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룩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룩카는 고대 아나톨리아 남서부에 위치했던 지역으로, 정확한 범위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 룩카는 기원전 1300년대 중반 알라시아 섬 왕국을 침략했으며, 히타이트 텍스트에서 독립적인 땅으로 언급되었다. 룩카는 히타이트 제국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으며, 카데시 전투에서 히타이트 측에 참전하기도 했다. 이후 히타이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에 영향을 미쳤다. 룩카는 또한 기원전 12세기에 해양 민족의 일원으로서 고대 이집트와 동지중해를 침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다 민족 - 람세스 3세
    람세스 3세는 기원전 1186년부터 115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제20왕조의 파라오로,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의 침입을 막아 이집트의 안정을 유지했지만 통치 말기 경제적 어려움과 암살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으며, 메디넷 하부 신전 등의 건축 사업을 통해 업적을 기념했다.
  • 고대 아나톨리아 - 히타이트
    히타이트는 기원전 2000년경 소아시아에서 번성한 고대 국가 및 문명으로, 아나톨리아 고원을 중심으로 강력한 왕국을 건설하고 하투사스를 수도로 삼았으며,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시대로 나뉘어 설형 문자와 히타이트어를 사용하며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고대 아나톨리아 - 아나톨리아 가설
    아나톨리아 가설은 콜린 렌프루가 제안한 가설로, 신석기 혁명과 함께 인도유럽어족이 아나톨리아에서 기원하여 농업 확산과 더불어 유럽으로 이동하며 언어를 전파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 히타이트 제국 - 아다나
    아다나는 8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튀르키예 남부의 고대 도시로,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주요 상업 및 산업 중심지이며, 풍부한 역사 유적과 문화를 간직한 관광 명소이다.
  • 히타이트 제국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룩카
지리
위치아나톨리아 남서부
역사적 맥락
시대청동기 시대 후기 ~ 철기 시대 초기
문화 및 언어
언어루키아어
정치 및 사회
주요 도시피나라
크산토스
텔메소스
관련 국가
관련 국가아르자와

2. 지리

룩카는 아나톨리아 남서부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정확한 범위는 논쟁의 대상이다. 트레버 브라이스는 룩카 영토가 나중에 리카오니아, 피시디아, 리키아로 알려진 지역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을 차지했다고 주장했다.[1] 반면, 일리야 야쿠보비치와 같은 다른 연구자들은 룩카가 리키아에 국한되었으며 "히타이트 왕들은 룩카를 국가로 여기지 않았고... 이 땅은 정치적으로 분산되어 있었다"고 주장했다.[2] 로스티슬라프 오레슈코 연구원은 룩칸 권력의 두 중심지가 있었다고 주장하는데, 하나는 리키아 인근의 전통적인 위치에 있었고 다른 하나는 트로아스의 동부에 위치했으며, 대부분의 히타이트 기록이 후자에 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3]

3. 역사

기원전 14세기 아마르나 서한에서 룩카는 알라시아를 침략한 세력으로 처음 언급된다.[1] 이는 히타이트 텍스트에서 룩카가 아린나의 태양 여신에게 조공을 바치지 않은 독립적인 땅으로 언급되는 시기와 일치한다.[2]

3. 1. 히타이트와의 관계

아마르나 서한에는 기원전 1300년대 중반, 룩칸이 알라시아 섬 왕국을 침략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며,[1] 이는 히타이트 텍스트가 아린나의 태양 여신에게 기도하면서 아라와나, 칼라스파, 그리고 피타사와 함께 조공을 중단한 독립적인 땅으로 룩카를 언급하는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2] 룩카는 기원전 1280년경 알락산두와의 히타이트 조약에서 두드러지게 언급된다.

"''군대와 전차에 관해서, 당신과의 협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의 태양이 그 땅들, 즉 가르기사, (또는 마사), 룩카, 또는 바르시얄라 방향으로 원정을 떠날 경우, 당신도 당신의 보병과 전차와 함께 저와 함께 원정을 떠날 것입니다. 또는 제가 이 땅들을 향해 장교를 원정으로 파견할 경우, 당신도 그와 함께 그곳에서 원정을 떠날 것입니다.''"[3]

룩카 병사들은 카데시 전투 (기원전 1274년경)에서 히타이트 측에서 이집트 파라오 람세스 2세에 대항하여 싸웠다. 한 세기 후, 룩카는 히타이트에 대항했다. 히타이트 왕 수필룰리우마 2세는 룩카를 굴복시키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들은 히타이트 제국의 붕괴에 기여했다. 룩카는 또한 기원전 12세기에 이집트와 동지중해를 침략한 해양 민족의 부족 중 하나로 고대 이집트의 텍스트에도 알려져 있다.[1][2]

3. 2. 해양 민족과의 관계

룩카는 기원전 12세기에 이집트와 동지중해를 침략한 해양 민족 가운데 하나로 고대 이집트의 기록에 등장한다.[1][2] 이들은 히타이트 제국의 멸망에 영향을 주었으며, 히타이트 멸망 이후에도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며 활발하게 활동했다.

참조

[1]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https://www.google.c[...]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 서적 Sociolinguistics of the Luvian Language Brill 2010
[3] 간행물 Geography of the Western Fringes: Gar(a)giša/Gargiya and the Lands of the Late Bronze Age Caria https://www.academia[...] Centre for Hellenic Studies (Harvard University)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