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푸르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로, 정치적 지위보다는 엔릴 신의 성소로서 종교적 중요성을 가졌으며, 왕권을 부여하는 도시로 여겨졌다. 기원전 6천 년경부터 우바이드 문화,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를 거쳐 아카드 제국, 우르 제3왕조 시대를 거치며, 특히 우르 제3왕조 시대에는 수도 우르, 우루크와 함께 중요한 도시로 인식되었다. 이후 카시트 왕조, 아시리아,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를 거쳐 이슬람 시대까지 거주했으며, 19세기부터는 고고학적 발굴이 진행되어 다양한 유물과 건축물들이 발견되었다. 니푸르 주변에는 드레헴, 텔 들레힘, 텔 와레쉬 2와 같은 유적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디시야주 - 슈루팍
슈루팍은 이라크 카디시야 주에 위치한 고대 수메르 도시로, 수메르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 곡물 저장과 분배의 중심지였고, 여러 차례 발굴 조사를 통해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 카디시야주 - 딜바트
기원전 3천 년대 중반에 세워진 고대 도시 딜바트는 여러 제국과 시대에 걸쳐 점령되고 투쟁에 연루되었으며, 밀 재배와 갈대 생산의 중심지였고, 현재 텔 알-데일람 유적에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고 있으며, 수호신은 남신 우라쉬였다. - 수메르의 도시 - 칼데아
칼데아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남동부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서부 셈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이주해와 아카드 문화에 동화되었으며, 천문학과 점성술을 발전시킨 바빌로니아의 지배 계급이자 지식 계층이었다. - 수메르의 도시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 이라크의 유적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 이라크의 유적 - 키시
키시는 기원전 6천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수메르 문명의 중심지이자 메소포타미아 북부 지배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도시이며, 여러 왕조를 거쳐 번영과 쇠퇴를 반복하다 사산조 시대에 폐기되었다.
니푸르 | |
---|---|
위치 정보 | |
일반 정보 | |
다른 이름 | 니브루 (Nibru) 니부르 (Nibbur) 엔릴키 (EN.LÍLKI) |
위치 | 이라크, 카디시야 주, 아파크 구, 누파르 (Nuffar) |
지역 | 메소포타미아 |
유형 | 고대 유적 |
역사 | |
고고학 | |
발굴 | 1851년, 1889년–1900년, 1948년–1990년, 2018년–현재 |
고고학자 |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 (Austen Henry Layard) 존 푸네트 피터스 (John Punnett Peters) 존 헨리 헤인즈 (John Henry Haynes) 헤르만 볼라트 힐프레히트 (Hermann Volrath Hilprecht) 리처드 C. 하인즈 (Richard C. Haines) 토르킬드 야콥센 (Thorkild Jacobsen) 맥과이어 깁슨 (McGuire Gibson) |
기타 정보 | |
이미지 | |
![]() |
2. 역사
니푸르는 스스로 정치적 패권을 누린 적은 없었지만, 다른 도시 국가의 군주에게 "왕권"을 부여할 수 있다고 여겨져 그 지배는 매우 중요했다.[3][4] 니푸르는 엔릴의 유명한 에쿠르 사원 소유로 인해 신성한 도시로 여겨졌다. 엔릴의 아들인 닌우르타 또한 이 도시 국가에 그의 주요 숭배 중심지인 E-슈메샤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3][4]
''투말 연대기''에 따르면, 키시의 초기 통치자인 엔메바라게시가 이 사원을 처음으로 건축했다.[5] 그의 니푸르에 대한 영향력은 고고학적으로도 확인되었다. 이 ''연대기''는 키시의 아가, 엔메바라게시의 아들; 우르의 메사네파다; 그의 아들 메스키앙-눈나; 우루크의 길가메시; 그의 아들 우르-눙갈; 우르의 난니와 그의 아들 메스키앙-난나등 사원에서 간헐적으로 의식을 거행한 초기 수메르 통치자들을 나열하고 있다. 또한 우르 제3왕조 시대에 우르남무에 의해 이 관행이 부활하여 이비-신이 우루크에 엥메갈라나를 대제사장으로 임명할 때까지 계속되었다(기원전 1950년경).
루갈-자게-시, 우루크의 왕, 그리고 루갈-키구브-니두두, 각각 우르의 왕, 그리고 다른 초기 통치자들의 비문은 문틀과 석재 화병에 새겨져 있는데, 이는 고대 신전에 대한 존경심과 그것을 소유하는 것이 일종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그들의 기원물에서, 이 통치자들 중 일부는 자신을 ''엔시'', 즉 총독으로 지칭한다.
니푸르는 바빌론의 여러 도시들 중에서도 특히 초기에 형성된 도시 중 하나로, 이 지역에서의 거주 역사는 매우 오래되어 기원전 6천 년기의 우바이드 문화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19][120]。 니푸르는 원래 늪지에 형성된 마을이었으며, 갈대로 만들어진 오두막집들이 모여서 이루어져 있었다[120]。 그 지형과 건축 자재 때문에 자주 홍수와 화재로 고통을 받았지만, 이 땅에서의 거주는 지속되었다. 잦은 재해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니푸르에 계속 거주한 이유는 불분명하다[120]。 지속적인 거주로 인한 잔해의 퇴적 결과로, 또한 부분적으로는 주민들의 노력으로 니푸르의 마을은 점차 상승하여 주변 늪지보다 높아졌다[120]。
우바이드 문화 이후, 기원전 4천 년기의 우루크 문화의 도시화를 거쳐, 기원전 3천 년기의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에 들어서면 수메르 각지에서 우루크와 우르와 같은 유력한 도시가 부상하여, 도시 국가의 틀을 넘어 영역적인 국가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니푸르는 영방 도시 국가중 하나였다.[90]
니푸르 자체가 수메르 세계 전체를 지배하는 패권적인 지위를 얻지는 못했지만, 니푸르의 도시 신인 폭풍의 신 엔릴은 왕권을 수여하는 신으로서 모든 수메르인들의 숭배를 받았으며, 이 때문에 니푸르에 특수한 정치적 중요성이 부여되었다[120][119][92]。 수메르의 유력한 왕들은 자신의 경건함을 나타내기 위해 니푸르에서의 건설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했다[119]。 특히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에 큰 역할을 했으며, 영역 국가로의 단서를 연 우루크의 왕들은 "국토의 왕", "전토의 왕"과 같은 한 도시 국가라는 틀을 넘는 칭호를 채용하게 되는데, 이를 수여하는 존재가 바로 엔릴 신이었다[93]。 니푸르에서는 우루크의 왕 루갈키긴네두두(Lugal-kinishe-dudu), 루갈키살시(Lugal-kisalsi), 엔샤쿠슈안나, 루갈자게시 등이 엔릴 신에게 바친 비문이 발견되었다[94]。 그 외에 라가시의 왕 엔메테나도 엔릴 신에게 헌정하는 비문을 남겼다[95]。 우루크 왕들이 여러 명 니푸르에 비문을 남겼다는 사실은, 초기 왕조 시대 말기의 니푸르가 우루크의 지배 하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95]。
니푸르 시는 또한, 메소포타미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도 계산법 중 하나인 연대기법이 처음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 도시이기도 하다. 연대기법이란 각 해의 중요한 사건(대부분 왕의 업적)을 고유한 이름으로 부여하여 기록하는 방식이며, 이 방법으로 기록된 최초의 연호는 "엔샤쿠슈안나가 키시를 점령한 해"이다[96]。
기원전 24세기경, 우루크 왕 루갈자게시가 수메르 전토를 통일했지만, 곧 그의 지배는 아카드 (아가데)의 왕 사르곤(샤르 킨)에 의해 뒤집혔다. 사르곤이 세운 왕국은 아카드 제국이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메소포타미아 역사상 최초의 통일 제국으로 간주된다[98]。 니푸르도 아카드 제국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99]
아카드 왕 나람신 (기원전 22세기경)의 치세 초기에, 아카드의 중심부에 가까운 키시에서 반란이 발생했고, 수메르 지방에서도 우르가 반란을 일으켰다. 우루크와 라가시, 슈루파크 등의 도시와 함께 니푸르도 이 반란에 가담했다[100][101]。 결국 반란은 진압되었고, 이후 나람신은 아카드 제국의 최성기라고 불리는 시대를 열었다. 니푸르 시는 이 때 파괴되었지만, 수메르 지방의 질서 회복을 위해 니푸르의 재건과 엔릴 신전의 재건이 최우선 과제로 여겨졌으며, 이 사업이 나람신의 연호에 채택되었다[100][120]。
아카드 제국이 붕괴된 후, 혼란기를 거쳐 성립된 우르 제3왕조 (기원전 2112년경-기원전 2004년경) 시대에도 니푸르의 중요성은 유지되었다. 우르 제3왕조의 제2대 왕 슈르기는 니푸르 근처에 푸즈리쉬-다간이라는 공납 가축 관리소를 설치했고, 제3대 왕 이비신은 왕도 우르 외에도, 전통 있는 도시 우루크, 그리고 니푸르에서 즉위식을 거행했다[102]。 이 세 도시는 동 왕조에서 매우 중요한 도시로 취급받았으며, 역대 왕은 "세 개의 대도시인 우르, 우루크, 니푸르 사이를 질주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순행했다"[103]
2. 1. 초기 역사 (기원전 6천년기 ~ 기원전 3천년기)
2. 2. 아카드 제국과 우르 제3왕조 시대 (기원전 24세기 ~ 기원전 21세기)
니푸르는 아카드 제국의 사르곤과 나람신 왕 시대에 정복되고 점령되었다. 나람신은 에쿠르 신전과 도시 성벽을 재건했다. 니푸르는 나람신에 대항한 반란에 가담했다가 파괴되었지만, 이후 재건되어 수메르 지방 질서 회복의 중심지가 되었다.우르 제3왕조 시대에도 니푸르는 중요성이 유지되었으며, 슈르기 왕은 니푸르 근처에 공납 가축 관리소인 푸즈리쉬-다간을 설치했다. 이비신 왕은 우르, 우루크, 니푸르에서 즉위식을 거행하는 등 니푸르는 왕조의 핵심 도시 중 하나로 여겨졌다.
우르남무는 나람신의 성벽 선을 따라 도시의 성벽을 재건하고, 신전에 최종적인 형태를 부여했다. 그는 약 32,000m² 면적에 높이 약 12m의 벽돌 테라스를 세우고, 그 위에 삼층 지구라트를 건설했다. 지구라트 정상에는 신의 거처인 작은 방이 있었다. 수신은 시마눔을 파괴한 후 포로들을 니푸르 근처에 정착시켰다.[7]

2. 3. 고바빌로니아 시대 (기원전 20세기 ~ 기원전 16세기)
이신·라르사 시대에 여러 왕조가 니푸르의 지배권을 두고 격렬하게 다투었다.[88] 특히 이신의 왕들은 울 제3왕조의 후계자라는 입장을 강하게 의식하고, 니푸르에 특전을 부여하기도 했다. 이신 왕 이슈메-다간은 니푸르에 면세 특권을 부여했고[108], 라르사의 왕 림신 1세는 자신을 "니푸르 땅의 목자"라고 칭했다.[120]함무라비가 속한 바빌론 제1왕조가 메소포타미아 전역을 지배하기 이전 시대를 이신·라르사 시대라고 한다.[106] 함무라비 아래 바빌로니아 제국이 설립되면서 종교적, 정치적 중심지가 바빌론으로 이전되었고, 마르두크가 판테온의 주인이 되면서 엔릴의 신전 에쿠르는 어느 정도 방치되었다.[8]
함무라비의 후계자 삼수-일루나 치세(기원전 1749년-기원전 1712년) 중 기원전 1739년에 수메르 지방 전역에서 대반란이 발생하여 수메르 지방은 큰 타격을 입었다.[109] 니푸르 역시 현저한 손해를 입었고, 기원전 1720년경에는 거주지로서 단절된 것으로 보인다.[109][119]
2. 4. 카시트 왕조 시대 (기원전 16세기 ~ 기원전 12세기)
카시트 왕조 시대(기원전 16세기 ~ 기원전 12세기)에 니푸르는 다시 번성했다. 카시트인들은 바빌로니아의 전통을 존중하고 오래된 수메르 문화를 발굴하려 했으며,[113] 니푸르를 부흥시키고 에쿠르 신전을 재건하여 웅장함을 되찾게 했다.[120][119] 쿠리갈주 1세(c. 기원전 1375년)는 에쿠르 내에 새로운 사원인 에쿠리기가바라를 건설했다.[11] 이 시기 통치자들의 수천 개의 비문이 에쿠르의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되었다.[11]2. 5. 기원전 1천년기 이후
카시트 왕조 멸망 이후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니푸르는 기원전 8세기 말 아시리아 왕 사르곤 2세 시대에 다시 건축 비문이 등장하면서 재건되기 시작했다.[12][13] 아슈르바니팔 왕은 에쿠르 신전을 이전보다 더 웅장하게 복원했으며, 이 시기의 지구라트는 58m x 39m 크기였다.[12][13]신아시리아 제국의 멸망 이후 에쿠르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120]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에는 고대 사원이 요새(Νιππούρgrc, ''Nippoúr'')로 변모했다. 고대 테라스 가장자리에 거대한 벽이 세워지고, 사원 뜰은 주택과 거리로 채워졌으며, 지구라트 자체는 십자형으로 개조되어 요새의 아크로폴리스로 사용되었다.[120] 이 요새는 파르티아 시대가 끝날 때까지 점령되었고 추가 건설이 이루어졌지만,[120] 사산 왕조의 통치하에 들어서면서 다시 쇠퇴했다.[120]
2. 6. 이슬람 시대
니푸르는 이슬람 시대에도 계속 거주했으며, 초기 무슬림 지리학자들은 니파르(Niffar)라는 이름으로 언급했다.[14] 이곳은 나르세스(Narses)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나흐르 안-나르스(Nahr an-Nars) 운하에 위치해 있었다. 800년대 후반, 이라크 전역의 정착지 쇠퇴의 일환으로 기반 시설의 노후화와 정치적 폭력으로 인해 광대한 지역이 버려졌고, 니푸르 역시 쇠퇴기에 접어들어 지리학자들의 언급이 사라졌다.[14][15] 그러나 니푸르는 900년대 후반까지 아시리아 동방 교회 기독교 주교구의 소재지로 남아 있었으며, 이후 주교구는 북서쪽으로 더 떨어진 닐로 이전되었다.[14]니푸르 자체는 10세기 말 이전에 많이 사용되지 않던 언더글레이즈 스크래피토 그림이 폐허에서 발견된 도자기에서 나타나듯, 훨씬 더 오랫동안 점유되었을 수 있다. 1200년대 초 야쿠트 알-하마위 시대에 이르러 니푸르는 완전히 버려졌지만, 야쿠트는 여전히 그 유적을 유명한 장소로 인식했다.[16] 아랍 시대 초기부터 서기 10세기까지 거주했던 상당한 규모의 유대인 마을이 둔덕의 표면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집들에서는 다수의 아람어 주문 그릇이 발견되었다.[17]
3. 고고학
wikitext
니푸르 유적에서의 최초 발굴은 1851년, 오스틴 헨리 레이어드 경에 의해 이루어졌다.[19] 본격적인 발굴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팀에 의해 1889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존 퍼넷 피터스, 존 헨리 헤인스, 헤르만 볼라트 힐프레히트의 지휘 아래 1900년까지 4시즌에 걸쳐 진행되었다.[20][21][22][23][24] "점토판 언덕"에서는 평균 높이 7.5m, 면적 52제곱미터의 작은 언덕에서 수천 개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25]
진정한 아치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초기의 예 중 하나이다.[26][27] 파르티아 시대 층에서는 카시트 왕조 시대 유리로 만든 공물 도끼 조각이 들어 있는 상자가 발견되었고, 쿠리갈주 2세를 포함한 여러 후기 카시트 통치자들이 묘사되어 있다.[28]
1948년부터 1990년까지 시카고 대학교의 오리엔탈 연구소 팀에 의해 19시즌 동안 발굴이 진행되었으며, 때때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고고학 및 인류학 박물관과 미국 동양 연구 학교가 합류했다.[29][30][31][32][33][34][35][36][37][38][39][40][41] 이 작업의 일부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발굴에서 나온 대규모 고고학적 쓰레기를 제거하는 것이었고, 그 과정에서 초기 왕조 시대의 그릇, 설형 문자 점토판, 벽돌 도장이 발견되었다.[42] 이난나 신전과 에쿠르에서는 술기와 우르남무의 조각상이 있는 기초 제단이 발견되었다.[43] 초기 왕조 시대에 시작된 이난나 신전이 완전히 발굴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의 신전 재건이 파르티아 시대까지 이어졌다. 발견된 유물로는 카시트 왕 샤가라크티-슈리아쉬 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점토판, 우르 제3왕조의 왕 술기 4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점토판, 그리고 인더스 문명의 도장 인장이 있었다.
1977년에는 인근의 움 알-하프리야트 유적지에서 짧게 발굴 작업을 벌였는데,[44][45] 그곳에서 발견된 사르곤 시대의 점토판은 이 유적의 고대 이름이 마스칸-일리-아카드였다는 것을 시사한다.[46][47]
니푸르에서 작업을 재개하기 위한 예비 작업은 2018년 맥과이어 깁슨의 지휘 하에 시작되었다.[49] 니푸르 발굴 작업은 2019년 4월 아바스 알리자데의 지휘 하에 시작되었고, 초기 초점은 주요 파르티아 시대 건물과 작은 후기 사산 왕조 가옥에 맞춰졌다. 드레헴에서도 발굴 허가가 떨어졌으나, 당국이 약탈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그곳에 경찰서를 설치해야 한다고 결정한 후 중단되었다. 2022년 11월에 시작된 발굴은 21번째 시즌으로 두 달 동안 지속되었다.[50][51]
3. 1. 주요 발굴 성과
니푸르는 수메르 시대부터 이슬람 시대까지 다양한 시대의 유물과 유적이 발견된 곳이다. 특히 에쿠르É-kursux-latn 신전, 이난나 신전, 굴라 신전 등 여러 신전 유적이 발굴되었다.우르-구르의 지구라트에 대한 광범위한 발굴 세부 사항이 기록되었다.[52] 지구라트 유적은 높이 25미터, 39미터 x 58미터의 직사각형 기단으로, 세 단계의 마른 벽돌과 역청으로 마감된 구운 벽돌로 구성되었다.[52] 지구라트에는 물 공급 시스템과 십자 모양의 포장도로가 설치되어 있었다.[53]
셀레우코스 시대의 궁전 유적과 카시트 시대의 사원 기록,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의 상업 기록을 담은 점토판들이 발굴되었다. 특히, '점토판 언덕'에서는 다양한 내용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는데, 그중 무라슈 가문의 기록 보관소는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니푸르의 상황과 국가 행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56][57][58] 이 기록 보관소는 계약의 3분의 1이 비 바빌로니아 이름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인구 구성을 반영한다.[59] 무라슈 가문은 페르시아 총독, 귀족, 군인에게 할당된 농지를 임대하고, 이를 다시 소규모로 나누어 임대하는 사업을 통해 이익을 얻었다.[59] 이들은 토지 임대, 관개 시설 마련, 세금 납부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막대한 이익을 얻었지만,[59] 국가 경제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60]
니푸르에서 발견된 30,000점에 달하는 점토판 문서는[119] 고대 정치, 경제, 사회, 종교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기원전 5세기 무라슈 가문 관련 문서는 당시 정부 기구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상인 가문의 활동을 통해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 니푸르의 상황과 행정 모습을 보여준다.[146][147] 무라슈 가문은 대토지 소유자로부터 토지를 임대하여 소작농에게 전대하고, 관개 용수 이용권, 씨앗, 농기구 등을 판매하며 소작료와 세금 일부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이익을 얻었다.[146][147] 또한, 토지를 담보로 은을 대출해 주기도 했는데, 많은 농민들이 이 대출로 인해 토지를 잃게 되었다.[146][147]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에는 관개 개선과 이주민 증가로 리디아인, 카리아인, 키시아인, 이집트인, 유대인, 페르시아인, 메디아인, 사카족 등 다양한 민족들이 니푸르 지역에 유입되었다.[149]
3. 2. 주요 유적
니푸르에는 폭풍의 신 엔릴의 신전(에쿠르)이 있었다. 현재 알려진 엔릴 신전은 우르 제3왕조의 왕 우르남무에 의해 처음 건설(재건)되었으며, 그 후 니푸르의 역사를 통해 수리와 재건이 반복되었다.[138] 엔릴에게 바쳐진 신전이 그 이전 시대부터 존재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우르남무 이전의 신전의 건조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아마도 그것은 현재 남아있는 지구라트 아래에 묻혀있을 것으로 생각된다.[139] 우르남무에 의한 건설 사업은 에쿠르 신전 전역을 개수·재건하는 대규모 사업이었다.[140] 이 시대의 건조물은 바닥면보다 위의 벽이 남아있지 않아 하부 구조만 알 수 있다.[140] 신전은 북서-남동면을 단변, 북동-남서면을 장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으로, 외부에서 보면 남서면의 가장 왼쪽 끝에 메인 입구가 있었다.[140][141] 신전의 외벽은 버트레스의 요철이 둘러싸고 있으며, 특히 메인 입구 양쪽의 버트레스는 다른 벽보다 약간 크며, 그 외부에는 폭 15cm, 깊이 17cm의 3개의 수직 홈으로 장식되어 있었다.[140][141] 신전의 외주는 지구라트 등과 함께 더욱 길을 사이에 두고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140][141]엔릴 신전은 지구라트 북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발굴되었다. 우르 3 왕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신전은 우르남무에 의해 건설되었고, 니푸르를 수세기 동안 통치한 왕들에 의해 복원 및 재건되었다.[29] 직사각형 신전은 약 45×21m 크기였으며 북동쪽 벽에 입구가 하나, 남서쪽 벽에 입구가 하나 있었다. 바닥은 37cm 크기의 구운 벽돌로 포장되어 있었다. 포장된 바닥 아래에는 높이가 1.3m인 2개의 하부 구조가 있었다.[29] 두께가 3.35~3.95m인 벽은 짚을 넣은 흙벽돌과 진흙 모르타르로 건설되었다.[29]
우르-구르의 지구라트는 높이가 25미터이며, 39미터 x 58미터의 직사각형 기단을 가지고 있으며, 세 단계의 마른 벽돌로 구성되어 있고, 역청으로 덮인 가마에서 구운 벽돌로 마감되었다.[52] 지구라트의 북쪽 모서리는 자기 북쪽에서 동쪽으로 12도를 가리킨다.[53] 지구라트에는 물 공급 시스템이 있고, 상부 표면에서 세 개의 파사드 가운데에 물 배수를 위한 도관이 있다.[53] 포장도로는 지구라트에서 십자 모양으로 뻗어 있으며, 흙을 고정하기 위해 도자기 조각이 사용된 정사각형 모양의 큰 벽돌로 되어 있다.[53]
이 신전은 카시트 왕조 시대에 대규모로 재건되었다. 이 재건으로 인해 우르 제3왕조 시대의 신전 유구는 크게 훼손되었고, 바닥면만 남아있다. 카시트 시대에 건조된 기초는 원래 있었던 우르 제3왕조 시대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한 것은 아니다.[142][143] 카시트 시대를 통해 각 방, 벽 등의 증개축·수복이 반복되었다.[143]
이난나(두란키의 이난나) 신전은 메소포타미아의 역사적인 랜드마크이다. 이 신전은 우르 왕조의 종교적 요소였지만, 이 신전과 관련된 많은 정치적, 사회적 문제들이 있었다. 1952년 도널드 맥코운이 니푸르 신전 유적을 발견하기 위한 발굴 조사를 실시했다. 발굴팀은 23개의 층 각각이 다른 목적을 수행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8-7층은 신전의 종교 활동에 사용된 조각상 및 우상과 관련이 있었다. 신전 외관에서 발굴자들은 신전의 종교 활동을 지원하는 틈새가 특징임을 발견했다. 이난나 신전은 우르 왕조에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술기와 그 이후 많은 왕들이 이 신전을 건설하고 지원하여 왕조의 지도력을 관리하는 기반으로 삼았다.
1990년 동양 연구소 발굴자들은 WA 구역에서 치료의 여신이자 닌기르수의 배우자인 굴라의 신전으로 추정되는 건물을 확인했다. 이 신전의 가장 초기의 건설은 이신-라르사 시대였으며, 카시트, 신-아시리아, 신-바빌로니아 시대에 대대적인 재건축이 이루어졌다.[54]

Site TA는 니푸르의 태블릿 언덕에 위치한 20m × 40m 크기의 지역이다.[61] 이 지역은 기원전 1948년에서 1952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기원전 1739년의 경제 위기로 인해 부분적으로 버려졌고, 기원전 1720년에 완전히 비워졌다. TA 유적에서 총 1,591개의 점토판이 발견되었다.[61]

4. 주변 유적
4. 1. 드레헴 (Drehem)
드레헴 또는 고대 푸즈리쉬-다간은 우르 제3왕조 시대의 재분배 중심지 중 가장 잘 알려진 도시로, 니푸르에서 남쪽으로 약 1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68][69] 쐐기 문자 점토판에 의해 증명되듯이, 국가의 가축(소, 양, 염소)은 드레헴에 집중되어 수메르의 사원, 관료 및 왕궁으로 재분배되었다.[68][69] 인근 니푸르의 사원이 가축의 주요 목적지였다. 이 도시는 우르의 왕 술기에 의해 설립되었다. 쐐기 문자 기록 보관소 중 일부는 캐나다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푸즈리쉬-다간은 우르 제3왕조(기원전 21세기경)의 왕 술기에 의해 아마도 통치 39년경에 설립되었다.[152] 방대한 문서 사료를 통해 그 운영에 대한 다양한 지견을 얻을 수 있다. 푸즈리쉬-다간에는 우르 제3왕조의 지배지 각지에서 모아진 가축(소, 양, 염소)을 집적하는 일종의 창고·사육장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여기에서 그것들이 신전, 관리, 그리고 수메르 왕궁으로 재분배되었다.[153][154][155] 여기에 모아지는 가축은 1년당 60,000마리에서 80,000마리에 달했다.[104] 이러한 시설이 수도 우르가 아닌 니푸르 근교에 설치된 것은, 그 주된 목적이 무엇보다도 니푸르의 엔릴 신을 비롯한 신들에게 희생 가축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이다.[104]
드레헴에서 발견된 수만 점의 점토판 문서는 세계 각지에서 보존되어 있으며, 일본에도 약 400장이 히라야마 컬렉션으로 존재한다.[151]
4. 2. 텔 들레힘 (Tell Dlehim)
들레힘(Dlehim, Dulaihim, Delehem, Dlehem, Dlihim) 유적은 니푸르에서 남쪽으로 약 21킬로미터, 드레헴에서 남쪽으로 약 1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면적은 약 40헥타르에 달한다.[20][70] 고대 운하 바닥으로 동쪽과 서쪽 구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운하 폭은 50미터이고, 현재 높이는 2.5미터로 추정된다. 1889년 존 푸네트 피터스가 유적을 방문했으며, 1903년에는 에드가 제임스 뱅크스가 드레헴으로 오인하여 방문했다.[70] 1925년에는 미국 동양 연구 학교를 대표하여 레이먼드 P. 도허티가 (드레헴과 함께) 처음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당시 언덕은 평원 위로 25피트 솟아 있었으며, 구운 벽돌과 부싯돌 톱날이 일부 발견되었을 뿐 특별한 점은 없었다.[71][72]현대에는 1988년 도쿄의 고쿠시칸 대학의 H. 후지이가 조사를 실시했다. 고고학 초창기에는 인근의 드레헴과 자주 혼동되었다.[73] 면적은 36헥타르에 달하며, 우르 III 시대에 점유되었다.[74] 이 유적은 고대 툼말의 위치로 추정되고 있다. (툼말 비문의 출처로 여겨짐).[75][76] 툼말은 우르 III 시대에 주요한 정치적 역할을 했다.[77]
2016년에는 QADIS 조사 프로젝트에서 이 유적에 대한 항공 및 지표 조사를 실시했다. 우르 III 시대 통치자 아마르신의 벽돌 4개(3개는 이후 배수구로 재사용, 1개는 사원 지역에 위치)가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드론 비행 및 지표 조사를 통해 중앙 테라스가 있는 타원형 사원을 포함한 우르 III 시대 건물들의 광범위한 흔적이 탐지되었다. 현대 군사 방호벽의 존재도 확인되었다.[78][79][80][81] Qadis 조사는 이미지 및 음향 측정을 통해 유적에 150미터 × 80미터 규모의 항구가 있었음을 확인했다.[82] 2019년 시카고 동양 연구소는 들레힘에서 발굴 허가를 받았으며, 2022년에는 예비 발굴이 시작되었다.[51]
4. 3. 텔 와레쉬 2 (Tell Waresh 2)
텔 와레쉬 2 유적은 니푸르에서 북동쪽으로 12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UTM 38 S 532261.73 m E, 3561401.12 m N), 1990년 이라크 고대 유물 및 유산 국가 위원회를 대표하여 무하마드 야흐야 라디가 주도한 구조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83][84] 이 유적은 메인 배수 운하 건설 프로젝트에 대응하여 실시된 여러 구조 발굴 중 하나였다.[83] 유적에서는 건물 윤곽과 표면에서 다수의 유물이 발견되었다.[83] 유물은 이신-라르사 시대의 것으로, 점토 봉인, 원통형 인장, 그리고 다수의 쐐기 문자 점토판(주로 법률 문서)이 포함되었다.[83] 후자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점토 항아리에서 발견된 29개의 점토판으로, 아비-사레, 수무-엘, 누르-아다드, 그리고 신-이디남(기원전 1785년 ~ 기원전 1778년) 등 라르사 통치자 4명의 연도명이 기록되어 있었다.[83] 동일 팀은 2019년 이 지역의 대규모 조사의 일환으로 유적을 다시 방문하여 지리 참조 데이터를 획득했다.[85] 최종 보고서가 현재 작성 중이다.[86]5. 니푸르와 한국의 관계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Prolegomena & Pre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2]
논문
"The Assumed Conflict between Sumerians and Semites in Early Mesopotamian History"
1939
[3]
웹사이트
Ninurta, god of victory
http://oracc.museum.[...]
Open Richly Annotated Cuneiform Corpus, UK Higher Education Academy
2015
[4]
서적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An Illustrated Dictionary
University of Texas Press
[5]
서적
Mesopotamian Chronicles
Brill Academic
2005
[6]
웹사이트
Indus carnelian bead found in Nippur Mesopotamia
https://www.metmuseu[...]
[7]
간행물
Corvée Labor in Ur III Time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3
[8]
논문
"The Elevation of Marduk Revisited: Festivals and Sacrifices at Nippur during the High Kassite Period"
2016
[9]
논문
"Dur-Abi-ešuh and the Abandonment of Nippur During the Late Old Babylonian Period: A Historical Survey"
2023
[10]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Sealand kingdom
De Gruyter
2018
[11]
간행물
Restoring the past.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royal temple building inscriptions from the Kassite Period
2010
[12]
간행물
Assyrians in Nippur
https://oi.uchicago.[...]
The Oriental Institute
2021
[13]
서적
Nippur in Late Assyrian Times (c. 755–612 BC).
1996
[14]
문서
Adams
[15]
문서
Adams
[16]
문서
Adams
[17]
문서
Aramaic Incantation Texts from Nippur
https://archive.org/[...]
Univ. of Pennsylvania Museum
1913
[18]
논문
Life in the Diaspora: Jews at Nippur in the Fifth Century B.C.
1974-03
[19]
문서
Discoveries among the Ruins of Nineveh and Babylon; with Travels in Armenia, Kurdistan, and the Desert: Being the Result of a Second Expedition Undertaken for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https://archive.org/[...]
Harper, New York : Putnam
1856
[20]
서적
"Nippur, or Explorations and Adventures on the Euphrates; the narrative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expedition to Babylonia in the years 1888-1921"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1897
[21]
서적
"Nippur, or Explorations and Adventures on the Euphrates; the narrative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expedition to Babylonia in the years 1888-1921"
https://archive.org/[...]
G. P. Putnam's Sons
1897
[22]
문서
Explorations in Bible Lands during the 19th Century
https://archive.org/[...]
1903
[23]
문서
Excavations at Nippur: plans, details, and photographs of the buildings, with numerous objects found in them during the excavations of 1889, 1890, 1893-1896, 1899-1900
https://hdl.handle.n[...]
Department of Archaeology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05
[24]
문서
Excavations at Nippur: plans, details, and photographs of the buildings, with numerous objects found in them during the excavations of 1889, 1890, 1893-1896, 1899-1900
Department of Archaeology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07
[25]
논문
The Nippur Library
https://archive.org/[...]
1905
[26]
논문
University of Pennsylvania Excavations at Nippur. II. The Nippur Arch
1895-07
[27]
논문
The Archaic Arch at Nippur
https://tpsalomonrei[...]
1905
[28]
논문
Glass Axes of the Kassite Period from Nippur.
https://www.academia[...]
2011
[29]
간행물
"Nippur I, Temple of Enlil, Scribal Quarter, and Soundings: Excavations of the Joint Expedition to Nippur of the University Museum of Philadelphia and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https://isac.uchicag[...]
1967
[30]
간행물
"Cuneiform Texts from Nippur: The Eighth and Ninth Seasons"
https://isac.uchicag[...]
1969
[31]
논문
"A Preliminary Report on the 1966–1967 Excavations at Nippur."
https://findit.libra[...]
1968
[32]
간행물
"Excavations at Nippur: Eleventh Season"
https://isac.uchicag[...]
1976
[33]
간행물
"Excavations at Nippur: Twelfth Season"
https://isac.uchicag[...]
1978
[34]
간행물
The Nippur Expedition
https://oi.uchicago.[...]
1976
[35]
간행물
Nippur under Assyrian Domination: 15th Season of Excavation, 1981-82.
https://oi.uchicago.[...]
1982
[36]
간행물
"Nippur, Volume 2. The North Temple and Sounding E: Excavations of the Joint Expedition to Nippur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and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https://isac.uchicag[...]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 97
1978
[37]
간행물
"Nippur, Volume 3: Kassite Buildings in Area WC-1"
https://isac.uchicag[...]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 111
1993
[38]
간행물
"Nippur, Volume 4: The Early Neo-Babylonian Governor's Archive from Nippur"
https://isac.uchicag[...]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 114
1996
[39]
간행물
"Nippur V: The Area WF Sounding: The Early Dynastic to Akkadian Transition"
https://isac.uchicag[...]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 129
2006
[40]
논문
The City Walls of Nippur and an Islamic Site beyond: Oriental Institute Excavations, 17th Season, 1987
1998
[41]
논문
Investigation of the Early Dynastic-Akkadian Transition: Report of the 18th and 19th Seasons of Excavation in Area WF, Nippur
[42]
논문
A Report on the 1964–1965 Excavations at Nippur.
https://findit.libra[...]
1966
[43]
논문
The Latest Report on the Progress of the Excavations at Nippur
https://findit.libra[...]
1955
[44]
간행물
Nippur Regional Project: UMM AL-HAFRIYAT, The Oriental Institute Annual Report 1977/78
https://oi.uchicago.[...]
[45]
논문
Early Bronze IV Pottery Assemblages from Umm AlHafriyat Southern Mesopotamia
2023
[46]
서적
The Divine Rulers of Akkade and Ur: Toward a Definition of the Deification of Kings in Babylonia
De Gruyter, Berlin/Boston
2017
[47]
서적
A Note on Sargonic mun. šà/mūšaqum
Brill
2020
[48]
간행물
"Individual Rewsearch", Institute for the Study of Ancient Cultures 2022–2023 Annual Report
https://isac.uchicag[...]
2023
[49]
간행물
Nippur Project, Oriental Institute 2017-2018 Annual Report
https://oi.uchicago.[...]
[50]
뉴스
Nippur in the Age of COVID-19
https://oi.uchicago.[...]
Oriental Institute of Chicago - News and Notes - Winter/Spring 2022
[51]
서적
The Oriental Institute 2019-20 Annual Report
https://oi.uchicago.[...]
[52]
웹사이트
Nippur
https://whc.unesco.o[...]
2022-04-13
[53]
논문
Some Recent Result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Excavations at Nippur, Especially of the Temple Hill
https://www.jstor.or[...]
1895
[54]
간행물
"Nippur, 1990: The Temple of Gula and a Glimpse of Things to Come", Oriental Institute Annual Report 1989-90
https://oi.uchicago.[...]
Oriental Inst. Press, Chicago
1990
[55]
서적
Nippur: City of Enlil and Ninurta
https://www.degruyte[...]
2022
[56]
간행물
"Business Documents of Murashu and Sons of Nippur Dated to the Reign of Artaxerxes I"
https://archive.org/[...]
The Babylonian expedition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eries A, Cuneiform texts, Volume 9
1893
[57]
간행물
"Business Documents of Murashu and Sons of Nippur Dated to the Reign of Darius II"
https://archive.org/[...]
The Babylonian expedition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eries A, Cuneiform texts, Volume 10
1893
[58]
논문
Review of ''Business Documents of Murashu Sons, of Nippur'' by HV Hilprecht
1898-07
[59]
서적
Slavery In Babylonia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DeKalb, Illinois
1984
[60]
논문
Fifth Century Nippur: Texts of the Murašûs and from Their Surroundings
2001
[61]
간행물
Nippur Neighborhoods
https://isac.uchicag[...]
Oriental Institute,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vol. 44
1987
[62]
논문
A Report of the Excavations at Nippur during 1960-1961
https://findit.libra[...]
1961
[63]
논문
The Cupbearer and the Cult-Priest in the Temple: External and Internal Cultic Practitioners in Early Bronze Age Mesopotamia.
2019
[64]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the kings of Ur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21
[65]
논문
Slavery in third-millennium Mesopotamia: an overview of sources and studies.
2018
[66]
논문
Domesticated Partners: A New Analysis of a Sumerian Vessel.
2020
[67]
서적
The Kingdom of Ur
2022
[68]
간행물
Cuneiform Texts from the Ur III Period in the Oriental Institute, Volume 2: Drehem Administrative Documents from the Reign of Amar-Suena
https://isac.uchicag[...]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s 121, Chicago
2003
[69]
논문
The Female Fat-tailed Sheep in Palaeography and the Administration of Drehem during the Ur III Period
2022
[70]
서적
Bismya; Or The Lost City of Adab: A Story of Adventure, of Exploration, and of Excavation Among the Ruins of the Oldest of the Buried Cities of Babylonia
https://archive.org/[...]
GP Putnam's Sons
1912
[71]
논문
Searching for Ancient Remains in Lower 'Irâq: Report of an Archaeological Survey Made in Southern Babylonia during the First Quarter of 1926
https://www.jstor.or[...]
1925
[72]
논문
An Archæological Survey in Southern Babylonia I
https://www.journals[...]
1926
[73]
간행물
Dlihim
1989
[74]
간행물
The Rise of Urbanized Landscapes in Mesopotamia: The QADIS Integrated Survey Results and the Interpretation of Multi-Layered Historical Landscapes
2019
[75]
간행물
Looking for Tummal
1989
[76]
간행물
New light on the hydrology and topography of southern Babylonia in the third millennium
2001
[77]
간행물
The employment of labor on national building projects in the Ur III period
2015
[78]
간행물
The Rise of Urbanized Landscapes in Mesopotamia: The QADIS Integrated Survey Results and the Interpretation of Multi-Layered Historical Landscapes
2019
[79]
간행물
Rediscovering the Heartland of Cities
https://site.unibo.i[...]
2020
[80]
간행물
QADIS. The 2016 Iraqi-Italian survey season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Qadisiyah
2017
[81]
간행물
The Rise of Urbanized Landscapes in Mesopotamia: The QADIS Integrated Survey Results and the Interpretation of Multi-layered Historical Landscapes
2019
[82]
논문
Development of water management strategies in southern Mesopotamia during the fourth and third millennium B.C.E.
https://onlinelibrar[...]
2024
[83]
간행물
Glyptic Styles at an Isin-Larsa Minor Settlement: Seals and Seal Impressions from Tell Waresh 2.
https://whitelevy.fa[...]
2022
[84]
간행물
Tell Waresh 2, Early Old Babylonian Tablets from the Season of Rescue Excavation (1990)
2019
[85]
간행물
A Text from the Time of Sumu-El, King of Larsa (1894-1866 BC) from Tell Warash
2013
[86]
웹사이트
Final Report on the Rescue Excavations at Tell Waresh 2, Third River Project (Iraq) - Shelby White and Leon Levy Program for Archaeological Publications
https://whitelevy.fa[...]
[87]
문서
Albright, Lambdin 1971, p. 149
[88]
문서
日本オリエント学会 オリエント事典 2004, p. 649 「ニップル」の項目より
[89]
문서
ハロー 2015, p. 22
[90]
문서
前田 2017, p. 39
[91]
웹사이트
Indus carnelian bead found in Nippur Mesopotamia
https://www.metmuseu[...]
2020-06
[92]
문서
大津 1997, p. 156
[93]
문서
前田 2003, p. 32
[94]
문서
前田 2003, p. 33
[95]
문서
前田 2003, p. 34
[96]
문서
前田 2003, p. 43
[97]
문서
前田 2003, p. 44
[98]
문서
前川 1998b, p. 182
[99]
문서
前田 2017, p. 92
[100]
문서
前田 2017, p. 111
[101]
문서
前川 1998b, p. 187
[102]
문서
前田 2003, p. 60
[103]
문서
前田 2003, p. 67
[104]
문서
前田 2017, p. 156
[105]
문서
前川 1998b, pp. 202-205
[106]
문서
前川 1998b
[107]
문서
江上・五味訳ではニップール、ここでは記事名に合わせてニップルに改めている。
[108]
문서
クレンゲル 1980
[109]
문서
前川 1998b
[110]
문서
クレンゲル 1980
[111]
문서
クレンゲル 1980
[112]
문서
フィネガン 1983
[113]
문서
前川 1998b
[114]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93
[115]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93
[116]
문서
Adams 1981
[117]
문서
Adams 1981
[118]
문서
Adams 1981
[119]
문서
大英博物館 オリエント事典 2004
[120]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第11版 1911
[121]
서적
Discoveries among the Ruins of Nineveh and Babylon; with Travels in Armenia, Kurdistan, and the Desert: Being the Result of a Second Expedition Undertaken for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https://books.google[...]
Austen H. Layard, Harper
1856
[122]
서적
Nippur, or Explorations and Adventures on the Euphrates; the narrative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expedition to Babylonia in the years 1888-1921
https://archive.org/[...]
John Punnett Peters, G. P. Putnam's sons
1897
[123]
서적
Nippur, or Explorations and Adventures on the Euphrates; the narrative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expedition to Babylonia in the years 1888-1921
https://archive.org/[...]
John Punnett Peters, G. P. Putnam's sons
1897
[124]
서적
Explorations in Bible Lands during the 19th Century
https://archive.org/[...]
Herman Volrath Hilprecht, A.J.Holman and company
1903
[125]
서적
Excavations at Nippur: plans, details and photographs of the buildings, with numerous objects found in them during the excavations of 1889, 1890, 1893-1896, 1899-1900: v. 1 : Topography and city walls
Clarence Stanley Fisher, Philadelphia : Department of Archaeology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05
[126]
서적
Excavations at Nippur: plans, details and photographs of the buildings, with numerous objects found in them during the excavations of 1889, 1890, 1893-1896, 1899-1900: v. 2 : The Fortress
Clarence Stanley Fisher, Philadelphia : Department of Archaeology of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07
[127]
문서
大津 1997
[128]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129]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9
[130]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76
[131]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78a
[132]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78b
[133]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93
[134]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96
[135]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2007
[136]
간행물
The City Walls of Nippur and an Islamic Site beyond: Oriental Institute Excavations, 17th Season, 1987
McGuire Gibson, James A. Armstrong and Augusta McMahon, Iraq, vol. 60, pp. 11-44
1998
[137]
간행물
Investigation of the Early Dynastic-Akkadian Transition: Report of the 18th and 19th Seasons of Excavation in Area WF, Nippur
Gibson
1995
[138]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139]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140]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141]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PLATE. 15の図版を参照
[142]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p. 7
[143]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p. 12
[144]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p. 11
[145]
문서
Oriental Institute, Chicago 1967, p. 18
[146]
문서
Mieroop 1998, p. 210
[147]
문서
Dandamaev 1984, p. 63
[148]
서적
アケメネス朝ペルシア:史上初の世界帝国
中央公論新社
[149]
문서
Dandamaev 1984, p. 66
[150]
문서
酒井 2004, p. 1
[151]
문서
酒井 2004, p. 5
[152]
문서
酒井 2004, p. 6
[153]
웹사이트
http://oi.uchicago.e[...]
[154]
간행물
Drehem Administrative Documents from the Reign of Amar-Suena. Cuneiform Texts from the Ur III Period
The David Brown Book Company, Oakville, Conn, US
[155]
문서
酒井 2004, p. 2
[156]
문서
"위 지도에는 [[우바이드]](30°58′N 46°05′E)와 [[우르]](30°57′N 46°06′E)가{{#if: {{{우바이드우르줄바꿈없음|}}}| |
{{pad|6.5em}}}}같은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