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셈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셈족은 성경에 등장하는 노아의 아들 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용어로, 1781년 아우구스트 루트비히 폰 슐뢰처에 의해 히브리어 관련 어군을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되었다. 셈어 사용 집단뿐 아니라 셈족 기원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민족, 역사 속에서 셈화된 민족 집단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언어학에서는 셈어를 어족명으로 하여 셈어족이 생겨났으며, 셈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하위 그룹으로 여겨진다. 셈족에는 아카드인, 아람인, 히브리인, 아랍인 등 고대 및 현대의 다양한 민족이 포함된다. 18세기 말에는 인종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반유대주의와 관련된 용어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셈 (성경 인물) - 멜기세덱
    멜기세덱은 창세기에 아브라함을 축복하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으로, 시편에 영원한 제사장으로 등장하며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서 다양한 해석을 지니고, 특히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제사장직과 연결되는 인물이다.
  • 셈 (성경 인물) - 엘람 (성경 인물)
    엘람은 아브라함 시대의 인물로, 그돌라오멜의 사해 도성 침공 사건에 연루되어 아브라함과 대립하는 인물이다.
  • 유대교와 이슬람교 - 쉴레이만 1세
    쉴레이만 1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대 술탄으로, 활발한 군사 활동과 법률 개혁을 통해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행정 체계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예술의 황금기를 열었다.
  • 유대교와 이슬람교 - 이븐 캄무나
    이븐 캄무나는 13세기 바그다드에서 활동하며 이슬람 철학 비판,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해석, 세 종교 비교 연구 등 다양한 지적 활동을 펼친 유대인 철학자, 의사, 신비주의자이다.
  • 셈족 - 범이슬람주의
    범이슬람주의는 인종과 민족을 넘어 전 세계 무슬림의 단결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이슬람의 가르침과 초기 칼리파 시대를 이상으로 삼으며, 역사적으로는 18세기부터 이슬람 부흥 운동의 일환으로 나타나 근대적 형태로 발전했다.
  • 셈족 - 시온주의
    시온주의는 예루살렘의 시온산을 의미하며, 19세기 후반 동유럽 유대인들의 국가 재건 운동을 가리키며,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을 지지하는 운동이다.
셈족
어원 및 정의
어원 ()
정의19세기에 만들어진 인종 및 종교 개념으로, 유대인아랍인을 묶는 용어. 현대에는 언어학적 분류로 사용됨.
역사적 맥락
기원성경 창세기 9장 25-27절에서 노아의 아들 셈의 후손으로 묘사됨.
19세기"셈족"이라는 용어는 에르네스트 르낭에 의해 언어학적 분류로 처음 사용됨.
이후 인종적, 문화적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됨.
아리아인과의 대립 구도를 형성하며 인종주의적 담론에 활용됨.
현대"셈족"이라는 용어는 주로 언어학적 의미로 사용됨.
문화적, 인종적 의미로의 사용은 학계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됨.
언어
셈어족아랍어
히브리어
아람어
페니키아어
아카드어
암하라어
몰타어
종교
셈족 기원 종교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만다야교
드루즈교
바하이교
논쟁 및 비판
인종적 분류의 문제점"셈족"은 언어적 분류이며, 인종적 동일성을 나타내지 않음.
문화적 분류의 문제점"셈족 문화"라는 개념은 문화적 다양성을 간과하고, 단순화된 일반화의 위험이 있음.
반유대주의와의 연관성"반셈족주의"(Antisemitism)는 "셈족"이라는 용어가 유대인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 역사적 맥락을 보여줌.
같이 보기
관련 항목반유대주의
셈어족
아랍인
유대인
에르네스트 르낭
케다르인

2. 명칭

'셈족'이라는 명칭은 성경에 등장하는 노아의 아들 에서 유래되었다.[19][20] 18세기 말, 아우구스트 루트비히 폰 슐뢰처는 Johann Gottfried Eichhorn|요한 고트프리트 아이히호른영어의 "Repertorium"(1781년)에서 히브리어와 관련된 어군을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제시하였다.[17] 이후 이 명칭은 셈어를 사용하는 집단뿐만 아니라, 셈족의 기원을 가진 것으로 여겨지는 민족 집단, 더 나아가 역사적으로 셈화된 것으로 간주되는 민족 집단까지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18]

3. 셈어와 셈어파

비교언어학에서 '셈'이라는 명칭은 어족명으로 사용되어 '셈어족'(Semitic Language Family) 또는 '셈어파'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셈어파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하위 그룹으로 여겨진다.[21] 오늘날에는 Semitic을 셈어파로 번역하기도 하지만, 셈어족이라는 호칭도 사용된다.[22][23]

언어학민족학에서 '셈'어('명'으로 번역되는 성경의 '셈'(שם|셈he, 아랍어에서는 ساميّar)에서 유래)라는 단어는 주로 중동에 기원을 둔 언어 그룹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이 어군에는 아카드어(아시리아어와 바빌로니아어), 암하라어, 아랍어, 아람어/시리아어, 가나안어군/페니키아어, 칼데아 현대 아람어, 에블라어, 게에즈어, 히브리어, 말타어, 만다어, 모압어, 티그레어티그리냐어, 우가리트어 등이 있다.

4. 셈족 목록

기원후 1세기 경의 셈어의 대략적인 분포


셈어의 대략적인 역사적 분포: 녹색은 동셈어군, 빨강은 중부셈어, 파랑은 남부셈어


셈족에 속하는 고대 및 현대 민족은 다음과 같다.[25][26][27][28]

고대 민족현대 민족


4. 1. 고대 민족



셈족에 속한 고대 민족들은 다음과 같다.

지역민족
메소포타미아아카드인 — 기원전 4천년경에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하여 셈족이 아닌 수메르인과 섞였으며, 기원전 22세기에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으로 분리되면서 소멸됨.[25][26], 에블라인 (기원전 23세기), 칼데아인 (기원전 1000년경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출현), 수투인 (기원전 14세기)
시리아-팔레스타인 지역아람인 (기원전 18~16세기)[27] / 기원전 14세기의 아크라메인 또는 아라무인,[28] 우가리트인 (기원전 14~12세기), 가나안어를 말한 청동기 시대 초기의 민족들 (아모리인(기원전 20세기), 암몬인, 에돔인, 아말렉인, 히브리인/이스라엘인(연합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으며, 후에 이스라엘 왕국유다 왕국으로 분리, 이들의 후예가 유대인사마리아인), 모압인, 페니키아인(지중해 연안에 카르타고를 비롯한 식민지 건설))
아라비아 반도 지역고대 남아라비아어를 말한 민족 (예멘의 사바인(기원전 9세기~기원전 1세기), 셰바인, 우바르인, 마간인), 고대북아라비아어를 말한 베두인족 (긴디부의 아랍인 (기원전 9세기), 카다르인 (기원전 7세기), 리히안인 (기원전 6세기~기원전 1세기), 타무드인 (기원후 2~5세기), 가산인 (기원후 3~7세기)), 나바테아인 (아람어아랍어를 말한 사람들이 섞여 형성)


4. 2. 현대 민족

현대 셈족에 속하는 민족은 다음과 같다.

5. 민족성과 인종

18세기 말, 괴팅겐 역사학파는 '셈족'이라는 용어를 인종적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셈족을 코카서스 인종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기도 했다.[7] 19세기 인류학자들은 언어 집단을 민족과 문화에 연결시켜 셈족의 인종적 특성을 정의하려 했다. 모리츠 슈타인슈나이더는 헤이만 슈타인탈[10]에르네스트 르낭의 셈족에 대한 주장을 "반유대주의 편견"이라고 비판한 것을 언급했다.[12]

1879년, 독일 언론인 빌헬름 마르는 유대인과 독일인 사이의 투쟁을 언급하며 이 용어를 정치화했다. 그는 유대인을 자유주의자이며 독일인을 유대화시킨 뿌리 없는 사람들이라고 비난했다. 그의 추종자들은 "반유대주의 리그"[13]를 설립하여 유대인에 대한 정치적 행동을 주도했다.

하지만, 적어도 1930년대부터 "셈족"이라는 용어가 인종적 용어로서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4][15]

6. 반유대주의 (Antisemitism)

"반유대주의" 또는 "반셈족주의"(Antisemitism)라는 용어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와 달리, 유대인에 대해 적대적이거나 차별적인 사람을 지칭하는 더 좁은 의미로 사용된다.[9]

19세기 인류학자에르네스트 르낭과 같은 사람들은 언어 집단을 민족과 문화에 쉽게 연관시켰으며, 인종적 특성을 정의하기 위해 일화, 과학 및 민속학에 호소했다. 모리츠 슈타인슈나이더는 유대교 서한의 정기 간행물인 ''하마스키르''(Hamaskir)에서 헤이만 슈타인탈[10]이 르낭의 논문 "셈족의 일반적인 특성, 특히 유일신 숭배 경향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비판한 기사를 논한다.[11] 르낭은 메소포타미아, 이스라엘 등의 고대 문명의 중요성을 인정했지만, 그들의 유일신교가 그들의 쾌락적이고 폭력적이며 부도덕하고 이기적인 인종적 본능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며 셈족을 아리아인보다 열등하다고 불렀다. 슈타인탈은 이러한 성향을 "셈족주의"로 요약했으며, 슈타인슈나이더는 르낭의 생각을 "반유대주의 편견"으로 특징지었다.[12]

1879년, 독일 언론인 빌헬름 마르는 "Der Weg zum Siege des Germanenthums über das Judenthum"(게르만주의가 유대주의를 정복하는 길)이라는 팸플릿에서 유대인과 독일인 사이의 투쟁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 용어를 정치화하기 시작했다. 그는 유대인들이 자유주의자이며, 구원할 수 없을 정도로 독일인을 유대화시킨 뿌리 없는 사람들이라고 비난했다. 1879년, 마르의 추종자들은 "반유대주의 리그"[13]를 설립했는데, 이 단체는 유대인에 대한 정치적 행동에 전적으로 관여했다.

1879년 반유대주의 리그의 법령, 이 용어를 처음 대중화한 조직


적어도 1930년대부터 "셈족"이라는 용어가 인종적 용어로서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점과 같은 용어 사용에 대한 반대가 제기되었다.[14][15]

반셈족주의(anti-Semitism, antisemitism)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의 의미가 아니라 반유대주의에 한정해서 사용된다.[24] 예를 들어, Anti-Arabism|반아랍주의영어가 그렇게 불리는 일은 없을 뿐만 아니라, "아랍인의 반셈족주의"처럼 셈족끼리의 관계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조차 있다.

19세기에는 에르네스트 르낭이나 빌헬름 마르 등에 의해 셈족과 아리아인이 대비되었고, 반유대주의를 "반셈족주의"로 하는 용어도 정착되었다.

참조

[1] 서적 Einleitung in die synchronistische universalhistorie https://books.google[...] 1771
[2] 간행물 On the use of the terms “(anti-)Semitic” and “(anti-) Zionist” in modern Middle Eastern discourse, Orientalia Suecana LXI Suppl. (2012) http://www.diva-port[...]
[3] 논문 Review of "The Canaanites" (1964) http://onlinelibrary[...]
[4] 서적 Being Jewish in 21st-Century Germany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15-09-25
[5] 서적 Semites and Anti-Semites: An Inquiry into Conflict and Prejudice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 Inc 1987
[6] 서적 Hamlet on a Hill: Semitic and Greek Studies Presented to Professor T. Muraoka on the Occasion of His Sixty-fifth Birthday Peeters Publishers
[7] 문서 The Races of Europe
[8] 문서 Semite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Eleventh Edition
[9] 웹사이트 Anti-Semitism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Eleventh Edition
[10] 문서 Ueber Juden und Judentum
[11] 간행물 Journal Asiatique 1859
[12] 서적 The Jewish Question: Biography of a World Problem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990
[13] 서적 Wilhelm Marr: The Patriarch of Anti-Semitism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87
[14] 서적 The Roots of Pagan Anti-Semitism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5] 서적 Wilhelm Marr: The Patriarch of Anti-Semit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1987-03-05
[16] 웹사이트 セム族 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7] 서적 Repertorium ライプツィヒ 1781
[18] 웹사이트 Semites CathEncy
[19] 문서 Semitic は名詞として使用される場合は「セム語」の意味になる。
[20] 문서 創世記
[21] 웹사이트 A Description of the Afro-Asiatic (Hamito-Semitic) Language Family http://linguistics.b[...] 2013-06-04
[22] 문서 三省堂『言語学大辞典』第2巻は「セム語族」と記し、『オックスフォード言語学辞典』の日本語版(2009年)は Semitic を「セム語族」と翻訳している。一方、デイヴィッド・クリスタル『言語学百科事典』の日本語版(1992年)は「セム語派」と翻訳している。
[23] 웹사이트 セム語族 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4] 웹사이트 anti-Semitism | 뜻, Cambridge 사전 https://dictionary.c[...]
[25] 웹사이트 Mesopotamian religion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6] 웹사이트 Akkadian language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7] 웹사이트 Aramaean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28] 웹사이트 Akhlame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