독일을 포함한 추축국들이 자체 핵 계획을 가속화하거나 계획에 대한 은밀한 작전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232] 검열 사무소는 언론이 발표한 자발적 행동 강령을 준수하도록 의존했고, 처음에는 사무소에 통보하지 않았다. 1943년 초 신문들은 테네시와 워싱턴에서 대규모 건설에 대한 보도를 시작했고, 사무소는 계획의 비밀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다. 6월에는 신문과 방송사에 "원자 분쇄, 원자력, 원자핵분열, 원자 분열 또는 이와 동등한 용어. 라듐이나 방사성 물질, 중수, 고전압 방전 장비, 사이클로트론의 군사적 용도"에 대한 논의를 피하도록 요청했다.[233][234]
사보타주 가능성은 항상 존재했으며, 장비 고장이 발생했을 때 의심받는 경우도 있었다. 부주의하거나 불만을 품은 직원들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는 몇몇 문제들이 있었지만, 추축국이 사주한 사보타주가 확인된 사례는 없었다.[235] 그러나 1945년 3월 10일, 일본의 풍선 폭탄이 전력선에 부딪히면서 발생한 전력 서지로 인해 핸포드의 원자로 3기가 일시적으로 가동이 중단되었다.[236] 많은 사람들이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보안이 어려웠다. 프로젝트의 보안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특별한 방첩대가 구성되었다.[237] 1943년까지 소련이 프로젝트에 침투하려 한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서부 방위 사령부 방첩부 부서장인 보리스 T. 파쉬 중령은 버클리 방사선 연구소에서 의심되는 소련 스파이 활동을 조사했다. 오펜하이머는 파쉬에게 버클리의 동료 교수인 하콘 슈발리에로부터 소련에 정보를 넘기라는 제안을 받았다고 알렸다.[238]
가장 성공적인 소련 스파이는 물리학자이자 영국 사절단 일원이었던 클라우스 푸크스였는데, 그는 로스앨러모스에서 내폭형 원자폭탄 설계 작업에 깊이 관여했다.[239] 그의 스파이 활동은 베노나 프로젝트의 결과로 1950년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그의 스파이 활동이 드러나면서 미국과 영국, 캐나다의 핵 협력에 피해가 발생했고,[240] 이후 다른 스파이 활동도 발각되어 해리 골드, 데이비드 그린글래스, 줄리어스와 에텔 로젠버그가 체포되었다.[241] 조지 코발과 시어도어 홀과 같은 다른 스파이들은 수십 년 동안 알려지지 않았다.[242] 스파이 활동의 가치는 정량화하기 어려운데, 소련 원자폭탄 프로젝트의 주요 제약은 우라늄 광석의 부족이었기 때문이다. 소련이 자체 폭탄 개발에 최소 1~2년은 단축했을 수도 있지만,[243] 일부 역사가들은 소련이 정보를 검증하고 복제하는 데 걸린 시간이 정보를 신뢰했더라면 절약했을 시간만큼이나 많았다고 주장한다.[244]
8. 2. 알소스 작전
맨해튼 계획은 핵폭탄 개발뿐만 아니라 독일 핵 에너지 계획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임무도 수행하였다. 미국은 일본이 우라늄 광석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핵무기 개발이 진전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판단했지만, 독일은 자체 핵무기 개발에 근접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맨해튼 계획은 독일의 중수 확보를 막기 위해 노르웨이 중수 사건을 일으켜 노르웨이의 중수 시설을 파괴하고 운반선을 침몰시켰다.[530] 이러한 첩보 작전에는 미해군 정보국, 과학 연구개발국, 미육군 정보국(G-2) 등이 참여하였다.[531] 맨해튼 계획의 첩보 활동 작전명은 알소스였는데, 이는 맨해튼 계획 책임자인 그로브스의 성 그로브(grove영어, 작은 숲)를 그리스어로 표기한 것이다.[532]
사무엘 고우드스미트(Samuel Goudsmit)는 알소스 작전의 과학 책임자였다.[249] 1944년 6월, 알소스 작전팀은 로마 점령 후 로마 대학교 물리학 연구소 직원들을 심문했다.[250] 한편, 보리스 파시(Boris Pash)는 오버로드 작전에 참가할 영국과 미국의 합동 알소스 작전팀을 런던에 편성했다.[251]
알소스 팀은 진격하는 연합군을 따라 해방된 프랑스와 독일 지역에서 과학자들을 심문하고 시설들을 수색하여 독일의 연구 활동에 대해 알아냈다. 고우드스미트는 1944년 11월 독일 핵 프로그램이 실험실 단계를 넘어서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254]
독일 포로 심문 결과, 우라늄과 토륨이 오라니엔부르크에서 처리되고 있음이 밝혀져, 1945년 3월 15일 폭격이 이루어졌다.[255] 알소스 팀은 소련 점령 지역의 슈타스푸르트에서 11ton의 광석을 회수했다.[256] 1945년 4월, 파시는 T-부대(T-Force)를 지휘하여 독일 핵 개발 중심지인 헤친겐, 비징겐, 하이거로흐를 급습하는 하버리지 작전(Operation Harborage)을 수행했다. T-부대는 핵 실험실, 문서, 장비 및 물품, 중수와 1.5ton의 금속 우라늄을 압수했다.[257][258]
알소스 팀은 쿠르트 디에브너(Kurt Diebner), 오토 한(Otto Hahn), 발터 게를라흐(Walther Gerlach), 베르너 하이젠베르크(Werner Heisenberg),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Carl Friedrich von Weizsäcker) 등의 독일 과학자들을 체포하여 영국으로 압송, 팜 홀(Farm Hall)에 수감하여 은밀하게 감시했다.[259]
9. 원폭 투하
1944년 3월, 그로브스는 미국 육군 항공대의 대장 헨리 H. 아놀드를 만나 원자폭탄 투하에 대해 논의하였고,[534] B-29 폭격기를 개조하여 사용하기로 하였다.[535] 1944년 12월 17일, 유타주 원도버 육군항공기지에서 제509 혼성대가 편성되어 폭탄 수송과 투하 준비를 진행했고 1945년 7월 완료되었다.[537]
리틀 보이 부품들은 1945년 7월 16일 대부분 샌프란시스코에서 USS 인디애너폴리스에 실려 7월 26일 티니안으로 운반되었다. 인디애너폴리스는 운송을 마친지 나흘 뒤에 일본군 잠수함에 의해 격침되었고, 우라늄-235를 포함한 나머지 부품들은 더글러스 DC-4 수송기로 운반되었다.[538] 팻 맨의 부품들은 두 개 분량이 준비되어 B-29에 실려 티니안으로 운반되었다.[539]
1945년 8월 6일, 폴 티베츠는 B-29 에놀라 게이에 리틀 보이를 싣고 히로시마에 투하했다. 리틀 보이는 TNT 13킬로톤에 상응하는 폭발력을 보였으며,[544] 12km2 지역을 완전히 파괴했다. 약 7만 명에서 8만 명이 사망했고, 부상자 역시 약 7만 명에 달했다.[545]
1945년 8월 9일, 찰스 W. 스위니 소령은 B-29 박스카에 팻 맨을 싣고 나가사키에 투하했다. 폭발력은 TNT 21킬로톤에 상응했고, 나가사키 전체 면적의 약 44%가 파괴되었다. 폭발 당시 사망자는 3만 5천여 명, 부상자는 6만여 명이었다.[546][547]
레슬리 그로브스는 8월 19일에 세 번째 폭탄을 투하할 계획이었으나,[548] 일본이 무조건 항복하면서 실제 폭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549]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대한 폭격의 필요성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란거리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원폭 투하가 전후 소련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비판한다.[551]
9. 1. 준비
1944년 3월, 그로브스는 미국 육군 항공대의 대장 헨리 H. 아놀드를 만나 목표까지 폭탄을 운반하여 폭격을 완수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534] 5.2m 길이의 틴 맨이나 직경이 150cm인 팻 맨을 운반할 수 있는 폭격기로는 영국의 아브로 랭커스터가 유일했지만, 그로브스의 요청으로 B-29 폭격기를 개조하여 폭격에 사용하기로 하였다.[535]
1944년 12월 17일, 유타주 원도버 육군항공기지에서 제509 혼성대가 편성되었다. 이 부대는 네바다주 접경에 있었고 작전명은 킹맨, 또는 W-47 이라 불렸다. 이 부대에서 폭탄의 수송과 투하 준비가 이루어졌고 1945년 7월 준비가 완료되었다.[537]
리틀 보이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1945년 7월 16일 대부분 샌프란시스코에서 순양함 USS 인디애너폴리스(CA-35)에 실린 후, 7월 26일 티니안으로 운반되었다. 인디애너폴리스는 운송을 마친지 나흘 뒤에 일본군 잠수함에 의해 격침되었다. 이 때문에 우라늄-235를 포함한 나머지 부품들은 더글러스 DC-4 수송기를 통해 운반되었다.[538] 팻 맨의 부품들은 두 개 분량이 준비되어 B-29에 실려 티니안으로 운반되었다.[539]
9. 2. 폭격


1945년 8월 6일, 폴 티베츠는 제393 폭격대 소속 B-29 에놀라 게이에 리틀 보이를 싣고 출격했다. 그는 일본 육군의 주요 집결지이자 승선지였던 히로시마를 폭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폭격이 여의치 않을 경우 대체 폭격지는 고쿠라와 나가사키였다. 히로시마에 투하된 리틀 보이는 TNT 13킬로톤에 상응하는 폭발력을 보였으며,[544] 12km2 지역을 완전히 파괴했다. 폭발 당시 약 7만 명에서 8만 명이 사망했고, 부상자 역시 약 7만 명에 달했다.[545]
1945년 8월 9일 아침, 찰스 W. 스위니 소령은 B-29 박스카에 팻 맨을 싣고 이륙했다. 첫 번째 목표는 고쿠라였지만 구름 낀 날씨 때문에 시계가 좋지 않아 대체 폭격지인 나가사키에 팻 맨을 투하했다. 폭발력은 TNT 21킬로톤에 상응했고, 나가사키 전체 면적의 약 44%가 파괴되었다. 폭발 당시 사망자는 3만 5천여 명, 부상자는 6만여 명이었다.[546][547]
레슬리 그로브스는 8월 19일에 세 번째 폭탄을 투하할 계획이었으나,[548] 일본이 무조건 항복하면서 실제 폭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549]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대한 폭격의 필요성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논란거리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원폭 투하가 전후 소련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비판한다.[551]
10. 전후
폭격이 예정되자 그로브스는 헨리 디월프 스미스에게 경과 보고 작성을 지시했고, 1945년 8월 12일 스미스 보고서로 널리 알려진 〈원자력 에너지의 군사적 사용〉이 배포되었다.[552] 그로브스와 니콜스는 자원 공급 수훈자에게 수여하는 육군-해군 E 포상식에서 수상자 대표로 수상하였다.[553]
핵무기 개발을 위한 대체 부지를 찾을 수 없어서 로스앨러모스는 보다 간단하고 안전한 핵폭탄 개발을 위한 업무를 계속하였다. 하지만, 오펜하이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로 복귀하였고, 그로브스를 대신하여 노리스 브래드버리가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브래드버리는 그 후 25년간 핵무기 개발 책임자로 근무하였다.[555]
사용되지 않은 두 발의 팻 맨은 비키니 환초로 운반되어 전함에서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실험하기 위한 크로스로즈 작전에 투입되었다.[559] 이 가운데 한 발은 1946년 7월 비키니 핵 실험에서 수중 폭발되었다.[560]
맨해튼 계획에 참여하였던 코난트, 보흐, 부시 등은 이후 냉전 시대에 있었던 핵무기 경쟁에 참여하여 핵무기를 개발하였다.[561] 맨해튼 계획은 1946년 12월 31일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나, 군사 부문인 맨해튼 지구는 1947년 8월 15일까지 유지되었다.[562]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 투하 이후, 여러 맨해튼 계획 물리학자들은 ''원자과학자 협회지''(1945)와 원자과학자 비상위원회(1946)를 설립했는데, 이는 원자 무기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긴급한 필요성을 인지한 과학자들이 긴급 조치로 시작한 것이다.[302] 폭탄의 파괴력과 핵무기 경쟁을 예상하여 보어, 부시, 코넌트를 포함한 여러 프로젝트 구성원들은 국제 원자력 연구 및 원자 무기 통제에 합의해야 한다는 견해를 표명했다. 1946년 6월 새로 설립된 유엔 원자력위원회(UNAEC) 연설에서 발표된 바룩 계획은 국제 원자력 개발 기구의 설립을 제안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303]
참조
[1]
웹사이트
Fermi at Columbia
https://physics.colu[...]
2019-07-29
[2]
논문
[3]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8807 Establishing the Office of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http://www.presidenc[...]
1941-06-28
[4]
논문
[5]
웹사이트
Past Chancellors
https://chancellor.b[...]
Berkeley Office of the Chancellor
2018-04-16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간행물
Ignition of the Atmosphere with Nuclear Bombs
https://fas.org/sgp/[...]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08-11-23
[28]
논문
[29]
뉴스
Why They Called It the Manhattan Project
https://www.nytimes.[...]
2007-10-30
[30]
논문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잡지
Science:Atomic Footprint
https://content.time[...]
Time
2022-01-19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학술지
The British Mission
http://www.atomicarc[...]
1983
[50]
웹사이트
Hyde Park Aide-Mémoire (18 September 1944)
https://ahf.nuclearm[...]
Atomic Heritage Foundation
2022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웹사이트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Review, Vol. 25, Nos. 3 and 4, 2002
http://www.ornl.gov/[...]
ornl.gov
2010-03-09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웹사이트
Early Days of Oak Ridge and Wartime Y-12
https://web.archive.[...]
2014-11-22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Article: Oppenheimer's Better Idea: Ranch School Becomes Arsenal of Democracy
http://www.lanl.gov/[...]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11-04-06
[68]
논문
[69]
논문
[70]
웹사이트
Secretary of Agriculture granting use of land for Demolition Range
http://www.lanl.gov/[...]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11-04-06
[71]
웹사이트
Civilian Displacement: Los Alamos, NM
https://ahf.nuclearm[...]
Atomic Heritage Foundation
2024-08-01
[72]
harvnb
[73]
harvnb
[74]
harvnb
[75]
harvnb
[76]
웹사이트
FRONTIERS Research Highlights 1946–1996
https://digital.libr[...]
Office of Public Affairs, Argonne National Laboratory
[77]
학술지
A Manhattan Project Postscript
http://pbadupws.nrc.[...]
2013-03-23
[78]
harvnb
[79]
웹사이트
CP-1 (Chicago Pile 1 Reactor)
http://www.ne.anl.go[...]
Argonne National Laboratory; U.S. Department of Energy
2013-04-12
[80]
harvnb
[81]
harvnb
[82]
학술지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chain reaction pile
[83]
웹사이트
Site A/Plot M, Illinois, Decommissioned Reactor Site Fact Sheet
http://www.lm.doe.go[...]
2012-12-03
[84]
harvnb
[85]
harvnb
[86]
harvnb
[87]
harvnb
[88]
harvnb
[89]
harvnb
[90]
harvnb
[91]
harvnb
[92]
웹사이트
Canada's historical role in developing nuclear weapons
https://www.cnsc-ccs[...]
2024-05-23
[93]
뉴스
Canada's contributions to the atomic bomb developed by Oppenheimer
https://nationalpost[...]
2024-05-25
[94]
harvnb
[95]
웹사이트
ZEEP – Canada's First Nuclear Reactor
http://www.sciencete[...]
Canada Science and Technology Museum
[96]
harvnb
[97]
harvnb
[98]
harvnb
[99]
harvnb
[100]
harvnb
[101]
서적
Manhattan District History, Book 7, Volume 1 (Feed Materials and Special Procurement)
https://blog.nuclear[...]
1947
[102]
harvnb
[103]
harvnb
[104]
harvnb
[105]
서적
Manhattan District History, Book 7, Volume 1 (Feed Materials and Special Procurement)
https://blog.nuclear[...]
1947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논문
[111]
논문
[112]
논문
[113]
논문
[114]
논문
[115]
논문
[116]
논문
[117]
논문
[118]
논문
[119]
논문
[120]
논문
[121]
논문
[122]
논문
[123]
논문
[124]
논문
[125]
논문
[126]
웹사이트
The Calutron Girls
http://smithdray1.ne[...]
SmithDRay
2011-06-22
[127]
논문
[128]
논문
[129]
논문
[130]
논문
[131]
논문
[132]
논문
[133]
논문
[134]
논문
[135]
논문
[136]
논문
[137]
논문
[138]
논문
[139]
논문
[140]
논문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논문
[147]
논문
[148]
논문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160]
논문
[161]
논문
[162]
논문
[163]
논문
[164]
논문
[165]
논문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논문
[171]
논문
[172]
논문
[173]
논문
[174]
논문
[175]
논문
[176]
논문
[177]
논문
[178]
논문
[179]
논문
[180]
논문
[181]
논문
[182]
논문
[183]
논문
[184]
논문
[185]
논문
[186]
논문
[187]
논문
[188]
논문
[189]
논문
[190]
논문
[191]
논문
[192]
논문
[193]
논문
[194]
웹사이트
American Experience . Race for the Superbomb . Super Conference
https://www.pbs.org/[...]
PBS
2016-08-28
[195]
논문
[196]
논문
[197]
논문
[198]
서적
100-ton Test: Piezo Gauge Measurements
https://babel.hathit[...]
U.S. Atomic Energy Commission, Technical Information Division
1950
[199]
서적
Birthplace of the Atomic Bomb: A Complete History of the Trinity Test Site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2019
[200]
논문
[201]
논문
[202]
논문
[203]
논문
[204]
논문
[205]
논문
[206]
논문
[207]
웹사이트
Bhagavad Gita As It Is, 11: The Universal Form, Text 12
http://www.asitis.co[...]
A.C. Bhaktivedanta Swami Prabhupada
2013-07-19
[208]
간행물
J. Robert Oppenheimer
https://books.google[...]
2023-08-29
[209]
간행물
The Eternal Apprentice
https://content.time[...]
2023-08-29
[210]
학술지
The 'Gita' of J. Robert Oppenheimer
2000-06
[211]
논문
[212]
논문
[213]
웹사이트
How many people worked on the Manhattan Project?
https://blog.nuclear[...]
Restricted Data
2023-03-28
[214]
웹사이트
African Americans and the Manhattan Project
https://ahf.nuclearm[...]
Nuclear Museum
2024-04-12
[215]
논문
[216]
논문
[217]
뉴스
1,000 were at Pasco
https://news.google.[...]
Lawrence Journal-World
1945-08-08
[218]
논문
[219]
논문
[220]
논문
[221]
논문
[222]
논문
[223]
논문
[224]
논문
[225]
논문
[226]
뉴스
Manhattan Project: Its Scientists Have Harnessed Nature's Basic Force
https://books.google[...]
Life
1945-08-20
[227]
간행물
The Secret City/ Calutron operators at their panels, in the Y-12 plant at Oak Ridge, Tennessee, during World War II.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6-25
[228]
웹사이트
Oak Ridge Confidential, or Baseball for Bombs
http://blog.nuclears[...]
Restricted Data
2013-04-07
[229]
뉴스
The Difficulties of Nuclear Containmen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5-06
[230]
논문
[231]
논문
[232]
논문
[233]
논문
[234]
뉴스
No News Leaked Out About Bomb
https://news.google.[...]
Lawrence Journal-World
2012-04-15
[235]
논문
[236]
논문
[237]
논문
[238]
논문
[239]
논문
[240]
논문
[241]
논문
[242]
뉴스
A Spy's Path: Iowa to A-Bomb to Kremlin Hono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7-02
[243]
논문
[244]
서적
Red Cloud at Dawn: Truman, Stalin, and the End of the Atomic Monopoly
Farrar, Straus, and Giroux
[245]
논문
[246]
논문
[247]
논문
[248]
논문
[249]
논문
[250]
논문
[251]
논문
[252]
논문
[253]
논문
[254]
논문
[255]
논문
[256]
논문
[257]
논문
[258]
논문
[259]
논문
[260]
논문
[261]
웹사이트
Notes of Meeting of the Interim Committee, June 1, 1945
https://web.archive.[...]
The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2011-03-02
[262]
논문
[263]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The Conference of Berlin (The Potsdam Conference), 1945, Volume II
https://history.stat[...]
Office of the Historian
2024-01-24
[264]
서적
Red Cloud at Dawn: Truman, Stalin, and the End of the Atomic Monopoly
Farrar, Straus and Giroux
[265]
웹사이트
Order to Drop the Atomic Bomb, Handy to Spaatz, July 25, 1945
https://www.osti.gov[...]
Office of History and Heritage Resources, US Department of Energy
2024-01-24
[266]
서적
Five Days in August: How World War II Became a Nuclear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7]
논문
[268]
논문
[269]
저널
Counting the dead at Hiroshima and Nagasaki
https://thebulletin.[...]
2020-08-04
[270]
웹사이트
U.S. Strategic Bombing Survey: The Effects of the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https://web.archive.[...]
Harry S. Trum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1946-06-19
[271]
웹사이트
Life Arises from Hiroshima: Legacy of slavery still haunts Japan
http://www.readthesp[...]
Our Values
2016-06-15
[272]
웹사이트
Hiroshima and Nagasaki Bombing – Facts about the Atomic Bomb
http://www.hiroshima[...]
Hiroshimacommittee.org
2013-08-11
[273]
논문
[274]
논문
[275]
논문
[276]
웹사이트
Telephone conversation transcript, General Hull and Colonel Seeman (13 August 45)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1945-08-13
[277]
웹사이트
Lawrence Litz's Interview (2012)
http://manhattanproj[...]
Manhattan Project Voices
2015-02-27
[278]
웹사이트
The Third Core's Revenge
http://blog.nuclears[...]
Restricted Data
2013-08-16
[279]
논문
[280]
저널
Eclipsed by Hiroshima and Nagasaki: Early Thinking about Tactical Nuclear Weapons
1991-03-01
[281]
harvnb
[282]
harvnb
[283]
harvnb
[284]
웹사이트
Hirohito's "Jewel Voice Broadcast"
http://www.airforcem[...]
2012-08-01
[285]
웹사이트
The Atomic Bomb and the End of World War II, A Collection of Primary Sources
http://www.gwu.edu/~[...]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1945-08-13
[286]
harvnb
[287]
harvnb
[288]
웹사이트
Petition to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17 July 1945. Miscellaneous Historical Documents Collection
http://www.trumanlib[...]
Harry S. Trum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1945-07-17
[289]
harvnb
[290]
harvnb
[291]
harvnb
[292]
harvnb
[293]
harvnb
[294]
harvnb
[295]
harvnb
[296]
harvnb
[297]
harvnb
[298]
harvnb
[299]
harvnb
[300]
서적
Operation Crossroads: The Atomic Tests at Bikini Atoll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301]
harvnb
[302]
harvnb
[303]
harvnb
[304]
harvnb
[305]
harvnb
[306]
뉴스
Atomic Bomb Seen as Cheap at Price
https://news.google.[...]
1945-08-07
[307]
harvnb
[308]
웹사이트
Origins of the Nuclear Blcak Budget
https://blog.nuclear[...]
Restricted Data
2011-12-05
[309]
harvnb
[310]
서적
Manhattan District History, Book 1, Volume 4, Chapter 1 (Legislative Contacts of the Manhattan Project)
https://blog.nuclear[...]
1947-01-01
[311]
harvnb
[312]
웹사이트
The Community LOOW Project: A Review of Environmental Investigations and Remediation at the Former Lake Ontario Ordnance Works
http://www.niagaraco[...]
King Groundwater Science, Inc.
2008-09-01
[313]
웹사이트
Niagara Falls Storage Site, New York
http://www.lm.doe.go[...]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11-08-31
[314]
학술지
Model City USA: The Environmental Cost of Victory in World War II and the Cold War
2002-07-01
[315]
뉴스
A Toxic Waste Capital Looks to Spread it Around; Upstate Dump is the Last in the Northeast
https://www.nytimes.[...]
2004-03-10
[316]
뉴스
Drama of the Atomic Bomb Found Climax in July 16 Test
https://books.google[...]
1945-09-26
[317]
harvnb
Sweeney
[318]
harvnb
Holloway
[319]
harvnb
Hewlett & Anderson
[320]
harvnb
Weinberg
[321]
harvnb
Hewlett & Duncan
[322]
harvnb
Hewlett & Duncan
[323]
harvnb
Hewlett & Duncan
[324]
harvnb
Hewlett & Duncan
[325]
harvnb
Walker
[326]
웹사이트
Nuclear Waste: DOE's Efforts to Protect the Columbia River from Contamination Could Be Further Strengthened
https://www.gao.gov/[...]
2024-01-23
[327]
harvnb
Hewlett & Anderson
[328]
웹사이트
Manhattan Project National Historical Park
https://www.energy.g[...]
Department of Energy
2015-11-10
[329]
서적
Racing for the Bomb: General Leslie R. Groves, the Manhattan Project's Indispensable Man
Steerforth
[330]
서적
原子核エネルギーの話
東海大学出版会
[331]
서적
ローズ(上)
[332]
서적
ローズ(上)
[333]
서적
ローズ(上)
[334]
harvnb
Johnson & Jackson
[335]
harvnb
Hewlett & Anderson
[336]
harvnb
Groves
[337]
서적
ローズ(下)
[338]
harvnb
Jones
[339]
harvnb
Johnson & Jackson
[340]
harvnb
Fine & Remington
[341]
웹사이트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Review, Vol. 25, Nos. 3 and 4, 2002
http://www.ornl.gov/[...]
ornl.gov
2010-03-09
[342]
harvnb
Jones
[343]
harvnb
Johnson & Jackson
[344]
harvnb
Johnson & Jackson
[345]
harvnb
Jones
[346]
harvnb
Jones
[347]
서적
ローズ(下)
[348]
웹사이트
ワシントン州ハンフォード (アメリカ合衆国環境保護庁)
https://web.archive.[...]
[349]
서적
ローズ(下)
[350]
서적
資料
大月書店
[351]
방송
NHKスペシャル:原子爆弾・秘録 ~謎の商人とウラン争奪戦~
https://www.nhk.jp/p[...]
2023
[352]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98
[353]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7
[354]
방송
NHKスペシャル マネー資本主義
2009
[355]
뉴스
(추가 정보 필요)
朝日新聞
2013-08-06
[356]
전시회
Secret Cities The Architecture and Planning of the Manhattan Project
https://www.nbm.org/[...]
[357]
웹사이트
Consumer Price Index (estimate) 1800–2008
http://www.minneapol[...]
2010-12-07
[358]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62
[35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8807, Establishing the Office of Scientific Research and Development
http://www.presidenc[...]
[360]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62
[361]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5
[362]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6
[363]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62
[364]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62
[365]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6
[366]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62
[367]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5
[368]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5
[369]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7
[370]
기타
[371]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5
[372]
기타
[373]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5
[374]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6
[375]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62
[376]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93
[377]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62
[378]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62
[379]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92
[380]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93
[381]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6
[382]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93
[383]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91
[384]
논문
(추가 정보 필요)
1986
[385]
보고서
Ignition of the Atmosphere with Nuclear Bombs
http://www.fas.org/s[...]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1946
[386]
뉴스
Why They Called It the Manhattan Project
http://www.nytimes.c[...]
뉴욕 타임즈
2007-10-30
[387]
harvnb
[388]
harvnb
[389]
harvnb
[390]
harvnb
[391]
harvnb
[392]
harvnb
[393]
harvnb
[394]
저널
Science:Atomic Footprint
https://web.archive.[...]
1945-09-17
[395]
harvnb
[396]
harvnb
[397]
harvnb
[398]
harvnb
[399]
harvnb
[400]
harvnb
[401]
harvnb
[402]
harvnb
[403]
harvnb
[404]
harvnb
[405]
harvnb
[406]
harvnb
[407]
harvnb
[408]
harvnb
[409]
harvnb
[410]
harvnb
[411]
웹인용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Review, Vol. 25, Nos. 3 and 4, 2002
https://web.archive.[...]
ornl.gov
[412]
harvnb
[413]
harvnb
[414]
harvnb
[415]
harvnb
[416]
harvnb
[417]
harvnb
[418]
harvnb
[419]
harvnb
[420]
웹사이트
50th Anniversary Article: Oppenheimer's Better Idea: Ranch School Becomes Arsenal of Democracy
http://www.lanl.gov/[...]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421]
논문
[422]
논문
[423]
논문
[424]
논문
[425]
논문
[426]
논문
[427]
논문
[428]
논문
[429]
논문
[430]
논문
[431]
논문
[432]
논문
[433]
논문
[434]
논문
[435]
논문
[436]
논문
[437]
논문
[438]
논문
[439]
논문
[440]
논문
[441]
논문
[442]
논문
[443]
논문
[444]
웹사이트
국제 은 시세
http://news.khan.co.[...]
2011-07-00
[445]
논문
[446]
논문
[447]
논문
[448]
논문
[449]
논문
[450]
논문
[451]
웹사이트
The Calutron Girls
http://smithdray1.ne[...]
SmithDRay
2011-06-22
[452]
논문
[453]
논문
[454]
논문
[455]
논문
[456]
논문
[457]
논문
[458]
논문
[459]
논문
[460]
논문
[461]
논문
[462]
논문
[463]
논문
[464]
논문
[465]
논문
[466]
논문
[467]
논문
[468]
논문
[469]
논문
[470]
일반
[471]
논문
[472]
논문
[473]
논문
[474]
서적
Nuclear Weapons: What You Need to Kno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10-15
[475]
논문
[476]
논문
[477]
논문
[478]
논문
[479]
논문
[480]
논문
[481]
논문
[482]
논문
[483]
논문
[484]
논문
[485]
논문
[486]
논문
[487]
논문
[488]
논문
[489]
논문
[490]
논문
[491]
논문
[492]
논문
[493]
논문
[494]
논문
[495]
논문
[496]
논문
[497]
논문
[498]
논문
[499]
논문
[500]
논문
[501]
논문
[502]
논문
[503]
논문
[504]
논문
[505]
논문
[506]
논문
[507]
논문
[508]
논문
[509]
논문
[510]
논문
[511]
논문
[512]
논문
[513]
논문
[514]
논문
[515]
논문
[516]
논문
[517]
논문
[518]
논문
[519]
논문
[520]
논문
[521]
논문
[522]
논문
[523]
논문
[524]
논문
[525]
논문
[526]
논문
[527]
논문
[528]
뉴스
A Spy’s Path: Iowa to A-Bomb to Kremlin Honor
http://www.nytimes.c[...]
뉴욕 타임즈
2007-11-12
[529]
논문
[530]
논문
[531]
논문
[532]
논문
[533]
논문
[534]
논문
[535]
논문
[536]
논문
[537]
논문
[538]
논문
[539]
논문
[540]
논문
[541]
논문
[542]
웹사이트
Potsdam and the Final Decision to Use the Bomb
http://www.cfo.doe.g[...]
US Department of Energy, Office of History and Heritage Resources
2010-12-19
[543]
논문
[544]
논문
[545]
웹사이트
U.S. Strategic Bombing Survey: The Effects of the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https://en.wikipedia[...]
Harry S. Trum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2009-03-15
[546]
논문
[547]
논문
[548]
웹사이트
The Atomic Bomb and the End of World War II, A Collection of Primary Sources
http://www.gwu.edu/~[...]
조지 워싱턴 대학교
1945-08-13
[549]
논문
[550]
웹사이트
The Atomic Bomb and the End of World War II, A Collection of Primary Sources
http://www.gwu.edu/~[...]
조지 워싱턴 대학교
2007-04-27
[551]
서적
냉전과 대학
당대
[552]
논문
[553]
논문
[554]
논문
[555]
논문
[556]
논문
[557]
논문
[558]
논문
[559]
논문
[560]
논문
[561]
논문
[562]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