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롤리타 (1962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리타》는 1962년 개봉한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로,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동명 소설을 각색했다. 프랑스 문학 교수 험버트 험버트가 10대 소녀 롤리타에게 느끼는 욕망과 그로 인한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다. 제임스 메이슨, 수 라이언, 셸리 윈터스, 피터 셀러스 등이 출연했으며, 개봉 당시 소아성애를 다룬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영화는 검열을 피하기 위해 이중적인 표현과 시각적 단서를 활용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재평가를 받았다. 1997년에는 애드리안 라인 감독에 의해 리메이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롤리타를 바탕으로 한 작품 - 롤리타 (1997년 영화)
    롤리타는 1997년 개봉한 영화로, 14세 소녀 롤리타에게 성적으로 매혹된 프랑스 문학 교수 험버트 험버트가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원작의 영화 작품 - 롤리타 (1997년 영화)
    롤리타는 1997년 개봉한 영화로, 14세 소녀 롤리타에게 성적으로 매혹된 프랑스 문학 교수 험버트 험버트가 겪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원작의 영화 작품 - 양지로의 여행
    《양지로의 여행》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을 원작으로,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가 연출한 영화로, 경제난과 나치의 발흥 속에서 도플갱어를 이용해 자살 위장을 계획하지만 결국 정체가 발각되는 초콜릿 사업가의 이야기를 다룬다.
  • 스탠리 큐브릭 감독 영화 -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1964년 블랙 코미디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는 냉전 시대 핵 공포를 풍자하며, 망상에 빠진 장군의 핵 공격 명령과 그로 인한 혼란을 그린 작품으로, 피터 셀러스, 조지 C. 스콧 등 명배우들의 열연과 함께 작품성과 흥행에 성공하며 냉전 시대 대표 풍자 영화로 평가받는다.
  • 스탠리 큐브릭 감독 영화 - 킬러스 키스
    킬러스 키스는 1955년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로, 권투 선수와 택시 댄서의 로맨스와 갱과의 갈등을 통해 큐브릭 특유의 연출 스타일을 보여준다.
롤리타 (1962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연극 개봉 포스터
연극 개봉 포스터
감독스탠리 큐브릭
프로듀서제임스 B. 해리스
각본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원작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롤리타
출연제임스 메이슨
셸리 윈터스
피터 셀러스
수 라이온
음악넬슨 리들
테마곡 작곡밥 해리스
촬영오즈월드 모리스
편집앤서니 하비
제작사세븐 아츠
해리스 큐브릭 픽처스
A.A. 프로덕션, Ltd.
아니야 픽처스
트랜스월드 픽처스
배급사메트로-골드윈-메이어
개봉일1962년 6월 13일 (미국)
상영 시간152분
국가영국
미국
언어영어
제작비150만~200만 달러
흥행 수익920만 달러
관련 링크
AllMovie롤리타(1962)
IMDbLolita (1962) - Box office / business

2. 줄거리

1960년대 미국, 프랑스 문학 교수인 험버트 험버트는 뉴햄프셔주 램스데일에서 하숙집을 찾던 중 과부 샬롯 헤이즈와 그녀의 10대 딸 롤리타를 만난다. 롤리타에게 첫눈에 반한 험버트는 샬롯의 집에 머물기로 한다. 샬롯은 험버트에게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험버트는 롤리타 곁에 있기 위해 그녀와 결혼한다. 그러나 샬롯은 험버트의 일기에서 롤리타에 대한 그의 욕망을 알게 되고, 충격 속에 집을 뛰쳐나가 교통사고로 사망한다.

험버트는 롤리타를 캠프에서 데려와 함께 미국 전역을 여행한다. 험버트는 롤리타에게 아버지처럼 행동하지만, 둘의 관계는 점차 복잡해진다. 험버트는 롤리타를 독점하려 하고, 롤리타는 험버트에게서 벗어나려 한다. 이들의 여행은 험버트를 뒤쫓는 정체불명의 남자 클레어 퀼티로 인해 더욱 불안해진다. 롤리타가 병원에 입원한 사이, 퀼티는 롤리타를 빼돌려 사라진다.

몇 년 후, 험버트는 롤리타로부터 편지를 받고 그녀를 찾아간다. 롤리타는 퀼티에게 속아 이용당한 과거를 털어놓고, 험버트에게 돈을 요구한다. 험버트는 롤리타에게 다시 함께 살자고 애원하지만 거절당한다. 험버트는 퀼티를 찾아가 그를 살해하고, 체포되어 재판을 기다리던 중 관상 동맥 혈전증으로 사망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등장인물


  • 험버트 험버트: 제임스 메이슨 - 프랑스 문학 교수. 롤리타에게 광적으로 집착하는 중년 남성이다.
  • 돌로레스 헤이즈 (롤리타): 수 라이언 - 샬롯 헤이즈의 10대 딸이자 험버트의 욕망의 대상이다.
  • 샬롯 헤이즈: 셸리 윈터스 - 롤리타의 어머니. 험버트와 결혼하지만, 그의 진심을 알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 클레어 퀼티: 피터 셀러스 - 저명한 극작가. 험버트와 롤리타를 뒤쫓으며, 여러 인물로 변장하여 나타난다.

3. 2. 조연


  • 게리 콕웰 - 리처드 "딕" 쉴러 역 (롤리타의 남편)
  • 제리 스토빈 - 존 팔로 역 (램스데일 변호사)
  • 다이애나 데커 - 진 팔로 역
  • 로이스 맥스웰 - 메리 로어 간호사 역
  • 세크 린더 - 키지 박사 역
  • 수잔 기브스 - 모나 역
  • 빌 그린 - 조지 스와인 역 (브라이스톤 호텔 야간 매니저)
  • 셜리 더글러스 - 스타치 부인 역 (램스데일 피아노 선생님)
  • 마리안 스톤 - 비비안 다크블룸 역 (퀼티의 동료)
  • 매리언 매티 - 르본 양 역
  • 제임스 다이렌포스 - 프레더릭 빌 시니어 역
  • 맥신 홀든 - 프롬키스 양 역 (병원 접수원)
  • 존 해리슨 - 톰 역
  • 콜린 메이틀랜드 - 찰리 세지윅 역
  • C. 데니어 워렌 - 포츠 역
  • 에드 비숍 - 구급대원 역

4. 제작

롤리타 역의 수 리언


1962년 극장 광고


스탠리 큐브릭과 제임스 해리스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의 영화화 판권을 획득하여 영화를 제작하였다. 나보코프의 동의를 얻어 큐브릭은 소설의 결말 부분을 영화의 시작 부분으로 옮겼다. 큐브릭은 험버트가 롤리타를 "유혹"한 이후 소설에 대한 흥미가 반감된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러한 순서 변경이 흥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12]

영화의 배경은 미국 전역을 여행하는 내용이 중심이며, 원작 소설은 1940년대를 배경으로 하지만, 큐브릭은 현대를 배경으로 설정했다. 많은 야외 장면은 영국에서 촬영되었으며, NY 9N을 따라 동부 애디론댁 산맥 지역과 렌셀러에서 올버니의 언덕에서 바라본 풍경을 포함하여 일부 배경 투사 장면은 미국에서 촬영했다.

세실 린더, 로이스 맥스웰, 제리 스토빈, 다이애나 데커와 같이 당시 영국에 거주하던 캐나다 및 미국 배우들이 단역을 맡았다. 영화 제작 자금 대부분이 영국에서 조달되었고, 그곳에서 지출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큐브릭은 영국에서 촬영해야 했다.[12] 또한 큐브릭은 1961년부터 영국에 거주하고 있었고 비행 공포증이 있었다.[13] 힐필드 성은 영화에서 퀼티의 "파보 저택"으로 등장한다.

영화가 개봉되었을 당시에는 등급 시스템이 시행되지 않았고, 1930년대부터 시작된 헤이즈 코드가 영화 제작을 규제했다. 큐브릭은 험버트와 롤리타의 관계에 대한 에로틱한 측면을 충분히 강조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2] 큐브릭은 험버트가 롤리타의 발가락에 페인트를 칠하는 것과 같은 이중 의미와 시각적 단서를 통해 그들의 관계를 간접적으로 암시했다.

제임스 해리스 프로듀서는 14세의 수 리언이 실제 나이보다 성숙해 보여 캐스팅되었다고 설명했다.[20]

4. 1. 기획

스탠리 큐브릭과 제임스 해리스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의 영화화 판권을 획득했다. 원작은 1955년 9월 모리스 지로디아스의 외설 문학 전문 출판사인 올림피아 프레스에서 처음 출판되었을 당시에는 외설 논란에 휩싸였으나,[10] 점차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1958년 8월 G.P. 퍼트넘'스 선스에 의해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나보코프는 주류 출판사에서 거절당한 후 지로디아스에게 소설을 제출했다. 이 책은 그레이엄 그린이 ''런던 선데이 타임스''에서 1955년 최고의 책 3권 중 하나로 선정하기 전까지는 서평을 받지 못했다. ''데일리 익스프레스'' 편집장 존 고든은 그린에 대한 응답으로 이 책을 "내가 읽어본 가장 더러운 책"이자 "순전한 무절제한 포르노"라고 불렀다. 이 책은 내무부에서 포르노로 간주했으며, 영국 세관은 영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사본을 압수하도록 지시했다. 프랑스는 2년 동안(1956–58) 이 소설을 금지했다. ''롤리타''는 1959년까지 영국에서 출판되지 않았다.[10]

말론 브란도와의 불화로 《원 아이드 잭스》에서 하차한 큐브릭은[11] 커크 더글러스에 의해 서사시 ''스파르타쿠스''에서 앤서니 만 감독을 대신하게 되었고, 그와 해리스는 1960년까지 ''롤리타''를 제작하지 않았다. 큐브릭은 ''스파르타쿠스''에서 로렌스 올리비에와 피터 유스티노프를 연출했는데, 이 두 사람 모두 그의 ''롤리타'' 각색에서 역할을 고려했다. 이 영화는 부분적으로 영국과 뉴욕주 올버니에서 촬영되었다.[7]

나보코프의 동의를 얻어 큐브릭은 소설의 결말 부분을 영화의 시작 부분으로 옮겨 사건이 전개되는 순서를 변경했다. 큐브릭은 이렇게 하면 훌륭한 결말을 희생하는 셈이지만, 험버트가 롤리타를 "유혹"한 이후 소설에 대한 흥미가 반감된다고 믿었기 때문에 흥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12]

영화의 두 번째 부분은 미국 전역을 여행하는 내용이며, 소설은 1940년대에 설정되었지만 큐브릭은 현대적인 배경으로 설정했다. 많은 야외 장면을 영국에서 촬영했으며, NY 9N을 따라 동부 애디론댁 산맥 지역과 렌셀러에서 올버니의 언덕에서 바라본 풍경을 포함하여 일부 배경 투사 장면은 미국에서 촬영했다.

세실 린더, 로이스 맥스웰, 제리 스토빈, 다이애나 데커와 같이 당시 영국에 거주하던 캐나다 및 미국 배우들이 단역을 맡았다. 영화 제작 자금의 대부분이 영국에서 조달되었고, 그곳에서 지출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큐브릭은 영국에서 촬영해야 했다.[12] 또한 큐브릭은 1961년부터 영국에 거주하고 있었고 비행 공포증이 있었다.[13] 힐필드 성은 영화에서 퀼티의 "파보 저택"으로 등장한다.

제임스 해리스 프로듀서는 14세의 수 라이언이 실제 나이보다 더 성숙해 보여서 캐스팅되었다고 설명했는데, 그 이유는 "우리는 [롤리타]를 성적 대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 관객 모두가 왜 모든 사람이 그녀에게 달려들고 싶어 하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야 했다."[20]라고 하였다. 그는 또한 2015년 ''필름 코멘트'' 인터뷰에서 "우리는 그녀를 캐스팅할 때 확실한 성적 대상이 되도록 했으며, 변태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은 배제했다."[21]라고 말했다.

해리스는 자신이 큐브릭과 함께 캐스팅을 통해 나보코프의 책을 바꿨는데, 그 이유는 "우리는 그것이 사랑 이야기로 보이게 하고, 험버트에게 매우 공감하게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다."[22]라고 하였다.

롤리타가 그녀의 어머니와 체스를 두는 험버트에게 키스하며 작별 인사를 한다. 이 장면에서 그의 대사는 "나는 당신의 퀸을 가져갑니다."이다. 나보코프의 소설에서 반복되는 모티프인 체스는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 가장 좋아하는 여가 활동이기도 했다.


영화가 개봉되었을 당시에는 등급 시스템이 시행되지 않았고, 1930년대부터 시작된 헤이즈 코드가 영화 제작을 규제했다. 당시의 검열은 큐브릭의 연출을 억제했다. 큐브릭은 나중에 "당시 제작 규정과 가톨릭 건전 영화 위원회의 모든 압력 때문에, 나는 험버트와 롤리타의 관계에 대한 에로틱한 측면을 충분히 강조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만약 영화를 다시 만들 수 있다면, 나보코프가 그랬던 것과 같은 비중으로 그들의 관계의 에로틱한 요소를 강조했을 것이다."[12]라고 언급했다. 큐브릭은 험버트가 롤리타의 발가락에 페인트를 칠하는 것과 같은 이중 의미와 시각적 단서를 통해 그들의 관계의 본질을 간접적으로 암시했다. 1972년 ''뉴스위크'' 인터뷰(1968년 말에 등급 시스템이 도입된 후)에서 큐브릭은 "검열 문제가 얼마나 어려울지 미리 알았더라면 아마 이 영화를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23]

영화는 롤리타의 나이에 대해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묘사한다. 큐브릭은 "어떤 사람들은 아홉 살짜리를 상상했지만, 롤리타는 책에서 열두 살 반이었고, 수 라이언은 열세 살이었다."라고 언급했다. 사실, 라이언은 촬영이 시작될 때는 14살이었고, 촬영이 끝났을 때는 15살이었다.[24] ''롤리타''는 편집 없이 통과되었지만, 1962년 개봉 당시 영국 영화 검열 위원회로부터 "X" 등급을 받았으며, 이는 16세 미만은 관람할 수 없다는 의미였다.[25]

4. 2. 각색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직접 각본을 썼지만, 스탠리 큐브릭은 나보코프의 각본 중 일부만을 사용하고 많은 부분을 수정했다.[57] 큐브릭은 영화의 결말을 앞으로 가져오는 등 이야기 순서를 변경했다.[12] 원작은 1940년대를 배경으로 하지만, 영화는 1960년대를 배경으로 한다.[12]

세실 린더, 로이스 맥스웰 등 당시 영국에 거주하던 캐나다 및 미국 배우들이 단역을 맡았다. 영화 제작 자금 대부분이 영국에서 조달되었고, 그곳에서 지출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큐브릭은 영국에서 촬영해야 했다.[12] 또한 큐브릭은 1961년부터 영국에 거주하고 있었고 비행 공포증이 있었다.[13]

영화가 개봉되었을 당시에는 등급 시스템이 시행되지 않았고, 1930년대부터 시작된 헤이즈 코드가 영화 제작을 규제했다. 당시의 검열은 큐브릭의 연출을 억제했다. 큐브릭은 "당시 제작 규정과 가톨릭 건전 영화 위원회의 모든 압력 때문에, 나는 험버트와 롤리타의 관계에 대한 에로틱한 측면을 충분히 강조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2] 1972년 ''뉴스위크'' 인터뷰에서 큐브릭은 "검열 문제가 얼마나 어려울지 미리 알았더라면 아마 이 영화를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23]

영화는 롤리타의 나이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묘사한다. 큐브릭은 "어떤 사람들은 아홉 살짜리를 상상했지만, 롤리타는 책에서 열두 살 반이었고, 수 리언은 열세 살이었다."라고 언급했다. 사실, 리언은 촬영이 시작될 때는 14살이었고, 촬영이 끝났을 때는 15살이었다.[24] ''롤리타''는 편집 없이 통과되었지만, 1962년 개봉 당시 영국 영화 검열 위원회로부터 "X" 등급을 받았으며, 이는 16세 미만은 관람할 수 없다는 의미였다.[25]

각본은 나보코프의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가 제공한 내용 중 영화에 사용된 부분은 거의 없었다. 나보코프는 소설의 성공 이후 할리우드로 이주하여 1960년 3월부터 9월까지 영화 각본을 썼다. 초고는 400페이지가 넘는 매우 긴 분량이었다. 나보코프는 공개적으로는 영화에 대해 정중한 태도를 유지했지만, 1962년 영화를 보기 전에 가진 인터뷰에서, 영화가 "구급차에 가로로 누워 있는 승객이 감지하는 풍경 드라이브의 굴곡"처럼 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4. 3. 캐스팅

제임스 메이슨은 험버트 험버트 역으로 제작진의 첫 번째 선택이었으나, 처음에는 브로드웨이 출연 때문에 거절했다. 그는 딸 포틀랜드를 롤리타 역으로 추천하기도 했다.[14] 큐브릭의 영화 《스파르타쿠스》에 함께 출연했던 로렌스 올리비에에게도 험버트 역이 제안되었지만, 에이전트의 조언으로 거절했다.

큐브릭은 《스파르타쿠스》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한 피터 유스티노프를 고려했으나, 최종적으로 선택하지 않았다. 제작자 해리스는 데이비드 니븐을 제안했고, 니븐은 배역을 수락했지만, 자신의 TV 쇼 《포 스타 플레이하우스》(1952) 후원사들이 반대할 것을 우려하여 물러났다. 노엘 코워드와 렉스 해리슨도 고려되었다.[15] 결국 메이슨이 연극에서 하차하면서 험버트 험버트 역을 맡게 되었다.

클레어 퀼티 역은 원작 소설보다 비중이 확대되었고, 큐브릭은 피터 셀러스가 영화 전체에서 다양한 인물로 변장하도록 했다. 영화 초반에 퀼티는 거만하고 아방가르드한 극작가로 등장하며, 이후 험버트와 롤리타가 머무는 호텔에서 호기심 많은 경찰관으로 변신한다. 다음으로는 롤리타에게 더 많은 자유를 주도록 험버트를 설득하는 비어즐리 고등학교 심리학자 젬프 박사로 등장한다.[16] 롤리타의 연극 무대 뒤에서는 사진작가로, 영화 후반부에는 설문 조사를 하는 익명의 전화 발신자로 나타난다.

롤리타 역에는 질 하워스가 고려되었으나, 오토 프레밍거와의 계약 문제로 무산되었다.[17] 헤일리 밀스에게도 제안이 갔지만, 부모의 반대로 성사되지 않았다.[18] 조이 헤더턴, 산드라 디, 튜즈데이 웰드도 후보에 올랐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처음에는 수 라이언이 롤리타 역에 적합하다고 생각했지만, 수년 후 이상적인 롤리타는 루이 말의 《자지》(1960)에서 자지 역을 맡았던 캐서린 드몽조라고 언급했다. 드몽조는 라이언보다 4살 어렸다.[19]

제임스 해리스(James Harris) 프로듀서는 14세의 수 라이언(Sue Lyon)이 실제 나이보다 성숙해 보여 캐스팅되었다고 설명하며, "우리는 [롤리타]를 성적 대상으로 만들어야 했고 [...] 관객 모두가 왜 모두가 그녀에게 달려들고 싶어 하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야 했다."라고 밝혔다.[20] 그는 또한 2015년 ''필름 코멘트''(Film Comment) 인터뷰에서 "우리는 그녀를 캐스팅할 때 확실한 성적 대상이 되도록 했으며, 변태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은 배제했다."라고 덧붙였다.[21] 해리스는 큐브릭과 함께 캐스팅을 통해 나보코프의 책을 바꿨는데, "우리는 그것이 사랑 이야기로 보이게 하고, 험버트에게 매우 공감하게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22]

4. 4. 검열 문제

영화는 제작 당시 등급 시스템이 시행되기 전이었고, 헤이즈 코드의 제약을 받았다.[12] 큐브릭은 험버트와 롤리타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대신, 이중 의미와 시각적 단서를 통해 암시적으로 표현했다.[12] 예를 들어, 험버트가 롤리타의 발가락에 페인트를 칠하는 장면이 있다. 큐브릭은 나중에 인터뷰에서 검열 때문에 에로틱한 측면을 충분히 강조하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12] 1972년 ''뉴스위크'' 인터뷰에서는 검열 문제를 미리 알았더라면 영화를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고까지 말했다.[23]

영화는 롤리타의 나이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묘사했다. 큐브릭은 롤리타가 책에서는 12살 반이었고, 수 리언은 13살이었다고 언급했지만,[24] 실제로는 촬영 시작 당시 수는 14살이었다.[24] 영화는 개봉 당시 영국에서 "X" 등급(16세 미만 관람 불가)을 받았다.[25]

험버트는 롤리타를 묘사하기 위해 "님펫"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영화에서는 이 용어가 두 번 등장하지만 그 의미는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다.[26]

5. 음악

영화 음악은 넬슨 리들과 밥 해리스가 작곡했으며(메인 테마는 밥 해리스가 단독으로 작곡), 리들의 오케스트라가 연주했다.[30] 험버트가 정원에서 롤리타를 처음 만났을 때 라디오에서 처음 들었던 반복되는 댄스곡은 "롤리타 야 야(Lolita Ya Ya)"라는 제목으로 히트 싱글이 되었으며, 수 라이언이 싱글 버전의 노래를 불렀다.[30] B면에는 해리스와 알 스틸먼이 작사하고 수 라이언이 부른 60년대 스타일의 라이트 록곡 "Turn off the Moon"이 수록되었다. 넬슨 리들 명의로 그의 "Route 66 Theme"(Capitol 4741)의 "B-side" 싱글로 발매된 버전도 있다. "롤리타 야 야"는 이후 다른 밴드들에 의해 녹음되었으며, 더 벤처스에게도 1962년 히트 싱글이 되어 빌보드 핫 100에서 61위를 기록했다.[31] ''빌보드''의 한 평론에서는 "히트 영화 ''롤리타''의 타이틀 곡에 대한 여러 버전이 있었지만, 현재까지 이 곡이 가장 강력하다. 일반적인 벤처스 기타 사운드에 목소리가 깔끔하게 더해졌다."라고 평했다.[32]

6. 평가

롤리타》는 1962년 6월 13일 뉴욕 시에서 초연되었으며, 소아성애 관련 내용으로 인해 매우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33][34] 광고 없이 입소문에만 의존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흥행 성적을 거두었다.

보즐리 크로더는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긍정적인 평가에서 영화가 소설과 "뚜렷하게 다르다"고 언급하면서도, "드문 힘, 혼란스럽지만 종종 감동적인, 특이한 소통을 향한 추진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35]워싱턴 포스트》의 리처드 L. 코는 이 영화를 "기묘하게 훌륭한 영화"라고 칭찬하며, "증오가 아닌, 조롱하는 진실의 어조"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36] 반면, 《버라이어티》는 영화에 대해 "가끔 재미있지만 형태가 없다"고 엇갈린 평가를 내렸으며, "침이 제거된 벌"에 비유하며 코미디나 풍자로서 큰 의미를 만들지 못한다고 평가했다.[41] 《해리슨 리포트》는 영화가 "역겹게 혐오스러운 느낌을 남긴다"고 혹평했다.[42]

시간이 지나면서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재평가를 받았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91%의 신선도 지수와 7.9/10의 평균 평점을 기록했다.[44] 메타크리틱에서는 100점 만점에 79점을 받아 "일반적으로 호의적인 리뷰"를 나타냈다.[45]

영화는 상업적으로도 성공하여 약 200만 달러의 예산으로 제작되어 925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7][8] 초기 상영 동안 북미 지역에서 약 450만 달러의 대여 수익을 올렸다.[49] 이후 VHS, 레이저디스크, DVD 및 블루레이로 재개봉되었다.

데이비드 린치 감독은 《롤리타》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스탠리 큐브릭 영화라고 언급했으며,[46] 소피아 코폴라와 폴 토마스 앤더슨 감독도 《롤리타》를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로 꼽았다.[47][48]

6. 1. 수상 내역

시상식부문후보결과
아카데미상[50]각색상블라디미르 나보코프후보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51]최우수 영국 배우상제임스 메이슨후보
미국 감독 조합상[52]영화 부문 뛰어난 연출 업적스탠리 큐브릭후보
골든 글로브 시상식[53]영화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제임스 메이슨후보
영화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셸리 윈터스후보
영화 부문 남우조연상피터 셀러스후보
영화 부문 감독상스탠리 큐브릭후보
가장 유망한 신인 여배우상수 라이언수상
새턴상최우수 DVD 컬렉션롤리타수상
새턴상최우수 DVD 또는 블루레이 컬렉션롤리타후보
베니스 국제 영화제황금사자상스탠리 큐브릭후보


7. 논란

2020년, 영화 제작 중 제임스 해리스가 당시 14세였던 수전 라이언과 성관계를 가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4] 라이언은 이전에 "《롤리타》는 그 나이의 소녀가 겪어선 안 될 유혹에 나를 노출시켰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54]

8. 다른 각색 작품

1997년, 애드리안 라인 감독은 제레미 아이언스를 험버트 역으로, 멜라니 그리피스를 샬롯 역으로, 도미니크 스웨인을 롤리타 역으로 하는 리메이크 영화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큐브릭의 영화보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원작에 더 충실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에리카 종이 ''뉴욕 옵저버''에 기고하는 등 많은 사람들이 이 점을 지적했지만,[55] 이 영화는 큐브릭의 영화만큼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또한 6200만달러의 제작비로 미국 박스 오피스에서 100만달러를 벌어들이는 등 흥행에 참패하여 처음에는 쇼타임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상영된 후 극장 개봉되었다.

9.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1962년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 《롤리타》는 대한민국에서 개봉되지 못했다. 당시 한국 사회는 성(性)에 대해 매우 보수적이었고, 미성년자와 성인의 관계를 다룬 이 영화는 사회 통념상 용납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1] 수입사 측은 영화의 폭력성, 과도한 노출, 부적절한 관계 묘사 등을 이유로 수입 추천을 보류했다.[1]

1997년 애드리안 라인 감독의 리메이크작 《롤리타》는 제한 상영가 등급으로 대한민국에서 개봉되었다.[1] 이 영화는 큐브릭의 영화보다 원작에 더 충실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개봉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1] 비평가들은 영화의 예술성을 인정하면서도, 미성년자와 성인의 관계를 다룬 내용에 대한 윤리적 문제를 제기했다.[1]

참조

[1] 뉴스 Vladimir Nabokov's Unpublished 'Lolita' Screenplay Notes https://www.vice.com[...] 2023-09-01
[2] 서적 Lolita: A Screenplay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1997-08-26
[3] 웹사이트 SK – Stanley Kubrick Archive https://archives.art[...]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2023-09-01
[4] 웹사이트 DS/UK/384 https://archives.art[...] 2023-09-01
[5] 뉴스 Lolita (1962) https://movies.nytim[...] 2010-10-03
[6] 웹사이트 Lolita (1962) https://www.tcm.com/[...] 2020-11-27
[7] 웹사이트 Lolita https://catalog.afi.[...] 2020-11-27
[8] 웹사이트 Box Office Information for ''Lolita'' http://www.the-numbe[...] 2013-06-13
[9] 웹사이트 Lolita http://www.allmovie.[...]
[10] 서적 Vladimir Nabokov: The American Yea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11] 서적 The Complete Kubrick https://books.google[...] Vrigin Pub 2023-08-03
[12] 문서 An Interview with Stanley Kubrick (1969)
[13] 뉴스 Stanley Kubrick, at a Distance https://www.washingt[...] 1987-06-28
[14] 뉴스 Portland Mason https://www.independ[...] 2015-03-05
[15] 웹사이트 Lolita (1962) https://www.filmsite[...]
[16] 문서 Kubrick in Nabokovland
[17] 서적 Fantasy Femmes of Sixties Cinema: Interviews with 20 Actresses from Biker, Beach, and Elvis Movies McFarland 2001
[18] 간행물 Movie Star Cold Streaks: Hayley Mills https://www.filmink.[...] 2022-03-19
[19] 서적 Vladimir Nabokov: the American year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08-30
[20] 웹사이트 The troubling legacy of the Lolita story, 60 years on https://www.bbc.com/[...] 2024-05-29
[21] 웹사이트 Interview: James B. Harris (Part One) https://www.filmcomm[...] 2024-05-29
[22] 웹사이트 The troubling legacy of the Lolita story, 60 years on https://www.bbc.com/[...] British Broadcasting Corp. 2023-08-03
[23] 웹사이트 'Lolita': Complex, often tricky and 'a hard sell' http://www.cnn.com/S[...] 2015-03-06
[24] 서적 Chasing Lolita: How Popular Culture Corrupted Nabokov's Little Girl All Over Again https://archive.org/[...] Chicago Review Press 2008-08-01
[25] 웹사이트 ''Lolita'' (15) https://www.bbfc.co.[...] British Board of Film Classification 2024-07-27
[26] 문서 Lolita (1962)
[27] 문서 Leonard Maltin's Movie Guide 2013 Edition
[28] 서적 On Kubrick Bloomsbury
[29] 문서 Strong Opinions
[30] 웹사이트 SOUNDTRACKS TO THE FILMS OF STANLEY KUBRICK http://www.endlessgr[...] The Endless Groove 2010-12-07
[31] 웹사이트 Lolita Ya-Ya https://billboard.el[...]
[32] 간행물 Singles Reviews https://books.google[...] 1962-07-14
[33] 간행물 Lolita: The girl who knew too much http://www.navhindti[...] 2016-11-29
[34] 뉴스 Lolita (película de 1997) http://www1.helpes.e[...] 2016-11-29
[35] 간행물 Screen: 'Lolita,' Vladimir Nabokov's Adaptation of His Novel 1962-06-14
[36] 뉴스 'Lolita' Still Is Provocative 1962-06-29
[37] 뉴스 "'Lolita,' Naughty but Nicer, Arrives as Movie" 1962-06-17
[38] 간행물 Lolita 1962-10
[39] 잡지 The Current Cinema 1962-06-23
[40] 간행물 Film Reviews: Lolita 1962-Autumn
[41] 간행물 Lolita 1962-06-13
[42] 간행물 Film Review: Lolita 1962-06-23
[43] 서적 A world on Film Delta Books
[44] 웹사이트 Lolita
[45] 웹사이트 Lolita (1962) Reviews https://www.metacrit[...] 2020-11-28
[46] 웹사이트 David Lynch on Stanley Kubrick https://www.youtube.[...] YouTube 2019-12-28
[47] 웹사이트 Sofia Coppola names her favourite Stanley Kubrick movie https://faroutmagazi[...] 2024-05-25
[48] 웹사이트 Paul Thomas Anderson on his favourite Stanley Kubrick movies https://faroutmagazi[...] 2024-05-25
[49] 뉴스 All-Time Top Grossers 1964-01-08
[50] 웹사이트 The 35th Academy Awards (1963)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1-08-23
[51] 웹사이트 BAFTA Awards: Film in 1963 http://awards.bafta.[...] 2016-09-16
[52] 웹사이트 15th DGA Awards https://www.dga.org/[...] 2021-07-05
[53] 웹사이트 Lolita – Golden Globes https://www.goldengl[...] 2021-07-05
[54] 잡지 The Dark Side of Lolita https://airmail.news[...] 2024-07-07
[55] 웹사이트 Erica Jong Screens Lolita With Adrian Lyne http://www.observer.[...] 2009-05-11
[56] 웹사이트 Lolita (1962) - Box office / business http://www.imdb.com/[...] IMDb 2011-12-21
[57] 문서 영화Lolita 와 미국 http://www10.plala.o[...]
[58] 문서 청소년보호위원회(현 여성가족부) 고시 제1999-105호 (청소년 유해 매체물) http://theme.archive[...] 1999-06-15
[59] 문서 여성가족부 고시 제2015-66호 (청소년 유해 매체물) http://gwanbo.mois.g[...] 2015-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