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카니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카니인은 기원전 5세기부터 이탈리아 남부에 거주했던 고대 부족이다. 그들은 움브리아어-오스키어군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했으며, 그리스 문자를 차용하여 기록을 남겼다. 루카니인들은 주변의 그리스 식민 도시, 특히 타렌툼과 적대적인 관계였으며, 로마와도 때로는 동맹을 맺고 때로는 적대하며 복잡한 관계를 유지했다. 여러 전쟁에서 패배하고 로마의 지배를 받으면서 쇠퇴했으며, 스트라본 시대에는 루카니아 지역의 도시들이 쇠퇴하고 목초지와 숲으로 변했다. 루카니아의 예술은 화병 그림과 무덤 벽화에서 나타나며, 특히 파이스툼 박물관에 전시된 벽화는 루카니인들의 문화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루카니인
지도
기본 정보
국가이탈리아
위치이탈리아 남부
주요 도시포텐차
마테라
언어오스크어
라틴어
역사
기원삼니움인
분리기원전 5세기
로마의 지배기원전 3세기
문화
민족이탈리아인
종교고대 로마 종교, 후에 기독교
같이 보기
관련 항목루카니아
브루티움
마그나 그라에키아

2. 언어와 기록

루카니인들은 삼니움인들과 같이 움브리아어-오스키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다.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 이 지역에서 발견된 일부 오스키어 비문과 동전에는 그리스 문자가 사용되었다.[2]

3. 역사

기원전 360년경 파에스툼의 무덤에 있는 말을 탄 루카니인 전사 벽화


기원전 5세기 중반경, 루카니인들은 남하하여 오이노트리아 지역을 차지하고, 그리스인들에게 오이노트리아인, 코네스인, 라우테르노이인이라고 알려진 토착 부족들을 산악 지역으로 몰아냈다.[8]

3. 1. 그리스 식민 도시와의 관계

루카니인들은 그리스계 식민지 타라스/타렌툼과 적대적인 관계였다. 기원전 334년, 타렌툼인들의 요청으로 에페이로스의 왕 알렉산드로스 1세마그나 그라이키아 문제에 개입하여 루카니아 원정을 감행했으나,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1세는 배신한 루카니인 망명자에게 살해당했다.[8]

3. 2. 로마와의 관계

기원전 298년, 리비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루카니인들은 로마와 동맹을 맺었다.[8] 로마의 영향력은 베누시아 (기원전 291년), 파이스툼 (그리스어 포시도니아, 기원전 273년에 재건), 특히 로마령 타렌툼 (기원전 272년에 재건) 식민지에 뻗었다.[8] 그러나 이후 루카니인들은 로마가 참전한 이탈리아 반도에서 벌어진 여러 전쟁에서 패배하는 편에 서서 피해를 입었다.[8] 삼니움 전쟁에서 가끔 로마와 동맹을 맺기도 했지만, 더 자주 적대 관계에 있었다.[8]

기원전 282년 루카니인과 브루티아인은 투리를 포위했고, 가이우스 파브리키우스 루시누스가 지휘하는 로마 군대가 구원을 위해 파견되어 그들을 격파했다.[5]

기원전 281년에 피로스가 이탈리아에 들어올 때, 루카니인들은 가장 먼저 그의 편에 섰다.[8] 10년 간의 전쟁에서 피로스가 갑작스럽게 철수하면서 그들은 지배 상태에 놓였다 (기원전 272년).[8] 이후에도 적대감은 깊숙히 계속되었고, 제2차 포에니 전쟁 (기원전 216년)에서 한니발을 지지하여 루카니아는 여러 전쟁 동안 양측 병력들에 의해 파괴되었다.[8] 루카니아는 이 재앙에서 결코 회복하지 못했고, 로마 통치하에서 쇠퇴했으며,[8] 동맹시 전쟁에서 루카니인들이 로마에 대항하여 삼니움인과 함께 봉기했으나(기원전 90년 - 88년), 진압당했다.[8]

3. 3. 쇠퇴

루카니인들은 잦은 전쟁과 로마의 지배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제2차 포에니 전쟁 (기원전 216년)에서 한니발을 지지하여 루카니아 지역은 양측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 지역은 회복하지 못하고 쇠퇴했으며, 동맹시 전쟁 (기원전 90년 ~ 88년)에서 로마에 대항한 것이 결정타였다.

스트라본 (기원전 63년 – 서기 24년) 시대에는 해안가의 그리스 도시들이 인구 감소와 경작 부족, 말라리아로 인해 중요성을 상실했다. 내륙 지역 또한 중요성이 없었고, 루카니아의 대부분은 목초지와 곰, 늑대, 멧돼지가 사는 숲으로 변했다.

4. 예술

루카니아 전사들의 결투, 기원전 4세기의 무덤 프레스코화.


루카니아 미술은 주로 루카니아 화병 그림과 무덤 그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로마인과 그리스 이웃과는 달리, 루카니아의 엘리트 계층은 에트루리아인처럼 무덤 그림을 많이 의뢰했다. 파이스툼 박물관에 관련 유물이 잘 전시되어 있다. 루카니아 미술에서는 말, 종종 경주하는 말을 그린 경우가 많다.[6]

기원전 420년에서 335년 사이 제작된 루카니아 화병은 절정기에는 아풀리아 지역으로 수출되었다. 화가들 중 일부는 가칭을 받았는데, 그리스에서 이주했거나 그리스에서 훈련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들의 스타일로 보아, 아테네 출신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참조

[1] 서적 Inside ancient Lucania: dialogues in history and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Classical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2] 문서 see [[Robert Seymour Conway|Conway]], ''Italic Dialects'', p. II sqq.; [[Theodor Mommsen|Mommsen]], ''C.I.L.'' x. p. 2I; [[Hermann Roehl|Roehl]], Inscriptiones Graecae Antiquissimae, 547.
[3] 서적 The Cultural Development in North Western Lucania C. 600-273 BC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4] 서적 The Aeneid Penguin Classics
[5] 문서 "[[Pliny the Elder|Pliny]] xxxiv. 6. s. 15; [[Valerius Maximus]] 1. 8. § 6"
[6] 웹사이트 Lucanian painted tombs at Paestum http://www.paestum.o[...]
[7] 서적 Inside ancient Lucania: dialogues in history and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Classical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8] 서적 The Cultural Development in North Western Lucania C. 600-273 BC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