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니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니움인(Samnites)은 로마인들이 부른 이탈리아 중부의 고대 민족으로, 사피니(Safinim)로도 불렸다. 사비니인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4세기부터 3세기까지 로마와 삼니움 전쟁을 벌였다. 이들은 군사적으로 강력했으며, 로마에 여러 차례 승리를 거두었으나 결국 패배하여 로마에 복속되었다. 삼니움인들은 자급농업과 목축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영했으며, 부족 간의 연합을 통해 정치 체제를 유지했다. 그들의 문화는 종교, 예술, 사회 구조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지녔으며, 로마의 지배 이후 로마화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브루초주의 역사 - 2009년 라퀼라 지진
    2009년 4월 6일 이탈리아 라퀼라 인근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6.3의 지진으로 라퀼라와 주변 지역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여 300명 이상의 사망자와 수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부실 건축과 지진 예측 논란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 아브루초주의 역사 - 사비니인
    사비니인은 고대 이탈리아에 거주했던 이탈리아계 민족으로, 로마 건국 설화 및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로마 사회에 통합되었다.
삼니움인
지도
개요
언어오스크어
거주 지역이탈리아 남중부 삼니움
다른 이름사피네이스
어원삼니움인 종족은 이탈리아의 신인 상쿠스의 아들인 사부스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포르키우스 카토가 기록했다.
역사
기원삼니움인들은 움브리아인의 후손으로, 펠라스기인에 의해 본래 거주지에서 쫓겨났다고 추정된다.
발전삼니움은 고대 로마와 치열한 전쟁을 벌인 강성한 민족이었다.
로마와의 전쟁제1차 삼니움 전쟁
제2차 삼니움 전쟁
제3차 삼니움 전쟁
결과삼니움인들은 로마에 패배하고 통합되었다.
로마 사회의 영향삼니움인들은 로마 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문화
사회삼니움 사회는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었다.
언어삼니움인들은 오스크어를 사용했다.
종교삼니움인들은 고유의 종교적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군사삼니움인들은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의 군사적 기술은 로마 군단에 영향을 주었다.
참고 문헌
참고 도서디오니시오스 할리카르나세우스, 《로마 고대사》 제2권 49장
토머스 헨리 다이어, 《로마 왕들의 역사》
아우구스토 안칠로티, 로몰로 체리, 《구비오 판과 움브리아 문명》
참고 웹사이트브리태니커 온라인: 삼니움인

2. 어원

로마인들은 삼니움 사람들을 삼니움인(Samnites)이라 불렀다. 이들이 스스로를 부르는 명칭은 나라에 대해서는 사피님(Safinim, 한 비문과 한 동전의 제명으로부터 증명됨), 민족에 대해서는 사피네이스(Safineis)였다.[181]

어원적으로 삼니움(Samnium)이라는 명칭은 일반적으로 움브리아인들인 사비니인들의 명칭에서 만들어졌다고 인식되었다.[182] 사피님, 사비누스(Sabinus), 사벨루스(Sabellus), 삼미스(Samnis)에서 *sabh-라는 인도 유럽어 어근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것은 라틴팔리스칸어군의 사비니에서의 사브-(Sab-), 오스칸움브리아어군의 사피네이스에서의 사프-(Saf-)가 되었다.[183] 사비니인들의 시조신 사부스도 이 이론을 뒷받침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을 칭하는 그리스어 용어 사우니타이(Saunitai)와 사우니티스(Saunitis)는 여기에 속하지 않으며,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언어학자 율리우스 포코르니는 삼니움의 어원을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았다. 그는 선사시대의 일리리아 체류 동안에 ‘오’(-o-)에서 ‘아’(-a-)로 바뀌었다고 추측했으며, e 계열의 소유 형용사의 *swe-bho-, 재귀 대명사의 *s(e)we-, (영어에서의 self의 어원인) oneself의 *se-가 확장된 *swo-bho-- 등으로부터 삼니움의 명칭들을 이끌어냈다. 이에 대한 결론에는 많은 친족 어휘들뿐 아니라, 게르만계열의 수에비족, 셈노네스족, 수이오네스족, 켈트계열의 세노네스족, 슬라브계열의 세르비아인, 소르브인, 이탈리아계열의 사벨리족, 사비니인 등의 인도 유럽계 부족들의 이름들이 있다.[184]

3. 역사

삼니움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354년 로마와 리리스강을 경계로 하는 조약을 맺은 것이다.[180] 이후 삼니움 전쟁이 발발했고, 기원전 321년 삼니움인들은 로마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기원전 316년에는 로마로부터 더 많은 영토를 얻어냈다. 기원전 290년 로마는 힘겨운 전투 끝에 삼니움인들을 제압했다.

피로스 전쟁 때 삼니움인들은 피로스와 동맹을 맺었다. 피로스가 시칠리아로 떠나자 로마는 삼니움을 침공했으나 크라니타 언덕 전투에서 패배했다. 그러나 피로스의 패배 이후 삼니움인들은 로마에 항복했다. 일부는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을 도왔지만, 대부분은 로마에 충성했다.

삼니움인들은 동맹시 전쟁에서 로마에 저항한 마지막 부족이었다. 기원전 82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로마의 적이었던 삼니움인들에게 민족 청소를 명령하여 남은 이들을 흩어지게 했다. 이로 인해 “그들의 도시는 마을로 작아졌고, 심지어 일부는 완전히 황폐해졌다”라고 기록될 정도로 큰 파괴가 발생했다.[180]

3. 1. 기원과 초기 역사

1911년 윌리엄 R 셰퍼드의 ''The Historical Atlas''에 실린 고대 삼니움 지도.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삼니움 문명이 사비니족 추방자 집단에서 유래했다고 기록했다. 이 기록에 따르면, 기근이나 움브리아인과의 전쟁 종식 시도의 일환으로 사비니족은 베르 사크룸을 서약했다. 이 의식의 일환으로 그 해에 생산된 모든 것은, 유아를 포함하여, 희생되었다.[14] 이 유아들이 성인이 되자 추방되었고, 황소의 인도를 받아 새로운 조국으로 향했다.[15][16] 그들은 이 땅에 도착하자 이 황소를 마르스에게 희생했다.[9][17]

다른 삼니움 부족들은 다른 동물들의 인도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히르피니족은 늑대의 인도를 받았다고 주장했고, 피켄테스족은 딱따구리의 인도를 받았다고 주장했다.[18][19] 일설에는 삼니움인들이 스파르타와 관련이 있었을 수도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이 전설은 위작일 가능성이 높다. 이 전설은 삼니움인들과의 동맹을 위하거나, 그들의 세계관에 이탈리아 민족을 포함시키기 위해, 또는 삼니움인들과 스파르타인들 사이의 유사점을 강조하기 위해 그리스인들이 만들었을 수도 있다.[20] 고고학적 증거는 삼니움 문명이 기존의 이탈리아 문화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21]

에트루리아인들이 5세기에 캄파니아를 버린 후, 삼니움인들은 그 지역을 정복했다.[22] 폼페이헤르쿨라네움과 같은 도시들이 정복당했다.[23] 어떤 삼니움 도시들이 이 원정에 참여했고, 왜 그랬는지는 불분명하다.[24] 그들은 비옥한 토지를 원했거나 인구 과잉을 완화하려고 했을 수도 있다. 이 이론은 삼니움인들이 열악한 농업 산업을 가지고 있었던 데에 의존하지만, 다른 증거들에 의해 반박된다. 또는 삼니움인들은 볼투르노 강과 다른 자원에 대한 접근을 원했을 수도 있다. 이탈리아에서 그리스의 패권이 약해지자 삼니움인들은 침략하여 이전 땅의 대부분을 정복했다.[25][26][27] 그들은 쿠마이와 같은 도시들을 정복했지만, 나폴리를 점령하는 데는 실패했다.[28][29][30]

3. 2. 삼니움 전쟁



삼니움인에 대한 첫 기록은 기원전 354년 로마인들과 리리스강을 경계로 설정한 조약이다.[180] 얼마 후 삼니움 전쟁이 발발했고, 기원전 321년 삼니움인들은 로마군을 상대로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으며, 기원전 316년에는 로마로부터 더 많은 영토를 얻어 최대 영토를 확보했다. 기원전 290년 로마인들은 힘겨운 전투 끝에 삼니움인들의 우세를 무너뜨렸다.

카우디네 포르케 전투의 루카니아식 묘사


삼니움인들은 피로스 전쟁 기간에 피로스와 동맹을 맺은 이탈리아 부족 중 하나였다. 피로스가 시칠리아로 떠나자 로마인들이 삼니움을 침공했으나 크라니타 언덕 전투에서 패배했다. 그러나 피로스가 패배한 후, 삼니움인들은 더 이상 저항이 불가능했고 로마에 항복했다. 일부는 제2차 포에니 전쟁 기간에 한니발을 도왔지만, 대부분은 로마에 충성했다. 삼니움인들은 동맹시 전쟁에서 로마에 맞선 마지막 부족이었다. 기원전 82년, 집정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로마의 완고한 적이었던 삼니움인들에게 민족 청소를 지시했고, 남은 이들을 뿔뿔이 흩어지게 했다. 그 결과, “그들의 도시는 마을로 작아졌고, 심지어 일부는 완전히 황폐해졌다”라고 기록될 정도로 큰 파괴를 가져왔다.[180]

로마는 볼스키족 정복 후 삼니움족과 처음 접촉했다. 기원전 354년, 양측은 리리스 강을 경계로 삼기로 합의했다.[33]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는 삼니움족이 캄파니아인을 공격하자 캄파니아인이 로마와 동맹을 맺었고, 기원전 343년 양측 간의 전쟁이 발발했다고 기록했다.[34][35][36] 그러나 이러한 전쟁 발발 원인에 대한 설명은 현대 역사가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37][38] 리비우스는 선전을 위해, 혹은 다른 갈등과 비교하기 위해 이렇게 썼을 가능성이 있다. 삼니움족의 세 차례 패배와 로마의 침략 이후, 삼니움족은 평화 조약에 서명했다.[39][40][41]

제2차 삼니움 전쟁 발발 원인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명이 있다. 로마가 베스티니족과의 삼니움족 동맹, 프레겔라에 및 팔레오폴리스(나폴리 역사 참조)에 대한 전쟁을 이유로 선전포고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로마는 베나프룸 도시의 경제적 번영을 이용하려 했다.[33] 삼니움족이 중요한 경제적 요충지를 장악하려 했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했을 수도 있다.[5] 카우디네 포르케 전투에서 로마가 패한 후 양측은 휴전했다.[36][37][42] 기원전 326년 전투가 재개되었다.[37] 로마군이 아풀리아와 삼니움으로 원정을 간 후 전쟁이 끝났다.[39] 전쟁 후 로마는 보비아눔(보야노 참조)과 프레겔라에를 병합하고 삼니움족을 아풀리아에서 몰아냈다.[37][40][41]

기원전 298년, 로마의 보호를 요청한 루카니아인을 둘러싼 긴장으로 제3차 삼니움 전쟁이 발발했다.[5][40][43] 다른 전선에서는 로마와 피켄테스족 간의 조약이 에트루리아인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삼니움족이 아퀼로니아 전투에서 패한 후 전쟁이 끝났다.[39] 그 후 삼니움은 정복되었고 삼니움족은 로마 사회에 동화되었다.[33][41][44]

3. 3. 로마 복속 이후



사회 전쟁(기원전 91~87년)을 묘사한 동전. 삼니움 병사들이 로마와 싸울 것을 맹세하고 있다


피로스 전쟁 때 삼니움인들은 에피로스의 피로스 왕과 동맹을 맺었다.[45] 피로스가 시칠리아로 떠난 후 로마군이 삼니움을 침략했으나, 크라니타 언덕 전투에서 크게 패했다. 하지만 피로스가 패배하자, 삼니움인들은 더 이상 저항할 수 없어 로마에 항복했다. 일부는 포에니 전쟁한니발 편에 섰지만, 대부분은 로마에 충성했다.[46]

로마가 삼니움인들에게 로마 시민권을 주지 않자, 이들은 다른 이탈리아 민족들과 함께 로마에 맞서 봉기했다. 이탈리아 동맹 전쟁은 거의 4년 동안 이어졌고 로마의 승리로 끝났다. 이 전쟁 후, 삼니움인들과 다른 이탈리아 부족들에게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삼니움인들은 술라의 내전에서 마리우스와 그나이우스 파피리우스 카르보를 지지했다. 폰티우스 텔레시누스와 루카니아인 마르쿠스 람포니우스가 이끄는 4만 명의 삼니움군과 동맹군은 콜리나 문 전투에서 술라와 싸웠다.[47] 전투와 전쟁에서 패배한 후, 폰티우스는 처형되었다.[48][49][50]

로마 독재관이 된 술라는 자신에게 반대했던 자들을 처벌하도록 명령했다.[51] 마리우스파의 주요 지지자였던 삼니움인들은 매우 심하게 처벌받아 "그들의 도시 중 일부는 마을로 쇠퇴했고, 일부는 완전히 버려졌다"고 기록되었다. 그 후 삼니움인들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았고, 라틴화되어 로마 세계에 동화되었다.[16][52] 카시이, 헤레니이, 폰티이, 비비이 등 삼니움 출신 여러 겐티스들이 높은 지위에 오르기도 했다.[9]

4. 사회

삼니움 사회는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천연 자원이 부족하여, 자급 농업, 혼합 농업, 축산업, 양 사육, 유목, 소농 경영 중심의 혼합 경제가 발달했다. 이러한 농업의 번성은 삼니움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철기 시대 삼니움은 부족장과 귀족들이 장례 의례를 통해 부와 권력을 과시하며 통치했다. 기원전 4세기와 3세기 초에는 ''메디스(meddiss)''라는 선출직 관리가 ''파기(pagi)''라는 행정 구역을 운영하고, ''파기''는 다시 ''투토스(toutos)''라는 삼니움 부족으로 조직되는 등, 농촌 정착촌 중심의 조직으로 발전했다. 각 ''투토''는 ''메디스 투브틱스(meddíss túvtiks)''라는 최고 집행 및 사법 권한을 가진 관리가 매년 선출되어 이끌었다.

삼니움의 파구스-비쿠스 체계 묘사


''콤벤니오(kombennio)''[73]는 관리 선출, 법 제정, 집행을 담당했으며,[5][74] 원로원과 유사한 정치 조직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73] 원로원은 보비아눔(Bovianum)과 같은 삼니움 부족의 수도에 위치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 형태가 로마 정복 이전에 존재했는지는 불분명하다.[75] 이러한 민주적 제도에도 불구하고, 삼니움 사회는 소수의 귀족 가문에 의해 지배되었다.[39][76]

각 삼니움 부족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했지만, 라틴 동맹과 유사한 부족 간의 연합이 종종 형성되었다. 이러한 동맹은 주로 군국주의적 성격을 띠었으며, 총사령관이 동맹이 제정한 모든 법을 집행했다.[77] 동맹이 법안을 통과시키려면 각 부족 지도자들의 만장일치 동의가 필요했다.[31][37] 이러한 정치 체제는 삼니움이 로마에 정복된 이후에도, 권력이 다소 축소된 형태로 유지되었다.

로마 역사가들은 삼니움 사회가 매우 군국주의적이었다고 믿었으며, 삼니움의 기병과 보병을 두려워하여 "전사 삼니움인"(Belliger Samnis)이라고 불렀다.[5][79] 하지만 삼니움 문명이 사라진 후에 쓰여진 로마의 역사 기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묘사가 정확한지, 선전은 아니었는지 불분명하다.[55][80]

삼니움 초기에는 군대가 지역 지도자들이 이끄는 훈련된 전사들로 구성되었다. 군대와 군장비에 대한 접근은 개인의 부와 사회적 지위에 달려 있었으며, 가난하고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농업과 같은 일에 종사해야 했다.[81] 삼니움 병사들은 폼페이의 삼각 광장(triangular forum)에서 어린 시절부터 '베레이아(Vereiia)'라는 집단의 일원으로 훈련을 받았을 것이며, 로마 정복 후 '베레이아'는 지역 사회 봉사 집단으로 발전했다.[5][82]

삼니움 전쟁 동안 군대는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의 군대와 유사하게 진화했다. 이 새로운 체계는 400명으로 구성된 팔랑크스, 호플리테스, 마니풀(Maniple), 코호트(Cohort)를 사용하여 산악 지형에서도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는 유연한 군대를 만들었다.[83][84][85] 하층민 병사들이 징집되기 시작하면서 군대 규모는 수천 명으로 증가했지만, 이러한 신병들은 숙련도가 낮고 훈련이 부족했다.

4. 1. 경제

삼니움 지방은 대부분 험준하고 산악 지형으로 천연자원이 부족했다.[25][53][54] 이 때문에 비옥한 토지가 적어, 고도로 발달된 자급농업, 혼합농업, 축산업, 양 사육, 유목, 소농 경영에 중점을 둔 혼합경제가 발달했다.[25][53][54] 삼니움의 농업 번성은 다른 문명과의 갈등 및 삼니움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1]

월계관이 장식된 창촉을 묘사한 삼니움 동전


삼니움 경제에서 유목과 가축의 중요성은 고향 지형의 결과였다.[55][56][57] 말, 가금류, 소, 염소, 돼지, 양은 모두 흔하고 중요한 가축이었다.[58] 이들은 상품으로 거래되거나 식량원이 될 수 있어 귀중했다. 삼니움 경제의 중요한 부분은 가축을 여름 목초지에서 겨울 목초지로 계절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이었다.[31][59][60] 연례적인 단거리 수직이동은 귀족들의 부의 기반을 형성했다.[124] 아풀리아와 삼니움 사이에는 장거리 수직이동이 이루어졌다.[53][31]

기원전 5세기와 4세기 동안 인구 증가와 다른 이탈리아 지역과의 무역 연결은 농업과 도시 개발을 촉진했다. 라리눔(Larinum)에서 가장 두드러진 이 변화는 제분소와 탈곡장을 갖춘 주요 곡물 생산지로 시작, 나중에 비페르노 계곡(Biferno Valley)의 모든 경제 활동 중심지로 발전했다.[61] 삼니움은 곡물, 양배추, 올리브, 올리브 오일, 포도주, 청동, 철, 직물, 콩류, 포도나무 등을 수출했다.[62][63][64] 캄파니아, 에트루리아, 라티움, 아풀리아, 마그나 그라에키아에서 청동 그릇과 부케로(bucchero) 같은 재료를 수입했다.[56][31] 이러한 무역망은 사비니족, 라틴족, 에트루리아족 같은 다른 문화의 제품과 사상을 받아들였다.[31][65][66]

삼니움 화폐는 기원전 5세기 후반과 4세기 초에 발전했는데, 이는 그리스와 상호 작용 및 용병 필요성을 야기한 전쟁의 결과였을 가능성이 높다. 청동 또는 은 화폐는 나폴리에서 생산, 도시 공방에서 "주문"되었거나, 삼니움 도시들이 재료를 공급했거나, 삼니움 용병들이 일했던 타란토(Taranto) 같은 도시에서 수입되었을 수 있다. 이 시대 화폐는 알리파에(Allifae), 놀라(Nola), 필리스티아(Philistia) 같은 장소나 캄파니아인을 묘사했다. 이는 삼니움 정치 구조 발전과 관련 있으며, 개인보다는 행정 업무 자금 지원을 위해 정부 기관에서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초기 고액 화폐 생산 이후 삼니움은 화폐 주조를 줄였다.[31][67]

피불라와 족집게 디자인이 새겨진 삼니움 베틀추


삼니움 전역에서 발견된 수많은 베틀추는 삼니움이 상당량의 모직물과 가죽을 생산했음을 보여준다. 베틀추에는 새겨진 선, 점, 타원형 스탬프, 보석 인상, 금속 인장 반지 인상으로 패턴을 만들었다. 일반적인 패턴은 피라미드, 별, 점선, 새겨진 십자 모티브였다. 모티브는 잎, 꽃, 석류, 신화적 인물 모양일 수 있다. 로크리(Locri) 마을 출토 베틀추에는 리라를 연주하는 사티로스 보석 인상이 있다. 새겨진 그리스어 단어가 있는 삼니움 토기 조각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는 직물 패턴에서 실 정렬 방법을 알려주거나, 제품 품질 표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수 있다. 그리스어 비문은 베틀추나 천 무게, 천 치수를 나타냈을 수 있다.[68]

삼니움은 검은 광택 암포라, 테라코타, 임파스토 토기도 생산했다. 바니시라는 보호 코팅[69]은 토기와 암포라에 사용되었다. 암포라는 대부분 로도스섬에서 왔고, 토기는 주로 그리스에서 구입했다.[70] 아드리아해 근처 북아프리카 지역 토기는 드물게 수입되었다. 삼니움 사회 도시화 이후 헬레니즘 또는 이탈리아 토기 생산이 급증했다.[71] 도자기, 토기, 암포라는 종종 패턴을 사용했는데, 대부분 장인 상표 또는 서명이었다.

4. 2. 정치

철기 시대 삼니움은 부족장과 귀족들이 장례 의례를 통해 부와 권력을 과시하며 통치했다. 기원전 4세기와 3세기 초, 삼니움의 정치 체제는 관리들이 이끄는 농촌 정착촌 중심의 조직으로 발전했다.[10]

삼니움 사회 계층의 최하층에는 ''비키(vici)''라 불리는 정착촌이 있었다. 이들은 ''메디스(meddiss)''라는 선출직 관리가 운영하는 ''파기(pagi)''라는 행정 구역으로 묶였다. ''파기''는 다시 ''투토스(toutos)''라는 삼니움 부족으로 조직되었다. 각 ''투토''는 ''메디스 투브틱스(meddíss túvtiks)''라는 최고 집행 및 사법 권한을 가진 관리가 매년 선출되어 이끌었다.

''콤벤니오(kombennio)''와 같이 의회, 집회, 또는 원로원과 유사한 정치 조직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73] ''콤벤니오''는 폼페이의 민주주의 조직으로, 관리 선출, 법 제정, 집행을 담당했다.[5][74] 원로원은 보비아눔(Bovianum)과 같은 삼니움 부족의 수도, 펜트리(Pentri)의 수도에 위치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 형태가 로마 정복 이전에 존재했는지는 불분명하다.[75] 이러한 민주적 제도에도 불구하고, 삼니움 사회는 파피우스(Papia gens), 스타티우스(Statia gens), 에그나티우스(Egnatia gens), 스타이우스(Staia gens)와 같은 소수의 귀족 가문에 의해 지배되었다.[39][76]

각 삼니움 부족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라틴 동맹과 유사한 부족 간의 연합이 종종 형성되었다. 이러한 동맹은 주로 군국주의적 성격을 띠었으며, 총사령관이 동맹이 제정한 모든 법을 집행했다.[77] 동맹이 법안을 통과시키려면 각 부족 지도자들의 만장일치 동의가 필요했다.[31][37] 이러한 동맹은 드물었으며, 일부 부족이 통합되더라도 다른 부족이 통합을 거부할 수도 있었다. 프렌타니(Frentani)는 이 동맹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또 다른 이탈리아 부족이었지만, 동맹 내 그들의 중요성은 과장되었을 수 있다. 이 조직에서 삼니움 부족의 중요성 또한 과장되었을 수 있으며, 도시들이 더 많은 정치적 권력을 가졌을 수도 있다.[78]

이러한 정치 체제는 삼니움이 로마에 정복된 이후에도, 권력이 다소 축소된 형태로 유지되었다. ''투토''와 ''파구스''는 소규모 공화국으로 기능하기 시작했고, ''비쿠스''는 변함없이 남았다. 로마의 유일한 간섭은 자치시(Municipium)가 이전 모든 제도에 대해 권한을 가지고 무효화할 수 있었던 반면, 지방관(prefect)들은 삼니움에 대한 권한이 거의 없었다는 것이다.[56]

4. 3. 군사

로마 역사가들은 삼니움 사회가 매우 군국주의적이었다고 믿었다. 그들은 삼니움의 기병과 보병을 두려워했으며, "전사 삼니움인"(Belliger Samnis)이라고 불렀다.[5][79] 하지만 삼니움 문명이 사라진 후에 쓰여진 로마의 역사 기록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묘사가 정확한지 불분명하다. 이러한 기록의 상당 부분은 선전일 가능성도 있다.[55][80]

삼니움 초기에는 군대가 지역 지도자들이 이끄는 훈련된 전사들로 구성되었다. 군대와 군장비에 대한 접근은 개인의 부와 사회적 지위에 달려 있었으며, 가난하고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농업과 같은 일에 종사해야 했다.[81] 삼니움 병사들은 폼페이의 삼각 광장(triangular forum)에서 어린 시절부터 '베레이아(Vereiia)'로 알려진 집단의 일원으로 훈련을 받았을 것이다. 로마 정복 후 '베레이아'는 지역 사회 봉사 집단으로 발전했다.[5][82]

삼니움 전쟁 동안 군대는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의 군대와 유사하게 진화했다. 이 새로운 체계는 400명으로 구성된 팔랑크스, 호플리테스, 마니풀(Maniple), 코호트(Cohort)를 사용하여 산악 지형에서도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는 유연한 군대를 만들었다.[83][84][85] 하층민 병사들이 징집되기 시작하면서 군대 규모는 수천 명으로 증가했지만, 이러한 신병들은 숙련도가 낮고 훈련이 부족했다.

리비우스는 "린넨 군단"(legio linteata)을 언급한다.[86] 이 부대는 다른 삼니움 전사들과 차별화하기 위해 화려한 장비를 사용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이 군단은 아마포 구조물 안에서 전투에서 결코 도망치지 않겠다는 맹세를 했다.[87][88] 학자들은 이러한 묘사가 "문명화된" 로마인과 로마의 야만적인 적들 사이의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라고 믿는다.[89] 리비우스는 또한 단일 부대를 통해 삼니움의 역사적, 종교적 권력을 전달하려고 시도했을 수도 있다.[90] 고고학적 증거를 뒷받침하는 다른 학자들은 이 이야기를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경솔한" 일이라고 말한다.[5][54]

브론즈 사무니트 흉갑. 이 유물은 기원전 400년에서 300년 사이 남부 이탈리아 출토품이다.


사무니트 병사들은 작은 단일 원반형 흉갑을 착용했다. 카르디오필락스(kardiophylax)라고 불리는 이 흉갑은 어깨, 가슴, 등을 감싸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여러 지점에 부착되었다. 삼중 원반 흉갑이 더 나은 보호 기능을 제공했지만, 이 갑옷은 계속해서 지위 상징으로 사용되었다.[91] 삼중 원반 흉갑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92][93]

  • 첫 번째 유형은 세 개의 동일한 원반 사이의 공간을 청동으로 채웠다. 이 청동에는 작은 고리가 부착되었고, 측면 끈을 사용하여 갑옷을 고정했다. 어깨 끈도 이 작은 고리에 고정되었다.
  • 두 번째 유형은 원반 윤곽을 나타내는 테두리를 사용했고,
  • 세 번째 유형은 아테나 또는 악마와 같은 종교적 인물의 머리를 묘사하는 판을 사용했다.


세 가지 유형 모두 아래쪽과 두 개의 위쪽 원반 사이에 원반을 배치하여 삼각형 모양을 형성하여 제작되었다.[127]

가죽, 금 또는 청동으로 만든 넓은 벨트는 일반적인 갑옷 부분이었으며, 사무니트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이것은 아마도 복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사무니트 벨트는 섭씨 800도에서 주석 합금을 가열하여 만들었다. 그 후 섭씨 600~800도의 온도에서 벨트 작업을 수행했다. 망치와 연마제를 사용하여 띠를 갈아서 색으로 만들었다. 벨트 제작 시에는 열처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재료의 내구성을 높였다.[94]

사무니트 투구는 그리스 군사 장비를 기반으로 했다. 뺨 보호대, 정수리 장식, 깃털 장식을 사용했다. 정수리 장식은 일반적으로 말총을 투구 뒤쪽에 매달린 금속 조각에 고정하여 만들었다. 리벳을 사용하여 정수리 장식을 투구 꼭대기에 고정할 수도 있었다. 또 다른 유형의 정수리 장식은 가늘고 숱이 많으며 긴 끝이 자유롭게 흐르는 것이었다. 깃털은 사무니트 정수리 장식과 깃털 장식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95][127]

병사들은 바위 위에 다리를 올려놓고 손으로 장비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면서 경각기를 착용했다. 이 장비는 발목까지 내려왔으며, 소유자에게 맞게 주문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사무니트 병사들이 경각기를 착용한 묘사는 거의 없는데, 이는 의식과 "모의 전투" 이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127]

296x296px


사무니테들은 창과 투창과 같은 투사체 무기를 흔히 사용했다. 창촉은 두 개의 청동 또는 철 부분으로 만들어졌다. [96] 위쪽 부분은 창촉 자체였고, 아래쪽 부분은 관을 사용하여 나무 자루의 끝을 지지했다. 창촉에 자루를 고정하기 위해 자루에 구멍을 뚫고 을 박았다. 관은 창을 청동 창끝 보호대에 맞추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나무 자루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투사 무기는 사무니테 전술에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병사가 투사체를 다 써 버리면 땅에서 돌을 던졌다.

창과 함께 병사들은 검이나 심지어 격투를 사용하기도 했다.[97] 토기와 카페스트라노 전사와 같은 작은 조각상의 묘사는 사무니테 병사들이 청동기 시대의 검인 안테나 검이라고 불리는 종류의 검을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사무니테 문명과 관련된 또 다른 종류의 검은 단검이다. 단검은 전사의 몸이나 검의 손잡이에 고정된 긴 끈을 사용하여 휴대했다.[127] 사무니테 예술은 병사들이 의식에서 검을 받고, 검을 받고 싶어하는 전사들을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단검이 사무니테 사회에서 매우 귀중하게 여겨졌음을 암시한다. 곤봉은 창이나 투창보다 드물었지만 여전히 흔했다. 곤봉은 구멍이나 소켓으로 고정된 손잡이에 무겁고 장식이 없는 철 머리가 달려 있었다. 도끼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주로 권력의 상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36]

사무니테 방패에 대한 고고학적 기록은 거의 없는데, 남아 있는 대부분의 방패는 구성 요소가 많이 파괴되었기 때문이다. 사무니테 예술은 일반적으로 사무니테 병사들이 ''아스피스''라고 불리는 원형 방패를 사용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 방패를 휴대하기 위해 두 개의 을 사용했다. 한 개의 끈은 가죽으로 만들어졌고, 무늬로 장식되었으며, 방패 중앙을 따라 수직으로 달렸다. 또 다른 끈은 단단히 잡을 수 있도록 방패 가장자리 근처를 따라 수직으로 달렸다. ''아스피스''와 함께 사무니테들은 뾰족한 끝과 새겨진 장식이 있는 청동 타원형 방패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사무니테들이 ''스쿠타''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사무니테 ''스쿠툼''이 로마 방패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지만;[97] 그러나 이에 대한 증거는 불분명하다. 사무니테 예술은 그들의 병사들이 ''스쿠타''를 휴대하는 것을 묘사하고 있지만, 적에게서 빼앗은 전리품이거나 고대 그리스 예술을 모방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98][99] 리비우스는 사무니테 방패가 어깨와 가슴 근처에서는 넓고, 발쪽으로 갈수록 얇았다고 말한다.[100][101] 그러나 고고학적 증거는 이러한 생각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리비우스는 아마도 사무니테 검투사의 장비를 사무니테 병사의 장비로 잘못 이해했을 것이다.[127]

5. 문화

삼니움 문화는 미신의 지배를 받았다.[5][102][103] 삼니움인들은 마법이 현실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었고, 점복술을 행했다.[9][56][60]

삼니움 여성은 가정과 의례라는 두 가지 주요 역할을 맡았다. 여성들은 직조를 했는데, 이는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55][123][124] 이 외에도 어린 소녀들에게 춤을 가르치고, 아이를 돌보며, 집안일을 관리하는 역할도 맡았다.[55][58]

삼니움 사회는 전사여야 하는 남성과 "보석으로 치장된" 여성이라는 성별 구분을 강화했을 수 있다.[5][129] 남성은 무기와 갑옷을 가지고 매장된 반면, 여성은 실패나 보석과 같은 가정용품과 함께 매장되었다.

캄포 콘솔리노(Campo Consolino)에서 특정 물품과 함께 매장된 남성 또는 여성 무덤의 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


그러나 많은 무덤이 각 성별에 특징적인 물품과 함께 매장되지 않았다. 일부 삼니움 남성은 여성과 관련된 물품과 함께 매장되었고, 일부 삼니움 여성은 남성과 관련된 물품과 함께 매장되었다.[133]

삼니움인들이 폼페이에서 사용한 최초의 미술 양식은 그리스 화가들이 이탈리아로 건너와 현지 귀족들을 위해 그림을 그리면서 발전했다.[136] 삼니움 미술은 다색 벽화회화를 특징으로 한다.

캄파니아 박물관(Museo Campano) 출토 삼니움 미술 조각


삼니움인들의 의복은 대부분 느슨하게 걸치거나 드레이핑하여 접는 방식이었으며, 바느질하거나 봉합하지 않았다.

남자들은 반지, 뱀 머리 모양 부적, 목걸이를 착용했다. 여성 의복은 그리스 의복과 유사했다. 긴 소매 없는 펩로스, 모자, 필레우스와 유사한 모자, 키톤, 장식된 벨트, 샤틀랭 등을 착용했다.

고대 삼니움에서는 남녀 모두 신발을 신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스타일의 신발이 존재했다.

삼니움 전쟁 동안 삼니움 도시들은 성벽과 다른 방어 시설을 갖추기 시작했다. 성벽은 일반적으로 거칠고 조잡했으며, 근처에 다른 방어 시설 없이 언덕 꼭대기에 위치했다.

에트루리아식 부케로. 이러한 종류의 잔은 삼니움인들이 사용했을 것이다.


사에피눔의 원형극장


헤르쿨라네움의 삼니움 주택


폼페이나 헤르쿨라네움의 삼니움 건축은 종종 그리스 건축과 유사했다.[56]

5. 1. 종교

삼니움의 여신 메피티스


삼니움 문화는 미신의 지배를 받았다.[5][102][103] 삼니움인들은 마법이 현실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었고, 점복술을 행했다.[9][56][60] 삼니움 신화에는 '누미나'라고 불리는 정령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56][104][105] 이 정령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했고, 이는 삼니움의 신과 여신 숭배로 이어졌다.[106][107][108] 불카누스, 디아나, 메피티스 등 여러 신들이 숭배되었으며, 그중 마르스가 가장 중요한 신이었다.[56][112] 삼니움인들은 신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봉납물과 동물을 제물로 바쳤다.[56][113][114] '베르 사크룸'이라는 의식을 통해 특정 해에 생산된 모든 것을 추방하거나 신에게 바치기도 했다.[5][115][116] 다만, 리비우스가 이러한 관행을 선전 목적으로 각색했을 가능성도 있다.[60][85][117]

삼니움인들은 무덤에 부장품을 함께 묻는 경우가 많았다. 부유층은 조각상이나 비석이 있는 무덤을 만들었는데, 이는 생전의 재산과 지위를 나타내는 것이었다.[55] 매장에는 특정 관행이 따랐으며,[118][119][120]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에도 불구하고 매장 자체가 드물었기 때문에, 매장은 사회적 지위를 보여주는 표시였을 가능성이 크다.

신전은 삼니움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46][56][60] 신전은 이동 경로에서 돈을 걷거나, 경계를 표시하고, 의사소통의 중심지이자 예배 장소로 기능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정부의 역할도 수행했다.[56][46] 시간이 흐르면서 신전은 삼니움 문화에서 중요성이 떨어졌고, 결국 모두 버려졌다.[56][121][122]

5. 2. 성 역할

삼니움 여성은 가정과 의례라는 두 가지 주요 역할을 맡았다. 여성들은 직조를 했는데, 이는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55][123][124] 또한 고대 그리스나 에트루리아의 연회와 같은 심포지엄을 통해 약간의 정치적 권력을 행사했을 가능성도 있다.[125] 이 외에도 어린 소녀들에게 춤을 가르치고, 아이를 돌보며, 집안일을 관리하는 역할도 맡았다.[55][58] 삼니움 부부 관계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제사 장면은 아내가 남편에게 충실하고 헌신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는 듯하다.[127] 여성은 규율을 잘 지켜야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호라티우스의 「오데」에서는 여성들이 이러한 특성이 부족하다고 불평한다. 이는 아마도 삼니움의 관습을 바탕으로 여성에게 기대되는 바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126] 또 다른 가능성은 여성들이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는 것이지만, 그들은 단지 파트너의 부를 과시하는 역할만 했을 수도 있다. 삼니움 여성을 묘사한 예술 작품과 도자기를 보면, 의례에 참여하거나 봉헌물이 있는 제단 근처에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127] 이러한 의례는 보통 여성이 포도주를 바치거나, 전투에 나가기 전 남편을 위해 기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삼니움 사람들이 처녀 10명과 그들의 성(性)을 가장 잘 대표하는 젊은 남성 10명을 뽑아 결혼시켰다고 전한다.[128] 그 후, 두 번째로 훌륭한 여성을 두 번째로 훌륭한 남성과 짝지어주는 식으로, 20명 모두가 서로에게 배정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최고"의 남성과 여성은 운동 능력을 기준으로 선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들 중 누구라도 불명예스러운 행동을 하면, 추방되어 파트너와 강제로 헤어져야 했다.[5][9][58]

삼니움 사회는 전사여야 하는 남성과 "보석으로 치장된" 여성이라는 성별 구분을 강화했을 수 있다.[5][129] 고대 역사가들은 삼니움 사람들을 호전적인 민족으로 묘사했지만, 이는 선전일 가능성이 크다. 캄파니아 도자기는 삼니움 전사와 기병이 싸우는 모습을 자주 묘사하는 반면, 아풀리아 도자기는 더 다양한 상황에서 그들을 묘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같은 문화권의 도자기는 또한 죽은 자를 매장하거나 결혼하는 등 다른 활동에 참여하는 무장한 남성을 묘사하기도 한다.[80] 남성과 여성 무덤의 차이점 역시 이 이론을 뒷받침한다. 남성은 무기와 갑옷을 가지고 매장된 반면, 여성은 실패나 보석과 같은 가정용품과 함께 매장되었다. 젊은 여성은 보통 소년들이 착용하는 것과 유사한 코일, 펜던트, 구슬, 의류, 실패, 피불라와 함께 매장되었는데,[130] 이는 삼니움 문화에서 여성성이 젊음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남성은 훨씬 작고 화려하지 않은 피불라를 착용했는데, 이는 남성 정체성이 성숙과 관련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55][131] 남성과 여성의 골격에서 나타나는 외상의 차이도 주목할 만하다. 폰테카냐노 파이아노(Pontecagnano Faiano) 근처에서 발견된 남성 골격의 두부 외상 비율은 12.9%인 반면, 여성 골격은 8%만이 두부 외상을 보였다. 알페데나(Alfedena)의 또 다른 공동체에서도 유사한 비율의 두부 외상을 보이는 삼니움 남성 골격이 발견되었다. 이는 삼니움 남성이 전사로서 싸워야 했지만, 여성은 그렇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32]

그러나 많은 무덤이 각 성별에 특징적인 물품과 함께 매장되지 않았다. 일부 삼니움 남성은 여성과 관련된 물품과 함께 매장되었고, 일부 삼니움 여성은 남성과 관련된 물품과 함께 매장되었다.[133] 캄포 콘솔리노(Campo Consolino)의 남성 중 3%만이 각 성별의 물품과 함께 매장된 반면, 여성 5명 중 1명은 무기와 함께 매장되었다. 남성이 가정용품과 함께 매장된 경우도 있었다. 이는 이러한 물품이 생전의 책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죽은 자에게 바치는 제물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 특정 매장품이 드물게 발견된다는 것은, 그것이 고위층에게만 한정된 것이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석은 부 또는 여성성의 지표로 해석될 수 있다. 청소년기와 젊은 성인 여성의 무덤에서 발견되는 보석의 차이는 예방 의료의 한 형태였을 수 있으며, 출산 중 여성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수 있다.[131]

골격 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골절, 병변, 부상을 입었지만, 남성이 이러한 부상을 훨씬 더 많이 입었다.[132] 이러한 차이는 여성 골격보다 남성 골격이 더 많기 때문일 수 있다.[55] 다른 골격들은 남성과 여성의 삶 사이에 유사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남녀 모두 건강한 치아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탄수화물이 적은 건강한 식단을 섭취했음을 의미한다. 예술 작품은 죽은 남성과 여성 모두를 기리는 남성과 여성 그룹을 묘사하여, 삼니움 남성과 여성이 사후에 유사한 방식으로 기념되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127] 각 성별은 서로 다르지만 동등하게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삼니움 사람들이 성별을 두 가지 범주, 즉 성인 남성과 그 외의 모든 사람으로 구분했다는 것이다.[55]

삼니움 사람들은 의례적인 매춘을 행했을 가능성이 있다. 모든 사회 계층의 젊은 여성들은 통과 의례로서 성행위에 참여했으며, 이 관행은 의례에서 직업으로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다.[134][135]

5. 3. 예술



삼니움인들이 폼페이에서 사용한 최초의 미술 양식은 그리스 화가들이 이탈리아로 건너와 현지 귀족들을 위해 그림을 그리면서 발전했다.[136] 이 양식은 그리스, 에트루리아, 그리고 다른 이탈리아 미술의 요소들을 차용했다. 예를 들어, 규모의 계층성, 지위를 보여주는 의복, 자막, 삽화적 서술, 그리고 역사 묘사는 모두 다른 문화에서 차용된 것이다.[137]

삼니움 미술은 다색 벽화회화를 특징으로 한다. 벽화는 보통 검정색이나 붉은색 시멘트 포장을 사용했고, 디자인이 테세라를 가로지르는 윤곽선으로 장식되었다. 테세라에는 두 가지 다른 스타일이 있었는데, 벌레 모양의 "미쿨라툼(miculatum)"과 짜임새 있는 스타일의 "옵푸스 테셀라툼(opus tessellatum)"이다. "미쿨라툼"은 모자이크 바닥에 대리석과 테라코타 트레이를 삽입하는 것을 포함했다. "옵푸스 테셀라툼" 스타일은 테세라를 사용하여 직조와 비슷한 모양을 만들었다. 삼니움 미술은 일반적으로 화려한 색상을 사용했으며, 신화, 전사, 또는 그리스 주제를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136] 폼페이에서 발견된 벽화는 이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설계되었다.[138]

벽화 외에도 다른 삼니움 미술 작품들이 현대까지 전해져 내려온다. 피에트라본단테의 성소 벽에는 아직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부조가 있는데, 아마도 아틀라스일 가능성이 있다. 이세르니아에 있는 삼니움 또는 로마계 작품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작품은 투구를 쓴 두 명의 전사를 묘사하고 있다.[5][136][139] 삼니움 조각의 한 예로 카페스트라노의 전사를 들 수 있다.[140] 그러나 이 조각상은 베스티니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피켄티니 전사를 묘사하고 있다.[105][141]

5. 4. 의복

삼니움인들이 폼페이에서 사용한 최초의 미술 양식은 그리스 화가들이 이탈리아로 건너와 현지 귀족들을 위해 그림을 그리면서 발전했다.[136] 이 양식은 그리스, 에트루리아, 그리고 다른 이탈리아 미술의 요소들을 차용했다. 예를 들어, 규모의 계층성, 지위를 보여주는 의복, 자막, 삽화적 서술, 그리고 역사 묘사는 모두 다른 문화에서 차용된 것이다.[137]

5. 5. 오락

삼니움인들의 의복은 대부분 느슨하게 걸치거나 드레이핑하여 접는 방식이었으며, 바느질하거나 봉합하지 않았다. 의복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거나 의식에 사용되는 등 상징적, 의례적 목적을 지녔다. 가장 귀한 의류는 청동이나 가죽으로 된 벨트에 청동 장식을 한 것이었다.[142][143]

남자들은 반지, 뱀 머리 모양 부적, 목걸이를 착용했다. 목걸이에는 부적과 펜던트를 걸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었고, 새겨진 장식이 있었다. 이 목걸이는 어린 시절부터 평생 착용했다. 곰가죽 옷도 흔했다.[79][93]

여성 의복은 그리스 의복과 유사했다. 긴 소매 없는 펩로스, 모자, 필레우스와 유사한 모자, 키톤, 장식된 벨트, 샤틀랭 등을 착용했다. 샤틀랭은 금속판 구멍을 뚫은 금속 나선과 사슬로 된 중앙 부분으로 구성되었다.[127][144][145] 땅에 닿을 만큼 긴 옷은 삼니움 여성 의류의 중요한 부분이었는데, 턱 아래에서 브로치로 고정한 색깔 있는 망토와 함께 착용했다. 망토는 상체, , 다리를 모두 덮었지만, 망토의 목선이 어깨에 닿지 않아 목걸이와 부적은 보이도록 했다. 재킷과 유사한 다른 종류의 망토도 착용했는데, 이 재킷은 소매가 있고, 앞에서 고정되었으며, 낮은 목선을 사용했고, 몸에 꼭 맞았으며, 접어서 몸의 대부분을 덮었다. 재킷 앞부분은 허리 바로 아래까지 내려와 고정되었다. 삼니움 치마는 그리스 의복의 영향을 많이 받아, 엉덩이와 드레이프를 덮는 히마티온으로 덮었다. 여성들은 접은 천으로 만든 머리 장식을 착용하기도 했다. 긴 베일을 접어 머리를 가로지르거나, 흰색과 빨간색 줄무늬가 있는 원통형 머리 장식 아래에 머리 그물을 쓰는 식이었다.[127] 빨간색, 흰색, 검은색 벨트는 남녀 모두 착용하는 성별 중립적 의류였다. 벨트는 갈고리로 천이나 가죽을 구멍에 고정하여 만든 문양으로 장식되었다.[127]

고대 삼니움에서는 남녀 모두 신발을 신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스타일의 신발이 존재했다. 낮은 신발, 발목까지 올라오는 신발, 끝에 작은 구멍이 있는 신발, 강조된 윗부분을 사용해 발목보다 높이 올라오는 신발 등이었다. 부츠를 제외하면 신발 스타일은 성별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여성용 부츠는 보통 발목까지 오는 반면, 남성용 부츠는 더 높이 올라왔다. 신발 끈을 고정하기 위해 흰색 단추와 뾰족하고 굽은 또는 짧은 선이 수평 끈을 가로질러 사용되었다. 삼니움 샌들은 끈으로 밑창을 발에 고정시키는 흰색 밑창을 사용했다. 발을 드러내는 샌들과 덮는 샌들이 모두 있었다. 양말이 존재했을 수도 있고, 양말이 없었다면 양말을 대신하는 부드러운 천이 있었을 수도 있다.[127]

이탈리아 토기와 삼니움 무덤 그림에는 삼니움 전사들이 튜닉을 입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튜닉은 한 장의 천으로 만들어졌고, 검은색 또는 흰색 문양으로 장식되었는데, 주로 소매에 있었고 튜닉 아랫부분에는 거의 없었다. 줄무늬나 점이 일반적인 문양이었다. 튜닉은 넓은 가죽 벨트로 복부에 고정되었다.

리비우스는 삼니움 병사들이 두 종류의 의복을 입었다고 묘사한다. 하나는 'versicolor'(대조되는 색상을 사용한 의복)로, 카멜레온과 같은 외관을 제공하도록 디자인되었을 수 있다. 이는 아이네이아스가 다색 무기와 갑옷을 가진 아스튀르라는 전사와 동맹을 맺었던 것을 떠올리게 하거나, 로마의 적수로서 삼니움인들의 가치를 보여주기 위해 디자인되었을 수 있다. 또는 플라톤의 국가를 언급하며 공화국을 다색 의복에 비유하거나, 다색 의복이 부를 상징했을 수도 있다. 다른 무리의 삼니움인들은 은색 의복을 입고 무기를 휴대했다.[146][147]

5. 6. 도시와 건축



삼니움인들의 정착지는 청동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까지 그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대부분의 정착지는 규모가 작았고, 사람들은 주로 마을에서 생계를 유지하며 살았다.[25][152] 이러한 작은 정착지들은 사에피눔과 카이아티아와 같은 더 큰 정착지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52] 삼니움 도시들은 대체로 이탈리아 다른 지역의 도시들만큼 크지 않았고,[9] 체계적이지 못했으며, 도시 중심부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여름 목초지와 겨울 목초지를 연결하는 데에는 '트라투리'(tratturi)라고 불리는 도로가 사용되었다.[153][154] 이 도로를 따라 삼니움 도시에는 사원, 식당, 주택, 성역과 같은 건물들이 있었다.[155] 포럼이나 아고라와 유사한 건물은 없었는데, 폼페이 도시의 경우 불규칙한 건축 양식과 주점이 있는 작은 포럼이 있었다.[156]

삼니움 전쟁 동안 삼니움 도시들은 성벽과 다른 방어 시설을 갖추기 시작했다. 성벽은 일반적으로 거칠고 조잡했으며, 근처에 다른 방어 시설 없이 언덕 꼭대기에 위치했다. 이는 도시를 보호하기보다는 방어군이 후퇴하여 재편성할 수 있도록 건설되었음을 나타낸다. 도시의 문은 왼쪽은 강력하게 요새화되었지만 오른쪽은 그렇지 않았다. 이는 병사들이 방패를 들지 않은 쪽에서 도시를 공격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5][25]

고지대 요새는 다각형 벽돌쌓기로 건설되었으며, 일반적인 방어 시설이거나 더 시골 사회와 더 도시적인 사회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를 나타내는 정착 형태였을 수 있다. 이러한 고지대 요새가 영구적인 방어 시설이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며, 일시적으로만 거주했을 수도 있다. 학자들은 삼니움 고지대 요새의 다른 가능한 목적을 제안했다. 이들은 정부에서 역할을 했을 수 있다.[56] 요새는 또한 불을 이용한 신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157]

폼페이나 헤르쿨라네움의 삼니움 건축은 종종 그리스 건축과 유사했다.[56] 예를 들어, 팔레스트라, 콜로네이드, 스토아, 기둥은 모두 그리스에서 차용된 것이다.[136][158] 다른 기술들은 에트루리아인들로부터 차용되었다. 예를 들어, 좁은 블록으로 직립석을 분할하는 방법이 있다. 폼페이의 삼니움 팔레스트라는 튜파로 만든 포르티코와 도리아식 기둥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 안뜰로 만들어졌다. 페리스타일 안뜰은 팔레스트라 서쪽에 있다. 이 건물은 그리스 팔레스트라와 유사했으며, 체육관, 종교 시설 또는 캠퍼스였을 가능성이 높다.[159] 주택은 기초 위에 더 작은 블록을 층층이 쌓아서 지어졌다. 기초를 높이기 위해 대좌와 직립석이 현관에 삽입되었다. 돌 블록도 벽 기초 옆에 놓을 필요가 있었다. 벽은 일반적으로 석재 잔해로 만들어졌다. 석재 잔해는 조각된 돌 블록처럼 보이도록 조각되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관행과 함께, 회반죽 층이 그 위에 퍼졌다. 회반죽은 프레스코화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이것은 안료를 회반죽이 축축한 동안 바르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스투코라고 불리는 또 다른 건축 자재는 종종 페인트칠되어 대리석으로 덮인 집의 모양을 만들었다.[160] 중정은 삼니움 주택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 그들은 임플루비움, 로지아, 셀라를 사용했다.[56][165] 튜프로 만든 외관, 주점, 페리스타일, 치설 장식 처마 장식은 정육면체 주두(기둥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었으며, 소형 조각상을 사용했고 모두 집 밖에 있었다.[161][162] 돌과 기와로 만든 낙수관이 있는 지붕.[53][163]

작고 개인적이며 임시적인 농장이나 주택은 일반적인 건물이었다.[164] 캄포바소 근처에서 발견된 한 농가는 아마도 마구간이었을 정사각형 모듈과 법정을 중심으로 화로가 있는 일련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집에는 작은 박격포 선반, 돌항아리 및 기타 용기가 있는데, 이는 농산물의 가공과 저장에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165] 또 다른 농가는 기원전 200년에 노란색 회반죽으로 고정된 석회암 블록을 사용하여 지어졌다.[166] "ACQ 11000"으로 알려진 고고학 유적지에는 두꺼운 점토로 덮인 계단식이 있고, 포장된 바닥이 있는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과 돌담이 있었다.[167]

참조

[1] 서적 Geography Alexandria 0007-01-01
[2] 서적 Roman Antiquities
[3] 서적 The History of the Kings of Rome https://books.google[...] Bell and Daldy 1868-01-01
[4] 서적 Le tavole di Gubbio e la civiltà degli Umbri: lo "scavo nelle parole" del testo iguvino mostra tutta la specificità della cultura umbra e fa emergere le tracce di una grande civiltà del passato, degna di stare alla pari di quella etrusca e di quella romana https://books.google[...] Jama 1996-01-01
[5] 서적 Samnium and the Samni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01-01
[6] 서적 The Latin Dialect of the Ager Faliscus: 150 Years of Scholarship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9-01-01
[7] 서적 Phonetics and Philology: Sound Change in Italic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4-06-17
[8] 서적 A Companion to the Archaeology of the Roman Republic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03-29
[9] 서적 Ancient Samnium: Settlement, Culture, and Identity between History and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5-06-25
[10] 학술지 Building Communities in Ancient Samnium: Cult, Ethnicity, and Nested Communities https://onlinelibrar[...] 2014-01-01
[11] 학술지 Sabellus: Sabine or Samnite? https://www.jstor.or[...] 1897-01-01
[12] 서적 The Roman Republ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1-30
[13] 서적 The Peoples of Ancient Ital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7-11-20
[14] 학술지 On the Building of a Narrative http://urn.kb.se/res[...] 2017-01-01
[15] 서적 A history of Rome,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mpire https://archive.org/[...] American Book Company 1890-01-01
[16] 서적 Geography 0007-01-01
[17]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4-18
[18] 서적 On the Building of A Narrative: The Ver Sacrum Ritual Brill
[19] 학술지 Samnite and Roman Cumae 1958-01-01
[20] 서적 A Companion to Ethnicity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2] 서적 Southern Europe: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23] 웹사이트 The Town Planning of Pompeii and Herculaneum Having Streets Aligned Along Sunrise on Summer Solstice https://ssrn.com/abs[...] 2016-06-30
[24] 서적 History of the Roman Peopl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5-23
[25] 서적 Roman Ita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01-01
[26] 서적 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4-03
[27] 비디오 Cities of Vesuvius: Pompeii & Herculaneum https://search-alexa[...] Phil Sheppard Productions 2008-01-01
[28] 뉴스 Pompeii https://www.proquest[...] 2017-04-25
[29]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Bible and Archaeolog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30] 뉴스 Pompeii exhibition: a timeline of Pompeii and Herculaneum; A brief history of the cities of Pompeii and Herculaneum, which feature in a major new British Museum exhibition in London. https://go-gale-com.[...] Telegraph Online 2013-03-03
[31] 서적 Processes of Integr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n the Roman Republic https://books.google[...] BRILL 2012-05-07
[32] 학술지 The Samnites in the Po Valley 1934-01-01
[33] 서적 A Commentary on Livy Books VI–X, Volume II: Books VII–VII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01-01
[34] 서적 The Early Roman Expansion into Italy: Elite Negotiation and Family Agenda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5-02
[35]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John Wiley & Sons, Ltd
[36] 서적 Armies of Ancient Italy 753–218 BC: From the Foundation of Rome to the Start of the Second Punic War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Military 2021-01-30
[37] 서적 A Critical History of Early Rome: From Prehistory to the First Punic W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08-07
[38] 학술지 Cato the Elder, Livy, and Xenophon's Anabasis https://dx.doi.org/1[...] 2018
[39] 서적 The Beginnings of Rome: Italy and Rome from the Bronze Age to the Punic Wars (c.1000–264 B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40] 서적 The Histories https://www.yorku.ca[...]
[41] 서적 Abridgment of Roman History https://tertullian.o[...]
[42] 서적 Rome (history)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43] 서적 War and Imperialism in Republican Rome, 327-70 B.C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85
[44] 학술지 Provenance of the white and polychrome marbles used for the architecture and sculpture of roman Sentinum (Sassoferrato, Marche, Italy) https://onlinelibrar[...] 2022
[45] 웹사이트 Sabini. http://mek.niif.hu/0[...] 2022-05-03
[46] 서적 Σαυῖται: The identity of Samnite through their cult places https://www.academia[...] (날짜 정보 없음)
[47] 웹사이트 Samnitas – Knoow https://knoow.net/hi[...] 2022-05-03
[48] 서적 The Roman Republ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49] 서적 The Social War, 91 to 88 BCE: A History of the Italian Insurgency against the Roman Republic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4-12-28
[50] 웹사이트 Samnite History https://www.livius.o[...] 2021-12-30
[51] 학술지 Exemplarity in Roman Culture: The Cases of Horatius Cocles and Cloelia https://courses.knox[...] 2004
[52] 웹사이트 Lacus Curtius, Vellius Paterculus, Book II, Chapters 1–28 https://penelope.uch[...] 2021-12-30
[53] 서적 (제목 없음)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995-11-01
[54] 서적 From Barbarians to New Men : Greek, Roman, and Modern Perceptions of Peoples from the Central Apennines: Greek, Roman, and Modern Perceptions of Peoples from the Central Apennine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95-11-02
[55] 학술지 Gender and Ritual in Ancient Italy: A Quantitative Approach to Grave Goods and Skeletal Data in Pre-Roman Samnium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4
[56] 서적 Cult Places and Cultural Change in Republican Italy: A Contextual Approach to Religious Aspects of Rural Society after the Roman Conquest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9
[57] 웹사이트 Самниты – это... Что такое Самниты? https://dic.academic[...] 2022-05-03
[58] 서적 The Rise of Rome: The Making of the World's Greatest Empire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2
[5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60] 서적 Mundunur: A Mountain Village Under the Spell of South Italy https://books.google[...] Via Media Publishing 2020-03-01
[61]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Classics https://oxfordre.com[...]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016-03-07
[62] 서적 Divine Institutions: Religions and Community in the Middle Roman Republic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10-13
[63] 서적 Urban Transformation in Ancient Molise: The Integration of Larinum Into the Roman St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64]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Classics https://oxfordre.com[...]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015
[65] 비디오 Rome's Glorious Cities https://search-alexa[...] A&E Television Networks 1997
[66] 뉴스 Tomb discovered in Pompeii is window into world scientists know little about. https://go-gale-com.[...] Christian Science Monitor 2015-09-25
[67] 학술지 Roman colonial coinages beyond the city-state: a view from the Samnite world https://www.degruyte[...] 2016
[68] 학술지 Women's Work: The Dedication of Loom Weights in the Sanctuaries of Southern Italy https://journals.ope[...] 2011
[69] 웹사이트 The Many Faces of Varnish https://www.popularw[...] 2022-03-27
[70] 서적 The Dominance of Athens https://go-gale-com.[...] Gale 2005
[71] 논문 Reverse engineering a lost culture https://go.gale.com/[...]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05
[72] 서적 The Ovoid Amphorae in the Central and Western Mediterranean: Between the last two centuries of the Republic and the early days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2019-09-30
[73] 논문 Representative Government in the Ancient Polities 1919
[74] 서적 Studi sulle magistrature indigene e municipali in area italica Giardini
[75] 서적 Italy Before Rome: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10-14
[76] 논문 Saving Face: Pentrian Samnite Elites in the Aftermath of the Samnite Wars (343-290 B.C.) https://www-degruyte[...] 2009-06-01
[77] 웹사이트 Samnite (peopl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78] 논문 Leadership among the Samnites and related Oscan-speaking peoples between the fifth and first centuries BC Kings College of London 2006-09
[79]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6
[80] 서적 The Samnites of the Fourth Century BC: as depicted on Campanian Vases and in other sources https://www.jstor.or[...] Oxford University Press
[81] 논문 A Bioarcheological Approach to the Reconstruction of Changes in Military Organization Among Iron Age Samnites (Vestini) From Abruzzo, Central Italy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014
[82] 서적 Development of Gymnasia and Graeco-Roman Cityscapes Edition Topoi
[83] 서적 Mighty men and the public thing: The virtue of citizen armies in the ancient world https://www.proquest[...] ProQuest Central
[84] 서적 Ineditum Vaticanum
[8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Roman Army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86] 서적 Ancient Rome: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87] 서적 Reconstructing Ancient Linen Body Armor: Unraveling the Linothorax Mystery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8] 서적 Rome's Italian Wars https://books.google[...] OUP Oxford
[89] 논문 Display in Roman Warfare: The Appearance of Armies and Individuals on the Battlefield 2007-01
[90] 서적 Spectacle and Society in Livy's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1] 서적 Etruscolog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7-09-25
[92] 논문 The Homogenisation of Military Equipment Under the Roman Republic 2003
[93] 서적 Greek and Roman Dress from A to Z https://books.google[...] Routledge
[94] 논문 Micro-chemical and metallurgical study of Samnite bronze belts from ancient Abruzzo (central Italy, VIII–IV BC) https://link.springe[...]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13
[95] 서적 The Art of Ancient Greek Theater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10
[96] 서적 The Army of the Roman Republic: From the Regal Period to the Army of Julius Caesar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6-03-30
[97] 서적 The Samnite legacy: An examination of the Samnitic influences upon the Roman state https://www.proquest[...]
[98] 논문 PANOPLY AND IDENTITY DURING THE ROMAN REPUBLIC https://www.proquest[...] 2020
[99] 논문 Fear the phalanx: the Macedonian formation terrified opponents—and at times overwhelmed the vaunted Roman legion. https://go-gale-com.[...] 2011
[100] 서적 The Republican Roman Army: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1-11
[101] 논문 The Genesis of Rome's Military Equipment 1912
[102] 서적 The Italic People of Ancient Apulia: New Evidence from Pottery for Workshops, Markets, and Custom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8-28
[103] 서적 Religion in Livy BRILL 2018-07-17
[104] 서적 The "Birth" of Ital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taly as a Region, 3rd–1st Century BC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7-09-25
[105] 서적 Roman Conquests: Italy Casemate Publishers 2009-07-16
[106] 서적 Imperial cult in the latin west ii-1 BRILL 1991
[107] 서적 The Regional Diversification of Latin 200 BC – AD 6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12-13
[108] 서적 A Companion to Latin Studies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21
[109] 서적 Life in Ancient Rome Crabtree Publishing Company 2005
[110] 웹사이트 SANNITI E SANNIO – IL POPOLO E LE COMUNITA http://www.sanniti.i[...] 2022-01-16
[111] 웹사이트 boiano.org : Boianos, Matese Samnites boiano.org 2022-01-16
[112] 간행물 Geocartographic history of a natural monument of Southern Apennines: the Geosite of Mephite in Ansanto Valley
[113] 웹사이트 Aufidenate Civic Museum – Castel di Sangro (AQ) | Regione Abruzzo – Dipartimento Turismo, Cultura e Paesaggio 2022-01-16
[114] 웹사이트 Patrimonio culturale della regione Abruzzo 2022-01-16
[115] 서적 Ancient Rome: An Introductory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020-05-18
[116] 서적 The Early Age of Gree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0-09
[117] 서적 The Handbook of Religions in Ancient Europe Routledge 2014-09-11
[118] 서적 Burial and Social Change in First Millennium BC Italy: Approaching Social Agents Oxbow Books 2016-11-30
[119] 서적 Prehistoric Warfare and Violenc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7-20
[120] 서적 The Roman Amphitheatre: From Its Origins to the Colosse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9-10
[121]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as a Scripture in History, Culture, and Religion John Wiley & Sons 2021-04-27
[122] 서적 Machiavelli's New Modes and Orders: A Study of the Discourses on Liv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04-15
[123] 학술지 Jewish Women in Greco-Roman Palestine: an Inquiry into Image and Status https://www.proqu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124] 학술지 Changes in Skeletal Robusticity in an Iron Age Agropastoral Group: The Samnites From the Alfedena Necropolis (Abruzzo, Central Italy) https://onlinelibrar[...] 2011
[125] 서적 Food and Society in Classical Antiquity; Roman Military Service: Ideologies of Discipline in the Late Republic and Early Princip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008
[126] 웹사이트 Horace (65 BC–8 BC) – The Odes: Book III https://www.poetryin[...] 2022-04-02
[127] 학술지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Classical Studies Supplement 61: The Samnites of the Fourth Century BC https://academic.oup[...] John Wiley & Sons, Ltd 2011
[128] 서적 Geographica iarchive:Strabo08Geo[...] null # 날짜 정보 없음
[129] 학술지 Exposure to Cadmium and Lead in an Agropastoral Iron Age Population https://onlinelibrar[...] 2014
[130] 서적 Farms, Factories, and Families: Italian American Women of Connecticut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4-05-08
[131] 학술지 Beyond the Warlike Samnites: Rethinking Grave Goods, Gender Relations and Social Practice in Ancient Samnium (Italy) 2010
[132] 학술지 Cranial trauma in iron age Samnite agriculturists, Alfedena, Italy: Implications for biocultural and economic stress https://onlinelibrar[...] John Wiley & Sons, Ltd 2006
[133] 서적 Samnium: Settlement and Cultural Change : the Proceedings of the Third E. Togo Salmon Conference on Roman Studies Center for Old World Archaeology and Art 2004
[134] 뉴스 What Lies Beneath in Pompeii; Going Deep Yields New Perspective on Ancient Roman City https://www.proquest[...] 2004
[135] 뉴스 A whole new subculture emerges in old pompeii ; archeologists dig below the roman ruins and discover an even more ancient civilization that ultimately gave in to imperial conquerors: [chicago final edition] https://www.proquest[...] 2004-08-05
[136] 서적 A History of Roman Art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10-12
[137] 서적 A History of Roman Ar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1-03-31
[138] 서적 Return splendor in Pompeii to fresh Samnite from the 2nd century BC https://www.proquest[...] ContentEngine LLC 2021-02-21
[139] 서적 Locks and Builders Hardware: A Hand Book for Architects https://books.google[...] J. Wiley & sons 1904
[140] 서적 Prehistoric Warfare and Violenc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07-20
[141] 서적 Greece and Rome at War https://books.google[...] Grub Street Publishers 2012-06-19
[142] 서적 Revival: Roman Life and Manners Under the Early Empire (191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3-29
[143] 서적 Mommsen's History of Rome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LLC 2008-03-01
[144] 서적 Understanding and Accessibility of Pre-and Proto-Historical Research Issues: Sites, Museum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Proceedings of the XVIII UISPP World Congress (4–9 June 2018, Paris, France) Volume 17, Session XXXV-1 https://books.google[...] Archaeopress Publishing Ltd 2021-09-09
[145] 서적 The Cultural Development in North Western Lucania C. 600–273 BC L'ERMA di BRETSCHNEIDER 2002
[146] 학술지 The Multicolored World of the Romans https://www.proquest[...] Vandenhoeck und Ruprecht 2015
[147] 서적 The History of Rome https://www.perseus.[...]
[148] 서적 CHAPTER V: Subjugation of the Latins and Campanians by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9] 학술지 Tracing Furrows in the Satiric Dust Echoes of Horace's Epistles in Juvenal 1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50] 학술지 Rome's Gladiatorial Games 2001
[151] 서적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https://www.icevirtu[...] ICE Virtual Library
[152] 서적 Samnite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153]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Roman World OUP Oxford 2001-01-18
[154] 학술지 Tracking the Samnites: Landscape and Communications Routes in the Sangro Valley, Ital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155] 서적 Cultural Identity in the Roman Empire Routledge 2002-09-11
[156] 학술지 Pompeii Forum Project: Current Thinking on the Pompeii Forum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3
[157] 간행물 Towards a phenomenology of Samnite fortified centres Gale 2000-03
[158] 서적 Domesticating Empire: Egyptian Landscapes in Pompeian Garde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3-29
[159] 서적 Development of Gymnasia and Graeco-Roman Cityscapes Edition Topoi
[160] 서적 Roman Painting Gale
[161] 서적 The Ancient Middle Class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06-15
[162] 서적 Aedificia Domestica https://journals.co.[...] University of Stellenbosch
[163] 서적 Roman Painting Gale
[164] 간행물 THE ARCHAEOLOGY OF THE ITALIAN SHEPHERD
[165] 서적 Roman Architecture and Urbanism: From the Origins to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9-05
[166] 학술지 The Samnite and Roman Settlement at Santa Maria Della Strada (Commune di Matrice, Provincia di Campobasso, Regione Molise) https://www.proquest[...] 2019
[167] 학술지 ARCHAEOLOGICAL FIELDWORK REPORTS
[168] 백과사전 Pontius Pilate Gale
[169]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10, chapter 21 https://www.perseus.[...] 2022-04-14
[170] 간행물 Herennius Pontius: The Construction of a Samnite Philosopher 2022-04-10
[171]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8, chapter 39 https://www.perseus.[...] 2022-04-14
[172]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9, chapter 44 https://www.perseus.[...] 2022-04-14
[173] 웹사이트 Titus Livius (Livy), The History of Rome, Book 10, chapter 20 https://www.perseus.[...] 2022-04-14
[174] 서적 An offprint from Communicating Identity in Italic Iron Age Communities Oxbow Books
[175] 서적 New Classical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Mythology and Geography, Partly Based upon the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arper & Brothers
[176] 논문 The Nationality of the Poet Caecilius Statius https://www.jstor.or[...]
[177] 서적 Urbanism and Elites – Rome and the Cities of Italy (2nd Century BC – 1st Century AD): an Overview https://www.ceeol.co[...] Centrul de Istorie Comparată a Societăților Antice
[178] 백과사전 Catholic Encyclopedia wikisource:Catholic [...] The Encyclopedia Press
[179] 웹사이트 Samnite (peopl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11-29
[180] 서적 지리서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Samnium and the Samnites https://books.google[...]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사
[18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