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라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트라본은 폰토스 출신의 고대 그리스의 지리학자, 역사가, 철학자이다. 기원전 64년경에 태어나 기원후 23년 직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스토아 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로마 제국을 지지했다. 그는 광범위한 여행을 통해 수집한 지리, 역사, 문화 정보를 담은 17권의 《지리학》과, 로마에 의한 그리스 정복부터 당대 세계의 역사를 다룬 47권의 《역사》를 저술했으나, 《역사》는 대부분 유실되었다. 《지리학》은 고대 세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질학적 현상에 대한 관찰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0년대 출생 -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는 아우구스투스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악티움 해전 승리를 이끌고 로마의 공공시설 개선에 기여한 고대 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이다. - 24년 사망 - 남해 차차웅
남해 차차웅은 신라의 2대 왕으로, 박혁거세와 알영부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무당을 뜻하는 왕호 '차차웅'을 사용, 외침에 시달리면서도 민생 안정에 힘써 신라 초기의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 24년 사망 - 왕랑 (신)
왕랑은 신나라 말 하북 지역에서 전한 성제의 사생아 유자여라고 칭하며 황제를 사칭하고, 유림 등의 지지를 받아 황제로 즉위했으나 유수의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되어 붙잡혀 살해되었다. - 아마시아 출신 - 셀림 1세
1512년부터 1520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었던 셀림 1세는 형제들을 처형하여 내분을 제거하고 아시아 및 이집트 정복에 집중하여 영토를 확장, 맘루크 왕조를 멸망시키고 메카와 메디나를 보호하며 수니파 이슬람 세계의 맹주가 되었다. - 아마시아 출신 - 마흐무트 데미르
마흐무트 데미르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금메달,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1회 우승, 유럽 레슬링 선수권 대회 3회 우승을 달성한 터키의 은퇴한 레슬링 선수로, 은퇴 후 사업가로 활동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체육관이 고향에 건립되었다.
스트라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Στράβων (Strábōn) |
출생 | 기원전 64년 또는 63년경 |
출생지 | 아마시아, 폰토스 왕국 (현재의 튀르키예 아마시아) |
사망 | 서기 24년경 (87세) |
사망지 | 로마 제국 |
직업 | 지리학자, 철학자, 역사가 |
이름 | |
그리스어 | Στράβων |
라틴어 | Strabo |
저서 | |
대표 저서 | 지리학 |
2. 생애
스트라본은 폰토스의 아마세이아(오늘날 튀르키예의 아마시아)의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났다.[33] 이 지역은 당시 로마 제국의 일부였다.[34] 그의 어머니는 조지아 사람이었다. 그는 여러 지리학자와 철학자들 문하에서 처음에는 니사에서, 나중엔 로마로 가서 수학했다. 그는 스토아 학파를 지지했으며, 로마의 지배를 옹호했다.
스트라본은 이집트와 쿠쉬 등지로 광범위한 여행을 하였다. 서쪽으로는 해안 토스카나까지, 남쪽으로는 에티오피아까지 여행했을 뿐만 아니라 소아시아를 여행하고 로마에서 시간을 보냈다.[2]
그의 《지리학》은 언제 씌여졌는지 알 수 없으나, 작품 내 언급을 보면 티베리우스 황제 치세에 최종 판본이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기원후 7년 혹은 18년경에 초고가 쓰였다는 설도 있으나, 마우레타니아 왕 유바 2세가 기원후 23년에 죽었다는 내용에서 "바로 요즘에"라는 표현을 사용한 점이 논란이 된다.[35]
《역사》는 대부분 유실되었으며, 오늘날 밀라노 대학교가 소장한 파피루스 단편('파피루스 46')만이 남아있다.
스트라본의 사망 시기는 여러 이설이 있으나, 대부분 기원후 23년 직후에 죽은 것으로 보고 있다.[35]
2. 1. 출생과 가문 배경
스트라본은 기원전 64년경 폰토스 왕국의 아마세이아(오늘날 튀르키예의 아마시아)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2] 그의 가문은 최소한 미트리다테스 5세의 통치 시대부터 정치에 관여해 왔다.[3] 스트라본의 어머니는 조지아 사람이었고, 외가 쪽으로는 도릴라에우스와 친척 관계였다. 부계를 포함한 여러 가족 구성원들은 미트리다테스 6세의 미트리다테스 전쟁 동안 그를 섬겼다. 전쟁이 끝날 무렵, 스트라본의 할아버지는 여러 폰토스 요새를 로마인에게 넘겨주었다.[4] 스트라보는 "이러한 봉사에 대한 대가로 큰 약속이 있었다"고 기록했다.[3]2. 2. 교육 및 철학적 성향
스트라본은 지중해를 여행하며 여러 분야의 저명한 스승들에게서 교육을 받았다.[11] 그의 첫 교육은 마안데르강(현재 튀르키예 술탄히사르)의 니사에서 수사학의 대가인 아리스토데모스에게서 이루어졌으며, 그는 이전에 폰투스를 점령한 로마 장군의 아들들을 가르쳤다.[12] 아리스토데모스는 니사와 로도스에 있는 두 개의 수사학 및 문법 학교의 수장이었다. 니사 학교는 호메로스의 문학과 고대 그리스 서사시 해석에 대한 뚜렷한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다. 스트라보는 아리스토데모스와 함께 니사에서 보낸 시간 덕분에 호메로스의 시를 숭배했다.[13]스트라보는 21세쯤에 로마로 이주하여 페리파테토스 학파의 제나르쿠스에게 철학을 배웠는데, 그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궁정에서 존경받는 가정교사였다. 제나르쿠스가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스트라보는 나중에 스스로 스토아 철학적 경향을 형성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한다.[14] 그는 또한 로마에서 부유하고 유명한 학자인 티라니온에게 문법을 배웠다.[15] 티라니온 역시 페리파테토스 학파였지만, 지리학에 대한 권위자였으며, 이는 스트라보가 이 분야에 기여한 것을 고려할 때 중요한 사실이다.
스트라보의 마지막 주목할 만한 스승은 아테노도로스 카나니테스였는데, 그는 기원전 44년 이후 로마에서 로마 엘리트들과 관계를 맺으며 생애를 보낸 철학자였다. 아테노도로스는 스트라보에게 자신의 철학, 지식, 그리고 인맥을 전수했다. 스트라보를 가르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인 제나르쿠스와 티라니온과는 달리, 아테노도로스는 스토아 철학자였으며, 스트라보가 이전 스승들의 철학에서 벗어나게 된 거의 확실한 원인이었다. 더욱이, 아테노도로스는 자신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스트라보에게 스트라보가 다른 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을 제국 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철학적으로 스트라본은 초기에는 아리스토텔레스 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나, 점차 스토아 학파로 전향했다. 정치적으로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옹호하는 입장이었다.
2. 3. 여행과 저술 활동
스트라본의 삶은 광범위한 여행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는 이집트와 쿠시 왕국으로 여행했으며, 서쪽으로는 해안 토스카나까지, 남쪽으로는 에티오피아까지 여행했을 뿐만 아니라 소아시아를 여행하고 로마에서 시간을 보냈다.[2] 지중해와 근동 지역, 특히 학문적인 목적을 위한 여행은 이 시대에 인기가 있었으며, 아우구스투스 황제(기원전 27년 – 서기 14년)의 통치 기간 동안 누렸던 로마의 평화에 의해 촉진되었다. 그는 기원전 44년에 로마로 이주하여 적어도 기원전 31년까지 그곳에서 공부하고 글을 썼다. 기원전 29년, 코린토스 (당시 아우구스투스가 있던 곳)로 가는 길에 그는 에게해의 가이로스 섬을 방문했다. 기원전 25년경에는 나일강을 따라 필라에까지 항해했고,[5] 그 후 서기 17년까지 그의 여행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다.스트라보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17권 분량의 《지리학(Geographica)》을 저술했다. 《지리학》은 당대에 알려진 세계의 여러 지역과 사람들의 역사를 기술한 책으로,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유럽과 지중해 지역 거의 전체를 다루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및 지리적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브리튼과 아일랜드, 이베리아 반도, 갈리아, 게르마니아, 알프스, 이탈리아, 그리스, 북부 흑해 지역, 아나톨리아, 중동, 중앙 아시아 및 북아프리카를 다루고 있다.[9]
《지리학》의 저술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작품 자체 내의 언급은 완성된 버전이 티베리우스 황제의 통치 기간(기원후 14년 ~ 37년)에 쓰여졌음을 시사한다. 어떤 이들은 초고가 기원전 7년경에 쓰여졌다고 보고,[6] 다른 이들은 서기 17년[7] 또는 서기 18년에 쓰여졌다고 본다.[6] 날짜를 지정할 수 있는 가장 최근의 구절은 서기 23년 모리타니아의 왕 유바 2세의 죽음에 대한 언급인데, 그는 "바로 최근에" 사망했다고 한다.[8] 그는 아마도 오랫동안 ''지리학''을 작업하고 꾸준히 수정했지만, 항상 일관되지는 않았다.
스트라본은 《지리학》 외에도 47권 분량의 《역사》(Historica hypomnemata)를 저술했으나, 대부분 유실되었다. 로마에 의한 그리스 정복부터 시작하여 당대 알려진 세계의 역사를 다룬 것으로 추정된다. 스트라보는 그것을 직접 인용하고 다른 고전 작가들도 그것이 존재했음을 언급하지만, 현재 밀라노 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파피루스 조각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문서이다 (번호 변경 [Papyrus] 46).
2. 4. 사망
스트라본의 사망 시기는 여러 이설이 있으나, 대부분 기원후 23년 직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35] 《지리학》에서 마우레타니아 왕 유바 2세의 죽음(기원후 23년)을 언급하며 "바로 요즘에"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 사망 시기 추정의 근거가 된다.[35] "요즘에"라는 표현을 "1년 내"로 간주하면, 스트라본은 기원후 24년이나 그 전 해에 집필을 중단했을 것이고, 그 무렵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후 21년을 사망 연도로 보는 설도 있다.[28]3. 《지리학》(Geographica)
스트라본은 17권 분량의 《지리학(Geographica)》을 통해 당대에 알려진 세계 여러 지역과 사람들의 역사를 기술했다.[35] 이 책은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특히 다른 자료들을 검증할 때 유용하다.
3. 1. 개요 및 구성
《지리학》(''Geographica'')은 스트라본이 평생 동안 여행하며 수집한 지리, 역사, 문화 정보를 집대성한 17권 분량의 저서이다. 이 책은 당대에 알려진 세계의 여러 지역과 사람들에 대한 서술적 역사를 담고 있으며,[35]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35] 특히 다른 자료들을 검증할 때 유용하며, 책에는 유럽 지도도 수록되어 있다.《지리학》은 동시대 작가들에게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지만, 비잔틴 제국 전역에 걸쳐 수많은 사본이 살아남았다.[16] 1469년경 로마에서 라틴어 번역본으로 서유럽에 처음 등장했으며, 초판은 1516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되었다.[16] 그리스 텍스트의 고전 학자이자 편집자인 아이작 카소본은 1587년에 최초의 비평판을 제공했다.
스트라본은 에라토스테네스와 히파르코스 같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들의 노력을 인정하면서도, 서술적인 접근 방식이 더 실용적이라고 주장했다.[17] 그는 자신의 저서가 국가와 지역의 특성에 대해 수치보다는 인류학적으로 더 관심이 있는 정치가들을 위해 설계되었다고 밝혔다.[17]
《지리학》은 고대 세계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이 정보가 다른 출처에 의해 뒷받침될 때 더욱 그러하다. 스트라본은 "서쪽으로는 사르데냐 맞은편의 에트루리아 지역까지, 남쪽으로는 흑해에서 에티오피아 국경까지 여행했다. 아마도 지리학을 쓴 사람들 중 내가 그 경계 사이에서 방문한 곳보다 더 많은 곳을 방문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광범위한 여행 경험을 강조했다.[18]
《지리학》의 저술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스트라본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서 "그의 선배들의 저작물"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초판은 기원전 7년에 출판되었고, 최종판은 스트라본의 마지막 해였을 수도 있는 서기 23년 이전에 출판되었다.[19] 《지리학》이 학자들에게 인정받고 표준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렸다.[19]
《지리학》의 마지막 책에는 알렉산드리아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등장한다. 스트라본은 알렉산드리아를 번창하는 항구 도시이자 고도로 발달된 지역 경제를 가진 도시로 묘사하며,[20] 도시의 아름다운 공원과 넓은 거리 네트워크에 주목했다.[21]
로렌스 킴은 스트라본이 《지리학》 전반에 걸쳐 친로마적이라고 평가했다.[22] 스트라본은 정치 및 군사 분야에서 로마의 우위를 인정하고 칭찬했지만, 다른 맥락에서는 그리스가 로마보다 우위를 차지하도록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유럽에서 스트라본은 다뉴브강(그는 다누이오스라고 불렀다)과 이스트로스를 연결한 최초의 인물이었으며, 명칭 변경은 현대 루마니아/세르비아 국경의 "급류", 즉 철문에서 발생했다고 기록했다.[23]
인도에 대해 스트라본은 자신이 방문한 적이 없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뱀과 같은 몸과 박쥐와 같은 날개를 가진 작은 날아다니는 파충류(인도 날도마뱀인 ''Draco dussumieri''와 일치), 날개 달린 전갈, 그리고 사실적인 생물과 함께 다른 신화적인 생물들을 묘사했다.[24] 헤로도토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와 같은 다른 역사가들도 비슷한 생물들을 언급했다.
3. 2. 내용 및 특징
스트라본은 17권 분량의 저서 《지리학(Geographica)》을 썼는데, 이 책은 당대에 알려진 세계의 여러 지역과 사람들의 역사를 기술한 책이다.[35] 이 책은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며, 특히 다른 자료들을 검증할 때 유용하다.스트라본은 에라토스테네스와 히파르코스 같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와 지리학자들의 업적을 인정하면서도, 서술적인 접근 방식이 더 실용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저서가 국가와 지역의 특성에 대해 수치보다는 인류학적으로 더 관심이 있는 정치가들을 위해 설계되었다고 밝혔다.[17]
《지리학》은 고대 세계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이 정보가 다른 출처에 의해 뒷받침될 때 더욱 그러하다. 스트라본은 "서쪽으로는 사르데냐 맞은편의 에트루리아 지역까지, 남쪽으로는 흑해에서 에티오피아 국경까지 여행했다"고 기록했다.[18]
3. 3. 주요 내용 (지역별)
스트라본은 유럽에서 다뉴브강(다누이오스)과 이스트로스를 연결한 최초의 인물로, 명칭 변경은 현대 루마니아/세르비아 국경의 "급류", 즉 철문에서 발생했다고 기록했다.[23]인도에 대해 스트라본은 자신이 방문한 적이 없음에도 불구, 뱀과 같은 몸과 박쥐와 같은 날개를 가진 작은 날아다니는 파충류(인도 날도마뱀인 ''Draco dussumieri''와 일치), 날개 달린 전갈 등 사실적인 생물과 신화적인 생물들을 묘사했다.[24] 헤로도토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도 비슷한 생물들을 언급했다.
알렉산드리아는 ''지리학'' 마지막 책에 광범위하게 등장하는데, 스트라본은 이 곳을 번창하는 항구 도시이자 고도로 발달된 지역 경제를 가진 도시로 묘사했다.[20] 그는 도시의 많은 아름다운 공원과 전차와 기마병이 다닐 수 있을 정도로 넓은 거리의 네트워크에 주목하며, "이 중 두 개는 폭이 매우 넓어 한 플레트론 이상이며 직각으로 교차한다... 모든 건물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건물들도 그 너머의 건물들과 연결되어 있다."라고 기록했다.[21]
3. 4. 스트라본의 관점
로렌스 킴은 스트라본이 《지리학》 전반에 걸쳐 친(親)로마적이라고 평가했다.[22] 스트라본은 정치 및 군사 분야에서 로마의 우위를 인정하고 칭찬했지만, 다른 맥락에서는 그리스가 로마보다 우위에 있도록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4. 지질학적 관찰
스트라본은 지질학적 현상을 관찰하고 기록했다. 그는 바다 조개 껍데기가 높은 고도와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많이 발견되는 이유에 대해 에라토스테네스 등 그리스인들의 의견을 설명했다.[25] 크산토스는 바다가 한때 더 넓었고 이후 부분적으로 말라갔다고 주장했다. 스트라톤은 강이 흑해로 운반하는 진흙 때문에 강바닥이 높아져 흑해가 내해였을 때 수위가 높아져 마르마라해로 연결되었다고 보았다. 스트라본은 이러한 이론들이 불충분하다고 여겨 땅과 바다가 동시에 융기하고 침강하여 범람하거나 제자리로 돌아간다는 자신의 이론을 제시했다.[25]
스트라본은 화폐석을 예로 들며 화석 형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피라미드 건설에 사용된 돌 채석장 근처에서 렌즈 모양의 돌멩이들을 발견하고, 노동자들의 음식이 돌로 변한 잔해라는 주장을 소개했지만, 이는 그럴듯하지 않다고 반박했다.[8]
그는 카타케카우메네(현대 튀르키예 쿨라)의 화산 활동(분출형 분화)을 관찰했는데, 이는 폼페이에서 서기 79년 베수비오 산 분화를 목격한 대 플리니우스보다 앞선 것이다.[26] 스트라본은 카타케카우메네 지역의 토양이 재로 덮여 있고 검은색이며, 마치 산악 지대가 화산의 불로 이루어진 것 같다고 묘사했다. 그는 이 재가 지하에서 터져 나온 불의 결과라고 주장하며, 세 개의 구덩이를 "피사스"라고 불렀고, 이 구덩이 위에 지열 덩어리가 땅에서 터져 나와 형성된 언덕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토양이 포도 재배에 매우 적합하다고 언급했다.[26]
4. 1. 퇴적층과 화석
스트라본은 지질학적 현상, 특히 퇴적층과 화석 형성에 대해 관찰하고 기록했다. 그는 바다 조개 껍데기가 높은 고도와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많이 묻혀 있는 이유에 대해 에라토스테네스 등 그리스인들의 의견을 자세히 설명했다.[25]크산토스는 바다가 한때 더 넓었고 이후 부분적으로 말라갔다고 주장했다. 스트라톤은 강이 흑해로 운반하는 진흙 때문에 강바닥이 높아져 흑해가 내해였을 때 수위가 높아져 마르마라해로 연결되었다고 보았다. 스트라본은 이러한 이론들이 불충분하다고 여겨 땅과 바다가 동시에 융기하고 침강하여 범람하거나 제자리로 돌아간다는 자신의 이론을 제시했다.[25]
스트라본은 화석 형성에 대해 언급하며 화폐석을 예로 들었다. 그는 피라미드 건설에 사용된 돌 채석장 근처에서 렌즈 모양의 돌멩이들을 발견하고, 노동자들의 음식이 돌로 변한 잔해라는 주장을 소개했지만, 이는 그럴듯하지 않다고 반박했다.[8]
4. 2. 화산 활동
스트라본은 그가 관찰한 카타케카우메네(현대 튀르키예 쿨라)의 화산 활동(분출형 분화)에 대해 언급했다. 그의 관찰은 폼페이에서 서기 79년 8월 24일 베수비오 산의 분화를 목격한 대 플리니우스보다 앞선 것이다.[26]스트라본은 카타케카우메네 지역의 토양이 재로 덮여 있고 검은색이며, 마치 산악 지대가 화산의 불로 이루어진 것 같다고 묘사했다. 그는 이 재가 벼락과 지하 폭발의 결과라는 추정과 전설적인 티폰 이야기가 이 지역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언급하며, 지하에서 터져 나온 불의 결과로 여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 개의 구덩이를 "피사스"라고 부르며, 이 구덩이 위에 지열 덩어리가 땅에서 터져 나와 형성된 언덕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토양은 포도 재배에 매우 적합하며, 재로 덮여 있고 여전히 최고의 와인이 풍부하게 생산되는 카타나토양과 같다고 언급했다.[26]
5. 《역사》(Historica hypomnemata)
스트라본의 《역사》( Historica hypomnematait )는 총 47권으로 구성되었으나, 대부분 유실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것은 이탈리아 밀라노 대학교가 소장한 파피루스 단편(파피루스 46)뿐이다.[35]
스트라본 본인이 《지리학》 내에서 언급한 내용을 통해, 《역사》가 《지리학》보다 먼저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리학》 서문(제 I권 1장 23절)에서 이미 쓴 역사 기록의 책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제 XI권 9장 3절에서는 "파르티아인의 법제에 관하여"가 《역사》의 제6권에 있다고 하면서 이 권이 "폴리비오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이후의 제2권"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초기 4권은 주로 폴리비오스의 책에서 인용한 기술이고, 제5권부터 내용이 크게 다르며, 제5권은 폴리비오스가 붓을 놓은 기원전 140년대 부근의 이야기이며, 그 이전은 요약에 가까운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II권 1장 9절에서 이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역사를 기록했을 때 (그 바탕이 된 자료에서) 인도의 정보가 대략적인 것을 절감했다는 내용에서, 이 초기 4권에 알렉산드로스의 이야기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인용을 통해서도 《역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수이다스는 "스트라본은 폴리비오스 이후의 일을 43권의 책에 담았다"고 언급하여 《역사》가 총 47권임을 알 수 있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 제 XV권 1장 2절에서 헤로데 대왕이 안티고노스를 처형시킨 내용(기원전 37년경)을 인용하면서, 적어도 기원전 37년까지는 기술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9][30]
스트라본이 《역사》를 저술할 때 참고한 주요 사료는 다음과 같다.[31]
사료 |
---|
에라토스테네스의 《지리학》 |
포세이도니오스의 《역사》 |
《폼페이우스전》 |
《오케아노스론》 |
폴리비오스의 《역사》 제34권 (유럽의 지지를 다루고 있다고 스트라본은 언급) |
아폴로도로스의 《군선 목록》 |
히파르코스의 "에라토스테네스 비판" |
참조
[1]
문서
Strabo
[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Brill's Companion to Ancient Geography: The Inhabited World in Greek and Rom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5-12-04
[4]
서적
The Poison King: The Life and Legend of Mithradates, Rome's Deadliest Enem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03
[5]
문서
Accompanied by prefect of Egypt Aelius Gallus, who had been sent on a military mission to Arabia.
[6]
서적
Geography
https://archive.org/[...]
William Heinemann
1917
[7]
웹사이트
When was the Geography written?
http://www.strabo.ca[...]
[8]
서적
Geography
https://archive.org/[...]
William Heinemann
1949
[9]
서적
Strabo, Geography, Volume I: Books 1–2
https://www.loebclas[...]
2018-09-08
[10]
웹사이트
Strabo | Greek geographer and historian
https://www.britanni[...]
[11]
문서
He mentions all or most of his teachers as prominent citizens of their own respective cities.
[12]
문서
This also highlights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era that Greek intellectuals would often instruct the Roman elite.
[13]
문서
Aristodemus was also the grandson of the famous [[Posidonius]], whose influence is manifest in Strabo's Geography.
[14]
문서
Largely due to his future teacher Athenodorus, tutor of [[Augustus]].
[15]
문서
Thus completing his traditional Greek aristocratic education in rhetoric, grammar, and philosophy. Tyrannion was known to have befriended Cicero and taught his nephew, Quintus.
[16]
문서
Geographie, Band 1, Strabo, S.17, Strabo, Karl Kärcher, Gottlieb Lukas Friedrich Tafel, Christian Nathanael Osiander, Gustav Schwab, Verlag Metzler, 1831.
[17]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Strabo
Routledge
[18]
웹사이트
LacusCurtius • Strabo's Geography — Book II Chapter 5 (§§ 1‑17)
https://penelope.uch[...]
2022-03-28
[19]
웹사이트
Strabo Critical Essays - eNotes.com
https://www.enotes.c[...]
[20]
문서
Strabo, Geography 17.1.6, 7, 8, 13; translated by Brent Shaw. Attained from: E.A. Pollard, C. Rosenberg, and R.L. Tignor, et al.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Concise, Volume One: Beginnings through the Fifteenth Century (W.W. Norton, 2015) Pg. 228
[21]
서적
Reading in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Allyn and Bacon
[22]
서적
Homer between History and Fiction in Imperial Greek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Ancient Geography: The Discovery of the World in Classical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5-08-27
[24]
웹사이트
Chapter 1 – Account of India by the Greek Writer Strabo
https://www.ibiblio.[...]
[25]
서적
Principles of Geology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832
[26]
서적
Geography
https://archive.org/[...]
William Heinemann
1950
[27]
문서
Jones, H. L., transl. (1917). The Geography of Strabo. London: Heinemann. In eight volumes: Vol 1; Vol 2; Vol 3; Vol 4; Vol 5; Vol 6; Vol 7; Vol 8.
[28]
문서
飯尾,1994,Ⅱ616頁にヌミディアの{{仮リンク|ユバ2世|en|Juba II}}について「最近歿した」との記載があり、ユバ二世が23年卒であることから、このように推定されている。ただし当該部分は後代の追記との説もある
[29]
문서
E・シューラー『イエス・キリスト時代のユダヤ民族史 I』、小河陽 訳、株式会社教文館、2012年、ISBN 978-4-7642-7351-1、P53-54。
[30]
문서
なお、ヨセフスは引用文の著者を「カッパドキア人ストラボン」と言っている(『古代誌』第XV巻1章2節など)ので、ポントゥスのアマセイア出身のこのページで扱われている「ストラボン」とは同名の別人ではないかという説も存在するが、ストラボン自身が『地理誌』第XII巻1章4節でポントゥス地方を「ポントゥスのそばのカッパドキア」と言っていることや、大プリニウスが『博物誌』第VI巻でアマセイアをカッパドキアの町としていること、ポントゥスの王ミトリダテスが碑文で「カッパドキア(の王)」と言われているものがあるのでポントゥスのアマセイアもカッパドキアに含まれるだけと考えられる.
E・シューラー『イエス・キリスト時代のユダヤ民族史 I』、小河陽 訳、株式会社教文館、2012年、ISBN 978-4-7642-7351-1、P54-55
[31]
문서
飯尾,1994,Ⅱ解説参照
[32]
문서
Strabo는 로마인들이 눈이 사시인 사람을 이르는 말이었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의 아버지도 [[폼페이우스 스트라보]]라고 불렸다. 시력이 좋아 멀리 있는 곳도 잘 보던 어느 시칠리아 사람도 "Strabo"로 불린 바 있다.
[33]
문서
《지리학》 12권 3장 15부, "아마세이아, 나의 고향."
[34]
문서
[[폰토스]]는 기원전 63년 [[폼페이우스 마그누스]]에 패망하였고, [[미트리다테스 6세]]가 죽은 뒤 기원전 64년에 작은 속주로 분할되었다. 12권 3장 41부에 보면 로마인들이 "내가 살던 시기 바로 직전에" 로마인들이 [[비티니아]]를 얻었다라고 하는데, 이를 통해 그의 출생년도를 기원전 63년 이후임을 짐작할 수 있다.
[35]
문서
Strabonis Geographica, Book 17, Chapter 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