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니아의 총리는 루마니아 정부의 수반으로, 정부의 활동을 지휘하고 조정하며, 국내 정책을 지휘하고 행정부를 이끈다. 총리는 대통령이 지명하며, 국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862년 각료 회장 직책으로 시작되어, 1947년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수립 이후 각료 회의 의장으로 변경되었다. 1989년 혁명 이후 여러 정당 소속의 총리가 임명되었으며, 현재 총리 관저는 빅토리아 궁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총리 - 니콜라에 치우커
니콜라에 치우커는 루마니아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루마니아 총리, 합참의장, 국방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경력이 있고, 총리 재임 기간 동안 투자 프로그램 추진과 권위주의적 경향, 논문 표절 의혹 등의 논란이 있었다. - 루마니아의 총리 - 니콜라에 버커로이우
니콜라에 버커로이우는 루마니아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총리와 원로원 의장을 역임했으며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했고, 경제 개혁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며 유럽 연합과 NATO 가입을 추진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루마니아의 총리 | |
---|---|
기본 정보 | |
직책 | 루마니아 정부 총리 |
![]() | |
깃발 크기 | 125px |
깃발 설명 | 루마니아 총리 표준기 |
깃발 테두리 | 예 |
직무 대행 | 공석 |
![]() | |
현직 | 마르첼 치올라쿠 |
현직 임기 시작 | 2023년 6월 15일 |
지위 | 재임 중 |
경칭 | 각하 |
소속 | 루마니아 정부 국방최고위원회 |
임명권자 | 루마니아의 대통령 |
소재지 | 빅토리아 궁전, 부쿠레슈티 |
형성 | 1862년 1월 22일 |
임기 | 4년 |
임기 제한 | 임기 제한 없음 |
첫 총리 | 바르부 카타르지우 국무총리 |
연봉 | 288,000 레우 (2022년) |
웹사이트 | gov.ro/ro/guvernul/cabinetul-de-ministri/prim-ministru1575537361 |
정치 | |
정치 체제 | 루마니아의 정치 |
역대 총리 | |
목록 | 루마니아 총리 목록 |
2. 역사
루마니아의 총리 직책은 1862년 알렉산드루 이온 쿠자 공의 통치 기간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당시에는 각료 회장으로 불렸다. 쿠자는 왈라키아와 몰다비아 두 공국을 통일하여 부쿠레슈티를 수도로 하는 루마니아를 건국했다. 자유주의자였던 쿠자는 총리 직책을 만들어 보수파 바르부 카타르지우를 임명했지만, 카타르지우는 개혁을 지연시켰다.[13]
이에 쿠자는 쿠데타를 일으켜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권한을 강화했다. 새 헌법은 루마니아 상원을 창설하고 공에게 행정 권한을 부여했으며, 총리는 그의 부하가 되었다. 그러나 총리 직책은 여전히 영향력이 있었고, 세 번째 총리인 미하일 코갈니체아누는 쿠자와 종종 충돌했다.[14]
1866년 쿠자가 축출된 후, 정치 세력은 외국 공을 왕위에 앉히고 자유주의 헌법을 제정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866년 헌법은 총리가 공의 뜻에 따라 봉사하며, 공이 언제든지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도록 했지만, 총리는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가졌다.[1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대 루마니아가 창설되면서 1923년 루마니아 헌법이 제정되었다. 새 헌법은 국왕의 권한을 제한하고 행정 권한을 총리와 내각에 부여했으며, 의회가 장관을 기소할 수 있도록 하여 정부에 대한 의회 통제의 첫 단계를 밟았다.[16][17]
2. 1. 루마니아 공국 (1862년 - 1881년)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
---|---|---|---|
1 | ![]() | 바르부 카타르지우 | 1862년 1월 22일 ~ 6월 8일 |
대행 | ![]() | 아포스톨 아르사케 | 1862년 6월 8일 ~ 6월 23일 |
2 | ![]() | 니콜라에 크레툴레스쿠 | 1862년 6월 24일 ~ 1863년 10월 11일 |
3 | ![]() | 미하일 코갈니체아누 | 1863년 10월 11일 ~ 1865년 1월 26일 |
4 | ![]() | 콘스탄틴 보시아누 | 1865년 1월 26일 ~ 6월 14일 |
5 | -- | 니콜라에 크레툴레스쿠 | 1865년 6월 14일 ~ 1866년 2월 11일 |
6 | ![]() | 이온 기카 | 1866년 2월 11일 ~ 5월 10일 |
7 | ![]() | 라스카르 카타르지우 | 1866년 5월 11일 ~ 7월 13일 |
8 | 이온 기카 | 1866년 7월 15일 ~ 1867년 2월 21일 | |
9 | ![]() | 콘스탄틴 A. 크레툴레스쿠 | 1867년 3월 1일 ~ 8월 5일 |
10 | ![]() | 스테판 골레스쿠 | 1867년 8월 5일 ~ 1868년 4월 29일 |
11 | ![]() | 니콜라에 골레스쿠 | 1868년 5월 1일 ~ 11월 15일 |
12 | ![]() | 디미트리에 기카 | 1868년 11월 16일 ~ 1870년 1월 27일 |
13 | ![]() | 알렉산드루 G. 골레스쿠 | 1870년 2월 2일 ~ 4월 18일 |
14 | ![]() | 마놀라케 코스타케 에푸레아누 | 1870년 4월 20일 ~ 12월 14일 |
15 | 이온 기카 | 1870년 12월 18일 ~ 1871년 3월 11일 | |
16 | 라스카르 카타르지우 | 1871년 3월 11일 ~ 1876년 3월 30일 | |
17 | ![]() | 이온 에마누엘 플로레스쿠 | 1876년 4월 6일 ~ 4월 26일 |
18 | -- | 마놀라케 코스타케 에푸레아누 | 1876년 4월 27일 ~ 7월 23일 |
19 | ![]() | 이온 C. 브러티아누 | 1876년 7월 24일 ~ 1881년 3월 13일 |
2. 2. 루마니아 왕국 (1881년 - 1947년)
1881년 루마니아 왕국이 수립된 후, 총리직은 이전의 공국 시절보다 다소 변화된 형태로 유지되었다. 1866년 헌법에 따르면 총리는 국왕의 뜻에 따라 임명 및 해임될 수 있었지만,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15]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대 루마니아가 창설되면서, 1923년 루마니아 헌법은 국왕의 권한을 제한하고 행정 권한을 총리와 내각에 부여했다.[16] 또한, 의회가 장관을 기소할 수 있도록 하여 정부에 대한 의회 통제의 첫 단계를 밟았다.[17]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
---|---|---|---|
19 | -- | 이온 C. 브러티아누 | 1881년 3월 13일 - 4월 9일 |
20 | ![]() | 디미트리에 브러티아누 | 1881년 4월 10일 - 6월 8일 |
21 | -- | 이온 C. 브러티아누 | 1881년 6월 9일 - 1888년 3월 20일 |
22 | ![]() | 테오도르 로세티 | 1888년 3월 23일 - 1889년 3월 22일 |
23 | 라스카르 카타르지우 | 1889년 3월 29일 - 11월 3일 | |
24 | ![]() | 게오르기 마누 | 1889년 11월 5일 - 1891년 2월 15일 |
25 | -- | 이온 에마누엘 플로레스쿠 | 1891년 2월 21일 - 11월 26일 |
26 | 라스카르 카타르지우 | 1891년 11월 27일 - 1895년 10월 3일 | |
27 | ![]() | 디미트리에 스투르드자 | 1895년 10월 4일 - 1896년 11월 21일 |
28 | ![]() | 페트레 S. 아우렐리안 | 1896년 11월 21일 - 1897년 3월 26일 |
29 | 디미트리에 스투르드자 | 1897년 3월 31일 - 1899년 3월 30일 | |
30 | ![]() | 게오르게 그리고레 칸타쿠지노 | 1899년 4월 11일 - 1900년 7월 6일 |
31 | 페트레 P. 카르프 | 1900년 7월 7일 - 1901년 2월 13일 | |
32 | 디미트리에 스투르드자 | 1901년 2월 14일 - 1904년 12월 20일 | |
33 | 게오르게 그리고레 칸타쿠지노 | 1904년 12월 22일 - 1907년 3월 12일 | |
34 | 디미트리에 스투르드자 | 1907년 3월 12일 - 1908년 12월 27일 | |
35 | ![]() | 이온 I. C. 브러티아누 | 1908년 12월 27일 - 1910년 12월 28일 |
36 | -- | 페트레 P. 카르프 | 1910년 12월 29일 - 1912년 3월 27일 |
37 | ![]() | 티투 마요레스쿠 | 1912년 3월 28일 - 1913년 12월 31일 |
38 | 이온 I. C. 브러티아누 | 1914년 1월 4일 - 1918년 1월 28일 | |
39 | ![]() | 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 1918년 1월 29일 - 3월 4일 |
40 | ![]() | 알렉산드루 마르길로만 | 1918년 3월 5일 - 10월 23일 |
41 | ![]() | 콘스탄틴 코안더 | 1918년 10월 24일 - 11월 29일 |
42 | 이온 I. C. 브러티아누 | 1918년 11월 29일 - 1919년 9월 26일 | |
43 | ![]() | 아르투르 바이토야누 | 1919년 9월 27일 - 11월 30일 |
44 | ![]() | 알렉산드루 바이다-보예보드 | 1919년 12월 1일 - 1920년 3월 12일 |
45 | 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 1920년 3월 13일 - 1921년 12월 16일 | |
46 | ![]() | 타케 이오네스쿠 | 1921년 12월 17일 - 1922년 1월 19일 |
47 | 이온 I. C. 브러티아누 | 1922년 1월 19일 - 1926년 3월 29일 | |
48 | 알렉산드루 아베레스쿠 | 1926년 3월 30일 - 1927년 6월 4일 | |
49 | ![]() | 바르부 슈티르베이 | 1927년 6월 4일 - 6월 20일 |
50 | 이온 I. C. 브러티아누 | 1927년 6월 21일 - 11월 24일 | |
51 | ![]() | 빈틸러 브러티아누 | 1927년 11월 24일 - 1928년 11월 9일 |
52 | ![]() | 율리우 마니우 | 1928년 11월 10일 - 1930년 6월 6일 |
53 | 게오르게 미로네스쿠 | 1930년 6월 7일 - 6월 12일 | |
54 | 율리우 마니우 | 1930년 6월 13일 - 10월 9일 | |
55 | 게오르게 미로네스쿠 | 1930년 10월 10일 - 1931년 4월 17일 | |
56 | ![]() | 니콜라에 이오르가 | 1931년 4월 18일 - 1932년 6월 5일 |
57 | 알렉산드루 바이다-보예보드 | 1932년 6월 6일 - 10월 19일 | |
58 | 율리우 마니우 | 1932년 10월 20일 - 1933년 1월 13일 | |
59 | 알렉산드루 바이다-보예보드 | 1933년 1월 14일 - 11월 13일 | |
60 | ![]() | 이온 G. 두카 | 1933년 11월 14일 - 12월 29일 |
대행 | ![]() | 콘스탄틴 앙겔레스쿠 | 1933년 12월 29일 - 1934년 1월 3일 |
61 | ![]() | 게오르게 터터레스쿠 | 1934년 1월 4일 - 1937년 12월 28일 |
62 | ![]() | 옥타비안 고가 | 1937년 12월 29일 - 1938년 2월 10일 |
63 | 미론 크리스테아 | 1938년 2월 11일 - 1939년 3월 6일 | |
64 | ![]() | 아르만드 칼리네스쿠 | 1939년 3월 7일 - 9월 21일 |
65 | ![]() | 게오르게 아르게샤누 | 1939년 9월 21일 - 9월 28일 |
66 | ![]() | 콘스탄틴 아르게토이아누 | 1939년 9월 28일 - 11월 23일 |
67 | -- | 게오르게 터터레스쿠 | 1939년 11월 24일 - 1940년 7월 3일 |
68 | ![]() | 이온 기구르투 | 1940년 7월 4일 - 9월 4일 |
69 | ![]() | 이온 안토네스쿠 | 1940년 9월 4일 - 1944년 8월 23일 |
70 | ![]() | 콘스탄틴 사나테스쿠 | 1944년 8월 23일 - 12월 5일 |
71 | ![]() | 니콜라에 라데스쿠 | 1944년 12월 6일 - 1945년 2월 28일 |
72 | ![]() | 페트루 그로자 | 1945년 3월 6일 - 1947년 12월 29일 |
2. 3. 루마니아 인민 공화국 (1947년 - 1965년)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1965년 - 1989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1965년 - 1989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