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방가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방가르드는 프랑스 군사용어에서 유래하여, 20세기 이후 예술 분야에서 기존의 형식과 관습에 도전하는 전위적인 예술 사조를 지칭한다. 19세기에는 급진적인 정치 개혁가들을, 20세기 이후에는 사회의 문화적 가치에 도전하는 지식인 계층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미술, 음악, 연극, 문학,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예술의 경계를 확장해왔다. 한국에서는 1960~70년대에 실험공방, 구체미술협회 등을 중심으로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사회 비판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활동을 통해 민주화 운동과 사회 변혁에 대한 열망을 표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위 예술 - 해프닝
해프닝은 1950년대 후반 뉴욕 예술가들이 시작한 즉흥적이고 참여적인 공연 예술 형식으로, 관객 참여를 통해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 전위 예술 - 낙서
낙서는 그림, 글자, 기호 등을 다양한 표면에 표현하는 행위나 결과물로, 개인 표현, 사회적 메시지 전달, 영역 표시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허가 없는 공공장소 낙서는 반달리즘으로 간주되어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기도 한다. - 문화에 관한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문화에 관한 - 문학
문학은 언어를 통해 심미적 효과를 추구하며 다양한 형식과 사조를 보이고, 저작권 및 감상과 비평을 통해 독자들과 소통하는 예술 분야이다. - 근대 미술 - 구상 미술
구상 미술은 선, 형태, 색 등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형상을 표현하고 현실 세계를 묘사하는 미술 장르로, 고대 그리스 조각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시대적 흐름을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인류의 예술적 표현과 사상의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 근대 미술 - 추상 미술
추상 미술은 20세기 초 사물의 재현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양식이며, 바실리 칸딘스키 등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운동을 거쳐 발전했고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으로 분류된다.
아방가르드 | |
---|---|
지도 | |
개요 | |
정의 | 실험적이거나 혁신적인 작품을 지칭하는 용어 |
어원 | 프랑스어 'avant-garde'에서 유래, '전위', '선봉'을 의미 |
특징 | |
성격 | 기존의 예술적 관습과 전통을 거부 새로운 표현 방식과 아이디어를 탐구 사회적, 정치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 |
역사적 배경 |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유럽에서 발생 산업화, 기술 발전, 정치적 격변 등의 사회적 변화와 관련 |
주요 운동 | 미래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구성주의 표현주의 입체주의 야수파 추상 |
역할 | |
예술 분야 | 미술, 문학, 음악,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영향 형식, 내용, 주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존의 예술적 규범에 도전 |
사회적 영향 | 새로운 사회적, 정치적 이념과 가치를 표현하는 수단 기존의 권위에 대한 비판, 저항의식 표현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동력 |
평가 | 긍정적 평가: 예술 혁신과 사회 변화에 기여 부정적 평가: 난해함, 엘리트주의 비판 |
관련 개념 | |
모더니즘 | 아방가르드와 밀접하게 관련되며, 근대 사회의 새로운 경험을 반영하는 예술 경향 |
포스트모더니즘 | 아방가르드의 급진적 성격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함께 나타난 예술 사조 |
2. 역사
아방가르드는 원래 프랑스 군사용어로서 '전위부대'[39], 즉 '최첨단에 서 있는 사람'을 의미하며, 예술에서는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시도를 가리킨다.[41] 미술, 음악, 영화, 연극, 무용, 문학, 서예, 가드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방가르드'라는 표현이 사용되며, '전위예술', '전위미술', '전위음악', '전위문학' 등의 용어로도 쓰인다.
아방가르드는 '무언가에 대한 공격의 선두에 서다'라는 정치적 의미와 도전적인 자세를 내포한다.[41] 예를 들어, 구세대 예술, 보수적인 권위, 자본주의 체제 등에 대한 도전과 싸움을 포함한다.
'아방가르드'라는 용어가 정치적 의미를 포함하여 처음 사용된 예는 앙리 드 생시몽[40]의 『신기독교』(1825년)로 알려져 있다. 러시아 혁명 전후에는 러시아 아방가르드[41]가 혁명을 상징하는 예술 활동으로 활발하게 움직였다.
일반적으로 아방가르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다다이즘에서 시작되어 입체파, 표현주의, 초현실주의로 이어지는 유럽의 예술 운동을 통칭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실존주의가 이 역할을 이어받았다. 아방가르드의 일반적인 특징은 모호성, 불확실성의 역설, 주체의 붕괴, 비인간화 등이며, 이는 근대 산업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960년대는 아방가르드의 전성기로, 미국에서는 대중문화와 소비주의에 대한 반대[8]가 일어났고, 한국에서도 사회 비판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활동이 활발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전위'는 낡았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재평가되고 부활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41]
'아방가르드'와 유사한 의미로 '실험적인(experimental...)'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컨템포러리~(현대~)'라는 표현도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컨템포러리'는 단순히 '현대'라는 시간적 의미만을 나타내며, 혁신성이 없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아방가르드'와 '컨템포러리'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1960년대에는 '현대~'와 '전위~'가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었지만, 이는 당시가 아방가르드 예술의 전성기였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기존 가치관에 영합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현대~'와 '전위~'가 가리키는 활동 내용이나 예술가 목록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2. 1. 기원과 발전

아방가르드는 프랑스 군사 용어인 "avant-garde"(선봉대)에서 유래되었으며, 군대의 주력 부대 앞에서 지형을 정찰하는 정찰 부대를 지칭했다.[7] 19세기 프랑스 정치에서 "아방가르드"는 프랑스 사회에서 급진적인 정치적 변화를 요구하며 활동하는 좌익 정치 개혁가들을 지칭했다.[7] 19세기 중반, 문화적 용어로서 "아방가르드"는 예술을 정치로서, 사회 변화를 실현하기 위한 미학적 및 정치적 수단으로 옹호하는 예술 장르를 지칭했다.[7]
20세기 이후 예술 용어로서 "아방가르드"는 소설가와 작가, 예술가와 건축가 등을 포함하는 지식인 계층을 지칭하며, 그들의 창작적 관점, 아이디어 및 실험적인 예술 작품은 현대 부르주아 사회의 문화적 가치에 도전한다.[7]
정치적 의미를 포함한 말로서의 최초 사용 예는 앙리 드 생시몽[40]의 『신기독교』(1825년)로 여겨진다. 러시아 혁명 전후에 일어난 러시아 아방가르드[41]는 혁명을 상징하는 예술 활동으로 활발한 활동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생긴 다다이즘에서 시작되어 입체파,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로 이어지면서 유럽에서 일어난 예술운동이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실존주의가 그 역할을 수행했다.
2. 2. 이론적 배경
레나토 포지올리는 1962년 저서 『아방가르드 이론』에서 아방가르드의 역사적, 사회적, 심리적, 철학적 측면을 분석하고,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보헤미안들과 일부 가치와 이상을 공유한다고 보았다.[9][10]피터 뷔르거는 1974년 저서 『아방가르드 이론』에서 사회 비판적 예술 작품을 수용하는 기성 질서를 자본주의적 착취로 보았다. 그는 "제도로서의 예술은 개별 예술 작품의 정치적 내용을 중화시키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11]


발터 벤야민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1939)에서, 테오도르 아도르노와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계몽의 변증법"(1947)에서 대중 문화의 인공성이 예술 작품의 예술적 가치(아우라)를 무효화한다고 주장했다.[15] 문화 산업은 대량 소비를 위한 인공 문화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며,[16] 이는 평범한 품질의 기계적으로 생산된 예술 제품이 질 좋은 솜씨의 예술을 대체함으로써 용이해진다. 따라서 상품으로서의 예술의 수익성이 그 예술적 가치를 결정한다.[16]
기 드보르는 "구경거리 사회"(1967)에서 신자유주의 자본주의가 생산한 상품으로 아방가르드의 재정적, 상업적, 경제적 편입이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문화적 변화와 정치적 진보보다 이윤을 선호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문화적, 지적으로 계속해서 중요성을 유지할지 의문스럽게 만든다고 말했다.
2. 3. 1960년대 이후의 변화
1960년대는 아방가르드의 전성기였다.[41] 미국에서는 대중문화와 소비주의에 대한 반대가 일어났고, 한국에서는 사회 비판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해롤드 로젠버그는 1960년대 중반 이후 아방가르드가 예술적 상업주의와 대중 문화에 대한 적대적 역할을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1980년대에는 '전위'는 낡았다는 풍조가 있었으나,[41] 21세기에 들어와 재평가되어 부활하고 있다.[41]3. 주요 특징 및 유형
아방가르드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다다이즘에서 시작되어 입체파, 표현주의, 초현실주의로 이어지며 유럽에서 일어난 예술 운동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실존주의가 그 역할을 수행했다. 이는 특정 유파나 기존의 관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려는 여러 예술 행위를 통칭한다.
"아방가르드"는 프랑스어로 원래 "전위부대"[39]를 가리키는 말로, 예술에서는 혁신적이거나 실험적인 시도를 의미한다. 미술, 음악, 영화, 연극, 무용,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위"적인 표현이 나타난다.
원래 군사 용어에서 유래한 것처럼, 아방가르드는 "무언가에 대한 공격의 선두에 서다"라는 정치적 의미와 도전적인 자세를 내포한다.[40] 앙리 드 생시몽의 『신기독교』(1825년)에서 정치적 의미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러시아 혁명 전후 러시아 아방가르드[41]는 혁명을 상징하는 예술 활동을 펼쳤다.
1960년대는 아방가르드의 전성기였으며, 1980년대에는 쇠퇴하는 듯했으나 21세기에 들어 재평가받고 있다.
"아방가르드"는 "실험적인" (실험)"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컨템포러리~(현대~)"와 유사하게 사용되기도 하지만, "컨템포러리"는 단순히 "현대"를 의미하며, 기존의 가치관에 얽매이지 않는 혁신성이 없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아방가르드"와는 개념적으로 차이가 있다.
아방가르드라는 용어는 20세기에 일어난 일련의 예술 운동을 가리키기도 한다.
3. 1. 주요 특징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생긴 다다이즘에서 시작되어 입체파,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로 이어지면서 유럽에서 일어난 예술운동이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실존주의가 그 역할을 수행했다. 어떤 유파나 기성의 관련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이룩하려 했던 입체파, 표현주의,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등의 예술 행위를 통틀어서 이르는 말이다. 일반적 특성은 모호성·불확실성의 역설과 주체의 붕괴, 비인간화를 들 수 있다. 이런 특징은 근대 산업화 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사회학적으로, 사회 지식인 계층의 하나로서 아방가르드 예술가, 작가, 건축가 등은 주류 사회의 순응적인 가치관에 지적, 이념적으로 반대하는 인공물(예술 작품, 책, 건물)을 생산한다.[13]
"아방가르드"가 원래 군사 용어를 인용한 것에서도 "무언가에 대한 공격의 선두에 서다"와 같은 정치적 의미, 도전적인 자세를 보여주는 말이다(예를 들어, 구세대에 속하는 예술, 보수적인 권위, 자본주의 체제 등, 다양한 것에 대한 도전하는 자세, 싸움을 걸고자 하는 기개 등을 포함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개념이다).
정치적 의미를 포함한 말로서의 최초 사용 예는 앙리 드 생시몽[40]의 『신기독교』(1825년)로 여겨진다. 러시아 혁명 전후에 일어난 러시아 아방가르드[41]는 혁명을 상징하는 예술 활동으로 활발한 활동을 했다.
1960년대가 아방가르드의 전성기였다. 보수화가 두드러졌던 1980년대에는 "'전위'는 (이제) 낡았다"고 보는 풍조가 보였지만, 21세기에 들어와 재평가되어 부활하고 있다.
3. 2. 유형
분야 | 목록 |
---|---|
미술 | 추상 표현주의, 개념 미술, 구축주의, 입체파, 다다이즘, 데 스틸, 표현주의, 야수파, 플럭서스, 미래파, 해프닝, 이미지즘, 미니멀리즘, 팝 아트, 초현실주의 |
음악 | 아방가르드 음악, 실험음악, 프리 재즈, 현대음악 (아놀드 쇤베르크,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존 케이지, 칼하인츠 슈톡하우젠, 오넷 콜먼 등) |
연극 | 실험극장, 부조리극, 오프 브로드웨이, 앙그라 연극 (테라야마 슈지 등) |
문학 | 전위문학 (하니야 유타카의 『사령』 등), 실험문학 |
영화 | 실험영화, 전위영화 (가스파르 노에, 케네스 앵거, 스탠 브래키지, 알레한드로 조도로프스키 등) |
무용 | 전위무용, 암흑무용 (오노 가즈오, 도카타 준, 이토 미카 등) |
서예 | 전위서도 |
생화 | 나카가와 유키오의 전위적인 생화 |
4. 한국의 아방가르드
전위서도를 참고하십시오.
4. 1. 개요
전위서도를 참고하십시오.4. 2. 주요 사례
전위서도를 참조하십시오.4. 3. 비판 및 반동
- 실험공방
- 구체미술협회
- 마보
- 네오 다다이즘 오르가나이저스
- 아트의 산도
- ATG
- 하이레드 센터
- 규슈파
- 토마손
- 제로 차원
- 악스
- 월간 만화 가로 (가로계 작가 등)
5. 용어
아방가르드는 프랑스어로 원래 "전위부대"[39]를 가리키는 말이다. "최첨단에 서 있는 사람"을 의미하며, 예술에서는 《혁신적인 시도》나 《실험적인 시도》를 뜻한다. 미술, 음악, 영화, 연극, 무용, 문학, 서예, 생화 등 각 분야에서 "아방가르드"라고 불리는 표현이 존재한다. 한자로는 "전위"라고 하며, "전위예술", "전위미술", "전위음악", "전위문학" 등의 용어가 있다.
"아방가르드"는 군사 용어를 인용한 것으로, "무언가에 대한 공격의 선두에 서다"와 같은 정치적 의미, 즉 도전적인 자세를 보여주는 말이다. 예를 들어 구세대 예술, 보수적인 권위, 자본주의 체제 등 다양한 것에 도전하고, 싸움을 걸고자 하는 기개를 포함한다.
앙리 드 생시몽[40]의 『신기독교』(1825년)에서 정치적 의미를 포함한 말로 처음 사용되었다. 러시아 혁명 전후 러시아 아방가르드[41]는 혁명을 상징하는 예술 활동으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1960년대가 아방가르드의 전성기였다. 1980년대에는 보수화 경향으로 "'전위'는 낡았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21세기에 들어와 재평가되고 있다.
5. 1. 유의어
"아방가르드"의 유의어로 "experimental...(실험...)"이 있다."contemporary~ 컨템포러리~(현대~)"가 유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contemporary"는 단순히 "현대(동시대)"일 뿐이며, 기본적으로 "시간"이나 "시대"로 구분하는 것에 불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가치관이나 시스템에 완전히 굴복해버린, 어떠한 혁신성도 없는 것까지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avant-garde"(기존의 것에 도전하는 자세를 가리키는 개념)와 "contemporary"는 근본적인 개념이 다르다.
예를 들어 어느 시대의 영화 현장 전체가 "전위" 기질로 가득 차 있다면, 그 시대의 "현대 영화"는 "전위 미술"일 수 있지만, 그 시대의 영화 현장이 반골 정신을 잃었다면 (예를 들어, 그 시대의 영화가 기존의 권익에 영합하여, 영리주의로 가득 차 있다면) 그 시대의 "현대 영화"는 "전위 영화"와 다르다. 1960년대는 "현대~"라는 표현을 "전위~"와 동의어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그것은 1960년대가 "마침" 전위 예술의 전성기였기 때문이다. 유의어로 볼 수 있었던 것은 과거의 이야기이다. 그 후, 세상의 풍조가 기존의 가치관에 영합적으로 되어 버린 최근에는 "현대~"와 "전위~"는 종종 가리키는 활동 내용이나, 가리키는 예술가의 목록이 다르다.
5. 2. 관련 용어
- 전위 예술
- 전위 미술
- 전위 음악
- 전위 문학
- 모던 아트
- 현대 아트
- 키치
- 패러디·몽타주 사진 사건
- 퇴폐미술
- 지다노프 비판
- 네오레알리즘
- 악서추방운동
참조
[1]
Youtube
The Love of Zero
https://www.youtube.[...]
[2]
서적
Penguin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and Literary Theory
Penguin
1991
[3]
서적
A Handbook to Literature
1980
[4]
서적
The Five Faces of Modernity: Modernism, Avant-Garde, Decadence, Kitsch, Postmodernism
https://www.dukeupre[...]
Duke University Press
1987
[5]
서적
Penguin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and Literary Theory
Penguin
1991
[6]
서적
The Politics of Modernism
Verso
1989
[7]
서적
Archispeak: An Illustrated Guide to Architectural Terms
Taylor & Francis
2004
[8]
서적
Greenwich Village 1963: Avant-Garde Performance and the Effervescent Body
https://www.jstor.or[...]
Duke University Press
2022-10-11
[9]
서적
The Invention of Politics in the European Avant-Garde (1906-1940)
https://books.google[...]
Brill
2016
[10]
서적
The Theory of the Avant-Garde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11]
서적
Theorie der Avantgarde
Suhrkamp Verlag
1974
[12]
서적
Neo-avantgarde and Culture Industry: Essays on European and American Art from 1955 to 1975
MIT Press
2001
[13]
서적
Penguin Dictionary of Literary Terms and Literary Theory
Penguin
1991
[14]
잡지
Avant-Garde and Kitsch
http://hgar-srv3.bu.[...]
1939-09-01
[15]
웹사이트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http://bid.berkeley.[...]
[16]
서적
The Culture Industry: Selected Essays on Mass Culture
Routledge
1991
[17]
논문
The Conservative Avant-Garde
2010-09-01
[18]
서적
Five Faces of Modernity: Modernism Avant-Garde Decadence Kitsch
https://www.academia[...]
Duke University Press
1987-12-25
[19]
웹사이트
The Idea of the Postmodern: A History
https://www.routledg[...]
[20]
문서
Calinescu 1987; Bertens 1995
[21]
서적
The De-Definition of Art: Action Art to Pop to Earthwork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22]
논문
Symposium on Marxist Aesthetic Thought: Commentary on the Papers by Rudich, San Juan, and Morawski
http://digicoll.libr[...]
1975-06-01
[23]
서적
Academics, Pompiers, Official Artists and the Arrière-Garde: Defining Modern and Transitional in Franc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09
[24]
잡지
Avant-Garde or Arrière-Garde in Recent American Poetry
1999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merican Mus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26]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Publishers
2001
[27]
서적
Music of the Twentieth-Century Avant-Garde: A Bio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2002
[28]
서적
Music of the Twentieth-Century Avant-Garde: A Bio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2002
[29]
서적
Music of the Twentieth-Century Avant-Garde: A Bio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2002
[30]
서적
Music of the Twentieth-Century Avant-Garde: A Bio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2002
[31]
서적
Contemporary Composers on Contemporary Music
Da Capo Press
1998
[32]
서적
Music of the Twentieth-Century Avant-Garde: A Bio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2002
[33]
서적
Music of the Twentieth-Century Avant-Garde: A Bio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2002
[34]
웹사이트
Avant-Garde Jazz Music Genre Overview
https://www.allmusic[...]
[35]
뉴스
In the year jazz went avant-garde, Ramsey Lewis went pop with a bang
https://www.washingt[...]
2015-04-02
[36]
웹사이트
60 minutes of music that sum up art-punk pioneers Wire
http://www.avclub.co[...]
2015-05-28
[37]
학술지
The Impact of Avant-Garde Art on Brutalist Architecture
2021-07
[38]
웹사이트
Avant-garde | Definition of Avant-garde at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
[39]
문서
[[英語]]의 ''vanguard'' 또는 ''advance guard'' にあたる。
[40]
웹사이트
Henri de Saint-Simon | French social reforme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41]
웹사이트
A Revolutionary Impulse: The Rise of the Russian Avant-Garde | MoMA
https://www.mom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