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갈안네문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갈안네문두는 수메르 왕 목록에 언급된 인물로, 아다브의 왕이었으며 마리에게 정복당했다. 루갈안네문두 비문은 그가 "사방의 왕"으로 엘람, 마르하시, 구티움 등을 정복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 비문을 구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문학적 허구로 간주하며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5세기 통치자 - 전욱
전욱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오제 중 한 명으로, 황제의 손자이자 창의의 아들이며, 여러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고, 역법, 점성술, 종교 개혁을 통해 무속 신앙을 억제하고 가부장제를 지지했으며, 하늘과 인간의 소통을 막아 신과 인간을 구별했다는 신화와 관련이 있다. - 기원전 25세기 통치자 - 에안나툼
에안나툼은 기원전 25세기경 라가시를 통치하며 수메르 지역을 정복하고 키시 왕 칭호를 사용한 강력한 왕으로, 움마와의 분쟁, 건축물 건설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엘람 - 후제스탄주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지만,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겪었다. - 엘람 - 일람주
일람주는 이란 서남부에 위치하며 기원전 5000년경부터 인간이 거주했고 엘람 문명의 발상지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카자르 왕조 시대에 로레스탄에서 분리된 후 1929년 일람으로 개명되었고, 자그로스 산맥의 서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다양한 기후와 지형적 특징을 가지며, 쿠르드족과 루르족이 주로 거주하며 독특한 수공예품과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고,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며 관광 산업 개발을 추진하는 주이다.
루갈안네문두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루갈안네문두 |
로마자 표기 | Lugal-annemundu |
쐐기 문자 음역 | lugal-an-ne₂-mu-un-du₃ |
통치 시기 | 기원전 24세기 경 |
통치 | |
칭호 | 아다브의 왕 세계 사방의 왕 |
종교 | 수메르 종교 |
왕조 | |
왕조 | 아다브 왕조 |
2. 수메르 왕 목록
수메르 왕 목록에는 루갈안네문두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17세기 아비에슈와 암미사두카 통치 시대의 사본에 따르면, 그는 "사방의 왕"(세계의 네 구역, 즉 지중해에서 자그로스 산맥까지 비옥한 초승달 지대 전체)을 정복했다고 한다.[5][6]
> "나라의 어머니, 신전의 여왕, 엔릴의 사랑받는 아내인 닌투를 위해—나는 강력한 자 루갈아나문두, 니푸르를 책임지는 자, 아다브의 왕이자 세계 사방의 왕으로서 (...) 모든 땅의 백성에게 조공을 받아내고, 모든 땅의 백성을 강가의 초원에 (만족스럽게) 누이게 하고 (...) 온 세상을 다스리는 왕권을 행사하였다 (...) 에블라의 향나무 산, 엘람, 마르하시, 구티움, ..., 수바르투, 아무르(Amorites, Amurru), 수티움, 그리고 에안나의 산(?)에서 그들의 ... 그들은 황금 왕좌에 앉았다. 황금 ...을 그들의 손에 놓았고, 황금 ...을 그들의 무릎에 놓았다. 그들의 ...을 아다브에서 나의 ...로 가져오게 하고, ...을 나의 앞으로 가져오게 하였다..."[7][8][9]
그의 제국은 엘람, 마르하시, 구티움, 수바르투, "향나무 산의 땅"(레바논), 아무르 또는 마르투, "수티움"(?),[10] 그리고 "에안나의 산"(우르크와 그 지구라트?)을 포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문에 따르면 그는 "모든 땅의 백성을 초원처럼 평화롭게 살게 했다"고 한다.
그는 또한 마르하시의 미기르-엔릴이 이끄는 13명의 반란군 수장들의 연합에 맞섰다고 언급하는데, 그들의 이름은 모두 셈족으로 여겨진다.[11]
아르노 포벨은 1909년에 파편 중 하나의 번역을 발표했지만, 왕의 이름을 "루갈[.....]니-뭉긴"으로 표기했을 뿐 이름을 제대로 알아내지 못했다.[12] 한스 구스타프 귀터보크는 1934년에 더 완전한 번역을 발표했지만, 이 기록을 곧 위작이자 허구적인 것으로 일축했다. 현대 학자들은 이 텍스트를 구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문학적 허구로 간주하며, 초기 왕조 시대 비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13]
2. 1. 왕 목록에서의 위치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우르가 마리에게 패배한 후 아다브가 왕권을 얻었다고 한다.[3]왕 목록에는 Lugal-Anne-Mundu|루갈안네문두sux에 대한 내용이 부분적으로나마 자세히 나와있다. 왕 목록에서는 그의 통치가 우르 통치 이후라고 전해지며, 결국 마리에 의해 정복당했다고 한다.[3]
"우르에서 난니(Nanni)가 왕이었고, n년 동안 통치했으며; 난니의 아들 메스키아그난나(Mes-kiag-Nanna)가 n년 동안 통치했으며; (...) 우르는 무기로 공격받아 함락되었고; 왕권은 아다브로 옮겨졌다. 아다브(Adab)에서 Lugal-ane-mundu|루갈안네문두sux가 왕이었고, n년 동안 통치했으며; 한 왕이, 년수: 90(?)년 동안 통치했으며; 아다브는 무기로 공격받아 함락되었고; 왕권은 마리로 옮겨졌다."
수메르 왕 목록, 193-210.[4]
2. 2. 통치 기간
수메르 왕 목록에는 루갈안네문두의 통치가 우르의 통치 이후였다고 나와있지만, 결국 마리 도시 국가에 의해 정복당했다고 전해진다.[3]Lugal-Anne-Mundu|루갈안네문두sux에 대한 설명은 부분적이지만 왕 목록에 자세히 나와 있다.
"우르에서 난니(Nanni)가 왕이었고, n년 동안 통치했으며; 난니의 아들 메스키아그난나(Mes-kiag-Nanna)가 n년 동안 통치했으며; (...) 우르는 무기로 공격받아 함락되었고; 왕권은 아다브로 옮겨졌다. 아다브(Adab)에서 Lugal-ane-mundu|루갈안네문두sux가 왕이었고, n년 동안 통치했으며; 한 왕이, 년수: 90(?)년 동안 통치했으며; 아다브는 무기로 공격받아 함락되었고; 왕권은 마리로 옮겨졌다."[4]
3. 루갈안네문두 비문
기원전 17세기 아비에슈와 암미사두카 통치 시대의 두 개의 사본만이 알려져 있는 루갈안네문두의 파편적인 비문이 발견되었다.[5][6] 비문에 따르면, 그는 "사방의 왕"(세계의 네 구역, 즉 지중해에서 자그로스 산맥까지 비옥한 초승달 지대 전체)을 정복했다고 한다.[5][6]
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 비문의 내용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본다. 이 비문은 구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문학적 허구로 여겨지며, 초기 왕조 시대 비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비문에 나오는 사건들은 역사적 진실을 담고 있을 가능성이 적다.[13]
3. 1. 비문의 내용
루갈안네문두 비문은 "나라의 어머니, 신전의 여왕, 엔릴의 사랑받는 아내인 닌투"에게 바쳐진 것으로, 루갈안네문두는 자신을 "강력한 자", "니푸르를 책임지는 자", "아다브의 왕"이자 "세계 사방의 왕"으로 칭하며, "모든 땅의 백성에게 조공을 받아내고", "온 세상을 다스리는 왕권"을 행사했다고 주장한다.[7][8][9]
비문에는 에블라의 향나무 산, 엘람, 마르하시, 구티움, 수바르투, 아무르(Amorites, Amurru), 수티움, 에안나의 산(?) 등에서 온 사람들이 루갈안네문두에게 복종했다는 내용이 있다.
1909년 아르노 포벨(Arno Poebel)이 비문 파편 중 하나를 처음 번역했지만, 왕의 이름을 "루갈[.....]니-뭉긴"(Lugal[.....]ni-mungin)으로 불완전하게 표기했다.[12] 1934년 한스 구스타프 귀터보크(Hans Gustav Güterbock)가 더 완전한 번역을 발표했으나, 이 기록을 위작으로 보았다. 현대 학자들은 이 텍스트를 구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문학적 허구로 여기며, 초기 왕조 시대 비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13]
3. 1. 1. 정복 지역
루갈안네문두의 비문에 따르면, 그의 제국은 엘람, 마르하시, 구티움, 수바르투, "향나무 산의 땅"(레바논) , 아무르 또는 마르투, "수티움",[10] 그리고 "에안나의 산" (우르크와 그 지구라트?)을 포함했다.[7][8][9] 비문에는 그가 "모든 땅의 백성을 초원처럼 평화롭게 살게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3. 1. 2. 반란 진압
루갈안네문두는 마르하시(Marhashi)의 미기르-엔릴(Migir-Enlil)이 이끄는 13명의 반란군 총독이나 수장들의 연합에 맞섰다고 언급된다. 이들의 이름은 모두 셈족으로 여겨진다.[11]3. 2. 역사성에 대한 논쟁
현대 학자들은 루갈안네문두 비문의 내용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본다. 이 비문은 기원전 17세기 아비에슈와 암미사두카 통치 시대의 두 개의 사본만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5][6]비문에 따르면 루갈안네문두는 "사방의 왕"으로서 지중해에서 자그로스 산맥에 이르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전체를 정복했다고 한다.[5][6] 그의 제국은 엘람, 마르하시, 구티움, 수바르투, 레바논(향나무 산), 아무르, 수티움(?), 우르크(에안나의 산) 등을 포함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그는 "모든 땅의 백성을 초원처럼 평화롭게 살게 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마르하시의 미기르-엔릴이 이끄는 13명의 반란군 수장 연합에 맞섰다고 언급되는데, 이들의 이름은 모두 셈족 계통으로 여겨진다.[11]
3. 2. 1. 초기 연구
아르노 포벨은 1909년에 비문 파편에 대한 예비 번역을 발표했지만, 왕의 이름을 "루갈[.....]니-뭉긴"으로 표기하여 정확히 밝히지 못했다.[12]3. 2. 2. 후기 연구
아르노 포벨은 1909년에 파편 중 하나에 대한 예비 번역을 발표했지만, 왕의 이름을 "루갈[.....]니-뭉긴"(Lugal[.....]ni-mungin)으로 표기했을 뿐 이름을 제대로 알아내지 못했다.[12] 한스 구스타프 귀터보크는 1934년에 보다 완전한 번역을 발표했지만, 이 기록을 위작이자 허구적인 것으로 일축했다. 현대 학자들은 이 텍스트를 구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문학적 허구로 간주하며, 초기 왕조 시대 비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 주장되는 사건들은 역사적 진실의 핵심 이상을 담고 있을 가능성이 적다.[13]3. 2. 3. 현대 학계의 입장
현대 학자들은 이 비문을 구바빌로니아 시대에 만들어진 문학적 허구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 비문이 초기 왕조 시대 비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은 낮으며, 비문에 나오는 사건들은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을 가능성이 적다고 여겨진다.[13]참조
[1]
서적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2]
웹사이트
Kingdoms of Mesopotamia: Mari
http://www.historyfi[...]
[3]
서적
Who Were the Amorites?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971
[4]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5]
웹사이트
Lugal-Anne-Mundu inscription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6]
학술지
The Names of the Leaders and Diplomats of Marḫaši and Related Men in the Ur III Dynasty
https://cdli.ucla.ed[...]
2017-09-25
[7]
웹사이트
Lugal-Anne-Mundu inscription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8]
학술지
The Names of the Leaders and Diplomats of Marḫaši and Related Men in the Ur III Dynasty
https://cdli.ucla.ed[...]
2017-09-25
[9]
서적
Babylonian legal and business documents: from the time of the first dynasty of Babylon, chiefly from Nippur
http://www.etana.org[...]
1909
[10]
서적
Buried Empires
1939
[11]
문서
The names of the 13 rebel chiefs in the inscription
[12]
서적
Babylonian legal and business documents: from the time of the first dynasty of Babylon, chiefly from Nippur
http://www.etana.org[...]
1909
[13]
문서
Presargonic Perio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